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코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코 문자는 아프리카 문자가 없다는 인식에 대응하고 만딩어의 표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솔로마나 칸테가 고안한 문자이다. 1949년 4월 14일에 완성되어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종교, 과학, 철학 서적 및 사전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었다. 기니에서 시작하여 서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2024년에는 구글 번역에 응코어 문학 표준이 추가되었다. 응코 문자는 7개의 모음, 19개의 자음, 성조 및 모음 길이를 나타내는 7개의 변별 부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재되어 디지털 환경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문자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프리카의 문자 - 만돔베 문자
만돔베 문자는 콩고 민주 공화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문자로,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음절 블록을 형성하고, 정사각형 S자 형태에서 파생된 글자, 독특한 형태의 숫자와 구두점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인공 문자 - 한글
한글은 15세기 조선 시대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국의 고유 문자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 문자이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특징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인공 문자 - 주음부호
주음부호는 장빙린이 창안한 중국어 표음 문자 체계로, 고대 한자 형태에서 유래한 37개 자모로 구성되어 대만에서 한자 교육, 컴퓨터 입력, 그리고 대만어와 광둥어 표기에 사용되며, 국제적으로 '보포모포'로 불린다.
응코 문자 | |
---|---|
기본 정보 | |
유형 | 알파벳 |
사용 시기 | 1949년–현재 |
사용 언어 | 응코어, 만딩어군(만딩고어, 마닝카어, 밤바라어, 줄라어) |
창제자 | 솔로마나 칸테(으)가 만들었다. |
유니코드 | U+07C0–U+07FF |
ISO 15924 | Nkoo |
![]() |
2. 역사
솔로마나 칸테는 아프리카 고유의 문자가 없다는 잘못된 믿음에 맞서고, 아자미 문자로 표기되어 만데어의 성조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던 만딩어 표기를 개선하고자 응코 문자를 만들었다. 칸테는 코트디부아르의 벵게르빌에서 응코 문자를 고안했고, 나중에 그의 고향인 기니의 캉칸으로 가져갔다.[5] 1950년대 기니가 소비에트 연방과 관계를 맺으면서, 동유럽에서 응코 문자 전용 타자기가 처음으로 들어왔다.[9]
2. 1. 배경
과거에는 아프리카에 고유의 표기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잘못된 이해가 만연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달리, 17세기까지 서아프리카에 아자미 문자가 널리 보급되었고, 종교적인 장면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아자미 문자는 아라비아 문자에 몇몇 문자를 더하고 서법을 정비한 것에 불과하며, 컴퓨터 시스템상에서도 아라비아 문자와 동일한 것으로 취급된다.[1] 아자미(عَجَم)는 '외국의'를 의미하는 아랍어이다.아자미 문자는 본래 베르베르어나 나일사하라어족 지역에서 이슬람 포교에 사용되어 온 표기 체계이며, 만데어를 비롯한 서아프리카의 많은 언어에서 보이는 성조에 완전히 적합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1]
2. 2. 발명
칸테는 아프리카 고유의 문자가 없다는 잘못된 믿음에 맞서고, 수 세기 동안 주로 아자미 문자로 표기되어 만데어의 독특한 성조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던 만딩어 표기를 개선하고자 응코 문자를 만들었다. 응코 문자 지지자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진 이야기에 따르면, 칸테는 부아케에서 아프리카 언어를 "새들의 언어와 같아서 옮겨 적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폄하한 레바논 작가의 책을 읽고 독자적인 문자를 만들어야겠다는 도전을 받았다고 한다.[3] 그는 이미 아자미 문자가 사용되고 있었음에도 이러한 반응을 보였다.[4] 칸테는 코트디부아르의 벵게르빌에서 응코 문자를 고안했고, 이후 그의 고향인 기니의 캉칸으로 가져갔다.[5]응코 문자는 여러 교육 서적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1949년 4월 14일에 완성된 것으로 여겨진다.[6] 이날은 현재 응코 문자 기념일로 기념되고 있다.[7] 칸테는 처음에는 종교, 과학, 철학 서적, 심지어 사전까지 이 문자로 옮겼다.[8] 이 텍스트들은 만딩어를 사용하는 서아프리카 지역에 선물로 배포되었다.
