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미추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 미추린은 러시아 제국의 원예가로, 철도에서 근무하며 독학으로 원예를 배운 후 품종 개량 연구에 종사했다. 찰스 다윈의 연구를 참고하여 러시아 기후에 적합한 300종 이상의 품종을 개발했으며, 1922년 10월 혁명 이후 국가의 지원을 받아 전국 과수 품종 개량을 지도했다. 미추린은 세포 유전학 연구를 통해 유전과 개체 발생의 관계를 연구했고, 과학적 농업 선별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또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식물의 교잡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획득 형질의 유전'을 강조하는 미추린 학설을 주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식물학자 - 블라디미르 쾨펜
러시아 태생 독일의 기상학자, 기후학자, 식물학자, 지구물리학자인 블라디미르 쾨펜은 쾨펜 기후 구분 체계를 개발하고 《지질 시대의 기후》를 저술하는 등 기후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겨 "근대 기후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러시아의 식물학자 - 클리멘트 티미랴제프
클리멘트 티미랴제프는 러시아의 식물 생리학자이자 다윈주의 옹호론자로서 광합성 연구와 러시아 농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다윈의 진화론을 러시아 사회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러시아의 생물학자 - 엘리 메치니코프
엘리 메치니코프는 식세포 작용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고 프로바이오틱스 개념을 제시하며 노화 연구에 기여한 러시아의 동물학자, 면역학자, 미생물학자이다. - 러시아의 생물학자 -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는 러시아 제국의 광물학자이자 지구화학자, 사상가로서 생물권 개념을 발전시키고 노스피어 개념을 대중화했으며 환경 과학의 과학적 기초를 개척하는 데 기여했고, 우크라이나 과학 아카데미를 창설하고 소련의 원자 폭탄 개발 계획에 참여하기도 했다. - 러시아의 발명가 - 올레크 로세프
올레크 로세프는 1903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1942년 사망한 과학자이며, 접촉식 수정 검출기 연구와 탄화 규소 다이오드에서 빛 방출 현상을 발견하여 LED 연구에 기여했으며, 음저항 다이오드를 활용한 고체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 러시아의 발명가 -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는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이자 러시아 제국의 초대 황제로, 서구화 정책과 부국강병책을 통해 러시아를 근대화하고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대북방 전쟁 승리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이반 미추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이반 블라디미로비치 미추린 |
로마자 표기 | Ivan Vladimirovich Michurin |
출생일 | 1855년 10월 27일 (율리우스력 10월 15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랴잔 현, 프론스키 군, 돌고예 |
사망일 | 1935년 6월 7일 |
사망지 |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탐보프 주, 미추린스크 |
국적 | 러시아 |
학문 분야 | |
분야 | 식물학 |
소속 | VASKhNIL |
영향 | 자연 선택 |
영향을 받은 사람 | 트로핌 리센코 |
수상 | |
수상 | 레닌 훈장 |
2. 생애와 업적
러시아 제국 코즐로프(현 미추린스크)의 원예가 집안에서 태어나 철도원으로 일하며 독학으로 원예를 익혔고, 이후 품종 개량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2] 1875년 탐보프 근처에 작은 땅을 빌려 식물 수집과 과수학, 자연 선택 연구를 시작했으며, 1899년에는 더 넓은 부지로 연구 기반을 옮겼다. 그는 찰스 다윈의 이론 등을 참고하여 러시아의 혹독한 기후에 적합한 300종 이상의 신품종을 개발했으며,[4] 이 과정에서 "코즐로프의 마법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초기 그의 연구는 1897년 캐나다 한파 당시 자신이 육성한 벚나무 품종이 냉해를 입지 않아 캐나다와 미국 학계의 주목을 받는 등 국제적인 성과도 있었으나, 정작 러시아 제국 내에서는 이단시되기도 했다.[3]
10월 혁명 이후 상황은 반전되어, 1920년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시로 그의 연구가 국가적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1922년 미하일 칼리닌의 방문, 1923년 과수원의 국가 중요 시설 지정 등을 거쳐 1928년에는 그의 과수원을 기반으로 국립 연구소가 설립되었고, 이는 1934년 미추린 중앙 유전 연구소로 확대되었다. 미추린은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전국적인 과수 품종 개량을 이끌었다.
