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광환은 대한민국의 야구인으로, 선수와 지도자 경력을 거쳤다. 중앙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일은행에서 선수 생활을 한 뒤, 1977년부터 모교인 중앙고등학교 감독을 시작으로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OB 베어스, LG 트윈스, 한화 이글스, 우리 히어로즈 감독을 역임했으며, LG 트윈스 감독 시절에는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2008년 우리 히어로즈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의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KBO 기술위원, 야구 박물관 건립, 서울대학교 야구부 감독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움 히어로즈 감독 - 김시진
김시진은 아마추어 시절 뛰어난 투수로서 국제대회에서 활약하고 삼성 라이온즈에서 111승을 기록하며 KBO 리그 최초 개인 통산 100승 및 골든글러브 최우수 투수상을 수상한 후 롯데 자이언츠에서도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현대 유니콘스 감독으로서 한국시리즈 2회 우승을 이끄는 등 야구 행정 분야에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키움 히어로즈 감독 - 손혁
손혁은 1973년 9월 2일에 태어났으며, LG 트윈스, 해태 타이거즈, KIA 타이거즈, 두산 베어스에서 투수로 활동했고, 현재는 한화 이글스 단장으로, 데이터 기반의 팀 운영과 젊은 선수 육성을 목표로 한다. - OB 베어스 감독 - 김성근 (야구인)
김성근은 일본 태생의 대한민국 야구인으로, 선수 시절 좌완 투수, 은퇴 후 여러 프로 팀에서 감독을 맡아 하위팀을 상위권으로 이끌며 SK 와이번스 감독 시절 한국시리즈 우승 3회를 달성했으나, 혹독한 훈련 방식으로 명장과 혹사 논란이라는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 OB 베어스 감독 - 김영덕 (야구인)
재일교포 출신 야구인 김영덕은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생활 후 한국으로 건너와 KBO 리그 여러 팀의 감독을 맡아 한국시리즈 우승과 통합 우승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승리 지향적인 팀 운영과 투수 혹사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한국야구위원회 - 서정환
서정환은 전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유격수로 활약하며 도루왕을 차지했고, 은퇴 후 코치와 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KBO 경기 감독관으로 활동한다. - 한국야구위원회 - 김재박
김재박은 아마추어와 프로야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전직 선수이자 감독으로, 국가대표와 프로팀에서 우승을 이끌었으며, 스몰볼 전략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이광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명 | 이광환 |
원어명 | Lee Kwang Hwan |
출신지 | 대구광역시 |
신장 | 170 |
체중 | 75 |
수비 위치 | 내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한일은행 (실업) 육군 |
코치 경력 | |
KBO | OB 베어스 타격코치 (1982년 ~ 1985년) |
해외 | 세이부 라이온스 연수코치 (1986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연수코치 (1987년) |
감독 경력 | |
고교 | 중앙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1977년 ~ 1980년) |
KBO | OB 베어스 2군 감독 (1988년) OB 베어스 감독 (1989년 ~ 1990년) LG 트윈스 감독 (1991년 - 1996년) 한화 이글스 감독 (2001년 ~ 2002년) LG 트윈스 감독 (2003년) LG 트윈스 2군 감독 (2004년 ~ 2005년) 우리 히어로즈/ 히어로즈 감독 (2008년) |
대학 | 서울대학교 야구부 감독 (2010년 ~ 2020년) |
국가대표 | 대한민국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16년) |
2. 선수 시절
대구 출신으로, 중앙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중앙고등학교 시절이었던 1965년에는 이영민 타격상을 수상하였으며 고려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실업 팀 한일은행과 육군에서 활동한 뒤 선수 생활을 마쳤다.
1977년부터 1980년까지 모교인 중앙고등학교에서 감독으로 활동했고, 1982년 OB 베어스의 창단 타격 코치로 영입되어 프로 지도자에 데뷔했다.[2] 중간에 잠시 세이부 라이온스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코치 연수를 다녀온 후 1988년 OB의 감독을 맡아 프로 감독 생활을 시작했다. OB의 감독을 맡은 뒤 선수들 개개인에 개성과 책임감을 믿고 맡기는 '자율 야구'의 기치를 들었음에도 전임감독에게 젖은 고참선수들을 효과적으로 통솔하지 못한 데다[2] 장래를 위해 2∼3년생을 주축으로 한 유망주들을 대거 기용하자 은퇴를 앞둔 고참선수들이 불안을 느끼기 시작하여[3] 팀워크에 틈새가 생겨 한 시즌 반 동안 69승 93패 4무라는 저조한 성적을 올린 끝에 1990년 6월 20일에 해임되었다.
3. 지도자 경력
1991년에 물러난 백인천 감독의 뒤를 이어 그 해 10월에 LG 트윈스의 감독을 맡았는데, 이에 앞서 1989년부터 MBC TV 야구 해설위원을 역임했던 박영길 전 삼성 감독이 1991년 태평양 감독으로 부임하자[4] 후임 물망에 거론됐으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좌절됐고 박영길 후임으로는 허구연이 복귀했는데 본인(이광환)이 1991년 시즌 후 LG 감독으로 부임하자 수석코치 영입 물망에 거론됐지만[5] 이런저런 사정 때문에 좌절됐다. LG 트윈스에서 그는 전임 감독의 관리 야구와 대비되는 자율 야구를 선보이며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1996년 3루수 송구홍의 2루수 전업을 놓고 천보성 수석코치와 갈등을 빚은 것과 함께 최하위로 처진 팀 성적이 화근이 되어 시즌 중이었던 7월 24일에 해임되었다.