2. 3. 보급 및 발전
칸테는 아프리카 고유의 문자가 없다는 잘못된 믿음에 대응하고, 아자미 문자로 표기되어 만데어의 성조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던 만딩어의 표기를 개선하고자 응코 문자를 만들었다. 응코 문자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칸테가 부아케에서 아프리카 언어를 "새들의 언어와 같아서 옮겨 적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폄하한 레바논 작가의 책을 보고, 독자적인 문자를 만들어야겠다는 도전을 받았다는 일화가 전해진다.[3] 그는 아자미 문자가 이미 사용되고 있었음에도 이러한 반응을 보였다.[4]응코 문자는 1949년 4월 14일에 완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날은 현재 응코 문자 기념일로 기념되고 있다.[6][7] 응코 문자는 여러 교육 서적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칸테는 종교, 과학, 철학 서적과 심지어 사전을 이 문자로 옮겼다.[8] 이 텍스트들은 만딩어를 사용하는 서아프리카 지역에 선물로 배포되었다. 1950년대 기니가 소비에트 연방과 관계를 맺으면서, 동유럽에서 응코 문자 전용 타자기가 처음으로 들어왔다.[9]
응코 문자의 도입은 영어권 및 프랑스어권 서아프리카에서 만데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응코 문자 해독 능력을 증진하는 운동으로 이어졌다. 응코 문자 해독 능력은 기니에서 만린카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서아프리카 전역에서 만딩족의 정체성을 강화했다.[10] 2024년 6월 27일, 응코어 문학 표준이 구글 번역에 추가되었다.[11][12]
3. 현재 사용 현황
응코 문자는 응코 문자 보급 협회를 통해 주로 비공식적으로 가르쳐졌지만, 최근에는 상부 기니의 사립 초등학교를 통해 정규 교육에도 도입되었다.[13] 이는 서아프리카 문자 중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4] 베냉과 나이지리아 남서부의 요루바어와 폰어로 된 전통 종교 출판물에도 추가적인 구두점을 사용하여 응코 문자를 사용한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16] 2024년 6월 27일, 응코어의 표준 문어가 구글 번역에 추가되었다.[36][37]
3. 1. 사용 지역 및 언어

2005년을 기준으로 응코 문자는 주로 기니(만린카어 사용자)와 코트디부아르(줄라어 사용자)에서 사용되었으며, 말리(밤바라어 사용자)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13] 코란 번역본, 물리학 및 지리학과 같은 과목의 다양한 교과서, 시와 철학 작품, 전통 의학 설명, 사전, 그리고 여러 지역 신문이 응코 문자로 출판되었다.[13]
응코 문학은 일반적으로 '캉베'(kangbe, 문자 그대로 '명확한 언어')라고 불리는 문어 형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만데어 전반에 걸쳐 절충 방언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5] 예를 들어 밤바라어로 '이름'은 ''tɔgɔ''이고, 만린카어로는 ''tɔɔ''인데, 응코 문자에서는 '이름'에 대해 하나의 단어만 사용하지만, 개인은 자신의 언어로 단어를 읽고 발음한다. 이러한 문어는 주요 만데어의 요소를 혼합한 코이네 언어를 의도하며, 이는 상호 이해 가능하지만 만린카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베냉과 나이지리아 남서부의 요루바어와 폰어로 된 전통 종교 출판물에도 추가적인 구두점을 사용하여 응코 문자를 사용한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16]
3. 2. 활용 분야
2005년을 기준으로 응코 문자는 기니와 코트디부아르 (각각 만린카어 사용자와 줄라어 사용자), 말리 (밤바라어 사용자)에서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코란 번역본, 물리학 및 지리학 등 다양한 과목의 교과서, 시와 철학 작품, 전통 의학 설명, 사전, 그리고 여러 지역 신문이 출판되었다. 응코 문자는 응코 문자 보급 협회를 통해 주로 비공식적으로 가르쳐졌지만, 최근에는 기니 상부 지역의 사립 초등학교를 통해 정규 교육에도 도입되었다.[13] 이는 서아프리카 문자 중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4]응코 문학은 일반적으로 '캉베'(kangbe, 문자 그대로 '명확한 언어')라고 불리는 문어 형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만데어 전반에 걸쳐 절충 방언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5] 예를 들어, 밤바라어로 '이름'은 ''tɔgɔ''이고, 만린카어로는 ''tɔɔ''이다. 응코 문자에서는 '이름'에 대해 하나의 단어만 사용하지만, 개인은 자신의 언어로 단어를 읽고 발음한다. 따라서 이 문어는 주요 만데어의 요소를 혼합한 코이네 언어를 의도하며, 이는 상호 이해 가능하지만 매우 강력한 만린카어의 영향을 받는다.
