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수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수영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99년 데뷔하여 발라드 가수로 활동하며, 독특한 음색과 뛰어난 가창력으로 많은 인기를 얻었다. 1집 《I Believe》를 시작으로 《Never Again》, 《made in winter》, 《my stay in sendai》, 《This Time》, 《The Colors of My Life》 등 여러 앨범을 발표하며,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라디오 DJ로도 활동했으며, 결혼 후에도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루프린트 뮤직 소속 - 박정현
    박정현은 1998년 데뷔한 재미교포 출신 가수로, 컬럼비아 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나는 가수다》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정자중학교 동문 - 카리나 (가수)
    카리나는 2000년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에스파의 리더이며, 2020년 데뷔 후 "Black Mamba", "Next Level" 등의 히트곡을 발표했고, 음악 활동 외에도 MC, 방송 출연, 앰배서더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정자중학교 동문 - 홍석
    홍석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며, 보이 그룹 펜타곤의 멤버로서, YG 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시절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출연 후 큐브 엔터테인먼트에서 펜타곤으로 데뷔하여, 펜타곤 활동과 더불어 드라마, 웹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과 예능 프로그램 출연도 병행하고 있다.
이수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이지연
출생일1979년 4월 12일
출생지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직업가수
장르K-pop
발라드
활동 시기1999년 ~ 현재
종교개신교(초교파)
배우자# (템플릿 제거 필요) 정보 추출 불가, 제거
가족아들 조민제
레이블뉴에라 프로젝트
소속사뉴에라 프로젝트
웹사이트이수영 트위터
이수영팬카페 크리스탈
스테이지 이름이수영
한글이수영
한자李秀英
로마자 표기I Su-yeong
출생 당시 한글이지연
출생 당시 한자李知姸
출생 당시 로마자 표기I Ji-yeon

2. 생애

1979년 4월 12일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태어났다.[31]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를 다니던 도중에 경기 분당으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남은 어린 시절을 보냈다. 9살 되던 해에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난 뒤, 어머니는 세 자녀를 키우기 위해 식당 일, 우유 배달 등을 하며 생계를 꾸려나갔다. 그 와중에 그녀는 CCM 행사에서 개신교를 접하게 되었고,[31] 이후 한동안 교내 친구들을 상대로 전도활동에 전념하였다.[32] 그러나, 어머니마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면서, 어머니에게 많이 의지했던 이수영은 자신이 믿던 개신교를 잠시나마 포기할 정도로 매우 절망했다고 한다.[34]

이와는 별개로, 이수영은 17살 때 MBC 라디오 프로그램인 별이 빛나는 밤에의 장기자랑 코너에서 장원을 수상했다. 18살에는 머라이어 캐리 등의 노래를 불러서 만든 데모 테잎을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에 보냈고, 합격하여 본격적인 보컬 트레이닝이 시작되었다.[35] 이가기획의 사장 이도형은 이수영이 다양한 분야의 가창법을 트레이닝 받도록 시켰으며, "10시간 보컬 연습 10시간 안무 연습 4시간 취침"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강도높은 연습을 했다.[35] 트레이닝 막바지에 이도형은 이수영의 음색이 댄스 가수와 맞지 않다며 발라드 가수로 데뷔시켰다. 1995년 7월 MBC-Radio '별이 빛나는 밤에' 자랑대회에서 대상을 받았다.

1999년 10월 8일에 발매된 이수영의 데뷔 앨범인 정규 1집 《I Believe》의 타이틀곡 〈I Believe〉는 오리엔탈 발라드 곡으로 각종 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후속곡 〈Good Bye My Love〉로 활동하였다.[28] 데뷔 앨범은 독특한 음색과 가창력으로 24만 장의 앨범 판매량과 4개월간 지상파 TV·라디오 최다 방송, 영상·음원 최다 다운로드, 지상파 TV 3사(순위 프로그램) 최장 기간 랭크인 등의 기록을 세웠다.

