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름의 암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름의 암송》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이름들을 나열한 고대 노르드 시가집으로, 스칼드 시의 전통을 반영한다. 이 문서에는 인간, 전쟁, 자연, 동물 등 다양한 주제와 관련된 이름들이 고대 노르드어 원어와 함께 제시되어 있으며, 각 이름의 문화적, 역사적 의미를 탐구한다. 주요 내용은 바다의 왕, 왕, 드베르그, 거인, 신, 인간, 전쟁 관련 용어, 자연 관련 용어, 동물 관련 용어 등이며, 각 주제별로 다양한 이름들이 목록 형태로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칼드 작품 - 도래까마귀가 말하기를
    도래까마귀가 말하기를은 여러 언어로 번역된 스칼드 시이며, 특히 조지 보로우, 노라 커쇼 채드윅 등 다양한 번역가들이 참여한 여러 영어 번역본이 존재하고, "하랄드 하르파그르"라는 제목으로도 번역되어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 스칼드 작품 - 에이리크가 말하기를
    에이리크가 말하기를은 익명의 작가가 에이리크 블로됙스를 기리기 위해 쓴 스칼드 시가로, 신과 영웅들의 대화 형식을 통해 에이리크가 발할라에 초대받는 영웅적인 전사의 모습을 묘사하며 바이킹 시대의 가치관을 반영한다.
  • 에다 - 고 에다
    고 에다는 북유럽 신화와 영웅 전설을 담은 고대 노르드어 시가 모음집으로,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에다》와 구별되며, 13세기 《왕의 사본》에 기록되어 신화시와 영웅시를 포함한 다양한 시가들로 구성되어 스칸디나비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에다 -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은 《고 에다》에 수록된 서사시로, 오딘이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와 지혜를 겨루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지혜, 권력, 운명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이름의 암송
일반 정보
유형이름 목록
술루르의 하위 섹션
언어고대 노르드어
부분산문 에다
제목
원어 제목Nafnaþulur
로마자 표기Nafnathulur
번역이름의 암송
기타
저자스노리 스투를루손 으로 추정
출판13세기 초

2. 이름의 암송 구성

## 이름의 암송 구성

《이름의 암송》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이름들을 나열한 문서로, 각 장은 특정 주제와 관련된 이름들을 담고 있다. 이 문서는 스칼드 시의 전통을 반영하며, 다양한 사본을 통해 전해져 내려온다.

《이름의 암송》의 각 장은 특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제에 대한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각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 원어와 함께 제시되며, 스칼드 시에서 사용된 예시와 함께 설명되기도 한다. 이 문서는 단순히 이름의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각 이름이 지닌 문화적, 역사적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다음은 《이름의 암송》에 등장하는 주요 주제들과 관련된 내용이다.


  • 인간: 남성과 여성, , 드베르그, 거인, 등 다양한 인간 및 인간 외 존재를 지칭하는 이름들이 등장한다. 이 중 남성을 지칭하는 이름은 바다의 왕, , 드베르그, 남성 거인 (1), 남성 거인 (2), 오딘, 남성의 아스 신족 (1), 토르, 남성의 아스 신족 (2), 남성 등이 있다. 여성의 경우, 여성, 여성 거인, 여성 아스 신족 등이 있다. 여성에 대한 이름은 `Kvenna heiti`라는 항목으로, "Snót, brúðr, svanni, ..." 등의 표현이 나타나며, 이는 "아내, 신부, 고니"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남성에 대한 이름은 `Manna heiti`라는 항목으로, "Mál es at segja / manna heiti: ..."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 전쟁: 전쟁, 검, 도끼, , 화살, , 무기, 방패, 투구, 사슬 갑옷 등 전쟁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한다. 전쟁과 관련된 이름 중 전쟁은 고대 노르드어로 Orrostu heitinon라고 하며, "Þau eru heiti: ..."로 시작하는 시에서 그 이름들이 나열된다. 검을 지칭하는 이름은 Sverða heiti이며, "Ek mun segja / sverða heiti: ..."로 시작하는 시에서 다양한 이름들이 언급된다. 투구를 지칭하는 이름은 Hjálms heiti이며, "Hropts hattar skalk / heiti segja: ..."로 시작하는 시에서 다양한 이름들이 제시된다. 사슬 갑옷을 지칭하는 이름은 Brynju heiti이며, "Brynja, kund, hjalmgǫll, ..."로 시작하는 시에서 여러 이름이 등장한다.

  • 동물: , , 염소, , 사슴, 멧돼지, 늑대 등 다양한 동물과 관련된 용어들이 나타난다. 곰을 지칭하는 이름으로는 Bjarnar heiti가 있으며, Bjǫrn, bersi, bolmr 등이 있다. 암송된 이름 목록에는 소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고대 노르드어로 소는 Øxna heitinon라고 불린다. 염소를 지칭하는 이름은 Hafrs heiti라 불리며, Grímnir, Geirǫlnir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주제들이 《이름의 암송》에 등장하며, 각 주제들은 당시 사회의 문화, 신화, 생활 방식 등을 반영하고 있다.

2. 1. 바다의 왕

스칼드 시에서는 다양한 이름으로 바다의 왕을 묘사했다. 다음은 《이름의 암송》에 나오는 바다의 왕의 이름과 관련된 내용이다.

  • 바다의 왕 (Sækonunga heiti): 《이름의 암송》에서 첫 번째로 등장하는 주제로, 고대 노르드어로 "Sækonunga heiti"라고 한다. 시작 문구는 "Atli, Fróði, ..."이며, 총 5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Sævar heiti: 바다를 지칭하는 또 다른 이름으로, "Sær, sílægja, ..."라는 문구로 시작하며, 총 4개의 시가 포함되어 있다.


스칼드 시에서 바다는 단순히 물의 공간이 아닌, 왕이 다스리는 영역으로 표현되었으며, 이는 당시 바이킹들의 해양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바다의 왕은 힘과 권위의 상징으로, 스칼드 시인들은 그들의 시를 통해 바다의 왕의 위엄을 칭송했다.

2. 2. 왕

《이름의 암송》에는 왕을 지칭하는 다양한 명칭들이 등장하며, 각 명칭은 고유한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바다의 왕: Sækonunga heitinon는 아틀리, 프로디 등 다양한 이름으로 표현된다.
  • : Konunga heitinon는 "Mank haukstalda / heiti segja: ..."라는 문구로 시작하며, 여러 왕의 칭호를 열거한다.
  • 기타: 이 외에도 《이름의 암송》에는 드베르그, 거인, 신 등 다양한 존재와 개념을 지칭하는 이름들이 등장한다. 또한 전쟁, 무기, 자연물 등 다양한 대상의 이름도 포함되어 있다.

2. 3. 드베르그

드베르그를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Mótsognir
  • Mjǫkvitir


스칼드 시에서는 드베르그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으며, 이들은 주로 돌이나 언덕, 광산과 관련된 이름들을 가지고 있다. 드베르그는 신화 속에서 뛰어난 장인으로 묘사되며, 신들의 무기나 보물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들은 지하 세계에 거주하며, 보석과 금속을 다루는 데 능숙하다.

드베르그의 이름은 다양하게 불리는데, 이는 그들의 기원과 역할, 특징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돌의 아들', '언덕의 백성'과 같은 이름은 그들의 거주지를 나타내며, '숙련된 손'과 같은 이름은 그들의 장인 기술을 강조한다. 스칼드 시에서 드베르그는 종종 수수께끼 같은 존재로 묘사되며, 그들의 이름은 시적인 비유나 은유로 사용된다.