미추린은 유전학, 특히 과수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세포 유전학 연구를 통해 세포 구조를 탐구하고 인공 다배수성을 실험했으며, 유전과 개체 발생, 환경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여 새로운 우성 개념을 제시했다. 또한 외부 환경이 유전자형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는 이후 트로핌 리센코 학설의 이론적 기초가 되기도 했다.[4] 그는 과학적 농업 선발 육종의 선구자로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식물 간의 교잡 이론과 기술을 발전시켰으며, 유전적 비호환성을 극복하는 방법들을 고안했다.
그가 개발한 품종 중 사과 품종인 안토노프카는 러시아에서 '국민의 사과'로 불릴 만큼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배, 체리, 마가목 등 다양한 과수 품종과 함께 포도, 살구 등 남부 작물을 북부 기후에 적응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31년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고, 1935년에는 소비에트 연방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
2. 1. 초기 생애
러시아 제국 코즐로프(현 미추린스크)의 원예가 집안에서 태어났다.[2] 철도에 근무하면서 독학으로 원예를 배웠고, 찰스 다윈의 『가축과 재배 식물의 변이』(1868년) 등을 참고하며[4] 품종 개량 연구에 종사했다.[2]1875년 탐보프 근처에 약 500m2의 토지를 임대하여 식물을 수집하고 과수학 및 자연 선택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1899년에는 약 13ha의 더 넓은 토지를 확보하여 모든 식물을 그곳으로 옮겼다.
1897년 캐나다를 덮친 이상 한파 속에서 미추린이 육성한 벚나무 품종만이 냉해를 입지 않아 캐나다와 미국 학회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당시 러시아 내에서는 이단시되기도 했다.[3] 그는 코즐로프에 살면서 새로운 품종을 계속 만들어내 "코즐로프의 마법사"라고 불렸다.
2. 2. 연구 활동
러시아 제국 코즐로프(현 미추린스크)의 원예가 집안에서 태어난 미추린은 철도에 근무하면서 독학으로 원예를 익혔고, 이후 품종 개량 연구에 전념했다.[2] 1875년, 그는 탐보프 근처에 약 500m2의 땅을 빌려 식물을 모으기 시작하며 과수학과 자연 선택 연구의 첫발을 내디뎠다. 1899년에는 약 130000m2에 달하는 더 넓은 땅을 확보하여 모든 식물을 그곳으로 옮겼다.1897년 캐나다에 극심한 한파가 닥쳤을 때, 미추린이 개발한 벚나무 품종만이 냉해를 입지 않아 캐나다와 미국 학회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당시 러시아 제국 내에서는 그의 연구가 이단으로 취급받기도 했다.[3]
상황은 10월 혁명 이후 달라졌다. 1920년, 러시아 내전이 마무리될 무렵 블라디미르 레닌은 농업 인민위원 세묜 세레다에게 미추린의 연구 성과를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지시했다. 1922년 9월 11일에는 미하일 칼리닌이 레닌의 개인적인 요청으로 미추린을 직접 방문했으며, 1923년 11월 20일 인민위원회는 미추린의 과수원을 국가적으로 중요한 시설로 공식 인정했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1928년, 소련은 미추린의 과수원을 기반으로 선별 유전학 연구소를 설립했고, 이 연구소는 1934년 미추린 중앙 유전 연구소로 확대 개편되었다. 미추린은 코즐로프 국영 과수 육성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1931년에는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고, 1935년에는 소비에트 연방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정되었다.[2]
미추린은 유전학, 특히 과수학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자신의 세포 유전학 연구소에서 세포 구조를 연구하고 인공 다배수성 실험을 진행했다. 또한 유전 현상을 개체 발생의 자연적 과정 및 외부 환경의 영향과 연관 지어 연구하며, 우성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우성이 유전, 개체 발생, 초기 세포 구조의 계통 발생뿐만 아니라, 잡종의 개별 특성과 재배 환경 조건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증명했다. 나아가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유전자형이 변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미추린은 과학적인 농업 선별 육종법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서로 가깝거나 먼 관계의 식물을 교잡하는 방법을 연구했으며, 개체 발생 과정과 연계한 재배법, 우성 형질 발현 유도법, 묘목 평가 및 선별법, 물리적·화학적 요인을 이용한 육종 과정 단축법 등을 개발했다.
