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시복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시복은 움직임이 느리고, 몸을 부풀려 가시를 세워 방어하는 특징을 가진 물고기이다.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앵무새 부리 모양의 이빨로 연체동물, 성게 등을 먹는다. 일부 종은 테트로도톡신을 가지고 있어 독성을 띠기도 한다. 가시복은 다양한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용으로 섭취되기도 하지만, 테트로도톡신 중독의 위험이 있다. 또한, 어업 피해를 주기도 하며, 문화적으로는 다윈의 저서에 등장하거나, OpenBSD 운영체제의 마스코트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가시복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시복
'Diodon holocanthus'
학명Diodontidae
명명자'Bonaparte, 1838'
영명Porcupinefish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류강
상목극기상목
복어목
가시복과
생태 및 특징
서식지'해양'
분포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
특징몸에 가시가 있으며, 위협을 느끼면 몸을 부풀림.
기타
화석 기록'에오세 - 현재'

2. 특징

가시복은 움직임이 느린 편이다.[5] 물이나 공기를 삼켜 몸을 부풀릴 수 있어서, 크기가 거의 두 배로 커지기 때문에 입이 매우 큰 포식자만 가시복을 잡아먹을 수 있다. 가시복이 부풀어 오를 때 날카로운 가시가 바깥쪽으로 뻗치는 것도 방어 수단이다.[5]

가시복은 앵무새 부리 모양으로 융합된 위턱과 아래턱을 가지고 있어서, 연체동물과 성게를 먹는다.[4][6][7] 어떤 종은 난소나 간 같은 내장에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독을 가지고 있는데, 이 독은 시안화물보다 최소 1200배 이상 강하다. 이 독은 가시복이 먹는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에서 만들어진다.[8]

이러한 방어 수단 덕분에 가시복은 포식자가 거의 없지만, 다 자란 가시복은 가끔 상어범고래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어린 가시복은 ''Lysiosquillina maculata'', 참치, 돌고래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5]

가시복과 물고기는 전 세계 열대에서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6속 20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몸길이는 15cm 정도에서 70cm가 넘는 것까지 다양하다.

가시복은 배지느러미가 없고, 턱의 이빨이 유합되어 있으며, 피부가 두껍고, 적에게 공격받으면 물이나 공기를 흡입하여 몸을 크게 부풀리고, 육식성인 점 등 복어과와 공통된 특징이 많다. 하지만 복어과의 이빨은 위아래 2개씩 총 4개인데 반해, 가시복과의 이빨은 위아래 1개씩 총 2개이다. 가시복과의 라틴어 이름인 'Diodontidae'(2개의 이빨)도 여기서 유래한다. 은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 가시복에 대한 검사가 충분하지 않아 난소 등의 독성은 단정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13]

팽창한 가시복


가시복과의 가장 큰 특징은 몸 표면에 비늘이 변한 날카로운 가시가 많다는 것이다.[10] "가시 천 개"라는 일본어명과 "Porcupinefish"(Porcupine=호저)라는 영어 이름도 여기서 유래한다. 과거 조사에 따르면 약 천 마리의 가시복 가시 수의 평균은 369개였다.[10] 이 가시는 평소에는 누워 있지만, 몸을 부풀리면 똑바로 서서 적에게서 몸을 보호하고 자신의 몸을 크게 보이게 한다. 다만, 이시가키복 등은 가시가 짧아서 부풀려도 가시가 서지 않는다.

가시복은 얕은 바다의 암초, 산호초, 모래 바닥에 서식한다. 다른 복어목 물고기처럼 가슴지느러미, 뒷지느러미, 등지느러미를 펄럭이며 천천히 헤엄친다. 육식성으로, 조개류, 갑각류, 성게 등 다양한 저서생물(벤토스)을 먹는다. 튼튼한 이빨로 조개 껍질이나 갑각, 성게 껍질 등도 씹어 부순다.

가시복은 원래 열대성 물고기이지만 난류를 타고 북상하여, 수온이 낮아지는 겨울에 해안에 대량으로 떠밀려 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표착 개체는 수온이 너무 낮아 번식하지 못하고 죽는다(죽음의 회유).

3. 하위 속


  • ''Allomycterus''
  • 강담복속 (''Chilomycterus'')
  • 굳가시복속 (''Cyclichthys'')
  • ''Dicotylichthys''
  • 가시복속 (''Diodon'')
  • ''Lophodiodon''
  • ''Tragulichthys''
  • '''가시복속''' (''Diodon'') (칼 폰 린네, 1758년)
  • '''가시복''' (''Diodon holocanthus'') (칼 폰 린네, 1758년) (Long-spined porcupinefish)

: 전장 40cm 정도. 몸에 작은 검은 반점이 많이 있지만, 지느러미에는 반점이 없는 것으로 쥐치복과 구별할 수 있다. 체색은 갈색 계통이지만 얼룩 무늬 등에는 변이가 있다. 전 세계의 열대·온대에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혼슈 이남에 분포한다.

