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극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극용은 당나라 말기의 군벌로, 본래 돌궐 계통의 사타족 출신이다. 그는 황소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하동절도사에 임명되었으며, '검은 갈가마귀 군대'를 이끌며 용맹함을 떨쳤다. 그러나 정치적인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주전충과의 대립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후량의 건국을 막지 못했다. 그는 아들 이존욱에게 주전충을 멸망시키라는 유언을 남기고 사망했으며, 이존욱은 후당을 건국하여 아버지의 유지를 이었다. 이극용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평가받지만, 정치적인 한계로 인해 천하 통일의 기회를 놓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극용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극용 (李克用) |
원래 성씨 | 주야 (朱邪) |
변경된 성씨 (869년) | 이 (李) |
자 | 미상 |
출생 | 856년 10월 24일 |
사망 | 908년 2월 24일 |
묘소 | 건극릉 (建極陵; 현대 산시성신저우시다이현) |
직업 | 군인, 정치인 |
가문 | |
성씨 | 이 (주야) |
왕조 | 전진 |
아버지 | 이국창 |
어머니 | 진씨 부인 |
배우자 | 유 귀비, 조황후 |
자녀 | 이존욱, 장종 황제 |
통치 정보 | |
추존 묘호 | 태조 (太祖) |
추존 시호 | 무황제 (武皇帝) |
연호 | 천우 (天祐) (907–908) |
진왕 (晉王) | |
즉위 | 896년 1월 1일 또는 907년 5월 12일 |
퇴위 | 908년 2월 24일 |
계승자 | 이존욱 |
경력 | |
농서군왕 | 884년 ~ 896년 1월 1일 |
기타 | |
샤투오 군사 통치자 | 재임: 856년 - 908년 |
2. 생애
이극용은 당나라 말기 혼란기에 활약한 군벌로, 본래 사타족 출신이다. 아버지 이국창(주야적심)이 방훈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당나라로부터 이(李)씨 성을 하사받았다.[2][5] 이극용은 한쪽 눈이 작아 '독안룡'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뛰어난 용맹과 기마술로 '비호자'라는 칭호를 얻었다.[2]
878년 대동(大同)방어사 단문초(段文楚)를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북쪽으로 도주했다.[6] 881년 당나라 조정은 이극용을 사면하고 황소의 난 진압을 맡겼다. 이극용은 '검은 갈가마귀 군대(黑鴉軍)'를 이끌고 883년 황소군을 격파하여 장안을 수복하고, 884년 황소를 자살로 몰아넣는 큰 공을 세웠다.[8] 이 공으로 하동절도사(河東節度使)로 임명되었다.[8]
그러나 황소의 난 진압 과정에서 주전충과 갈등이 생겨 평생의 숙적이 되었다.[9] 이극용은 군사적으로는 주전충과 대등했으나, 정치적으로는 밀려 901년 이후 중앙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9] 907년 주전충이 후량을 건국하자, 이극용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야율아보기와 동맹을 맺기도 했다.[3] 908년 아들 이존욱에게 주전충 타도를 유언으로 남기고 5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가계
이극용은 856년 당 선종 치세에 태어났으며, 본래 성은 주야(朱邪)였다. 아버지 주야적심(朱邪赤心)은 사타족 추장으로, 삭주자사(朔州刺史)를 지냈다.[2] 869년, 아버지 주야적심은 방훈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당나라 황제로부터 국성(國姓)인 이(李)씨를 하사받고 이국창이라는 이름을 얻었다.[5] 이극용은 이국창의 셋째 아들이었으며, 어머니는 진씨(秦氏)였다.[2] 그는 태어날 때부터 한쪽 눈이 작아 '독안룡'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어릴 적부터 날쌔고 용맹했으며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해 14세에 전쟁에 참가, 매우 용맹하게 싸워 "비호자"(飛虎子)로 알려지게 되었다.[2]
2. 2. 초기 활동과 반란
이극용은 본래 돌궐의 주야(朱邪) 부족 출신으로, 아버지 주야적심(朱邪赤心)은 삭주자사(朔州刺史)를 지내면서 방훈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당나라 황실로부터 국성(國姓)인 이(李)씨 성을 하사받고 이국창으로 개명하였다. 이극용은 이국창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진씨(秦氏)였다. 이극용은 태어날 때부터 한쪽 눈이 작아 ‘'''독안룡'''(獨眼龍)’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어릴 적 이름은 아아(鴉兒)였고, 군에서는 비호자(飛虎子)로 통했다.이극용은 어린 시절부터 용맹하고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하여 15세에 종군하였다. 878년, 대북(代北, 현재의 산서성 북부) 지역에 기근이 닥치자, 대동(大同)방어사 단문초(段文楚)가 식량 배급을 줄이고 가혹한 법 집행으로 병사들의 원한을 샀다. 이에 이극용은 단문초를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당나라 군에 패하여 북쪽으로 도주하였다.[6]
