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꽝또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 꽝 떤은 떠이선 왕조의 황제로, 1792년 아버지 꽝쭝 황제가 사망한 후 9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그는 섭정, 권력 투쟁, 응우옌 왕조와의 전쟁을 겪으며 통치했다.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부이 닥 투엔의 섭정을 받았으나, 부이 닥 투엔이 제거된 후 직접 통치를 시작했다. 내부 권력 다툼과 응우옌 아인의 공격으로 인해 1802년 멸망했으며,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떠이선 왕조의 황제 - 응우옌냑
응우옌냑은 18세기 베트남 떠이선 봉기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떠이선 삼 형제를 결성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떠이선 왕조를 건국했으나, 말년에 응우옌 아인의 공격으로 세력이 약화되어 사망했다. - 떠이선 왕조의 황제 - 응우옌후에
응우옌후에는 1753년 빈딘성에서 태어나 떠이선 반란을 이끌고 청나라의 침략을 격퇴하여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1788년 황제로 즉위하여 개혁 정치를 펼치다 1792년 뇌졸중으로 급사했다. - 베트남에서 사형된 사람 - 막머우헙
막머우헙은 막 왕조의 제5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후 레 왕조의 공격과 보정대신들의 분쟁 속에서 혼란스러운 통치를 하다가 후 레 왕조 군대에 패배하여 참수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막 왕조 멸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베트남에서 사형된 사람 - 응우옌반바오
응우옌반바오는 응우옌냑의 아들이자 효공으로 봉해졌으나, 영지 몰수 후 자롱 황제와 내통하려다 살해되었고, 숙부의 업적에 가려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며 반역자로 여겨지지만 재평가될 여지가 있다. - 사형된 베트남 사람 - 막머우헙
막머우헙은 막 왕조의 제5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후 레 왕조의 공격과 보정대신들의 분쟁 속에서 혼란스러운 통치를 하다가 후 레 왕조 군대에 패배하여 참수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막 왕조 멸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사형된 베트남 사람 - 죽득 황제
죽득 황제는 뜨득 황제의 양자이자 응우옌 왕조의 제5대 황제였으나, 즉위 3일 만에 폐위되어 짧은 재위 기간으로 연호를 제정하지 못하고 육덕당의 당호를 따 죽득 황제라 불리게 되었으며, 사후 아들 타인타이 황제에 의해 복권되었다.
응우옌꽝또안 | |
---|---|
기본 정보 | |
칭호 | 대월 황제 |
왕조 | 떠이선 왕조 |
재위 기간 | 1792년–1802년 |
시대 | 경성 (景盛, 1793년–1801년) 보흥 (寶興, 1801년–1802년) |
본명 | 응우옌 쟛 () 응우옌 꽝 똔 () |
이전 | 꽝쭝 |
이후 | 자롱 (응우옌 왕조) |
배우자 | 레 응옥 빈 |
왕가 | 떠이선 왕조 |
출생 | 1783년 |
사망 | 1802년 |
사망 장소 | 푸쑤언, 대월 |
부친 | 응우옌후에 |
모친 | 팜 티 리엔 |
2. 생애
응우옌꽝또안은 응우옌 후에(꽝쭝 황제)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황후 팜 티 리엔이다. 응우옌 후에는 황제 즉위 후 응우옌꽝또안을 태자로 삼았고, 1790년에는 중국으로부터 "안남국왕 세자" 칭호를 받아 상속권을 인정받았다.
1792년 꽝쭝 황제가 사망하면서, 응우옌꽝또안은 9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연호를 "까인틴"(景盛|까인틴중국어)으로 정했다. 그는 계모인 부이 티 냥을 황태후로 칭하고, 부이 닥 투엔을 ''타이 스''(대사부)로 임명했다. 부이 닥 투엔은 어린 황제의 총애를 받으며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나, 대신 쩐 반 끼(陳文紀|쩐반끼중국어)를 추방하는 등 전횡을 일삼아 많은 대신과 장군들의 분노를 샀다.
1793년, 응우옌 낙이 응우옌 씨의 공격을 받자 응우옌꽝또안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응우옌꽝또안은 공격을 격퇴한 후 응우옌 낙의 영토를 병합했고, 응우옌 낙은 과다 출혈로 사망했다. 응우옌 낙의 장남 응우옌 반 바오는 응우옌꽝또안으로부터 '효공'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부이 닥 쭈(裴得宙|배득주중국어)와 응우옌 반 후안(阮文訓|응우옌반후안중국어)은 응우옌 반 바오를 감시하기 위해 꾸이년에 남았다.