2. 4. 거인

「이름의 암송」에는 남성 거인의 이름 목록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여성 거인의 이름 목록이 별도로 존재한다.

남성 거인 이름 첫 번째 목록은 "Ek mun jǫtna / inna heiti: ..."(고대 노르드어)로 시작하며, 두 번째 목록은 "Enn eru eptir / jǫtna heiti: ..."(고대 노르드어)로 시작한다. 각각 6개와 3개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여성 거인 이름 목록은 "Skal ek trollkvenna / telja heiti: ..."(고대 노르드어)로 시작하며, 5개의 이름이 제시된다.

이 목록들은 스칼드 시에서 거인이 갖는 상징적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2. 4. 1. 남성 거인 (1)

남성 거인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 고대 노르드어: Jǫtna heiti I
  • 시작 문구: Ek mun jǫtna / inna heiti: ... (나는 거인의 이름을 말할 것이다...)
  • 시 수: 6


R, T, C 사본에서는 2번째, A 사본에서는 4번째, B 사본에서는 4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에 따르면 Ⅳ. b. 장에 해당하며, 스웨덴어로 "Jättar" (거인)이라는 제목으로 323-324 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고대 노르드어로는 "Jǫtna heiti (I)"이며, 658-659 페이지에 해당한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184 Jǫtna heiti I — Þul Jǫtna I III] 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2. 4. 2. 남성 거인 (2)

남성 거인 (2)은 또 다른 남성 거인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을 나열한다. 시작 문구는 Enn eru eptir / jǫtna heiti: ...non이며, 총 3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R, T, C 사본에서는 6번째, A 사본에서는 5번째, B 사본에서는 5번째로 등장한다. 의 "Ⅳ. f." 장에 수록되어 있으며, 장 제목은 Jättarsv이고, 페이지는 325이다. 의 "Ⅳ. f." 장에 수록되어 있으며, 장 제목은 Jǫtna heiti (II)non이고, 페이지는 660이다.

자세한 내용은 [https://skaldic.org/m.php?p=text&i=3188 Jǫtna heiti II — Þul Jǫtna II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4. 3. 여성 거인

여성 거인을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스칼드 시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름들이 사용된다. Trollkvenna heiti — Þul Trollkvenna III
  • 고대 노르드어: Trollkvenna heitinon
  • 시작 문구: Skal ek trollkvenna / telja heiti: ...non
  • 시 수: 5


각 사본에서의 수록 순서는 다음과 같다.

  • R, T, C: 3
  • A: 6
  • B: 6


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 장 번호: Ⅳ. c.
  • 장 제목: Trollkvinnorsv
  • 페이지 번호: 324 - 324


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 장 번호: Ⅳ. c.
  • 장 제목: Trǫllkvenna heitinon
  • 페이지 번호: 659 - 660

2. 5. 신

「이름의 암송」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신들의 이름과 그 의미를 탐구한다. 스칼드 시의 전통을 이어받아, 이 문서는 신들의 여러 이름과 그 배경을 설명하며, 스칼드들이 신들을 어떻게 묘사했는지 보여준다.

  • 오딘: 모든 신들의 아버지인 오딘은 지혜, 전쟁, 죽음, 마법의 신이다. 「이름의 암송」은 오딘의 다양한 이름을 나열하고 각 이름에 담긴 의미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Óðins nǫfn" 장에서는 "Nú skal yppa / Óðins nǫfnum: ..." (이제 오딘의 이름을 밝히리라)라는 문구로 시작하여 오딘의 여러 이름을 소개한다.

  • 토르: 강력한 천둥의 신 토르는 인간을 보호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름의 암송」은 토르의 여러 이름을 제시하며, 그의 힘과 용맹함을 강조한다. "Þórs heiti" 장은 "Þórr heitir Atli / ok Ásabragr; ..." (토르는 아틀리, 아사브라그라고도 불린다)라는 문구로 시작하여 토르의 다양한 이름을 열거한다.

  • 아스 신족: 오딘과 토르를 포함한 주요 신족인 아스 신족의 이름도 상세히 다룬다. "Ása heiti I" 장에서는 "Burir ’ro Óðins / Baldr ok Meili, ..." (부리는 오딘, 발드르, 메일리이다)라는 문구로 시작하여 남성 아스 신족의 이름을 소개한다. "Ása heiti II" 장에서는 "Enn skal telja / ása heiti: ..." (계속해서 아스 신족의 이름을 열거하겠다)라는 문구로 다른 아스 신족의 이름을 나열한다.

  • 여신: 아스 신족 여신들의 이름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Ásynja heiti" 장은 "Nú skal ásynjur / allar nefna: ..." (이제 모든 아스 여신을 언급하겠다)라는 문구로 시작하여 여신들의 다양한 이름을 소개한다.


「이름의 암송」은 단순히 신들의 이름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각 이름이 가진 신화적, 문화적 의미를 탐구한다. 스칼드 시에서 신들이 어떻게 묘사되었는지, 그들의 역할과 상징은 무엇이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문서는 고대 노르드 신화와 문학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며, 당시 사람들의 신에 대한 이해와 표현 방식을 엿볼 수 있게 한다.

2. 5. 1. 오딘

《이름의 암송》에는 오딘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시의 수는 8개이다.

《이름의 암송》에서 오딘의 이름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Nú skal yppa / Óðins nǫfnum: ...non

해당 목록은 다음 사본에 수록되어 있다.

  • R, T, C
  • A
  • B


에밀 크록의 교정판에서는 Ⅳ. jj. 장에 수록되어 있으며, 제목은 Odinsv이고, 337~338페이지에 해당 내용이 있다.

핀뷔르 욘손의 교정판에서는 Ⅴ. jj. 장에 수록되어 있으며, 제목은 Óðins nǫfnnon이고, 672~673페이지에 해당 내용이 있다.

Skaldic에서는 다음 링크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Óðins nǫfn — Þul Óðins III

2. 5. 2. 토르

토르를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아틀리(Atli)
  • 아사브라그(Ásabragr)


위 이름들은 토르 헤이티르 아틀리 / 오크 아사브라그; .../Þórr heitir Atli / ok Ásabragr; ...non라는 문구로 시작하는 시에 등장한다. 해당 시는 《이름의 암송》의 여러 사본에서 9번째로 등장하며, 스칼딕 시 모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186 Þórs heiti — Þul Þórs III(Þórs heiti — Þul Þórs III)

2. 5. 3. 남성 아스 신족 (1)

남성 아스 신족을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부리(Burir): 오딘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존재이다.
  • 발드르(Baldr): 아름다움과 빛의 신으로, 오딘과 프리그의 아들이다.
  • 메일리(Meili): 토르의 형제로, 별로 알려진 바가 없는 신이다.


이 이름들은 "이름의 암송"에서 '''Ása heiti I''' (남성 아스 신족 1)이라는 제목으로 등장한다. 시작 문구는 Burir ’ro Óðins / Baldr ok Meili, .../Burir ’ro Óðins / Baldr ok Meili, ...non이며, 총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각 사본에서의 수록 순서는 다음과 같다.

  • R, T, C: 5번째
  • A: 8번째
  • B: 8번째


에서는 Ⅳ. e. (Gudar/Gudarsv)이라는 제목으로 325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다.

에서는 Ⅳ. e. (Ása heiti (I)/Ása heiti (I)non)이라는 제목으로 660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187 Ása heiti I — Þul Ása I III

2. 5. 4. 남성 아스 신족 (2)

「이름의 암송」에는 여러 남성 아스 신족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해당 목록은 다음과 같은 이름들을 포함한다.