2001년 2월 2일에 발매된 정규 2집 《Never Again》의 타이틀 곡 〈Never Again〉은 웅장한 오케스트라 세션이 동원된 곡이다. 후속곡 〈스치듯 안녕〉은 타이틀곡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 앨범 활동 중 이수영은 갑작스럽게 쓰러졌으나, 소속사의 강행군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2집 활동을 조기에 마무리했다.

2001년 12월 11일 발매된 세 번째 정규 앨범 《made in winter》는 현악기 세션을 최대한 자제한 앨범으로, 타이틀곡 〈그리고 사랑해〉는 〈라라라〉와 함께 팬들에게 이수영 노래들 가운데 최고의 명곡으로 꼽힌다. 3집 활동에서는 예능 프로그램 출연을 통해 홍보를 강화, 연변 사투리 개인기로 많은 사랑을 받았고, MBC 예능 프로그램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코너 〈게릴라 콘서트〉에 출연하여 대중에게 이미지를 각인시켰다.[36] 청룽과 듀엣곡을 녹음하며 동남아시아 프로모션도 진행했으나, 이후 활동은 없었다. 후속곡 〈차라리〉로 활동하던 중 MBC 라디오 프로그램 《감성시대》를 진행했으며, 2002년 6월 월드컵 개막과 동시에 3집 활동을 마무리했다.

2001년에는 ''파이널 판타지 X''의 수록곡 "Suteki Da Ne"의 한국어 버전인 "얼마나 좋을까"를 불렀다. 데뷔 초에는 앨범 재킷이나 뮤직비디오를 일본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았고, 일본 곡을 커버하기도 했다. ("혼자 맞이하는 겨울"(히로세 코미의 "DEAR...again"), "굿바이"(ZARD의 "GOOD DAY"), "얼마나 좋을까"(RIKKI의 "素敵だね"), "끝한국어"(안전지대의 "와인 레드의 마음"), "첫사랑의 그 아이"(THE ALFEE의 "ROCKDOM -風に吹かれて-") 등.)

2002년 4월, MBC는 봄 개편을 통해 이수영을 MBC 표준FM 《감성시대》의 DJ로 발탁했다. 이수영은 2002년 4월 2일부터 2003년 3월 10일까지 진행하였다. 이후 그룹 UN의 최정원에게 DJ 자리를 물려주었다.

이수영은 일본 비디오게임 《파이널 판타지 X》의 OST 수록곡 〈素敵だね〉(스테키다네)를 〈얼마나 좋을까〉로 번안하여 불렀다. 이 곡은 게임 유저들에게 이수영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2002년 9월 16일, 정규 4집 《my stay in sendai》가 발매되었다. 이수영은 앨범 활동과 DJ 활동을 병행하며 앨범 홍보에 도움을 받았다. 타이틀곡 〈라라라〉로 SBS 인기가요에서 첫 1위를 수상하며 눈물을 흘렸다. 후속곡 〈빚〉도 인기를 얻어 1위를 기록했다. 4집은 역대 앨범 중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고, 연말 시상식에 처음으로 참석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3년 1월, 4.5집 스페셜 앨범 《Sweet Holiday in Lombok》을 발매, ZARD의 곡인 〈GOOD DAY〉를 리메이크한 〈굿바이〉로 활동했다.

2003년 8월 21일, 정규 5집 《this time》이 발매되었다. 타이틀 곡 〈덩그러니〉와 후속곡 〈여전히 입술을 깨물죠〉로 활동했다. 그 해 연말, MBC 10대 가수가요제에서 최희준이 시상・발표한 최고 인기가수상을 수상했다. 이효리의 수상이 예상되었던 상황에서 이수영은 본인이 수상했다는 사실에 눈물을 흘렸다.