2. 3. 황소의 난 진압
881년 당나라는 이극용 부자의 죄를 용서하고 황소의 난 진압을 맡겼다. 이극용은 검은색 복장으로 통일된 정예부대 '검은 갈가마귀 군대(黑鴉軍)' 혹은 '갈가마귀군(鴉軍)'을 이끌고 황소군을 격파했다.[8] 882년 조칙을 받들어 안문 절도사에 임명되었다. 883년 장안 수복에 큰 공을 세워 하동절도사(河東節度使; 태원을 중심으로 한 일대)로 승격되었다.[8] 884년 황소를 자살로 몰아넣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8]2. 4. 주전충과의 대립
884년 황소의 난 진압 후, 이극용은 변주(汴州)를 다스리던 주전충과 갈등을 빚게 되었다. 술자리에서 주전충에게 모욕을 당한 이극용은 주전충의 공격을 받았으나, 태원으로 도망치는 데 성공했다. 이때부터 둘의 원한은 깊어지게 되었다.[9]이극용은 군사적으로는 주전충에게 밀리지 않았으나, 정치적인 책략에서는 뒤처졌다. 그의 군대는 용맹했지만 난폭하다는 평판을 얻어 조정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901년 주전충이 하중(河中)을 점령하면서 이극용은 중앙 진출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9]
이극용과 주전충의 대립 경위는 다음과 같다. 주전충은 이극용에게 예를 갖춰 연회를 열었으나, 이극용은 주전충에게 모욕적인 발언을 했다. 주전충은 분노를 억누르고 이극용을 후대했지만, 이극용과 부하들이 만취하자 이들을 습격했다. 이극용은 가까스로 도망쳤고, 이후 두 사람은 평생의 숙적이 되었다.
907년 주전충이 후량을 건국하자, 이극용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9]
2. 5. 후량 건국과 최후
907년, 주전충은 당나라를 멸망시키고 후량을 건국했으나, 이극용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3] 이극용은 당나라에 대한 충성을 계속 주장하며, 후량에 맞서기 위해 야율아보기 거란 지배자와 동맹을 맺으려 했다.[3] 李克用|이극용중국어은 운주에서 야율아보기와 만나 형제의 맹세를 맺고 친목을 다지며 함께 주전충을 토벌할 것을 맹세했다.908년 1월, 이극용은 아들 이존욱에게 주전충 타도를 유언으로 남기고 병사했다.[3] 향년 53세였다.[3] 그는 이존욱에게 죽은 후 가장 시급한 일은 이사소를 구출하는 것이라고 거듭 말하며,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했다.[3]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
조부 | 의조 소열황제 주야집의(朱邪執宜) | ||||
조모 | 소열황후 최씨(崔氏) | ||||
부친 | 헌조 문경황제 이국창(李國昌) | ||||
모친 | 문경황후 진씨(秦氏) | ||||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비고 |
국부인(國夫人) | 정간황후(貞簡皇后) | 조씨(曹氏) | 진국부인(晉國夫人) 황태후(皇太后) | 854년 ~ 925년 | |
국부인(國夫人) | 유씨(劉氏) | 진국부인(秦國夫人) 황태비(皇太妃) | ? ~ 925년 | 이극용의 정실. 황후로 추존되지 않음. | |
부인(夫人) | 진씨(陳氏) | 위국부인(魏國夫人) 지원(智願) 건법대사(建法大師) 원혜태사(圓惠大師) 광국태사(光國大師) | 당 소종의 후궁. 이극용 사후 출가함. | ||
부인(夫人) | 장씨(張氏) | 이광주(李匡籌)의 처. |
- 왕자
- * 이존욱(李存勗) (장남)
- * 영왕 이존패 (차남)
- * 옹왕 이존미 (셋째 아들)
- * 설왕 이존례 (넷째 아들)
- * 신왕 이존악 (다섯째 아들)
- * 목왕 이존의 (여섯째 아들)
- * 통왕 이존확 (일곱째 아들)
- * 아왕 이존기 (여덟째 아들)
- * 이정란(李廷鸞) (아홉째 아들)
- * 이락락(李落) (열 번째 아들)
- * 이존구 (열한 번째 아들)
- 왕녀
- * 복경장공주(福慶長公主) (맹지상에게 출가)
- * 요영장공주(瑶英長公主) (장연조(張延釗)와 결혼)
- * 왕출촌의 조카인 왕엽(王鄴)의 부인
- * 왕가의 부인
- * 왕처직의 아들 왕욱(王郁)의 부인
- 양자
- * 이존신(李存信) (본명 장오락(張污落))
- * 이존효(李存孝) (본명 안경사(安敬思))
- * 이존장(李存璋)
- * 이존질(李存質)
- * 이존호(李存顥)
- * 이존실(李存實)
- * 이존심(李存審) (본명 부존(符存))
- * 이존경(李存敬)
- * 이존진(李存進) (본명 손중진(孫重進))
- * 이존현(李存賢) (본명 왕현(王賢))
- * 이존정(李存貞)
- * 이사원(李嗣源)
- * 이사본(李嗣本) (본명 장(張), 위신칸)
- * 이사은(李嗣恩) (본명 낙(駱))
- * 이존유(李存儒) (본명 양파아(楊婆兒))
- 동생: 이극양, 이극공, 이극녕
- 사촌 동생: 이극수
4. 일화
이극용은 당대 제일의 군벌로, 짧은 기간 동안 당나라 정부를 위해 많은 공을 세워 소영웅으로 평가받았다.[11] 이극용과 관련된 일화는 다음과 같다.