  • Burir, Óðinn, Baldr, Meili
  • Atli, Ásabragr


이 이름들은 「이름의 암송」에서 10번째로 등장하며, 고대 노르드어로는 "Ása heiti II"라고 불린다. 시작 문구는 "Enn skal telja / ása heiti: ..."이다. R, T, C 사본에서는 7번째, A 사본에서는 10번째, B 사본에서는 10번째로 등장한다. Kock의 "장 번호"에서는 Ⅳ. g., "장 제목"에서는 Gudar, "페이지 번호"에서는 325 - 325로 나타난다. Jónsson의 "장 번호"에서는 Ⅳ. g., "장 제목"에서는 Ása heiti (II), "페이지 번호"에서는 660 - 661로 나타난다. Skaldic에서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189 Ása heiti II — Þul Ása II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5. 5. 여성 아스 신족

여성의 아스 신족을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Ásynja heiti: 모든 아스 신족 여신의 이름을 나열한다. 시작 문구는 Nú skal ásynjur / allar nefna: ...non이다. R,T,C 사본에서는 11번째, A 사본에서는 8번째, B 사본에서는 11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Kock (1946)에 따르면 Ⅳ. h. 장이며, Gudinnorr라는 제목으로 325-326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Jónsson (1912)에 따르면 Ⅳ. h. 장이며, Ásynja heiti라는 제목으로 661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190 Ásynja heiti — Þul Ásynja III]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2. 6. 인간

「이름의 암송」에서는 인간을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이름들을 나열하고 있다.

  • 여성: 여성에 대한 이름은 `Kvenna heiti`라는 항목으로, "Snót, brúðr, svanni, ..." 등의 표현이 나타난다. 이는 "아내, 신부, 고니" 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여성의 다양한 면모를 나타내는 이름들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항목은 R, T, C 사본에서 9번째, A 사본에서 12번째, B 사본에서 12번째로 등장한다. Kock의 "Furstar"에서는 326페이지에, Jónsson의 "Kvinna heiti"에서는 661페이지에 관련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내용과 관련된 스칼드 시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191 Kvenna heiti — Þul Kvenna I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남성: 남성에 대한 이름은 `Manna heiti`라는 항목으로, "Mál es at segja / manna heiti: ..."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이 항목은 R, T, C 사본에서 10번째, A 사본에서 13번째, B 사본에서 13번째로 등장하며, 남성을 지칭하는 다양한 표현들을 담고 있다. Kock의 "Män"에서는 326-327페이지에, Jónsson의 "Manna heiti"에서는 661-663페이지에 관련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내용과 관련된 스칼드 시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192 Manna heiti — Þul Manna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칼드 시에서는 이처럼 다양한 이름들을 통해 인간의 여러 특징과 역할을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당시 사회의 문화와 가치관을 반영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2. 6. 1. 여성

이름의 암송에는 여성에 대한 다양한 지칭어들이 나열되어 있다.

  • 여성: Kvenna heitinon. 시작 문구는 Snót, brúðr, svanni, ...non이며, 시 수는 1이다. R,T,C 사본에서는 9번째, A 사본에서는 12번째, B 사본에서는 12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Kock(1946)의 분류에서는 Ⅳ. i. 장에 해당하며, Kvinnorsv라는 제목으로 326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Jónsson(1912)의 분류에서도 Ⅳ. i. 장에 해당하며, Kvinna heitinon라는 제목으로 661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191 Kvenna heiti — Þul Kvenna I III]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여성의 거인: Trollkvenna heitinon. 시작 문구는 Skal ek trollkvenna / telja heiti: ...non이며, 시 수는 5이다. R,T,C 사본에서는 3번째, A 사본에서는 6번째, B 사본에서는 6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Kock(1946)의 분류에서는 Ⅳ. c. 장에 해당하며, Trollkvinnorsv라는 제목으로 324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Jónsson(1912)의 분류에서도 Ⅳ. c. 장에 해당하며, Trǫllkvenna heitinon라는 제목으로 659 - 660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185 Trollkvenna heiti — Þul Trollkvenna III]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여성의 아스 신족: Ásynja heitinon. 시작 문구는 Nú skal ásynjur / allar nefna: ...non이며, 시 수는 5이다. R,T,C 사본에서는 8번째, A 사본에서는 11번째, B 사본에서는 11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Kock(1946)의 분류에서는 Ⅳ. h. 장에 해당하며, Gudinorrsv라는 제목으로 325 - 326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Jónsson(1912)의 분류에서도 Ⅳ. h. 장에 해당하며, Ásynja heitinon라는 제목으로 661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190 Ásynja heiti — Þul Ásynja III]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6. 2. 남성

남성을 지칭하는 이름은 다음과 같다.

  • 바다의 왕: Sækonunga heitinon. 시작 문구는 Atli, Fróði, ...non이며, 시 수는 5편이다.
  • : Konunga heitinon. 시작 문구는 Mank haukstalda / heiti segja: ...non이며, 시 수는 3편이다.
  • 드베르그: Dverga heitinon. 시작 문구는 Telk Mótsogni / ok Mjǫklituð, ...non이며, 시 수는 6편이다.
  • 남성 거인 (1): Jǫtna heiti Inon. 시작 문구는 Ek mun jǫtna / inna heiti: ...non이며, 시 수는 6편이다.
  • 남성 거인 (2): Jǫtna heiti IInon. 시작 문구는 Enn eru eptir / jǫtna heiti: ...non이며, 시 수는 3편이다.
  • 오딘: Óðins nǫfnnon. 시작 문구는 Nú skal yppa / Óðins nǫfnum: ...non이며, 시 수는 8편이다.
  • 남성의 아스 신족 (1): Ása heiti Inon. 시작 문구는 Burir ’ro Óðins / Baldr ok Meili, ...non이며, 시 수는 1편이다.
  • 토르: Þórs heitinon. 시작 문구는 Þórr heitir Atli / ok Ásabragr; ...non이며, 시 수는 1편이다.
  • 남성의 아스 신족 (2): Ása heiti IInon. 시작 문구는 Enn skal telja / ása heiti: ...non이며, 시 수는 1편이다.
  • 남성: Manna heitinon. 시작 문구는 Mál es at segja / manna heiti: ...non이며, 시 수는 10편이다.

2. 7. 전쟁 관련 용어

이름의 암송에는 전쟁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한다. 스칼드 시인들은 이러한 용어들을 사용하여 전쟁을 묘사하고, 그 의미와 상징성을 탐구했다.

  • 전쟁: 고대 노르드어로 Orrostu heitinon라고 하며, "Þau eru heiti: ..."로 시작하는 시에서 그 이름들이 나열된다. 이 단어는 스칼드 시에서 전쟁의 격렬함과 파괴적인 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 검: Sverða heitinon는 "Ek mun segja / sverða heiti: ..."로 시작하는 시에서 다양한 이름들이 언급된다. 검은 전사의 용맹함과 무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무기였다.

  • 도끼: Øxar heitinon는 "Øx, járnsparða / ok jarðhyrna, ..."로 시작하는 시에서 여러 이름이 등장한다. 도끼는 강력한 파괴력을 지닌 무기로, 전쟁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창: Spjóts heitinon는 "Darr, spjót ok nǫt, ..."로 시작하는 시에서 다양한 이름들이 제시된다. 창은 찌르거나 던지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화살: Ǫrvar heitinon는 "Ǫr es ok akka, ..."로 시작하는 시에서 여러 이름이 언급된다. 화살은 활과 함께 사용되어 원거리에서 적을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

  • 활: Boga heitinon는 "Almr, dalr, bogi, ..."로 시작하는 시에서 다양한 이름들이 등장한다. 활은 숙련된 궁수에게 강력한 무기였으며, 전쟁의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였다.