베냉과 나이지리아 남서부의 요루바어와 폰어로 된 전통 종교 출판물에도 추가적인 구두점을 사용하여 응코 문자를 사용한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16]
2024년 6월 27일, 응코어의 표준 문어가 구글 번역에 추가되었다.[36][37]
4. 문자
응코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이며, 글자들이 서로 연결된다.
4. 1. 문자 체계
응코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이며, 글자들이 서로 연결된다.4. 2. 구성 요소
응코 문자는 7개의 모음, 19개의 자음, 그리고 성조와 모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7개의 변별 부호로 구성된다.[38]모음
ߐ | ߏ | ߎ | ߍ | ߌ | ߋ | ߊ |
자음
r | t | d | t͡ʃ | d͡ʒ | p | b |
---|---|---|---|---|---|---|
ߙ | ߕ | ߘ | ߗ | ߖ | ߔ | ߓ |
m | g͡b | l | k | f | s | rr |
ߡ | ߜ | ߟ | ߞ | ߝ | ߛ | ߚ |
ŋ | h | j | w | n | ɲ | |
ߒ | ߤ | ߦ | ߥ | ߣ | ߢ | |
성조 부호응코 문자는 7개의 변별 부호를 사용하여 성조와 모음 길이를 나타낸다. 고성, 저성, 상승조, 하강조의 4가지 성조와 장모음, 단모음의 2가지 모음 길이를 구분한다. 표시가 없는 기호는 짧고 하강하는 모음을 나타낸다.[38]
고성 | 저성 | 상승조 | 하강조 | |
---|---|---|---|---|
단모음 | ߫ | ߬ | ߭ | |
장모음 | ߯ | ߰ | ߱ | ߮ |
비음화
비음화 | ߲ |
---|
숫자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߀ | ߁ | ߂ | ߃ | ߄ | ߅ | ߆ | ߇ | ߈ | ߉ |
4. 3. 외국어 표기
응코 문자는 분음 부호를 사용하여 문자를 수정함으로써, 만데어에 없는 외국어 소리를 표현한다.[17][18] 이 문자들은 외래어와 음역된 이름에 사용된다.두 개의 점이 모음 위에 위치하여 분음 부호와 유사하게 외래 모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의 /y/ 소리를 나타내는 u-두 개의 점(ߎ߳), 프랑스어의 /ə/ 소리를 나타내는 e-두 개의 점(ߋ߳)이 있다.