특히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식물 간의 교배에 대한 그의 방법론은 다른 육종가들에게도 널리 활용되었다. 그는 이러한 교배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몇 가지 실용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또한 교배 과정에서 유전적으로 잘 섞이지 않는 문제(유전적 비호환성)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 개화 시기의 어린 잡종에게 수분시키기, 접목 등을 통해 미리 생리적으로 가깝게 만드는 예비 영양 교잡, 그리고 여러 품종의 꽃가루를 섞어 수분시키는 "중재자" 사용 등을 제안했다.
찰스 다윈의 저서 『가축과 재배 식물의 변이』(1868년) 등을 참고하여[4] 미추린은 러시아의 혹독한 기후와 풍토에 잘 적응하는 300종 이상의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냈다. 그의 연구와 이론은 "환경에 의한 생물의 변화는 유전된다"고 주장한 트로핌 리센코의 학설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코즐로프에 머물며 끊임없이 새로운 품종을 개발해낸 그는 "코즐로프의 마법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소련은 미추린이 개발한 사과, 배, 체리, 마가목 등의 잡종 품종을 널리 재배하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안토노프카 품종은 미추린이 개발한 가장 유명한 사과로, 러시아에서 큰 인기를 얻어 "국민의 사과"라는 애칭까지 붙었다. 이 사과는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생과일 또는 요리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유럽과 북미의 다른 지역에서는 추위에 강한 특성 때문에 주로 대목(접목 시 바탕이 되는 나무)으로 활용된다. 미추린은 또한 포도, 살구, 앵두와 같은 남부 지방 식물들의 잡종을 개발하여 북부의 추운 기후에서도 재배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2. 3. 소련 정부의 지원
러시아 제국 시절, 미추린의 연구는 캐나다와 미국 학회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러시아 내에서는 이단시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3] 그러나 1917년 10월 혁명으로 소련이 수립되면서 상황은 크게 달라졌다. 새로운 정부는 미추린의 원예 및 품종 개량 연구의 가치를 인정하고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시작했다.[2]1920년, 러시아 내전이 끝난 직후 블라디미르 레닌은 농업 인민 위원 세묜 세레다에게 미추린의 연구와 실질적인 성과를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조직하도록 지시했다. 이는 미추린의 연구에 대한 국가적 관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1922년 9월 11일에는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의장 미하일 칼리닌이 레닌의 개인적인 요청으로 직접 미추린을 방문하여 그의 연구를 격려했다.
이러한 관심과 평가를 바탕으로 1923년 11월 20일, 인민 위원회는 미추린의 과수원을 국가적으로 중요한 시설로 공식 인정했다. 이는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보장하는 중요한 조치였다. 1928년, 소련 정부는 이 과수원을 기반으로 하여 선별적 유전학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이 연구소는 1934년에 미추린 중앙 유전 연구소로 확대 개편되어 미추린 연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미추린은 이러한 국가적 지원에 힘입어 전국적인 과수 품종 개량 사업을 이끌었으며, 미추린스크(과거 코즐로프)에 위치한 국영 과수 육성소의 소장을 역임했다. 그의 공로는 높이 평가받아 1931년에는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1935년에는 소비에트 연방 과학 아카데미의 정회원으로 선출되는 영예를 안았다.[2] 미추린의 연구와 이론, 특히 환경의 영향에 따른 생물의 변화가 유전될 수 있다는 그의 주장은 이후 트로핌 리센코의 학설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4]
2. 4. 주요 연구 성과