  • 무기: Vápna heitinon는 "Enn kveð ek heita / ǫll vápn saman ..."로 시작하는 시에서 그 이름들이 나열된다. 이는 전쟁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무기를 포괄하는 용어였다.

  • 방패: Skjaldar heitinon는 "Skjǫldr, þrunginsalr, ..."로 시작하는 시에서 여러 이름이 언급된다. 방패는 적의 공격을 막아내는 중요한 방어구였다.

  • 투구: Hjálms heitinon는 "Hropts hattar skalk / heiti segja: ..."로 시작하는 시에서 다양한 이름들이 제시된다. 투구는 전사의 머리를 보호하는 필수적인 장비였다.

  • 사슬 갑옷: Brynju heitinon는 "Brynja, kund, hjalmgǫll, ..."로 시작하는 시에서 여러 이름이 등장한다. 사슬 갑옷은 전사의 몸을 보호하여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 외에도 「이름의 암송」에는 다양한 전쟁 관련 용어들이 등장하며, 이를 통해 당시 사회의 전쟁에 대한 인식과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스칼드 시는 이러한 용어들을 사용하여 전쟁의 참혹함과 영웅적인 면모를 동시에 묘사하며, 듣는 이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2. 7. 1. 전쟁

전쟁을 지칭하는 이름은 다음과 같다.

  • 고대 노르드어: Orrostu heitinon
  • 시작 문구: Þau eru heiti: ...non
  • 시 수: 2


이 이름들은 다음 사본에 수록되어 있다.

  • R, T, C: 11
  • A: 14
  • B: 14


에 따르면, 이 이름들은 Ⅳ. k. 장에 수록되어 있으며, 장 제목은 Stridsv이고, 페이지 번호는 327이다.

에 따르면, 이 이름들은 Ⅳ. k. 장에 수록되어 있으며, 장 제목은 Orrostu heitinon이고, 페이지 번호는 663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193 Orrostu heiti — Þul Orrostu III

2. 7. 2. 검

이 문서는 《이름의 암송》에 등장하는 검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을 나열한다.

《이름의 암송》의 15번째 장은 검(Sverða heiti)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고대 노르드어: Sverða heiti
  • 시작 문구: Ek mun segja / sverða heiti: ...
  • 시 수: 12


이 장은 R, T, C 사본에서 12번째, A 사본에서 12번째, B 사본에서 15번째로 등장한다. 의 교정판에서는 Ⅳ. l. 장으로 분류되며, "Svärd"라는 제목으로 327-329 페이지에 걸쳐 나타난다. 의 교정판에서는 Ⅳ. l. 장으로 분류되며, "Sverða heiti"라는 제목으로 663-664 페이지에 걸쳐 나타난다. 해당 내용은 Skaldic 웹사이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194 Sverða heiti — Þul Sverða III




2. 7. 3. 도끼

「이름의 암송」에는 도끼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해당 목록은 다음과 같다.

내용각 사본에서의 수록 순서Kock (1946)Jónsson (1912)Skaldic
주제고대 노르드어시작 문구시 수R,T,CAB장 번호장 제목페이지 번호장 번호장 제목페이지 번호
16도끼Øxar heitinonØx, járnsparða / ok jarðhyrna, ...non1131616Ⅳ. m.Yxasv329 - 329Ⅳ. m.Øxar heitinon664 - 664[https://skaldic.org/m.php?p=text&i=3195 Øxar heiti — Þul Øxar III]



2. 7. 4. 창

「이름의 암송」에는 다양한 대상의 이름을 나열하는 부분들이 있다. 아래는 그 목록이다.

# 바다의 왕: Sækonunga heitinon. 시작 문구는 Atli, Fróði, ...non이며, 5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Konunga heitinon. 시작 문구는 Mank haukstalda / heiti segja: ...non이며, 3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드베르그: Dverga heitinon. 시작 문구는 Telk Mótsogni / ok Mjǫklituð, ...non이며, 6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남성의 거인 (1): Jǫtna heiti Inon. 시작 문구는 Ek mun jǫtna / inna heiti: ...non이며, 6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남성의 거인 (2): Jǫtna heiti IInon. 시작 문구는 Enn eru eptir / jǫtna heiti: ...non이며, 3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여성의 거인: Trollkvenna heitinon. 시작 문구는 Skal ek trollkvenna / telja heiti: ...non이며, 5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오딘: Óðins nǫfnnon. 시작 문구는 Nú skal yppa / Óðins nǫfnum: ...non이며, 8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남성의 아스 신족 (1): Ása heiti Inon. 시작 문구는 Burir ’ro Óðins / Baldr ok Meili,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토르: Þórs heitinon. 시작 문구는 Þórr heitir Atli / ok Ásabragr;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남성의 아스 신족 (2): Ása heiti IInon. 시작 문구는 Enn skal telja / ása heiti: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여성의 아스 신족: Ásynja heitinon. 시작 문구는 Nú skal ásynjur / allar nefna: ...non이며, 5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여성: Kvenna heitinon. 시작 문구는 Snót, brúðr, svanni,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남성: Manna heitinon. 시작 문구는 Mál es at segja / manna heiti: ...non이며, 10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전쟁: Orrostu heitinon. 시작 문구는 Þau eru heiti: ...non이며, 2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검: Sverða heitinon. 시작 문구는 Ek mun segja / sverða heiti: ...non이며, 12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도끼: Øxar heitinon. 시작 문구는 Øx, járnsparða / ok jarðhyrna,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Spjóts heitinon. 시작 문구는 Darr, spjót ok nǫt,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화살: Ǫrvar heitinon. 시작 문구는 Ǫr es ok akka, ...non이며, 2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Boga heitinon. 시작 문구는 Almr, dalr, bogi,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무기: Vápna heitinon. 시작 문구는 Enn kveð ek heita / ǫll vápn saman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방패: Skjaldar heitinon. 시작 문구는 Skjǫldr, þrunginsalr, ...non이며, 3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투구: Hjálms heitinon. 시작 문구는 Hropts hattar skalk / heiti segja: ...non이며, 2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사슬 갑옷: Brynju heitinon. 시작 문구는 Brynja, kund, hjalmgǫll,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바다: Sjóvar heitinon. 시작 문구는 Sær, sílægja, ...non이며, 4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Á heitinon. 시작 문구는 Gjǫll, glit, gera, ...non이며, 6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물고기: Fiska heitinon. 시작 문구는 Lax ok langa, ...non이며, 4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고래: Hvala heitinon. 시작 문구는 Hafrhvalr, geirhvalr / ok hafgufa, ...non이며, 2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배: Skipa heitinon. 시작 문구는 Nú mun ek skýra / of skipa heiti: ...non이며, 10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대지: Jarðar heitinon. 시작 문구는 Jǫrð, fjǫrn, rofa, ...non이며, 2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나무: Viðar heitinon. 시작 문구는 Viðr, yllir, tág, ...non이며, 3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Øxna heitinon. 시작 문구는 Enn skal segja / øxna heiti: ...non이며, 4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Hrúts heitinon. 시작 문구는 Hrútr, ofrhyrningr,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염소: Hafrs heitinon. 시작 문구는 Hafr heitir Grímnir / ok Geirǫlnir, ...non이며, 2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Bjarnar heitinon. 시작 문구는 Bjǫrn, bersi, bolmr,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사슴: Hjartar heitinon. 시작 문구는 Hjǫrtr, Duraþrór,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멧돼지: Galtar heitinon. 시작 문구는 Gǫltr, valglitnir,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늑대: Vargs heitinon. 시작 문구는 Vargr, ulfr, Geri, ...non이며, 2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하늘 (1): Himins heiti Inon. 시작 문구는 Níu eru himnar / á hæð talðir;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태양: Sólar heitinon. 시작 문구는 Sól ok sunna,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Tungls heitinon. 시작 문구는 Alskír, geisli / ok eyglóa,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Dœgra heitinon. 시작 문구는 Dœgr, hlýrn ok røkr,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하늘 (2): Himins heiti IInon. 시작 문구는 Heimr, Hreggmímir, ...non이며, 1개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2. 7. 5. 화살

