율봉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봉서원은 1824년에 건립되었으며,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철폐되었다가 1948년 현재 위치에 복설된 서원이다. 정유재란 때 순절한 정숙, 정승조 부자를 기리기 위해 1707년에 삼강문이 건립되었으며, 1804년 쌍충 정려가 내려지면서 3칸의 삼강문으로 합쳐졌다. 율봉서원은 외삼문이 강당과 중심축에 놓이고 사우 건물로 진입하기 위해 강당을 거쳐야 하는 독특한 배치 구조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시 (전라남도)의 향토유적 - 금전산
금전산은 순천시 낙안면에 있는 화강암 석산으로, 낙안읍성의 진산이며 기암괴석과 금둔사의 납월홍매화가 유명하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향토유적 - 순천 양벽정 일원
1545년 조대춘이 을사사화를 피해 낙향 후 건립한 순천 양벽정은 광천 강변에 위치한 정자 건축물이다. - 전라남도의 서원 - 장성 필암서원
장성 필암서원은 1590년 김인후를 기리기 위해 창건되어 여러 차례 이건과 사액을 거쳐 1672년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존속되어 1975년 사적으로 지정되고 201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된 호남 유학의 중심지이다. - 전라남도의 서원 - 순천 용강서원
순천 용강서원은 조광조와 교류했던 양팽손과 그의 증손 양신용을 추모하기 위해 1821년에 건립되었으며,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70년에 복원되어 현재 제사를 지낸다. - 대한민국의 교육에 관한 - 정발초등학교
정발초등학교는 1993년 개교하여 199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일제강점기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교명이 바뀌었고 2023년 30회 졸업식을 거행한 초등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교육에 관한 - 혜광고등학교
혜광고등학교는 1954년 재부 무학여자중·고등학교를 인수하여 설립 인가를 받고, 1970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1976년 혜광중학교가 폐교된 후 학급 증설과 시설 확충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율봉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율봉서원 정보 | |
이름 | 율봉서원 (栗峰書院) |
유형 | 향토유적 |
지정 번호 | 12 |
지정일 | 2015년 7월 3일 |
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725-1번지 |
2. 역사
1824년 율봉서원이 건립되었으나,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48년 해방 이후 현재 위치에 복원되어 유지 및 보수가 이루어지고 있다.[1]
1804년(순조 4) 정유재란 때 순절한 정숙·정승조 부자의 쌍충정려와 정숙의 7세손 효원과 처 성씨의 쌍효 정려명이 내려졌다. 그해 12월 충·효·열의 삼강문이 세워졌고, 1982년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1] 1707년에는 원래 열녀비가 있던 터에 삼강문이 세워졌으며, 1633년(인조 11) 정숙의 자부(승호 처) 동복오씨의 열녀정려가 세워졌다는 기록이 『강남악부』「작호행」에 남아있다.[1]
2. 1. 건립과 훼철 (1824년 ~ 1868년)
栗峰書院중국어은 1824년에 건립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된 후, 현재 서원이 바라보는 남서쪽 약 320m 정도 떨어진 곳에 기단과 비석만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1]2. 2. 복원과 현재 (1948년 ~ 현재)
1948년 해방 후 현재의 위치에 율봉서원이 복설되었고, 지금까지 보수 및 수리가 이루어졌다.[1] 율봉서원은 서원의 배치 유형 면에서 과정적 공간이 잘 나타나 있는 사례이며, 사우 건물은 단 차이와 동선의 흐름 체계에 의해 위계성이 잘 나타난다.[1] 배향자의 정려각이 율봉서원의 일부가 됨으로써 서원의 사우 중심형 건물의 상징적 구심점이 더욱 부각된다.[1]3. 삼강문
정유재란 때 순절한 정숙·정승조 부자가 임란공신(선무원종 2등 쌍충)으로 인정받아, 1707년에 원래 열녀비가 있던 터에 삼강문이 세워졌다. 1804년에 쌍충 정려가 내려지자 3칸의 삼강문으로 합쳐졌으며, 1982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1]
3. 1. 건립 배경 (1707년 ~ 1804년)