1794년, 떠이선 왕조는 대대적인 공세를 시작했으나, 응우옌 씨 군대의 저항에 부딪혔다. 1795년, ''쿠데타''가 발생하여 부이 닥 투엔이 부 반 중, 팜 꽁 흥, 응우옌 반 후안에게 살해당했다. 응우옌꽝또안은 슬픔에 잠겼고, 쩐 꽝 지에우 장군은 세 장군과 화해했다.
응우옌 꽝 또안은 국가를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으나, 권력 투쟁으로 인해 정권이 불안정해졌다. 1798년에는 많은 대신들이 반란에 연루된 혐의로 처형되기도 했다. 1799년 응우옌 아인에게 꾸이년을 빼앗기는 등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었다.
1800년, 응우옌 꽝 떤은 데가르족의 반란, 통킹 지역의 기독교 관련 반란, 비엔티안 왕국과 므엉푸안의 침공 등 여러 국내외 문제에 직면했다. 1801년, 응우옌 아인의 군대가 푸쑤언을 점령했고, 응우옌 꽝 떤은 탕롱으로 도망쳤다. 1802년, 응우옌 꽝 떤은 지안 강에서 응우옌 아인에게 패배하고 탕롱으로 도망쳤으나, 결국 사로잡혀 처형되었다.
2. 1. 즉위와 섭정 (1792년 ~ 1795년)
응우옌꽝또안은 응우옌 후에(꽝쭝 황제)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황후 팜 티 리엔이다. 응우옌 후에는 황제 즉위 후 응우옌꽝또안을 태자로 삼았고, 1790년에는 중국으로부터 "안남국왕 세자" 칭호를 받아 상속권을 인정받았다.[2]1792년 꽝쭝 황제가 사망하면서, 응우옌꽝또안은 9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연호를 "까인틴"(景盛|까인틴중국어)으로 정했다. 그는 계모인 부이 티 냥을 황태후로 칭하고, 부이 닥 투엔을 ''타이 스''(대사부)로 임명했다. 부이 닥 투엔은 어린 황제의 총애를 받으며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나, 대신 쩐 반 끼(陳文紀|쩐반끼중국어)를 추방하는 등 전횡을 일삼아 많은 대신과 장군들의 분노를 샀다.
1793년, 응우옌 낙이 응우옌 씨의 공격을 받자 응우옌꽝또안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응우옌꽝또안은 공격을 격퇴한 후 응우옌 낙의 영토를 병합했고, 응우옌 낙은 과다 출혈로 사망했다. 응우옌 낙의 장남 응우옌 반 바오는 응우옌꽝또안으로부터 '효공'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부이 닥 쭈(裴得宙|배득주중국어)와 응우옌 반 후안(阮文訓|응우옌반후안중국어)은 응우옌 반 바오를 감시하기 위해 꾸이년에 남았다.
1794년, 떠이선 왕조는 대대적인 공세를 시작했으나, 응우옌 씨 군대의 저항에 부딪혔다. 1795년, ''쿠데타''가 발생하여 부이 닥 투엔이 부 반 중, 팜 꽁 흥, 응우옌 반 후안에게 살해당했다. 응우옌꽝또안은 슬픔에 잠겼고, 쩐 꽝 지에우 장군은 세 장군과 화해했다.