화살은 고대 노르드어로 Ǫrvar heitinon라 불리며, 《이름의 암송》에서는 화살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시작 문구는 Ǫr es ok akka, ...non이다.

《이름의 암송》의 각 사본에서의 수록 순서는 다음과 같다.

  • R,T,C: 15
  • A: 18
  • B: 18


에서는 Ⅳ. o. 장에 수록되어 있으며, 장 제목은 Pilsv, 페이지 번호는 329이다.

에서는 Ⅳ. o. 장에 수록되어 있으며, 장 제목은 Ǫrvar heitinon, 페이지 번호는 665이다.

자세한 내용은 [https://skaldic.org/m.php?p=text&i=3198 Ǫrvar heiti — Þul Ǫrvar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7. 6. 활

《이름의 암송》에는 활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해당 목록은 다음과 같다.

  • Almr
  • Dalr
  • Bogi
  • 링크 오류

2. 7. 7. 무기

《이름의 암송》에는 다양한 무기를 지칭하는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다음은 해당 목록이다.

# 검: 《이름의 암송》에서는 검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을 열거한다. 고대 노르드어로 "Ek mun segja / sverða heiti: ..."로 시작하는 시가 12수 포함되어 있다.

# 도끼: 도끼를 지칭하는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Øx, járnsparða / ok jarðhyrna, ..."로 시작하는 시 1수가 포함되어 있다.

# : 창을 지칭하는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Darr, spjót ok nǫt, ..."로 시작하는 시 1수가 포함되어 있다.

# 화살: 화살을 지칭하는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Ǫr es ok akka, ..."로 시작하는 시 2수가 포함되어 있다.

# : 활을 지칭하는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Almr, dalr, bogi, ..."로 시작하는 시 1수가 포함되어 있다.

# 무기: 모든 무기를 통칭하는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Enn kveð ek heita / ǫll vápn saman ..."으로 시작하는 시 1수가 포함되어 있다.

# 방패: 방패를 지칭하는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Skjǫldr, þrunginsalr, ..."로 시작하는 시 3수가 포함되어 있다.

# 투구: 투구를 지칭하는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Hropts hattar skalk / heiti segja: ..."로 시작하는 시 2수가 포함되어 있다.

# 사슬 갑옷: 사슬 갑옷을 지칭하는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Brynja, kund, hjalmgǫll, ..."로 시작하는 시 1수가 포함되어 있다.




2. 7. 8. 방패

「이름의 암송」에는 방패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수록되어 있다. 방패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 방패: Skjaldar heitinon, 시작 문구: Skjǫldr, þrunginsalr, ...non. 이 이름은 R, T, C 사본에서 18번째, A 사본에서 21번째, B 사본에서 21번째로 등장한다. Kock(1946)의 장 번호는 Ⅳ. r.이며, 장 제목은 Sköldsv, 페이지 번호는 330이다. Jónsson(1912)의 장 번호는 Ⅳ. r.이며, 장 제목은 Skjaldar heitinon, 페이지 번호는 665이다. 스칼딕 프로젝트 링크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201 Skjaldar heiti — Þul Skjaldar III]이다.

2. 7. 9. 투구

《이름의 암송》에는 투구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해당 목록은 다음과 같다.

내용각 사본에서의 수록 순서Skaldic
주제고대 노르드어시작 문구시 수R,T,CAB장 번호장 제목페이지 번호장 번호장 제목페이지 번호
22투구Hjálms heiti/Hjálms heitinonHropts hattar skalk / heiti segja: .../Hropts hattar skalk / heiti segja: ...non2192222Ⅳ. s.Jälm/Jälmsv330 - 330Ⅳ. s.Hjálms heiti/Hjálms heitinon665 - 666[https://skaldic.org/m.php?p=text&i=3202 Hjálms heiti — Þul Hjálms III]


2. 7. 10. 사슬 갑옷

「이름의 암송」에는 사슬 갑옷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해당 목록은 다음과 같다.

  • 고대 노르드어: Brynju heitinon
  • 시작 문구: Brynja, kund, hjalmgǫll, ...non
  • 시 수: 1


이 이름들은 R, T, C 사본에서 20번째, A 사본에서 23번째, B 사본에서 23번째로 등장한다. 에서는 Ⅳ. t. 장으로, Brynjasv라는 제목으로 330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다. 에서는 Ⅳ. t. 장으로, Brynju heitinon라는 제목으로 666페이지에 등장한다. 스칼딕 프로젝트 링크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203 Brynju heiti — Þul Brynju III]이다.

2. 8. 자연 관련 용어

이 문서는 스칼드 시에서 사용된 자연 관련 용어들을 다룬다.

  • 바다: Særnon, sílægjanon 등의 이름이 등장한다.
  • : Gjǫllnon, glitnon, geranon 등의 이름이 나타난다.
  • 물고기: Laxnon, langanon 등의 이름이 언급된다.
  • 고래: Hafrhvalrnon, geirhvalrnon, hafgufanon 등의 이름이 사용된다.
  • : 스칼드 시에서는 배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등장한다. Skipa heitinon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 대지: Jǫrðnon, fjǫrnnon, rofanon 등으로 표현된다.
  • 나무: Viðrnon, yllirnon, tágnon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 하늘: 스칼드 시에서는 하늘을 묘사하는 다양한 표현이 사용되었다. Himins heiti Inon에서는 "Níu eru himnar / á hæð talðir"라는 문구가 나타난다. 또한 Heimrnon, Hreggmímirnon 등의 이름도 하늘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 태양: Sólnon, sunnanon 등으로 불린다.
  • : Alskírnon, geislinon, eyglóanon 등의 이름으로 표현된다.
  • : Dœgrnon, hlýrnnon, røkrnon 등으로 나타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자연 관련 용어들이 스칼드 시에 등장하며, 각 용어는 고유한 의미와 상징성을 지닌다.

2. 8. 1. 바다

바다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바다/Særnon, , ...

2. 8. 2. 강

강을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Gjǫllnon
  • glitnon
  • geranon


원본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Gjǫll, glit, gera, ...non

2. 8. 3. 물고기

물고기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고대 노르드어: Fiska heitinon
  • 시작 문구: Lax ok langa, ...non
  • 시 수: 4


이러한 이름들은 다음 사본에서 찾을 수 있다.

  • R, T, C: 23
  • A: 26
  • B: 26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제공된다.

  • 장 번호: Ⅳ. x.
  • 장 제목: Fiskarsv
  • 페이지 번호: 331 - 332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제공된다.

