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비늘치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비늘치과는 복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이다. 이 과는 Pseudotriacanthus, Triacanthus, Tripodichthys, Trixiphichthys 4개의 속을 포함하며, 등지느러미의 첫 번째 지느러미 줄기가 가시로, 배지느러미는 두 개의 가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단단한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연체동물과 갑각류를 먹는다. 인도-태평양의 연안과 대륙붕에 서식하며, 몸길이는 15~30cm 정도이다. 화석 기록으로는 Acanthopleurus, Cryptobalistes, Protacanthodes 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은비늘치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Triacanthidae |
명명자 | Bleeker, 1859 |
다른 이름 | 삼각치과 |
영어 이름 | tripod fish triplespine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상목 | 극기상목 |
목 | 복어목 |
하위 분류 | |
속 | 본문 참조 |
분포 | |
화석 기록 | (에오세 ~ 현재) |
2. 하위 속
속 | 명명자 | 종 | 명명자 | 비고 |
---|---|---|---|---|
Pseudotriacanthus | 프레이저-브러너, 1941 | Pseudotriacanthus stigilifer | 칸토르, 1849 | long-spined tripodfish |
Triacanthus | 오켄, 1817 | Triacanthus biaculeatus | 블로흐, 1786 | Short-nosed tripodfish |
Triacanthus | 오켄, 1817 | Triacanthus nieuhofii | 블리커, 1852 | Silver tripodfish |
Tripodichthys | 타일러, 1968 | Tripodichthys angustifrons | 홀라드, 1854 | Black-flag tripodfish |
Tripodichthys | 타일러, 1968 | Tripodichthys blochii | 블리커, 1852 | Long-tail tripodfish |
Tripodichthys | 타일러, 1968 | Tripodichthys oxycephalus | 블리커, 1851 | Short-tail tripodfish |
Trixiphichthys | 프레이저-브루너, 1941 | Trixiphichthys weberi | B. L. Chaudhuri, 1910 | blacktip tripodfish |
4. 특징
은비늘치과 물고기들은 방아쇠치 및 가죽치와 마찬가지로, 지느러미 줄기의 첫 번째 등지느러미가 가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지느러미 대신 두 개의 가시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단단하고 튼튼한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단단한 껍질을 가진 연체동물과 갑각류를 먹는다.[5]
이 물고기들이 어떻게 사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질적으로 해양에 서식하는 어류로서, 때때로 육지에 접근한다. 몸길이는 15cm에서 30cm 정도이다.
몸은 중간 정도로 가늘고, 강하게 측편되어 있다. 비늘은 매우 작고, 피부는 두껍다. 등지느러미 첫 번째 줄과 배지느러미는 매우 발달한 가시로 되어 있다. 입은 작고, 주둥이 끝에 있다. 이빨은 날카롭고, 바깥쪽에는 약 10개의 굵은 절치가 있고, 안쪽에는 위턱에 4개, 아래턱에 2개의 어금니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깊게 두 갈래로 갈라지고, 꼬리자루는 가늘다. [8]
5. 생태
은비늘치과 물고기들은 방아쇠치 및 가죽치와 마찬가지로, 지느러미 줄기의 첫 번째 등지느러미가 가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지느러미 대신 두 개의 가시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단단하고 튼튼한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단단한 껍질을 가진 연체동물과 갑각류를 먹는다.[5]
이 물고기들이 어떻게 사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질적으로 해양에 서식하는 어류로서, 때때로 육지에 접근한다. 몸길이는 15cm에서 30cm 정도이다.
인도-태평양에 분포한다. 표층에서 수심 60m까지의 연안에서 대륙붕에 서식한다.[8] 연체동물이나 갑각류의 껍질을 단단한 이빨로 씹어 부수어 포식한다.[14]
6. 화석 기록
''아칸토플레우루스''(Acanthopleurus) 속에는 ''A. serratus'' (루이 아가시, 1844)와 ''A. collettei'' (타일러, 1980) 종이 스위스 글라루스 주 올리고세 지층에서 발견되었다.[6] 루마니아의 올리고세 지층에서 발견된 세 번째 종 ''Cephalacanthus trispinosus'' (치오바누, 1977)는 이전에는 다클로프테리과에 속했으나, ''Acanthopleurus''의 어린 개체로 여겨지고 있다. 이 종이 앞선 두 종 중 하나에 속하는지, 아니면 새로운 종인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6]
다른 화석 삼지창 속으로는 글라루스 주에서 발견된 ''크립토발리스테스''(Cryptobalistes)와 이탈리아 몬테 볼카에서 발견된 ''프로탁칸토데스''(Protacanthodes)가 있다.[7]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2]
논문
A phylogeny of the families of fossil and extant tetraodontiform fishes (Acanthomorpha, Tetraodontiformes), Upper Cretaceous to Recent
[3]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4]
논문
Taxonomy and systematics of tetraodontiform fishes: a review focusing primarily on progress in the period from 1980 to 2014.
[5]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6]
간행물
Two New Genera and Species of Oligocene Spikefishes (Tetraodontiformes: Triacanthodidae), the First Fossils of the Hollardiinae and Triacanthodinae
http://www.sil.si.ed[...]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Paleobiology
[7]
논문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the extant species of triplespine fishes (Triacanthidae, Tetraodontiformes)
https://onlinelibrar[...]
2002
[8]
웹사이트
Triacanthidae
https://www.fishbase[...]
FishBase
2024-09-22
[9]
문서
小学館の図鑑Z 日本魚類館
[10]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11]
논문
A phylogeny of the families of fossil and extant tetraodontiform fishes (Acanthomorpha, Tetraodontiformes), Upper Cretaceous to Recent
[12]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13]
논문
Taxonomy and systematics of tetraodontiform fishes: a review focusing primarily on progress in the period from 1980 to 2014.
[14]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15]
간행물
Two New Genera and Species of Oligocene Spikefishes (Tetraodontiformes: Triacanthodidae), the First Fossils of the Hollardiinae and Triacanthodinae
http://www.sil.si.ed[...]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Paleobiology
[16]
논문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the extant species of triplespine fishes (Triacanthidae, Tetraodontiformes)
https://onlinelibrar[...]
2002
[17]
뉴스
Taxonomy and systematics of tetraodontiform fishes: a review focusing primarily on progress in the period from 1980 to 2014.
[18]
웹사이트
Triacanthidae
FishBase
[19]
간행물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http://currents.plos[...]
2013-04-18
[20]
논문
An evaluation of fossil tip-dating versus node-age calibrations in tetraodontiform fishes.
https://doc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