5집 활동을 마친 이수영은 휴식기에 들어갔다. 소속사가 이미 일본 진출을 선언한 터라[37] 다른 작업은 할 수 없었다. 공백기 동안 이수영은 리메이크 앨범 《Classic the remake》를 발매하고 이문세의 〈광화문 연가〉를 리메이크해 첫 싱글로 내세웠다. 이 앨범은 CD와 테이프의 판매 비율이 거의 비슷한 경우에 속해 기존 음반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유례없는 기현상을 보였다. 앨범이 발매되는 휴식기동안 이수영은 여행을 통해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고 귀국했다.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은 이수영의 일본 진출을 오래 전부터 계획해왔다. 2004년 5월 소속사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와 정규앨범 1장, 싱글앨범 2장 발매를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일본 진출을 감행했다. 일부 언론의 기사에서 '일본 시장에서 성공할 때까지 돌아오지 않겠다'라는 각오를 보여주기도 했다.[38] 그러나, 일본에서 발매한 싱글 〈사이고노 와가마마 (最後の我がまま)〉는 오리콘 차트 125위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일본 활동은 씁쓸하게 마무리되었다.

이어서 나온 6집 《The Colors of My Life》는 전체적으로 듣기 편안한 음악들로 이루어졌고 이는 이수영이 지향하는 음악이기도 하다. 그러나 6집에 대한 대중들의 평은 전 앨범들에 비해 그리 좋지 못한 편이었다. 하지만 앨범 판매량에 있어서는 2004년 9월 10일에 발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2월까지 34만장의 판매고를 올려 그 해 앨범판매량 3위를 차지했다. 2위 또한 이수영의 앨범인 《Classic the remake》였다. 6집 활동에서 소속사인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은 각종 예능 프로그램의 크레딧타임에 타이틀 곡 〈휠릴리〉의 뮤직비디오를 방영시켰다. 이수영은 연말 시상식 가운데 제19회 골든디스크상에서 대상을 수상했으며, 《MBC 10대 가수 가요제》에서도 가요대상을 2년 연속 수상했다. 이수영은 2005년 1월 1일을 기해 6집 활동을 마무리지었다.

이수영이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과의 계약이 만료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각 언론들은 그녀의 행보에 주목했다. 한편 이수영은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 주최 아래 진행되는 공연 가운데 ‘톡톡콘서트’라는 공연이 있다는 사실을 공연 3일 전에 알게 되었다. 그 전까지 이수영은 미국으로 떠나 친구 박경림과 생활하던 중이어서 준비 한번 된 적 없는 공연이 제대로 되었을 리 없었다. 이 때문에 톡톡콘서트에서의 반주는 모두 MR을 사용했고 노래 또한 5곡만 불렀으며 주로 이야기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공연 마지막에 이수영은 이 공연에 대한 사실을 이야기하면서 이 공연이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과의 마지막 일이라고 밝혔다.

당시 이수영의 소속사였던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은 이수영이 미국에 있을 때 그녀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6.5집 및 스페셜 앨범 《As Time Goes By》를 발매했다. 첫 번째 싱글은 〈꽃들은 지고〉였으며, 계약이 끝난 상황에서도 이수영이란 이름과 음원들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소속사 측에서의 홍보 수단으로 전락하였다. 이로 인해 2005년 4월까지 휴식을 취한 이수영은 소속사를 옮길 목적을 가지게 되었고, 4월 22일에 리쿠드엔터테인먼트와 3년간 정규 앨범 3장, 비정규 앨범 2장 발매의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했다.

이수영이 새 소속사를 확정짓기 전의 후보로는 신나라레코드와 리쿠드엔터테인먼트가 물망에 떠올랐는데 이수영은 신생기획사인 리쿠드엔터테인먼트를 택했다. 그곳은 직원 전원이 개신교 신자로서 그 점이 그 곳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후에 밝혔다. 계약 체결 후 미국으로 떠났는데 그곳에서 한인 축제 행사 등에 참여한 뒤 이수영은 보컬 트레이닝에 임했다. 미국의 보컬 트레이너는 이수영에게 "당신은 흑인이 아니라서 절대 흑인의 목소리를 낼 수 없다"며 창법이나 음색을 바꾸려 하지 말고 더욱 발전 시킬 것을 조언했다. 한 달여 간의 트레이닝을 마친 이수영은 국내로 귀국하여 팬들과 만남을 계획해 2005년 7월 30일, 경기도 안성시에서 데뷔 후 처음으로 팬들과 팬미팅 겸 캠프 행사를 가졌다. 이 날 이수영은 팬들에게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토해내며 마지막으로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에서 추가로 발매할 3장의 앨범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것은 자신의 앨범이 아니며 꼭 7집만을 사랑해 달라고 부탁했다. 10월에 발매 예정이었던 7집이 이듬 해로 연기되면서 이수영은 또 다시 약 6개월간의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