  • '''쥐치복''' (''Diodon hystrix'') (Linnaeus, 1758) (Spot-fin porcupinefish)

: 전장 70cm 정도, 최대 80cm 이상에 달하는 대형종. 몸에도 지느러미에도 작은 검은 반점이 많이 있다. 대형 개체는 꽤 날씬해진다.

  • '''얼굴가시복''' (''Diodon liturosus'') (Shaw, 1804년) (Black-blotched porcupinefish)

: 전장 50cm 정도. 몸에는 얼룩 무늬가 있지만, 이러한 얼룩이 흰색으로 가장자리가 칠해져 있어 가시복과 구별할 수 있다. 다른 종류보다 약간 남방 계열로, 인도양에서 서태평양의 열대역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기이 반도 이남에 분포한다.

  • '''거북복속''' (''Chilomycterus'') (Brisout de Barneville, 1846)
  • '''거북복''' (''Chilomycterus reticulatus'') (린네, 1758) (Spotfin burrfish)

: 전장 60cm 정도. 몸에도 지느러미에도 작은 검은 반점이 많이 있다. 가시는 짧고, 몸을 부풀려도 가시복 정도는 아니다.

  • '''두꺼비복속''' (''Cyclichthys'') Kaup, 1855
  • '''두꺼비복''' (''Cyclichthys orbicularis'') (블로흐, 1785)
  • '''고슴도치복''' (''Cyclichthys spilostylus'') (Leis & J. E. Randall 1982)

4. 계통 분류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9][20]

계통 분류
복어목
† Cretatricanthidaela
† Protricanthidaela
† Plectocretacidaela
† Moclaybalistidaela
분홍쥐치아목
분홍쥐치과
은비늘치과
† Bolcabalistidaela
† Eospinidaela
쥐치복아목
쥐치복과
쥐치과
† Protobalistidaela
† Spinacanthidaela
거북복아목
육각복과
거북복과
불뚝복아목
† Eoplectidaela
불뚝복과
개복치아목
개복치과
참복아목
가시복과
참복과


5. 주요 종


: 전장 40cm 정도이다. 몸에 작은 검은 반점이 많이 있지만, 지느러미에는 반점이 없는 것으로 쥐치복과 구별할 수 있다. 체색은 갈색 계통이지만 얼룩 무늬 등에는 변이가 있다. 전 세계의 열대·온대에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혼슈 이남에 분포한다.

  • '''쥐치복(D. hystrix)''' (Linnaeus, 1758) (Spot-fin porcupinefish)

: 전장 70cm 정도, 최대 80cm 이상에 달하는 대형종이다. 몸과 지느러미에 작은 검은 반점이 많이 있다. 대형 개체는 꽤 날씬해진다.

  • '''얼굴가시복(D. liturosus)''' (Shaw, 1804) (Black-blotched porcupinefish)

: 전장 50cm 정도이다. 몸에는 얼룩 무늬가 있지만, 이 얼룩이 흰색으로 가장자리가 칠해져 있어 가시복과 구별할 수 있다. 다른 종류보다 약간 남방 계열로, 인도양에서 서태평양의 열대역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기이 반도 이남에 분포한다.

  • '''거북복속(Chilomycterus)''' (Brisout de Barneville, 1846)
  • '''거북복(Chilomycterus reticulatus)''' (린네, 1758) (Spotfin burrfish)

: 전장 60cm 정도이다. 몸과 지느러미에 작은 검은 반점이 많이 있다. 가시는 짧고, 몸을 부풀려도 가시복 정도는 아니다.

  • '''두꺼비복속(Cyclichthys)''' Kaup, 1855
  • '''두꺼비복(Cyclichthys orbicularis)''' (블로흐, 1785)
  • '''고슴도치복(Cyclichthys spilostylus)''' (Leis & J. E. Randall 1982)

6. 인간과의 관계

가시복은 식용 생선으로 섭취되지만, 테트로도톡신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찰스 다윈의 ''비글호 항해기''에는 가시복(''Diodon antennatus'')이 부풀린 상태에서도 헤엄칠 수 있지만, 부력 때문에 거꾸로 헤엄쳐야 한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9] 부풀린 가시복 박제는 '복어 초롱'과 함께 선물로 각지에서 판매된다. 키리바시 공화국 길버트 제도에서는 가시복으로 만든 가시 달린 투구를 사용하기도 했다.[15]

