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강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강환은 대한민국의 천문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국립과천과학관 연구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에 출연하여 대중에게 알려졌으며, 천문학 관련 저술 활동과 강연을 통해 천문학 대중화에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우주의 끝을 찾아서》, 《빅뱅의 메아리》, 《응답하라 외계생명체》 등이 있으며, 다수의 과학 서적을 번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천문학자 - 장경애
  • 대한민국의 천문학자 - 조경철
    조경철은 '아폴로 박사'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천문학자이자 과학 저술가로, 한국 천문학 대중화에 기여하고,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과학계 발전에도 힘썼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과 천문대에 이름이 명명되었다.
  • 서울대학교 교수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서울대학교 교수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저술가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저술가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이강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강환
원어이름李康煥
출생일1969년
출생지대한민국
직업교수
저술가
장르천문학
천체물리학
주요 작품《우주의 끝을 찾아서》
《빅뱅의 메아리》
국적대한민국
언어한국어
학력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수상제55회 한국출판문화상
활동 기간2005년 ~

2. 생애

1989년 서울대학교 천문학과에 입학하여 천문학을 전공했다.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지도 교수는 이형목 교수였다. 이후 국립과천과학관 연구관을 거쳐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2013년 5월부터 팟캐스트파토의 과학하고 앉아있네》에 'K박사'라는 이름으로 출연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천문학 관련 저술 활동에도 힘써, 2014년 12월에는 저서로 제55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다양한 저술과 강연을 통해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2022년 2월 13일에는 KBS의 프로그램 《이슈 픽 쌤과 함께》 76화에 출연하였다. [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20-0372&program_id=PS-2022015293-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code=05§ion_sub_code=08 이슈 픽 쌤과 함께 76화 다시보기]

3. 학력

3. 1.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학사, 석사, 박사

연도학력비고
1989년 3월서울대학교 천문학과 입학
1993년경서울대학교 천문학과 학사졸업
1995년서울대학교 대학원 천문학과 석사[1]
2003년서울대학교 대학원 지구환경과학부 천문학 전공 박사[2]


4. 경력

서울대학교 천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지도 교수: 이형목), 이후 국립과천과학관 연구관과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등을 지냈다.[4][5]

2013년 5월부터 팟캐스트파토의 과학하고 앉아있네》에 'K박사'라는 이름으로 고정 출연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기 시작했다. 천문학 관련 저술과 강연 활동에도 힘쓰고 있으며, 그의 저서는 2014년 제55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하는 등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2년 2월 13일에는 KBS 《이슈 픽 쌤과 함께》 76화에 출연하기도 했다.[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20-0372&program_id=PS-2022015293-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code=05§ion_sub_code=08]

4. 1. 영국 켄트 대학교 로열 소사이어티 펠로우

2004년 영국 켄트 대학교에서 왕립학회( Royal Societyeng ) 펠로우( Felloweng )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밟았다.

4. 2. 국립과천과학관 연구관

2008년 8월 29일부터 2016년 5월까지 국립과천과학관 자연사팀 연구사 및 연구관(천문우주전시팀장)으로 근무했다.[4]

4. 3.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2016년 6월 1일부터 2019년 10월 21일까지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의 제3대 관장을 역임했다.[5]

4.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정책보좌관

2019년 10월 21일부터 2021년 5월 13일까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정책보좌관으로 활동했다.[6][7]

4. 5.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겸임교수

2021년부터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8]

5. 팟캐스트 출연

2013년 5월부터 팟캐스트파토의 과학하고 앉아있네》에 'K박사'라는 이름으로 출연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6. 방송 출연

2022년 2월 13일 KBS 이슈 픽 쌤과 함께 76화에 출연했다.[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20-0372&program_id=PS-2022015293-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code=05§ion_sub_code=08 KBS VOD]

7. 수상

(내용 없음)

7. 1. 한국출판문화상

2015년 1월 14일, 제55회 한국출판문화상 저술-교양 부문을 수상했다.[9]

8. 저작 및 번역

각종 저술과 강연 활동을 통해 천문학천체물리학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2014년 12월에는 천문학 저서로 제55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하였다.

8. 1. 주요 저작

wikitext

출판 연도출판 월제목
2014년4월《우주의 끝을 찾아서》
2017년10월《빅뱅의 메아리》
2019년6월《응답하라 외계생명체》


8. 2. 주요 공저


  • 2015년 12월, 《외계생명체 탐사기》
  • 2020년 2월, 《과학자를 울린 과학책》
  • 2022년 8월, 《쎄트렉아이 러시》
  • 2022년 10월, 《빅뱅의 질문들》

8. 3. 주요 역서

출간 연월제목
2012년 8월《우리는 모두 외계인이다》
2013년 5월《우리 안의 우주》
2016년 8월《스티븐 와인버그의 세상을 설명하는 과학》
2019년 9월《웰컴 투 더 유니버스》
2020년 1월《더 위험한 과학책》
2021년 3월《기발한 천체 물리》
2021년 6월《아시모프의 코스모스》
2021년 6월《우리 우주》
2021년 8월《하늘에는 얼마나 많은 별이 있을까요?》
2022년 1월《우주 대백과사전!: 경이로운 우주》
2022년 5월《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참 쉬운 물리》
2023년 4월《아주 위험한 과학책》


참조

[1] 논문 구상성단 NGC 6752의 사진측광 1995-08
[2] 논문 Distribution of stars in the outer parts of the globular clusters : 구상성단 바깥 영역에서의 별들의 분포에 대한 연구 2003
[3] 문서 추진기획단의 활동 결과 설립된 기관이 2008년 11월 14일에 개관한 경기도 [[과천시]] 소재 [[국립과천과학관]]이다.
[4] 문서 2008년 8월 29일에 국립과천과학관 전시연구센터 자연사팀 기상연구사로 발령되었으며, 2011년 12월 19일에 전시운영과에서 전시연구단 과학교육과로 보직 이동되었다. 기관, 직렬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 공무원 직급과 비교하면 연구사는 6급(주사) 상당, 연구관은 5급(사무관) 상당이다. 연구관은 최소 5급이기 때문에 일반직 기준으로 최대 1급 보직까지 맡을 수 있다.
[5] 문서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은 임기제지방학예연구관(지방임기제학예연구관)이다.
[6] 웹인용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www.etnews.c[...] 2019-10-22
[7] 문서 별정직 과장급 전보로 발령되었다. 중앙 행정부처의 과장급 정책보좌관은 통상 4급 상당이다. 〈정책보좌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별정직공무원으로 임용된 장관정책보좌관은 임용 당시의 장관의 임기만료와 함께 계약이 해지되거나 면직된다. 2021년 5월 13일은 보좌관 임명 당시 장관의 면직일이다.
[8] 문서 일부 언론보도에는 객원교수로 표기되기도 한다. 2022년 9월 현재,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홈페이지 소개에는 겸임교수로 소개되어 있다.
[9] 서적 우주의 끝을 찾아서 현암사 2014-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