- 독수리 사냥: 활을 쏘아 날아가는 독수리를 맞췄다는 이야기이다.
- 세 개의 화살: 죽기 전 아들 이존욱에게 3개의 화살을 주며 유언한 내용이 <<오대사궐문>>(五代史闕文)에 기록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4. 1. 독수리 사냥
李克用箭射飛雕중국어는 활을 쏘아 날아가는 독수리를 맞추었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된 이야기는 殘唐五代史演義傳중국어 제9회 克用箭服周德威중국어에 나온다. 그 외에도 백복(白樸)이 만든 李克用箭射雙雕중국어가 있고, 경극 朱簾寨중국어에도 등장한다.당나라 조정의 요청으로 출정한 이극용은 황소군을 토벌하던 중 주렴채에 도착했다. 이때 황소군 장수 주덕위가 막아섰다. 이극용은 주덕위의 명성을 익히 들었기에, 직접 말을 몰아 그와 대결을 펼쳤다. 100여 합이 넘도록 싸웠지만 승부가 나지 않자, 이극용은 하늘을 나는 독수리를 쏘아 맞추는 것으로 승부를 가리자고 제안했다. 주덕위는 만약 이극용이 성공하면 항복하겠다고 했다. 이극용은 능숙하게 활을 쏘아 독수리를 맞추었다. 오랜 수렵 생활을 한 이극용에게는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이극용의 신기에 가까운 활 솜씨에 놀란 주덕위는 즉시 말에서 내려 항복했다. 이 일화로 이극용은 뛰어난 장수 주덕위를 자신의 부하로 삼을 수 있었다.
이 이야기는 舊五代史중국어‧武皇紀중국어상과 新五代史중국어‧唐本紀중국어제4에도 기록되어 있다.
4. 2. 세 개의 화살
송나라 초기 왕우칭(王禹偁)이 쓴 <<오대사궐문>>(五代史闕文)에는 이극용이 죽기 전 아들 이존욱에게 3개의 화살을 주며 유언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遺三矢|유삼시중국어
: 이극용은 첫 번째 화살은 유인공에게, 두 번째 화살은 거란의 야율아보기에게, 세 번째 화살은 주전충을 멸망시킬 때 사용하라고 했다. 유인공과 야율아보기는 이극용을 배신했고, 주전충은 이극용에게 원수와 같은 존재였기 때문이다. 이극용은 아들에게 자신의 숙원을 풀어줄 것을 당부했다.[11]
5. 평가
이극용은 당나라 말기 혼란 속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이름을 떨쳤던 인물로, 짧은 기간 동안 당나라 정부를 위해 많은 공을 세워 소영웅으로 평가받았다.
이극용의 군대는 모두 검은 의상으로 통일했기 때문에 까마귀 군(鴉軍, 아군)이라는 별명이 있었고, 주위에서는 그 용맹함을 두려워했다.[1] 까마귀 군이 온다는 보고를 듣자마자 황소군이 무너질 정도로 그 군대는 정예했다고 전해진다.[1]
이처럼 군사 전략에는 매우 뛰어났지만, 정치적인 책략이나 모략에서는 항상 주전충이나 다른 군벌들에게 뒤처졌다. 야율아보기와 화약을 맺었을 때, 가신이 야율아보기를 사로잡자고 건의했지만 이를 물리쳤다. 그러나 야율아보기는 거란으로 돌아가자 마음을 바꿔 주전충과 친분을 맺고 이극용을 치려고 했다. 이 때문에 이극용은 야율아보기를 붙잡지 않은 것을 깊이 후회하고 원망했다고 전해진다.[2]
참조
[1]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2]
서적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5]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7]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8]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9]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0]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1]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2]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3]
서적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 Ireland, Volume 1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for the Royal Asiatic Society
2010-06-28
[14]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books.google[...]
2010-06-28
[1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7]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8]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9]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20]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21]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22]
문서
killed in mutiny 926
[23]
서적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24]
문서
originally concubine to Emperor Zhaozong of Tang, later became Buddhist nun with the dharma name of Zhiyuan (智願), then Master Jianfa (建法大師), then Master Yuanhui (圓惠大師), then posthumously honored Master Guangguo (光國大師)
[25]
문서
killed by An Chonghui/Huo Yanwei 926
[26]
문서
(killed by Luo Hongxin 896)
[27]
문서
assassinated 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