  • 장 번호: Ⅳ. x.
  • 장 제목: Fiska heitinon
  • 페이지 번호: 667 - 667


[https://skaldic.org/m.php?p=text&i=3206 해당 스칼드 시]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8. 4. 고래

「이름의 암송」에는 고래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고대 노르드어로 Hvala heitinon라고 하며, 시작 문구는 Hafrhvalr, geirhvalr / ok hafgufa, ...non이다. 이 목록은 총 2개의 시를 포함한다.

이 내용은 「이름의 암송」의 각 장의 주제를 일람한 표에 등장하며, R, T, C 사본에서는 24번째, A 사본에서는 27번째, B 사본에서는 27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에서는 Ⅳ. y. 장으로, "Valar"라는 제목으로 332페이지에 등장하며, 에서는 Ⅳ. y. 장으로, Hvala heitinon라는 제목으로 667-668페이지에 등장한다. 스칼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207 Hvala heiti — Þul Hvala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8. 5. 배

다음은 《이름의 암송》에 나오는 배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의 목록이다.

  • : 스키파 헤이티/Skipa heitinon. 《이름의 암송》에 따르면, 배를 지칭하는 이름은 "Nú mun ek skýra / of skipa heiti: ..." (이제 배의 이름을 설명하겠다)로 시작한다. 율(Þul) 목록의 28번째 항목이며, R, T, C 사본에서는 25번째, A 사본에서는 28번째, B 사본에서는 28번째로 등장한다. 코크(Kock)의 분류에서는 Ⅳ. z.로, 욘손(Jónsson)의 분류에서도 Ⅳ. z.로 나타난다. 스칼딕 프로젝트에서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208 Skipa heiti — Þul Skipa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8. 6. 대지

《이름의 암송》에는 대지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고대 노르드어로 땅은 Jǫrðnon, fjǫrnnon, rofanon 등으로 불렸다.

[https://skaldic.org/m.php?p=text&i=3209 Jarðar heiti — Þul Jarðar III]

2. 8. 7. 나무

이 부분에서는 나무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고대 노르드어로는 Viðar heitinon라고 하며, 시작 문구는 Viðr, yllir, tág, ...non이다. 스칼드 시에서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229 Viðar heiti — Þul Viðar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내용은 R, T, C 사본에서는 누락되었지만, A 사본에서는 30번째, B 사본에서는 30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에서는 Ⅳ. kk 장으로 "Träd m.m."이라는 제목으로 338페이지에, 에서는 Ⅴ. kk 장으로 Viðar heitinon라는 제목으로 673페이지에 등장한다.

2. 8. 8. 하늘 (1)

아홉 개의 하늘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Níu eru himnar / á hæð talðir; ...non

2. 8. 9. 태양

「이름의 암송」에는 태양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해당 목록은 다음과 같다.

  • 고대 노르드어: Sólar heitinon
  • 시작 문구: Sól ok sunna, ...non
  • 수록된 시 수: 1


이 이름들은 다음 사본에 수록되어 있다.

  • R, T, C: 35
  • A: 39
  • B: 39


에 따르면, 해당 내용은 다음 장에 수록되어 있다.

  • 장 번호: Ⅳ. gg.
  • 장 제목: Solsv
  • 페이지 번호: 335 - 336


에 따르면, 해당 내용은 다음 장에 수록되어 있다.

  • 장 번호: Ⅳ. gg.
  • 장 제목: Sólar heitinon
  • 페이지 번호: 671 - 671


Skaldic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Sólar heiti — Þul Sólar III

2. 8. 10. 달

달을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알스키르(Alskír)
  • 게이스리(Geisli)
  • 에이글로아(Eyglóa)


이 이름들은 「이름의 암송」에서 40번째로 등장하며, 고대 노르드어로는 Tungls heitinon라고 한다. 시작 문구는 Alskír, geisli / ok eyglóa, ...non이다. 스칼드 시에서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230 Tungls heiti — Þul Tungls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R, T, C 사본에서는 해당 내용이 없으며, A 사본에서도 40번째로 등장한다. B 사본에서도 40번째로 등장한다.

에서는 Ⅳ. ll. 장에 해당하며, 장 제목은 Månesv이고, 페이지는 338이다. 에서는 Ⅴ. ll. 장에 해당하며, 장 제목은 Tungls heitinon이고, 페이지는 674이다.

2. 8. 11. 날

이 문서는 《이름의 암송》에 나오는 날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을 나열한다.

  • 날: 되그르, 흘리른 오크 뢰크르/Dœgra heitinon


2. 8. 12. 하늘 (2)

헤임, 흐레그미미르 등이 하늘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나열되어 있다.

2. 9. 동물 관련 용어

「이름의 암송」에는 다양한 동물 관련 용어들이 등장한다. 스칼드 시에서는 이러한 동물들이 특정한 의미와 상징성을 지니며 묘사되는데, 주요 동물들과 관련된 용어들은 다음과 같다.

  • 소 (Øxna heitinon): 스칼드 시에서 소는 Enn skal segja / øxna heiti: ...non라는 시작 문구로 표현된다.
  • 양 (Hrúts heitinon): 양은 Hrútr, ofrhyrningr, ...non로 묘사된다.
  • 염소 (Hafrs heitinon): 염소는 Hafr heitir Grímnir / ok Geirǫlnir, ...non라는 표현으로 나타난다.
  • 곰 (Bjarnar heitinon): 곰은 Bjǫrn, bersi, bolmr, ...non 등으로 불린다.
  • 사슴 (Hjartar heitinon): 사슴은 Hjǫrtr, Duraþrór, ...non와 같은 이름으로 등장한다.
  • 멧돼지 (Galtar heitinon): 멧돼지는 Gǫltr, valglitnir, ...non 등으로 표현된다.
  • 늑대 (Vargs heitinon): 늑대는 Vargr, ulfr, Geri, ...non와 같이 다양하게 불린다.


이 외에도 다양한 동물들이 스칼드 시에 등장하며, 각 동물들이 지닌 문화적, 상징적 의미를 엿볼 수 있다.

2. 9. 1. 소

암송된 이름 목록에는 소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포함되어 있다. 고대 노르드어로 소는 Øxna heitinon라고 불리며, 시작 문구는 Enn skal segja / øxna heiti: ...non이다. 이 목록은 총 4개의 시를 포함하고 있다. R, T, C 사본에서는 27번째, A 사본에서는 31번째로, B 사본에서도 31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에서는 Ⅳ. ö. 장으로, Nötkreatursv라는 제목으로 334 페이지에 등장한다. 에서는 Ⅳ. ö. 장으로, Øxna heitinon라는 제목으로 669 페이지에 나온다. 스칼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210 Øxna heiti — Þul Øxna III]에서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9. 2. 양