1875년 이반 미추린은 탐보프 근처 약 500m2의 토지를 임대하여 식물 수집과 함께 과수학 및 자연 선택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 규모가 커지면서 1899년에는 약 130000m2의 더 넓은 부지로 모든 식물을 옮겼다.미추린은 유전학, 특히 과수학 분야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자신의 세포 유전학 연구소에서 세포 구조를 연구하고 인공 다배수성 실험을 수행했다. 또한 유전 현상을 개체 발생의 자연적 과정 및 외부 환경의 영향과 연관지어 연구하며, 유전, 개체 발생, 초기 세포 구조의 계통 발생뿐만 아니라 잡종의 개별 특성과 재배 조건에 따라 우성이 달라진다는 새로운 우성 개념을 정립했다. 그는 연구를 통해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유전자형이 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과학적 농업 선별 분야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서, 미추린은 서로 다른 기원의 식물을 교잡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그는 개체 발생의 자연적 과정과 연관된 재배 방법을 개발하고, 우성 과정을 유도하며, 묘목을 평가하고 선별하는 기준을 세웠다. 또한 물리적, 화학적 요인을 이용하여 선별 과정을 가속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특히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식물 간의 교배 방법은 다른 육종가들에게도 널리 활용되었는데, 미추린은 이 원거리 교배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여러 실용적인 방법을 개발했다. 교배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전적 비호환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첫 개화 시기의 어린 잡종을 수분시키는 방법, 예비 영양 교차 방법,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꽃가루 혼합물을 이용하는 "중재자" 사용법 등을 제안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미추린은 찰스 다윈의 『가축과 재배 식물의 변이』(1868년) 등을 참고하여 러시아의 혹독한 기후에 적합한 300종 이상의 신품종을 개발했다.[4] 대표적으로 그가 개발한 사과 품종인 안토노프카는 러시아에서 큰 인기를 얻어 '국민의 사과'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신선하게 먹거나 요리에 널리 사용된다. 유럽과 북미에서는 내한성이 강한 대목으로 주로 활용된다. 이 외에도 배, 체리, 마가목 등의 잡종을 개발했으며, 포도, 살구, 양벚나무와 같은 남부 식물도 북부 기후에서 자랄 수 있도록 개량했다.
그의 성과는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다. 1897년 캐나다에 극심한 한파가 닥쳤을 때, 미추린이 육성한 벚나무 품종만이 냉해를 입지 않아 캐나다와 미국 학회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당시 러시아 제국 내에서는 그의 연구가 이단시되기도 했다.[3]
10월 혁명 이후 상황은 달라졌다. 1920년 블라디미르 레닌은 미추린의 연구 성과 분석을 지시했고, 1922년 미하일 칼리닌이 직접 방문하는 등 소비에트 정부의 주목을 받았다. 1923년 그의 과수원은 국가 중요 시설로 지정되었으며, 1928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유전학 연구소가 설립되어 1934년 미추린 중앙 유전 연구소로 확대 개편되었다. 미추린은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전국적인 과수 품종 개량을 지도했으며, 코즐로프(현 미추린스크) 국영 과수 육성소 소장을 역임했다. 이러한 공로로 1931년 레닌 훈장을 받았고, 1935년에는 소비에트 연방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 코즐로프에 살면서 새로운 품종을 끊임없이 만들어내 '코즐로프의 마법사'라고 불렸다. 미추린의 이론, 특히 환경에 의한 생물의 변화가 유전된다는 그의 주장은 이후 트로핌 리센코의 학설에 영향을 미쳤다.
2. 5. 리센코 학설과의 관계
찰스 다윈의 『가축과 재배 식물의 변이』(1868년) 등을 참고하여, 러시아의 기후와 풍토에 적합한 300종 이상의 품종을 만들어냈다.[4] 그의 이론, 특히 "환경에 의한 생물의 변화는 유전된다"는 관점은 이후 트로핌 리센코의 학설에 기초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2. 6. 수상 경력
1931년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으며,[2] 1935년에는 소비에트 연방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2]3. 미추린 학설
미추린 학설은 생물체와 그 생활환경 조건이 하나로 통일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생물체의 유전성은 선조로부터 동화된 생활 조건 전체가 합쳐진 결과로 본다.