2. 2. 친정과 권력 투쟁 (1795년 ~ 1799년)
1795년, 부이 닥 투엔이 쩐 반 끼를 수도 푸쑤언에서 추방한 것에 대해 많은 대신들과 장군들이 분노하였다.[2] 그날 밤, 응우옌 꽝 또안은 부이 닥 투엔의 집에 있었는데, 부 반 중, 팜 꽁 흥, 응우옌 반 후안이 집을 포위하여 꽝또안에게 투엔을 넘겨주도록 강요했다.[2] 투엔은 부이 닥 쭈, 고 반 쏘와 함께 처형되었고, 꽝또안은 울 수밖에 없었다.[2] 쩐 꽝 지에우 장군은 세 장군으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하여 북쪽으로 진군하여 안끄우에 머물렀고, 부 반 중과 응우옌 반 덩의 군대도 그곳으로 진군하여 내전이 언제든 발발할 수 있는 상황이 되자 어린 황제는 두려워했다.[2] 마침내 쩐 꽝 지에우는 세 장군과 화해했다.[2]응우옌 꽝 또안은 국가를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으며, 쩐 꽝 지에우, 부 반 중, 응우옌 반 후안, 응우옌 반 덩 (또는 응우옌 반 쯔)을 보좌관으로 임명했다.[2]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쩐 꽝 지에우는 군 지휘부에서 해임되었고, 이후 조정에 출석하는 것을 거부했다.[2]
권력 투쟁은 정권을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1798년에는 많은 대신들이 반란에 연루된 혐의로 기소되어 레 쭝과 응우옌 반 후안 등이 처형되었다.[2] 떠이선 장군들은 황제와 갈등을 겪었다.[2]
1799년, 쩐 꽝 지에우와 부 반 중이 응우옌 아인에게 포위된 꾸이년을 구원하기 위해 파견되었지만 탁 떤에서 매복 공격을 당했다.[2] 패전 소식을 들은 지사 레 반 타인은 응우옌 아인에게 항복했고, 꾸이년은 함락되었다.[2] 쩐 비엣 껫과 호 꽁 지에우가 쩐 꽝 지에우를 비난하자, 응우옌 꽝 또안은 부 반 중에게 쩐 꽝 지에우를 죽이라고 명령했지만, 부 반 중은 쩐 꽝 지에우에게 그 편지를 보여주었다.[2] 쩐 꽝 지에우는 푸쑤언으로 진군했고, 호 꽁 지에우는 체포되어 쩐 꽝 지에우에게 이송되었다.[2]
2. 3. 응우옌 왕조와의 전쟁 (1799년 ~ 1802년)
1799년, 응우옌 아인이 꾸이년을 포위했다. 쩐 꽝 지에우와 부 반 중이 증원군으로 파견되었으나, 탁 떤에서 응우옌 군에게 매복당했다. 패배 소식을 들은 지사 레 반 타인(黎文清중국어)은 응우옌 아인에게 항복했다. 꾸이년은 응우옌 씨에게 점령되었고, 빈딘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쩐 비엣 껫과 호 꽁 지에우(胡公曜중국어)는 쩐 꽝 지에우를 비난했다. 응우옌 꽝 떤은 부 반 중에게 쩐 꽝 지에우를 죽이라고 명령했으나, 부 반 중은 쩐 꽝 지에우에게 그 편지를 보여주었다. 쩐 꽝 지에우는 푸쑤언으로 진군했고, 호 꽁 지에우는 희생양으로 체포되어 쩐 꽝 지에우에게 넘겨졌다.[2]1800년, 쩐 꽝 지에우와 부 반 중은 꾸이년을 포위하러 남쪽으로 갔다. 응우옌 아인은 빈딘을 강화하려고 많은 군대를 이끌었다. 그러나 빈딘의 지사 보 딴은 그곳에서 주요 떠이선 군대를 묶어두어 응우옌 아인이 수도 푸쑤언을 공격할 수 있게 하자고 제안했다. 응우옌 아인은 동의하고 북쪽으로 진군했다.[2]
이때, 응우옌 꽝 떤은 여러 국내 반란에 대처해야 했다. 데가르 지도자 하 꽁 타이(何功泰중국어)는 타인호아 성에서 반란을 일으켜 응우옌 씨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통킹에서는 기독교에서 영감을 받은 반란이 일어났다. 비엔티안 왕국과 므엉푸안은 응에안 성을 공격해 응우옌 군과 협력했다.[2]