양을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내용각 사본에서의 수록 순서Kock(1946)Jónsson(1912)Skaldic
주제고대 노르드어시작 문구시 수R,T,CAB장 번호장 제목페이지 번호장 번호장 제목페이지 번호
1바다의 왕 || 5

|| 1 || 1 || 2

| data-sort-value="4-1-01" | Ⅳ. a. || || 322 - 323

| data-sort-value="4-1-01" | Ⅳ. a. || || 658 - 658

| https://skaldic.org/m.php?p=text&i=3183 Sækonunga heiti — Þul Sækonunga III

|-

|| 2

|| || || || 3

|| - || 2 || 1

| data-sort-value="4-2-08" | Ⅳ. hh. || || 336 - 336

| data-sort-value="5-2-08" | Ⅴ. hh. || || 671 - 671

| https://skaldic.org/m.php?p=text&i=3226 Konunga heiti — Þul Konunga III

|-

|| 3

|| 드베르그 || || || 6

|| - || 3 || 3

| data-sort-value="4-2-09" | Ⅳ. ii. || || 336 - 337

| data-sort-value="5-2-09" | Ⅴ. ii. || || 672 - 672

| https://skaldic.org/m.php?p=text&i=3227 Dverga heiti — Þul Dverga III

|-

|| 4

|| 남성의 거인 (1) || || || 6

|| 2 || 4 || 4

| data-sort-value="4-1-02" | Ⅳ. b. || || 323 - 324

| data-sort-value="4-1-02" | Ⅳ. b. || || 658 - 659

| https://skaldic.org/m.php?p=text&i=3184 Jǫtna heiti I — Þul Jǫtna I III

|-

|| 5

|| 남성의 거인 (2) || || || 3

|| 6 || 5 || 5

| data-sort-value="4-1-06" | Ⅳ. f. || || 325 - 325

| data-sort-value="4-1-06" | Ⅳ. f. || || 660 - 660

| https://skaldic.org/m.php?p=text&i=3188 Jǫtna heiti II — Þul Jǫtna II III

|-

|| 6

|| 여성의 거인 || || || 5

|| 3 || 6 || 6

| data-sort-value="4-1-03" | Ⅳ. c. || || 324 - 324

| data-sort-value="4-1-03" | Ⅳ. c. || || 659 - 660

| https://skaldic.org/m.php?p=text&i=3185 Trollkvenna heiti — Þul Trollkvenna III

|-

|| 7

|| 오딘 || || || 8

|| - || 7 || 7

| data-sort-value="4-2-10" | Ⅳ. jj. || || 337 - 338

| data-sort-value="5-2-10" | Ⅴ. jj. || || 672 - 673

| https://skaldic.org/m.php?p=text&i=3228 Óðins nǫfn — Þul Óðins III

|-

|| 8

|| 남성의 아스 신족 (1) || || || 1

|| 5 || 8 || 8

| data-sort-value="4-1-05" | Ⅳ. e. || || 325 - 325

| data-sort-value="4-1-05" | Ⅳ. e. || || 660 - 660

| https://skaldic.org/m.php?p=text&i=3187 Ása heiti I — Þul Ása I III

|-

|| 9

|| 토르 || || || 1

|| 4 || 9 || 9

| data-sort-value="4-1-04" | Ⅳ. d. || || 324 - 324

| data-sort-value="4-1-04" | Ⅳ. d. || || 660 - 660

| https://skaldic.org/m.php?p=text&i=3186 Þórs heiti — Þul Þórs III

|-

|| 10

|| 남성의 아스 신족 (2) || || || 1

|| 7 || 10 || 10

| data-sort-value="4-1-07" | Ⅳ. g. || || 325 - 325

| data-sort-value="4-1-07" | Ⅳ. g. || || 660 - 661

| https://skaldic.org/m.php?p=text&i=3189 Ása heiti II — Þul Ása II III

|-

|| 11

|| 여성의 아스 신족 || || || 5

|| 8 || 11 || 11

| data-sort-value="4-1-08" | Ⅳ. h. || || 325 - 326

| data-sort-value="4-1-08" | Ⅳ. h. || || 661 - 661

| https://skaldic.org/m.php?p=text&i=3190 Ásynja heiti — Þul Ásynja III

|-

|| 12

|| 여성 || || || 1

|| 9 || 12 || 12

| data-sort-value="4-1-09" | Ⅳ. i. || || 326 - 326

| data-sort-value="4-1-09" | Ⅳ. i. || || 661 - 661

| https://skaldic.org/m.php?p=text&i=3191 Kvenna heiti — Þul Kvenna I III

|-

|| 13

|| 남성 || || || 10

|| 10 || 13 || 13

| data-sort-value="4-1-10" | Ⅳ. j. || || 326 - 327

| data-sort-value="4-1-10" | Ⅳ. j. || || 661 - 663

| https://skaldic.org/m.php?p=text&i=3192 Manna heiti — Þul Manna III

|-

|| 14

|| 전쟁 || || || 2

|| 11 || 14 || 14

| data-sort-value="4-1-11" | Ⅳ. k. || || 327 - 327

| data-sort-value="4-1-11" | Ⅳ. k. || || 663 - 663

| https://skaldic.org/m.php?p=text&i=3193 Orrostu heiti — Þul Orrostu III

|-

|| 15

|| 검 || || || 12

|| 12 || 15 || 15

| data-sort-value="4-1-12" | Ⅳ. l. || || 327 - 329

| data-sort-value="4-1-12" | Ⅳ. l. || || 663 - 664

| https://skaldic.org/m.php?p=text&i=3194 Sverða heiti — Þul Sverða III

|-

|| 16

|| 도끼 || || || 1

|| 13 || 16 || 16

| data-sort-value="4-1-13" | Ⅳ. m. || || 329 - 329

| data-sort-value="4-1-13" | Ⅳ. m. || || 664 - 664

| https://skaldic.org/m.php?p=text&i=3195 Øxar heiti — Þul Øxar III

|-

|| 17

|| || || || 1

|| 14 || 17 || 17

| data-sort-value="4-1-14" | Ⅳ. n. || || 329 - 329

| data-sort-value="4-1-14" | Ⅳ. n. || || 664 - 665

| https://skaldic.org/m.php?p=text&i=3197 Spjóts heiti — Þul Spjóts III

|-

|| 18

|| 화살 || || || 2

|| 15 || 18 || 18

| data-sort-value="4-1-15" | Ⅳ. o. || || 329 - 329

| data-sort-value="4-1-15" | Ⅳ. o. || || 665 - 665

| https://skaldic.org/m.php?p=text&i=3198 Ǫrvar heiti — Þul Ǫrvar III

|-

|| 19

|| || || || 1

|| 16 || 19 || 19

| data-sort-value="4-1-16" | Ⅳ. p. || || 329 - 329

| data-sort-value="4-1-16" | Ⅳ. p. || || 665 - 665

| https://skaldic.org/m.php?p=text&i=3199 Boga heiti — Þul Boga III

|-

|| 20

|| 무기 || || || 1

|| 17 || 20 || 20

| data-sort-value="4-1-17" | Ⅳ. q. || || 329 - 329

| data-sort-value="4-1-17" | Ⅳ. q. || || 665 - 665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0 Vápna heiti — Þul Vápna III

|-

|| 21

|| 방패 || || || 3

|| 18 || 21 || 21

| data-sort-value="4-1-18" | Ⅳ. r. || || 330 - 330

| data-sort-value="4-1-18" | Ⅳ. r. || || 665 - 665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1 Skjaldar heiti — Þul Skjaldar III

|-

|| 22

|| 투구 || || || 2

|| 19 || 22 || 22

| data-sort-value="4-1-19" | Ⅳ. s. || || 330 - 330

| data-sort-value="4-1-19" | Ⅳ. s. || || 665 - 666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2 Hjálms heiti — Þul Hjálms III

|-

|| 23

|| 사슬 갑옷 || || || 1

|| 20 || 23 || 23

| data-sort-value="4-1-20" | Ⅳ. t. || || 330 - 330

| data-sort-value="4-1-20" | Ⅳ. t. || || 666 - 666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3 Brynju heiti — Þul Brynju III

|-

|| 24

|| 바다 || || || 4

|| 21 || 24 || 24

| data-sort-value="4-1-21" | Ⅳ. u. || || 330 - 331

| data-sort-value="4-1-21" | Ⅳ. u. || || 666 - 666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4 Sjóvar heiti — Þul Sjóvar III