만약 생활 조건이 유전성에 부합하면 유전성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생활 조건이 맞지 않거나 부족하면 유전자는 변화하여 돌연변이가 발생하고 다음 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획득형질이 생활 조건에 적응하며 유전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특히 무성교잡은 생활 조건의 변화를 통해 변이를 유도하고, 이를 특정 방향으로 발전시켜 획득 형질이 유전되도록 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미추린은 배아줄기세포와 수태 과정 역시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강조했다.[5]
3. 1. 유전성의 변화
미추린 학설에 따르면, 생물체와 그 생활환경 조건은 하나로 통일되어 있으며, 생물체의 유전성은 그 선조로부터 동화된 생활 조건 전체가 합쳐진 결과이다.만약 생활 조건이 유전성에 부합하면 유전성은 안정적으로 보존되어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생물체가 동화하지 않은 새로운 생활 조건에 놓이거나 기존 조건이 결핍되면, 유전자는 변화하여 돌연변이가 발생하고 다음 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획득형질은 생활 조건과 상호 적응하며 유전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무성교잡은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졌는데, 생활 조건의 변화를 통해 변이를 유도하고 이를 일정한 방향으로 발전시켜 획득형질이 유전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추린은 또한 배아줄기세포와 수태 과정 역시 전적으로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강조했다.[5]
미추린은 유전학, 특히 과수학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세포 유전학 연구소에서 그는 세포 구조를 연구하고 인공적인 다배수성 실험을 수행했다. 미추린은 유전 현상을 개체 발생의 자연적 과정 및 외부 환경의 영향과 관련지어 연구했으며, 우성(優性)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우성이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체 발생 과정, 초기 세포 구조의 계통 발생, 잡종의 개별 특징 및 재배 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나아가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유전자형 자체가 변경될 가능성도 제기했다.
그는 과학적 농업 선별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유사하거나 다른 기원의 식물 교잡을 연구했다. 또한 개체 발생 과정과 연관된 재배 방법을 연구하고, 우성 발현 과정을 유도하며, 묘목을 평가하고 선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물리적, 화학적 요소를 이용하여 선별 과정을 가속화하는 방법도 연구했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식물을 교배하는 미추린의 방법은 다른 육종가들에게 널리 활용되었다. 그는 이러한 교잡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몇 가지 실용적인 방법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교배 과정에서 유전적 비호환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첫 번째 개화 기간 동안 어린 잡종의 수분 처리, 예비 영양 교차, 그리고 "중재자"의 사용, 즉 다양한 종류의 꽃가루 혼합물을 이용한 수분 처리 등을 제안했다.
3. 2. 획득 형질의 유전
미추린 학설의 핵심은 생물체와 그 생활 환경 조건이 하나로 통일되어 있으며, 생물체의 유전성은 선조로부터 물려받아 동화된 생활 조건 전체가 합쳐진 결과라는 것이다.만약 생활 조건이 유전성에 부합하면 유전성은 변하지 않고 보존된다. 그러나 생활 조건이 유전성에 맞지 않거나 부족하면 유전자는 돌연변이를 일으켜 변화된 형태로 남게 된다. 이처럼 획득 형질은 생활 조건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적응하고, 이러한 변화가 다음 세대로 유전된다고 보았다. 미추린은 특히 무성교잡을 중요하게 생각했는데, 생활 조건의 변화를 통해 생물체가 특정 방향으로 변이를 일으키고, 이렇게 얻어진 획득 형질이 유전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배아줄기세포와 수태작용 역시 모두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강조했다.[5] 미추린은 유전 현상을 개체 발생의 자연적인 과정 및 외부 환경의 영향과 연관 지어 연구했으며, 우성(優性)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우성이 유전, 개체 발생, 초기 세포 구조의 계통 발생뿐만 아니라, 잡종의 개별 특징과 재배 조건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증명하려 했다. 그의 연구는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유전자형이 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3. 3. 배아 줄기 세포와 수태 작용
미추린은 생물체가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유전성은 선조가 경험한 생활 조건들의 총합이라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관점을 확장하여 배아 줄기 세포의 발달 과정과 수태 작용 역시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5]참조
[1]
학술지
Ivan V. Michurin: On the 16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e Russian Burbank
https://www.research[...]
[2]
백과사전
ミチューリン【Ivan Vladimirovich Michurin】1855‐1935
https://kotobank.jp/[...]
世界大百科事典
[3]
백과사전
ミチューリン Michurin,Ivan Vladimirovich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4]
사전
ミチューリン【Ivan Vladimirovich Michurin】
http://kotobank.jp/w[...]
デジタル大辞泉
[5]
저널
中華人民共和國 건설 초기 과학계의 사상투쟁 -樂天宇의 미추린학설 수용을 중심으로-
https://www.kci.go.k[...]
중국사학회
202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