OpenBSD의 마스코트 퍼피


가시복이 대량 발생하면 그물에 걸린 다른 물고기를 손상시켜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어업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16]

6. 1. 식용

가시복은 식용 생선으로 섭취되며, 필리핀 세부에서는 "타고통안"이라고 불리는 이국적인 진미로 여겨진다. 그러나 복어는 테트로도톡신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섭취 시 위험할 수 있다.[13]

큰 가시복은 가시를 껍질째 제거하여 냄비 요리, 된장국, 가라아게, 생선회 등으로 먹지만, 먹을 수 있는 부위가 매우 적어 일반적이지 않다. 오키나와에서는 가시복을 '''아바사'''라고 부르며, "아바사국"은 오키나와 요리 중 하나로 꼽힌다.[13] 대만펑후 제도에서는 가시복의 생선회나 가시를 제거한 껍질을 데쳐 먹는 것이 명물이다. 다만, 많은 가시복은 가시가 날카로워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복어 종류이면서 독은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도 많다. 난소는 독이 없다고 보고하는 한편, 오키나와현 어부들에 대한 조사에서는 난소는 유독하여 폐기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13] 가시복에 대한 검사 횟수가 아직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난소 등의 부위의 독성이나 식용 가능성을 단언할 수는 없다고 한다.[13] 따라서 식품위생법에 근거한 후생노동성 통지에서는 가시복과에 속하는 가시복, 이시가키복, 사람얼굴가시복, 쥐복에 대해서는 간장 및 난소를 먹을 수 없는 부위로 하고 있다.[14]

6. 2. 문화

찰스 다윈의 세계 일주 기록인 ''비글호 항해기''에는 가시복(''Diodon antennatus'')이 언급되어 있다. 다윈은 가시복이 부풀린 상태에서도 꽤 잘 헤엄칠 수 있지만, 부력이 달라져 거꾸로 헤엄쳐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다윈은 포레스의 앨런 박사라는 동료 박물학자가 "상어의 위장에서 살아있는 가시복을 자주 발견했으며, 몇 번이나 위벽뿐만 아니라 상어의 옆구리까지 뚫고 나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언급했다.[9]

"복어 초롱"과 마찬가지로 부풀린 상태의 박제선물로 각지에서 판매된다.

키리바시 공화국 길버트 제도에서는 가시복으로 만든 가시 달린 투구를 사용했다.[15]

6. 3. 어업 피해

가시복이 대량 발생하여 그물에 걸리면 일제히 몸을 부풀리고 가시를 세우기 때문에, 함께 잡힌 다른 물고기들이 손상되어 상품 가치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가시복의 대량 발생은 어업 피해로 이어진다.[16]

참조

[1] 논문 Taxonomy and systematics of tetraodontiform fishes: a review focusing primarily on progress in the period from 1980 to 2014 https://link.springe[...] 2015-01
[2] 웹사이트 Diodontidae: Classification https://animaldivers[...] University of Michigan 2023-04-01
[3] 서적 Aquarium Fish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4] 웹사이트 Diodontidae - Porcupinefishes https://australian.m[...] Australian Museum 2023-04-01
[5]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6] 서적 Laboratory and Field Investigations in Marine Lif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1
[7] 서적 Biology and Evolution of the Mollusca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9
[8] 서적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Greenwood Press 2007
[9] 서적 Journal of Researches Into the Natural History and Geology of the Countries Visited During the Voyage of H.M.S. Beagle Round the World: Under the Command of Capt. Fitz Roy https://books.google[...] J. Murray 1845
[10] 간행물 "「とやまと自然」通巻48号(津田武美「富山湾の冬」)" http://www.tsm.toyam[...] 富山市科学博物館 2019-10-24
[11] 서적 日本難訓難語大辞典 遊子館 2007-01
[12]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2008-01-11
[13] 간행물 "「沖縄近海産ハリセンボン類の毒性調査」沖縄県衛生環境研究所報、第30号" https://www.pref.oki[...] 沖縄県 2019-10-24
[14] 간행물 ふぐの内臓は食べられません!! https://www.pref.oit[...] 大分県 2019-10-24
[15] 뉴스 사메의 이빨의 무기에서 지역 절멸이 분명히 https://natgeo.nikke[...] 내셔널 지오그래픽 2013-04-08
[16] 웹사이트 어업에 피해를 주는 생물 http://www.pref.shim[...] 島根県水産技術センター 2013-11-08
[17] FishBase
[18]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9] 논문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http://currents.plos[...] PLOS Currents Tree of Life 2013-04-18
[20] 논문 An evaluation of fossil tip-dating versus node-age calibrations in tetraodontiform fishes. https://docs.googl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201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