응우옌 꽝 떤은 응우옌 티엡에게 조언을 구했다. 응우옌 티엡은 현재 상황에 대처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수도를 ''프엉 호앙 쭝 도'' (鳳凰中都중국어, 현재 빈)로 옮기면 왕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응우옌 꽝 떤은 너무 오랫동안 망설여 기회를 놓쳤다. 1801년, 응우옌 아인 군대는 뚜 둥 하구(현재의 뜨 히엔 하구)에 도착해 응우옌 반 찌를 격파했다. 논 하구(현재의 투언 안 하구)에서 벌어진 해전에서 응우옌 꽝 떤과 응우옌 아인은 모두 직접 전투를 지휘했다. 많은 중국 해적들이 떠이선에 고용되어 응우옌 씨와 싸웠고, 응우옌 씨 측에서는 장밥티스트 셰네, 필리프 바니에, 로랑 앙드레 바리시 등 서양 모험가들이 전투에 참여했다. 셰네는 이 전투가 떠이선 왕조와 응우옌 씨 사이의 가장 치열한 전투였다고 묘사했다. 전투는 떠이선 해군과 중국 해적 모두 거의 전멸하는 것으로 끝났다. 모 관푸, 량 웬겅 (梁文庚중국어, ''르엉 반 깐'') 및 판 원차이 (樊文才중국어, ''판 반 타이'') 등 세 명의 유명한 해적이 응우옌 씨에게 포로로 잡혔다.[2]
응우옌 군은 곧 수도 푸쑤언을 점령했다. 응우옌 꽝 떤은 소수의 병사들과 동허이를 거쳐 탕롱으로 도망쳤고, 형 응우옌 꽝 투이의 지원을 받았다. 연호를 "바오 흥" (寶興중국어)으로 바꾸고, 북부 베트남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으려 노력했다. 외교적으로는 칭나라 황제에게 원조를 요청하는 사절을 보냈으나, 응우옌 아인도 사절을 보내 모 관푸, 량 웬겅, 판 원차이를 중국으로 압송했다. 세 해적은 떠이선 왕조의 지원을 받았다고 자백했고, 이는 떠이선 왕조가 중국 해적을 비호했음을 증명했다. 이전에 중국 정부는 해적 왕 귀리 (王貴利중국어, ''브엉 뀌 리'')와 판 광희 (范光喜중국어, ''팜 꽝 히'')를 체포하고 그들의 선박에서 떠이선 관인 두 개를 발견했다. 분노한 청나라 황제는 응우옌 꽝 떤을 돕는 것을 거부하고 사절을 추방했다.[3]
1802년, 응우옌 꽝 투이는 루이 터이 (현재의 꽝빈 성)를 공격하러 파견되었다. 이후, 응우옌 꽝 떤은 3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린 강(현대 지안 강)으로 진격해 응우옌 아인을 공격했으나, 모두 격파되었다. 응우옌 꽝 떤은 응에안으로 도망쳐 응우옌 꽝 투이를 만났고, 함께 탕롱으로 도망쳤다.[4]
2. 3. 1. 최후
꽝쭝 황제가 1792년에 사망하면서, 당시 9세였던 응우옌 꽝 떤이 연호를 "까인틴"(景盛중국어)으로 바꾸고 즉위했다. 그는 계모인 부이 티 냥을 황태후로 칭하고, 부이 닥 투엔을 ''타이 스''(대사부) 자리에 올렸다. 부이 닥 투엔은 어린 황제의 총애를 받아 국가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나, 쩐 반 끼(陳文紀중국어)를 추방하는 등 전횡을 일삼아 많은 대신과 장군들의 분노를 샀다.[2]1793년, 응우옌 낙이 응우옌 씨의 공격을 받자 응우옌 꽝 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떤은 공격을 격퇴한 후 낙의 영토를 병합했다. 1794년 떠이선 왕조의 권력 투쟁은 정권을 불안정하게 만들었으며, 이는 응우옌 씨에게 공격의 기회를 제공했다. 설상가상으로, 응우옌 반 바오가 꾸이년을 점령하고 응우옌 씨에게 항복할 계획을 세웠으나 1798년에 진압되었다. 많은 대신들이 이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면서 떠이선 장군들은 황제와 갈등을 겪었다.[2]
1799년, 꾸이년이 응우옌 아인에게 포위되자 쩐 꽝 지에우와 부 반 중이 증원을 위해 파견되었지만 패배했다. 꾸이년은 응우옌 씨에게 점령되었고, 그 이름은 빈딘으로 변경되었다. 1800년, 쩐 꽝 지에우와 부 반 중은 꾸이년을 포위하기 위해 남쪽으로 파견되었으나, 응우옌 아인은 수도 푸쑤언을 공격하는 전략을 택했다.[2]
이때 응우옌 꽝 떤은 국내 반란과 비엔티안 왕국, 므엉푸안의 공격에 직면했다. 응우옌 티엡에게 조언을 구했으나, 수도를 옮길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1801년, 응우옌 아인의 군대는 푸쑤언을 점령했고, 응우옌 꽝 떤은 탕롱으로 도망쳐 형제 응우옌 꽝 투이의 지원을 받았다. 연호를 "바오 흥"(寶興중국어)으로 변경하고, 청나라에 원조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2]