2001년에 한화 이글스의 감독으로 선임되어 재기를 노리며 2001년 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이듬해 저조한 성적에 시달리며 2002년에 해임되었는데, 이에 앞서 1997년 시즌 후 삼성 라이온즈 감독 물망에 한때 거론됐지만[6] 고교 때부터 서울로 이주해 선수단 장악력이 문제가 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판단 탓인지[7] 무산됐다.
2003년 LG 트윈스의 감독으로 복귀하였으나 정규 시즌 6위의 성적으로 부진하여 사임했고, 남은 계약 기간을 감안해[8] 자진하여 2군 감독으로 내려갔다가 2005년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하여 다시 LG 트윈스를 떠났다. 이후에는 KBO의 기술 위원을 역임했다.
2008년 현대 유니콘스 선수단을 인수하여 창단한 신생 팀 우리 히어로즈의 감독으로 복귀하면서 어려운 팀 상황에서도 성공적으로 리빌딩을 달성한다. 그의 수제자로 유명한 선수는 대한민국 대표 유격수 강정호이다.
지도자 생활을 하는 한편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자신의 사재를 털어 야구 박물관을 건립하기도 했고, 리틀 야구와 티볼 육성에 노력하기도 했다. 히어로즈에서 물러난 이후 야구발전연구원의 명예회장을 맡았으며 2010년 5월 서울대학교 야구부 감독에 선임되었다.
3. 1. 프로 감독 이전
이광환은 1977년부터 1980년까지 모교인 중앙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역임했다. 1982년 OB 베어스 창단 타격 코치로 프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았다.
3. 2. 프로 감독 경력
OB 베어스 2군 감독 (1985년 1월 19일 - 1988년)을 거쳐, 1988년 OB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하며 프로 감독 생활을 시작했다. '자율 야구'를 표방했으나, 선수단 장악에 어려움을 겪으며 1990년 6월 해임되었다. 당시 OB 베어스는 선수단 내 갈등과 성적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91년 10월, 백인천 감독의 후임으로 LG 트윈스 감독에 부임했다. '자율 야구'를 통해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1996년, 선수단 내 갈등 및 성적 부진으로 시즌 중 해임되었다.
한화 이글스 감독으로 2000년 11월 부터 2002년 11월 까지 재임하였다. 2001년 한화 이글스 감독으로 부임하여, 그 해 팀을 준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그러나 이듬해인 2002년에는 성적 부진으로 시즌 중 해임되었다.
2003년에 LG 트윈스 감독으로 복귀했으나, 그 해 정규 시즌에서 6위를 기록하며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이후 자진하여 2군 감독으로 내려갔다. 2005년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했다.
2008년 현대 유니콘스 선수단을 인수하여 창단한 우리 히어로즈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어려운 팀 상황 속에서도 강정호 등 유망주를 발굴하며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2. 1. OB 베어스 감독 시절 (1988년 - 1990년)
1988년 OB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하며 프로 감독 생활을 시작했다. '자율 야구'를 표방했으나, 선수단 장악에 어려움을 겪으며 1990년 6월 해임되었다. 당시 OB 베어스는 선수단 내 갈등과 성적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3. 2. 2. LG 트윈스 감독 시절 (1991년 - 1996년)
1991년 10월, 백인천 감독의 후임으로 LG 트윈스 감독에 부임했다. '자율 야구'를 통해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1996년, 선수단 내 갈등 및 성적 부진으로 시즌 중 해임되었다.
3. 2. 3. 한화 이글스 감독 시절 (2001년 - 2002년)
2001년 한화 이글스 감독으로 부임하여, 그 해 팀을 준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그러나 이듬해인 2002년에는 성적 부진으로 시즌 중 해임되었다.
3. 2. 4. LG 트윈스 감독 복귀 및 2군 감독 시절 (2003년 - 2005년)
2003년에 LG 트윈스 감독으로 복귀했으나, 그 해 정규 시즌에서 6위를 기록하며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이후 자진하여 2군 감독으로 내려갔다. 2005년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했다.
3. 2. 5. 히어로즈 감독 시절 (2008년)
2008년 현대 유니콘스 선수단을 인수하여 창단한 우리 히어로즈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어려운 팀 상황 속에서도 강정호 등 유망주를 발굴하며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3. 기타 경력
KBO 기술위원을 역임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사재를 털어 야구 박물관을 건립했다. 리틀 야구와 티볼 육성에 힘썼으며, 야구발전연구원 명예회장을 맡았다. 2010년 5월부터 2020년까지 서울대학교 야구부 감독을 역임했다.
4. 출신 학교
5. 등번호
이광환은 OB 베어스에서는 90번과 72번을, LG 트윈스, 한화 이글스, 우리 히어로즈/히어로즈에서는 77번을, 서울대학교 야구부에서는 77번을 등번호로 사용했다.
참조
[1]
뉴스
OB 새 감독에 李廣煥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8-09-09
[2]
뉴스
OB이광환감독 전격교체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09-16
[3]
뉴스
올 시즌 하위 3개팀 태평양·롯데·OB 코칭 스태프 물갈이로 "재정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09-16
[4]
뉴스
[프로야구] "선수熱意 체력따라 팀 재편"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0-09-16
[5]
뉴스
사령탑 대이동 "찻잔속 태풍"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0-09-16
[6]
뉴스
삼성라이온즈 새 감독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19-12-29
[7]
뉴스
삼성지휘봉 어디로…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19-12-29
[8]
뉴스
이광환 LG감독 사임 남은 계약기간 2군감독 수행
https://sports.news.[...]
문화일보
2019-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