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철 (189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철은 1893년 충청남도 청양에서 태어나 메이지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제강점기에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보 등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해방 후 정계에 진출하여 제2, 5, 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체신부 장관과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 1965년부터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으며, 197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양군 출신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청양군 출신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 권중돈
권중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무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민주당, 신민당 등 야당에서 활동하며 5선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체신부 장관 - 이우재 (1934년)
이우재(1934년)는 육군 준장으로 예편 후 정치, 기업, 체육 분야에서 활동하며, 제11대 국회의원, 한국전기통신공사 초대 사장, 체신부 장관, 대한사격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체신부 장관 - 장기영 (1903년)
장기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제헌 국회의원, 외무부 차관보, 체신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측근으로 활동하다 결별 후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이상철 (1893년)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경주 이씨 |
생애 | |
출생 | 1893년 |
사망 | 1986년 |
학력 | |
최종 학력 | 일본 메이지 대학 법학부 졸업 |
경력 | |
직업 | 제2대, 제6대 국회의원 변호사 |
정당 | |
소속 정당 | 대한독립촉성회 자유당 민주공화당 |
2. 생애
이상철은 1893년 충청도 청양(현 충청남도청양군)에서 출생하였다.[2] 일본의 메이지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제강점기에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보에서 사회부, 정치부 기자로 활동했다.[2]
해방 후 정계에 진출하여,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청양군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1957년, 민주당의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었고,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청양군·홍성군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체신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2]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 당 공천으로 청양군·홍성군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1965년부터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2] 1967년에 은퇴했다.[3] 1969년부터 신민당 고문이 되었다.[2]
1979년 11월 27일, 서울특별시서대문구 자택에서 병사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언론 활동 (1893~1945)
이상철은 1893년 충청도 청양(현 충청남도청양군)에서 출생하였다.[2] 일본의 메이지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제강점기에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보에서 사회부, 정치부 기자로 활동했다.[2]2. 2. 정치 활동 (1945~1979)
해방 후 정계에 진출하여, 1950년의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청양군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1957년, 민주당의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었고, 1960년의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청양군·홍성군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체신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2]。1963년의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 당 공천으로 청양군·홍성군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1965년부터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2]。1967년에 은퇴했다.[3] 1969년부터 신민당 고문이 되었다.[2]。2. 2.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
이상철은 1950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당시 혼란스러웠던 정치 상황 속에서, 이상철은 지역 기반과 개인적인 인지도를 바탕으로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했던 그의 이력은 유권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며, 특히 민주당 지지 성향이 강한 지역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는데 유리하게 작용했다.2. 2. 2. 민주당 활동과 장관 역임 (1955~1963)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요약에 해당하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2. 2. 3. 제6대 국회의원 선거와 국회 부의장 (1963~1967)
이상철은 1963년 11월 26일에 실시된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들을 누르고 당선되었다.2. 3. 사망 (1979)
3.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48년 | 총선 | 무소속 | 10,085표 (31.38%) | 2위 | 낙선 | |
1950년 | 총선 | 무소속 | 10,187표 (100.00%) | 1위 | 당선 | 초선 |
1954년 | 총선 | 무소속 | 7,719표 (21.36%) | 2위 | 낙선 | |
1958년 | 총선 | 민주당1955 | 17,569표 (49.21%) | 2위 | 낙선 | |
1960년 | 총선 | 민주당1955 | 23,994표 (64.26%) | 1위 | 당선 | 재선 |
1963년 | 총선 | 국민의당1963 | 26,864표 (38.63%) | 1위 | 당선 | 3선 |
참조
[1]
웹사이트
(6)경주 이씨(慶州李氏)-1,424,866명
http://www.seoulecon[...]
2014-07-06
[2]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07-21
[3]
뉴스
이상철옹 별세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1979-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