만데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일부 자음 위에 분음 부호를 배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g/를 나타내는 gb-점(ߜ߭), /ɣ/를 나타내는 gb-선(ߜ߫), /v/를 나타내는 f-점(ߝ߭), /ʁ/를 나타내는 rr-점(ߚ߭) 등이 있다.[39][40]
문자 | 소리 | 설명 |
---|---|---|
ߜ߭ | /g/ | gb-점 |
ߜ߫ | /ɣ/ | gb-선 |
ߝ߭ | /v/ | f-점 |
ߚ߭ | /ʁ/ | rr-점 |
ߖ߭ | /z/ | |
ߞ߭ | /x/ | |
ߓ߭ | /ɓ/ | |
ߘ߳ | /ɗ/ | |
ߜ߳ | /k͡p/ | gb-두 개의 점 |
ߎ߳ | /y/ | u-두 개의 점 (프랑스어 등) |
ߋ߳ | /ə/ | e-두 개의 점 (프랑스어 등) |
4. 4. 구두점
응코 문자는 아랍어 구두점인 ،|쉼표ar, ؛|세미콜론ar, ؟|물음표ar, ﴾…﴿|장식 괄호ar 등을 사용한다. 쉼표(߸), 느낌표(߹), 문단 부호(߷), 아포스트로피(ߴ, ߵ)도 사용된다.[1] 괄호(⸜...⸝) 안의 내용은 이탤릭체와 비슷하게 쓰이고, «...» 안의 내용은 인용된 텍스트를 나타낸다.[1] 복합어에는 낮은 하이픈이 사용되며, 줄 바꿈 시 단어 분리에는 ASCII 하이픈(-)이 사용된다.[1]5. 디지털화
컴퓨터 사용이 증가하고 정보 기술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을 제공하려는 요구가 커지면서, 컴퓨터에서 응코 문자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과제가 생겨났다. 1990년대부터 다른 소프트웨어와 글꼴을 적용하여 글꼴과 웹 콘텐츠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카이로 대학교의 바바 마마디 디안(Baba Mamadi Diané) 교수가 개발한 DOS 워드 프로세서인 코마 쿠다(Koma Kuda)가 있었으나,[20] 이러한 솔루션에 내재된 상호 호환성의 부족은 추가적인 개발을 막는 요소였다.
응코 문자는 2006년 7월, 버전 5.0이 출시되면서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 2018년에는 문자가 추가되었다. 유네스코(UNESCO)의 프로그램 이니셔티브 B@bel은 유니코드에서 응코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안 준비를 지원했다. 2004년, 마이클 에버슨과 함께 작업한 응코 교수 3명(바바 마마디 디안, 마마디 둠부야, 카라모 카바 잠메)이 제출한 제안이 ISO 실무 그룹 WG2에서 투표를 위해 승인되었다. 2006년, 응코는 유니코드 5.0에 승인되었다. 응코의 유니코드 블록은 U+07C0–U+07FF이다.
5. 1. 초기 노력
1990년대부터 응코 문자 글꼴과 웹 콘텐츠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다른 소프트웨어와 글꼴을 적용하여 시도되었다. 카이로 대학교의 바바 마마디 디안(Baba Mamadi Diané) 교수가 개발한 DOS 워드 프로세서인 코마 쿠다(Koma Kuda)가 있었다.[20] 그러나 이러한 솔루션들은 상호 호환성이 부족하여 추가적인 개발을 막는 요소였다.5. 2. 유니코드 등재
응코 문자는 2006년 7월, 유니코드 버전 5.0이 출시되면서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1] 2018년에는 문자가 추가되었다.[1]유네스코(UNESCO)의 프로그램 이니셔티브 B@bel은 유니코드에서 응코 문자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안 준비를 지원했다.[1] 2004년, 마이클 에버슨과 함께 작업한 응코 교수 3명(바바 마마디 디안, 마마디 둠부야, 카라모 카바 잠메)이 제출한 제안이 ISO 실무 그룹 WG2에서 투표를 위해 승인되었다.[1] 2006년, 응코 문자는 유니코드 5.0에 승인되었다.[1] 응코 문자의 유니코드 블록은 U+07C0–U+07FF이다.[1]
응코[2][3] | ||||||||||||||||
---|---|---|---|---|---|---|---|---|---|---|---|---|---|---|---|---|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07Cx | {{lang|nqo|߀|} | } || ߁|nqo || ߂|nqo || ߃|nqo || ߄|nqo || ߅|nqo || ߆|nqo || ߇|nqo || ߈|nqo || ߉|nqo || ߊ|nqo || ߋ|nqo || ߌ|nqo || ߍ|nqo || ߎ|nqo || ߏ|nq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