1802년, 응우옌 꽝 떤은 린 강(현대 지안 강)에서 응우옌 아인에게 패배하고 탕롱으로 도망쳤다. 6월에 탕롱이 함락되자, 응우옌 꽝 떤은 가족 및 신하들과 함께 도망쳤으나 프엉 냥에서 생포되었다. 응우옌 꽝 투이와 부이 티 냥은 자살했고, 나머지는 푸쑤언으로 이송되어 처형되었다. ''다이남 실록''에 따르면, 응우옌 꽝 떤과 그의 세 형제는 능지처참으로 처형되었고, 그들의 시신은 다섯 마리의 코끼리가 사지를 잡아당겨 찢는 형벌(五象分屍중국어)을 받았다.[4]
3. 외교 관계
응우옌 꽝 떤은 응우옌 후에(꽝쭝 황제)의 장남으로, 1790년 청나라로부터 "안남국왕 세자" 칭호를 받아 상속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꽝쭝 황제 사후, 응우옌 왕조와의 내전이 격화되면서 청과의 관계는 소원해졌다.
응우옌 아인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수도를 빼앗긴 꽝 떤은 청에 사절을 보내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응우옌 아인 또한 사절을 보내 꽝 떤이 해적을 비호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 해적 모 관푸, 량 웬겅 (梁文庚|르엉 반 깐중국어), 판 원차이 (樊文才|판 반 타이중국어) 등이 응우옌 씨에게 포로로 잡혔고[2], 이들이 떠이선 왕조의 지원을 받았다고 자백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 청나라는 꽝 떤의 지원 요청을 거절하고 그의 사절을 추방했다.[3]
3. 1. 청나라와의 관계
응우옌 꽝 떤은 응우옌 후에(꽝쭝 황제)의 장남으로, 1790년에 청나라로부터 "안남국왕 세자"라는 칭호를 받았다.[3] 이 칭호는 그의 상속권이 중국에서도 인정받았음을 의미했다.1801년, 응우옌 아인의 군대가 수도 푸쑤언을 함락시키자, 응우옌 꽝 떤은 탕롱으로 도망쳐 형제인 응우옌 꽝 투이의 지원을 받았다. 그는 연호를 "바오 흥" (寶興|보흥중국어)으로 바꾸고, 북부 베트남인들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 그는 청나라 자칭 황제에게 원조를 요청하는 사절을 보냈지만, 응우옌 아인 역시 사절을 보내 떠이선 왕조가 지원한 해적들을 중국으로 압송했다.[3] 세 해적은 자신들이 떠이선 왕조의 지원을 받았다고 자백했고, 이는 떠이선 왕조가 많은 중국 해적을 비호했음을 증명했다.[3] 이전에 중국 정부는 해적 왕 귀리(王貴利, 브엉 뀌 리)와 판 광희(范光喜, 팜 꽝 히)를 체포하고 그들의 선박에서 떠이선 관인 두 개를 발견한 적이 있었다. 분노한 자칭 황제는 응우옌 꽝 떤을 돕는 것을 거부하고 그의 사절을 추방했다.[3]
4. 평가
응우옌꽝또안은 응우옌 후에(꽝쭝 황제)의 장남으로, 어린 나이에 황제 자리에 올랐으나 권력 다툼과 응우옌 왕조의 공격 속에서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갔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떠이선 왕조는 내부 분열과 외부 침략으로 인해 쇠퇴했으며, 결국 응우옌 아인에게 패배하면서 멸망했다.
5. 연호
응우옌꽝또안은 응우옌 후에(꽝쭝 황제)의 장남으로, 1792년 꽝쭝 황제 사후 왕위에 올라 연호를 까인틴( 景盛중국어)으로 정했다. 1801년에는 연호를 바오흥( 寶興중국어)으로 변경했다.
참조
[1]
서적
A brief chronology of Vietnam's history
[2]
서적
Pirates of the South China Coast, 1790–1810
Stanford University Press
[3]
문서
Draft History of Qing
[4]
문서
Đại Nam thực lục chính biê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