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나바 마사요시 (171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나바 마사요시(1718년)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요도 번의 번주였다. 이나바 마사치카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를 알현하고 종5위하 나이쇼가시라에 임명되었다. 소샤반과 지샤부교를 역임했으며, 1756년 요도성 화재로 막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 1771년 5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장남 이나바 마사히로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1년 사망 - 아돌프 프레드리크
    아돌프 프레드리크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자 1751년부터 1771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하타르나당과 뫼소르나당의 당파 싸움 속에서 왕권이 약화된 시기를 통치했으며, 정치적 무능력으로 평가받지만 과학과 예술에 관심을 가졌다.
  • 1771년 사망 - 홍계희
    홍계희는 조선 후기 노론 문신으로 유형원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반계수록』의 정책을 영조에게 건의하는 등 당파를 초월한 개혁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조선 통신사 정사로 일본에 파견되어 조선과 일본 관계 개선에 기여한 인물이다.
  • 1718년 출생 - 마리아 아녜시
    마리아 가에타나 아녜시는 18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미적분학 교과서를 출판하여 유럽에 영향을 미치고 "아녜시의 마녀" 곡선으로 알려졌으며, 아버지 사망 후에는 가난한 이들을 위해 헌신했다.
  • 1718년 출생 - 계황후
    청나라 건륭제의 황후인 계황후는 휘발나랍씨로, 황귀비에서 황후가 되었으나 강남 순행 중 머리를 자른 사건으로 폐위되어 시호도 받지 못했으며, 그녀의 성씨, 생년, 폐위 경위 등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 요도번주 - 이나바 마사쓰네
    이나바 마사쓰네는 에도 시대 하타모토 이나바 마사요리의 아들이자 이나바 마사토의 뒤를 이어 요도 번주가 되었으나, 짧은 재임 기간 후 사망하여 이나바 마사치카가 가독을 이었다.
  • 요도번주 - 이나바 마사쿠니
    이나바 마사쿠니는 에도 시대 말 다이묘이자 메이지 시대 신토 신관 및 관료로서, 니와 나가토미의 아들로 태어나 이나바 마사요시의 양자가 되었고, 요도 번주 재임 시절 교토 쇼시다이와 노중 등의 요직을 맡아 막부 정치에 관여했으며, 메이지 유신 후에는 신토 사무국 초대 관장을 지내며 신토 발전에 기여하고 자작 작위를 받았다.
이나바 마사요시 (1718년)
기본 정보
씨족이나바 씨
시대에도 시대
출생교호 3년 (1718년)
사망메이와 8년 9월 28일 (1771년 11월 4일)
묘소교토부교토시묘신지
관위종5위 하, 종4위 하, 내장두, 단고노카미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요시무네 → 이에시게 → 이에하루
야마시로요도 번 번주
부모아버지: 이나바 마사치카, 어머니: 시바타 모우의 딸 (이나바 마사나오의 양녀)
형제마사요시, 마사토모, 마사아키라, 마사나, 마사하루
배우자정실: 다테 요시무라의 딸
계실: 니와 다카히로의 딸
자녀마사히로, 마사노부, 마사타다, 히사카쓰, 다치바나 다네치카 정실, 이나바 마사미네 정실
법호온량원
다른 이름마사토모 (유명), 대학
계보
씨족이나바 씨

2. 생애

이나바 마사치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시바타씨의 딸 (이나바 마사나오의 양녀)이다. 정실은 다테 요시무라의 딸이고, 계실은 니와 다카히로의 딸이다. 자녀로는 이나바 마사히로 (장남), 이나바 마사노부 (차남), 이나바 마사인(3남), 센고쿠 히사노리(4남), 타치바나 타네치카의 정실, 이나바 마사미네의 정실이 있다. 초명은 마사하지(正甫), 통칭 다이가쿠(大学)이다. 관위는 종5위하, 종4위하, 나이쇼가시라(内匠頭), 단고노카미이다.

1733년(교호 18년) 8월 28일,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를 배알했다. 같은 해 12월 18일, 종5위하 나이쇼가시라에 임명되었다. 1734년(교호 19년) 아버지 이나바 마사치카가 사망하여 요도번 번주 자리를 이었다. 이후 1747년 소샤반에 취임하고, 1750년까지 지샤부교를 겸임했다.

2. 1. 가독 상속

1734년(교호 19년) 11월 5일, 아버지 이나바 마사치카가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요도번의 5대 번주가 되었다. 1733년(교호 18년) 8월 28일에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를 알현하고, 같은 해 12월 18일에는 종5위하 나이쇼가시라에 임명되었다.

2. 2. 소샤반 및 지샤부교 재임

1747년 5월 15일, 소샤반에 취임했다. 같은 해 12월 23일에는 지샤부교를 겸임했다. 1750년 12월 18일, 종4위하로 승진했지만, 소샤반과 지샤부교에서는 해임되었다.

2. 3. 요도성 화재

호레키 6년 (1756년) 2월 3일, 요도성 화재가 발생하여 이나바 마사요시는 막부로부터 10000JPY을 빌렸다.

2. 4. 사망

메이와일본어 8년(1771년) 9월 28일, 54세로 사망해, 장남 이나바 마사히로가 뒤를 이었다. 법호는 온료인일본어(温良院)이며, 묘소는 교토 묘신지에 있다.

3. 가계

이나바 마사요시이나바 마사치카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시바타 씨의 딸 (이나바 마사나오의 양녀)이다.

3. 1. 부모

3. 2. 정실과 계실

3. 3. 자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