1707년(숙종 33년) 정유재란 때 순절한 정숙(鄭淑, 1556~1598)·정승조(鄭承祚, 1573~1598) 부자가 임진왜란 공신(선무원종 2등 쌍충)으로 인정받아, 원래 열녀비가 있던 터에 삼강문(三綱門)이 건립되었다. 1804년(순조 4) 쌍충 정려가 내려지자, 3칸의 삼강문으로 합쳐 세워졌다.[1]1633년(인조 11) 정숙의 며느리(정승호의 처) 동복 오씨의 열녀 정려가 세워졌다는 기록이 『강남악부』「작호행」에 남아있다.[1]
1804년(순조 4) 순천부 유학 이덕붕(李德鵬) 등의 상언(上言)에 따르면, 정숙·정승조 쌍충 정려 및 정숙의 7세손 정효원(鄭孝元)과 그의 처 성씨(成氏)의 쌍효 정려명이 내려졌다. 그 해 12월, 충(忠)·효(孝)·열(烈)의 삼강문이 세워졌다.[1]
3. 2. 변천 과정 (1804년 ~ 현재)
1804년(순조 4) 정숙(1556~1598)·정승조(1573~1598) 부자의 쌍충정려 및 정숙의 7세손 효원(孝元)과 그의 처 성씨(成氏)의 쌍효 정려명이 내려지자, 그해 12월에 충(忠)·효(孝)·열(烈)을 기리는 삼강문이 세워졌다.[1] 이는 순천부 유학 이덕붕(李德鵬) 등의 상언(上言)에 기록되어 있다.[1]삼강문은 1707년 열녀비가 있던 자리에 정숙·정승조 부자가 정유재란 때 순절한 임란공신(선무원종 2등)으로 인정받아 1804년 쌍충 정려가 내려지면서 3칸 건물로 합쳐 세워졌다.[1]
율봉서원은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철폐되었다가, 1948년 해방 후 현재 위치에 다시 세워졌다.[1] 삼강문은 1982년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1]
4. 관련 기록
江南樂府중국어 「작호행」과 순천부 유학 이덕붕 등의 상언은 율봉서원 및 삼강문과 관련된 기록이다. 『강남악부』 「작호행」에는 1633년(인조 11) 정숙의 며느리(정승호의 처) 동복오씨의 열녀정려가 세워졌다고 기록되어 있다.[1] 1804년(순조 4) 순천부 유학 이덕붕 등이 올린 상언에는 정숙·정승조 부자의 쌍충정려와 정숙의 7세손 정효원과 그의 처 성씨의 쌍효 정려명이 내려졌고, 그 해 12월 충(忠)·효(孝)·열(烈)을 기리는 삼강문이 세워졌다는 기록이 있다.[1]
4. 1. 『강남악부』 「작호행」 (1633년)
江南樂府중국어 「작호행」에는 1633년(인조 11) 정숙의 며느리(정승호의 처) 동복오씨의 열녀정려가 세워졌다는 기록이 있다.[1]4. 2. 순천부 유학 이덕붕 등의 상언 (1804년)
1804년(순조 4) 순천부 유학 이덕붕 등이 올린 상언에 따르면, 정숙(1556~1598)·정승조 (1573~1598) 부자의 쌍충정려와 정숙의 7세손 정효원과 그의 처 성씨의 쌍효 정려명이 내려졌다. 그 해 12월, 충(忠)·효(孝)·열(烈)을 기리는 삼강문(三綱門)이 세워졌다는 기록이 있다.[1]5. 건축적 특징
율봉서원은 1824년에 건립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된 후, 원래 위치에서 남서쪽으로 약 320m 떨어진 곳에 기단과 비석만 남아 명맥을 유지했다. 1948년 해방 이후 현재 위치에 복원되어 보수 및 수리가 이루어졌다.[1]
삼강문은 1707년 열녀비가 있던 자리에 세워졌다. 1804년(순조 4) 정유재란 때 순절한 정숙·정승조 부자의 쌍충 정려와 정숙의 7세손 효원과 그의 처 성씨의 쌍효 정려명이 내려지면서 충·효·열을 기리는 삼강문으로 합쳐졌다. 1982년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1]
5. 1. 배치 유형
외삼문은 강당과 중심축에 놓여 있고, 사우 건물로 들어가려면 반드시 강당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진 서원은 경북의 역동서원(1570) 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율봉서원은 서원 배치 유형 면에서 과정적 공간이 잘 나타나 있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1] 율봉사의 사우 건물은 단 차이와 동선의 흐름 체계에 의해 위계성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배향자의 정려각이 율봉서원의 일부가 됨으로써 서원의 사우 중심형 건물의 상징적 구심점이 더욱 부각된다.[1]5. 2. 위계성
율봉서원의 사우 건물은 단 차이와 동선의 흐름 체계에 의해 위계성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배향자의 정려각이 율봉서원의 일부가 됨으로 서원의 사우 중심형 건물의 상징적 구심점이 더욱 부각된다.[1] 외삼문이 강당과 중심축에 놓이고 사우 건물로 진입할 때 반드시 강당을 거쳐야만 사당에 진입할 수 있는 서원은 경북의 역동서원(1570) 밖에 없다. 따라서 율봉서원은 서원의 배치 유형 면에서 과정적 공간이 잘 나타나 있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1]5. 3. 상징성
율봉서원의 사우 건물은 단 차이와 동선의 흐름 체계에 의해 위계성이 잘 나타나고 있다. 특히 배향자의 정려각이 율봉서원의 일부가 됨으로써 서원의 사우 중심형 건물이 갖는 상징적 구심점이 더욱 부각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