|-

|| 25

|| || || || 6

|| 22 || 25 || 25

| data-sort-value="4-1-22" | Ⅳ. v. || || 331 - 331

| data-sort-value="4-1-22" | Ⅳ. v. || || 666 - 667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5 Á heiti — Þul Á III

|-

|| 26

|| 물고기 || || || 4

|| 23 || 26 || 26

| data-sort-value="4-1-23" | Ⅳ. x. || || 331 - 332

| data-sort-value="4-1-23" | Ⅳ. x. || || 667 - 667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6 Fiska heiti — Þul Fiska III

|-

|| 27

|| 고래 || || || 2

|| 24 || 27 || 27

| data-sort-value="4-1-24" | Ⅳ. y. || || 332 - 332

| data-sort-value="4-1-24" | Ⅳ. y. || || 667 - 668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7 Hvala heiti — Þul Hvala III

|-

|| 28

|| 배 || || || 10

|| 25 || 28 || 28

| data-sort-value="4-1-25" | Ⅳ. z. || || 332 - 333

| data-sort-value="4-1-25" | Ⅳ. z. || || 668 - 669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8 Skipa heiti — Þul Skipa III

|-

|| 29

|| 대지 || || || 2

|| 26 || 29 || 29

| data-sort-value="4-1-26" | Ⅳ. æ. || || 333 - 334

| data-sort-value="4-1-26" | Ⅳ. æ. || || 669 - 669

| https://skaldic.org/m.php?p=text&i=3209 Jarðar heiti — Þul Jarðar III

|-

|| 30

|| 나무 || || || 3

|| - || 30 || 30

| data-sort-value="4-2-11" | Ⅳ. kk. || || 338 - 338

| data-sort-value="5-2-11" | Ⅴ. kk. || || 673 - 673

| https://skaldic.org/m.php?p=text&i=3229 Viðar heiti — Þul Viðar III

|-

|| 31

|| || || || 4

|| 27 || 31 || 31

| data-sort-value="4-1-27" | Ⅳ. ö. || || 334 - 334

| data-sort-value="4-1-27" | Ⅳ. ö. || || 669 - 669

| https://skaldic.org/m.php?p=text&i=3210 Øxna heiti — Þul Øxna III

|-

|| 32

|| || || || 1

|| 28 || 32 || 32

| data-sort-value="4-2-01" | Ⅳ. aa. || || 334 - 334

| data-sort-value="4-2-01" | Ⅳ. aa. || || 670 - 670

| https://skaldic.org/m.php?p=text&i=3211 Hrúts heiti — Þul Hrúts III

|-

|| 33

|| 염소 || || || 2

|| 29 || 33 || 33

| data-sort-value="4-2-02" | Ⅳ. bb. || || 334 - 334

| data-sort-value="4-2-02" | Ⅳ. bb. || || 670 - 670

| https://skaldic.org/m.php?p=text&i=3212 Hafrs heiti — Þul Hafrs III

|-

|| 34

|| || || || 1

|| 30 || 34 || 34

| data-sort-value="4-2-03.1" | Ⅳ. cc1. || || 335 - 335

| data-sort-value="4-2-03.1" | Ⅳ. cc1. || || 670 - 670

| https://skaldic.org/m.php?p=text&i=3213 Bjarnar heiti — Þul Bjarnar III

|-

|| 35

|| 사슴 || || || 1

|| 31 || 35 || 35

| data-sort-value="4-2-03.2" | Ⅳ. cc2. || || 335 - 335

| data-sort-value="4-2-03.2" | Ⅳ. cc2. || || 670 - 670

| https://skaldic.org/m.php?p=text&i=3214 Hjartar heiti — Þul Hjartar III

|-

|| 36

|| 멧돼지 || || || 1

|| 32 || 36 || 36

| data-sort-value="4-2-04" | Ⅳ. dd. || || 335 - 335

| data-sort-value="4-2-05" | Ⅳ. dd. || || 670 - 670

| https://skaldic.org/m.php?p=text&i=3215 Galtar heiti — Þul Galtar III

|-

|| 37

|| 늑대 || || || 2

|| 33 || 37 || 37

| data-sort-value="4-2-05" | Ⅳ. ee. || || 335 - 335

| data-sort-value="4-2-05" | Ⅳ. ee. || || 670 - 671

| https://skaldic.org/m.php?p=text&i=3216 Vargs heiti — Þul Vargs III

|-

|| 38

|| 하늘 (1) || || || 1

|| 34 || 38 || 38

| data-sort-value="4-2-06" | Ⅳ. ff. || || 335 - 335

| data-sort-value="4-2-06" | Ⅳ. ff. || || 671 - 671

| https://skaldic.org/m.php?p=text&i=3217 Himins heiti I — Þul Himins I III

|-

|| 39

|| 태양 || || || 1

|| 35 || 39 || 39

| data-sort-value="4-2-07" | Ⅳ. gg. || || 335 - 336

| data-sort-value="4-2-07" | Ⅳ. gg. || || 671 - 671

| https://skaldic.org/m.php?p=text&i=3218 Sólar heiti — Þul Sólar III

|-

|| 40

|| || || || 1

|| - || 40 || 40

| data-sort-value="4-2-12" | Ⅳ. ll. || || 338 - 338

| data-sort-value="5-2-12" | Ⅴ. ll. || || 674 - 674

| https://skaldic.org/m.php?p=text&i=3230 Tungls heiti — Þul Tungls III

|-

|| 41

|| || || || 1

|| - || 41 || 41

| data

2. 9. 3. 염소

염소는 고대 노르드어로 ''Hafrs heiti''라 불리며, 다음과 같은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 Grímnir
  • Geirǫlnir


이 이름들은 《이름의 암송》에서 33번째로 등장하며, R, T, C 사본에서는 29번째, A 사본에서는 33번째, B 사본에서는 33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Bock, getsv에 해당한다. 스칼딕 프로젝트에서는 다음 링크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Hafrs heiti — Þul Hafrs III.

2. 9. 4. 곰

곰을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다. 고대 노르드어로는 Bjarnar heiti이며, Bjǫrn, bersi, bolmr 등이 있다. 「이름의 암송」에서는 34번째로 등장한다. 스칼딕 시에서는 [https://skaldic.org/m.php?p=text&i=3213 Bjarnar heiti — Þul Bjarnar I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9. 5. 사슴

사슴을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hjǫrtr/Hjǫrtrnon
  • duraþrór/Duraþrórnon
  • 기타

2. 9. 6. 멧돼지

멧돼지를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Göltr/Gǫltrnon
  • Valglitnir/valglitnirnon
  • 기타

2. 9. 7. 늑대

늑대를 지칭하는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바르그/Vargrnon
  • 울프/Ulfrnon
  • 게리/Gerinon


이 외의 늑대 이름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Vargs heiti — Þul Vargs III

참조

[1] 서적 "The Middle Ages: Old Icelandic Pros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with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2006
[2] 서적 Edda https://books.google[...] Dent 1987
[3] 서적 Altnordische Literaturgeschichte https://books.google[...] de Gruyter 1967
[4] wikiref Faulkes (1998)
[5] 서적 "The Middle Ages: Old Icelandic Pros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with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2006
[6] 서적 Faulkes (1987) https://books.google[...]
[7] 서적 Altnordische Literaturgeschichte https://books.google[...] de Gruyter 1967
[8] 서적 "The Middle Ages: Old Icelandic Prose"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with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