2006년 1월 21일, 이수영은 정규 7집 앨범 《Grace》를 발매했다. 앨범 발매 한 달 만에 타이틀 곡 〈Grace〉는 방송횟수 1000회를 돌파하였고, SBS 인기가요에서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MBC FM4U의 라디오 프로그램 정오의 희망곡에서는 7주간 1위를,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 벅스뮤직에서는 8주간 1위를 기록했다. 이 앨범은 차트 정상에 바로 오르는 등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3만장 한정판 리패키지 앨범이 발매되기도 했다. 7집 제작에는 일본 아티스트 가스야 요코가 참여했다. 이수영은 이미지 변신을 위해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했다. 후속곡 〈시린〉으로 활동하던 이수영은 하반기 앨범 작업과 국내외 공연 일정으로 2006년 4월 9일 7집 활동을 마감했다.

2006년 7월 말, 소속사 리쿠드엔터테인먼트와 이수영 간의 불화설이 불거졌다. 리쿠드엔터테인먼트는 이수영에게 계약금을 지급하지 않고, 이수영의 매니저팀을 전원 해고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으며, 이수영의 동의 없이 전국투어 콘서트 일정을 일방적으로 체결하는 등 불성실한 계약 이행을 했다. 이수영은 소속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리쿠드엔터테인먼트는 이수영을 맞고소했다. 분쟁은 2007년 1월 양측이 이수영의 전속 계약금 10억원 중 2억 1000만원을 리쿠드엔터테인먼트가 반환하는 것으로 합의하며 종결되었다. 이후 이수영은 해브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으나, 소속사 경영에는 참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소속사 문제를 해결한 후, 이수영은 2007년 9월 11일 8집 앨범 《내려놓음》을 발매했다. 타이틀곡 〈단발머리〉는 기타아이리쉬 휘슬 전주가 특징이며, 경쾌한 멜로디에 이별 후 여성의 마음을 표현한 가사를 담았다. 8집은 발매와 동시에 각종 음반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고, 지상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전 앨범보다는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11월 22일에는 8집 리패키지를 발매하고, 타이틀곡 〈남자를 모르고〉로 활동을 이어갔다. 한편, 이수영은 가까운 친구인 박경림, 김유미, 서민정의 결혼식에서 자신의 새 앨범 수록곡 "Lavender"를 불렀다.

2008년 11월 13일 이수영은 생애 첫 번째 미니 앨범 《Once》를 발매하고, 타이틀곡 〈이런 여자〉로 활동했다. 이 곡은 그제껏 해왔던 이수영표 발라드와는 다른 대중성이 강한 오리지널 발라드곡이었다. 하지만, 이 앨범은 8집 이후 처음으로 차트진입에 실패하였고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이후 별다른 후속곡 없이 2개월만에 첫 미니앨범 활동을 마무리 하였다.

2009년 10월 21일에는 정규 9집 《DAZZLE》이 발매되었다. 원래의 9집 발매 계획은 2009년 봄이었으나, 연기자 데뷔 작품인 드라마 《그저 바라보다가》로 인해 계획보다 늦게 발매되었다.[39] 타이틀 곡인 〈내 이름 부르지 마〉는 다소 복고적인 리듬에 세련된 멜로디를 가미하여 팝의 느낌을 살린 이수영표 발라드의 끝을 보는 대체로 편안한 분위기의 노래이다.[39] 9집에는 총 12개의 트랙이 있는데 타이틀을 포함한 신곡이 10개 트랙이며 나머지 두 개 트랙은 첫 번째 미니앨범 《Once》의 수록곡이었던 〈이런 여자〉와 〈첫사랑 그아이〉이다.[39] 신곡을 살펴보면 기존에 여러 차례 선보였던 웅장한 사운드의 발라드 〈아이예〉와 탱고의 느낌을 빌려온 동시에 은유적 가사가 두드러지는 〈Five Of Swords〉, 일렉트로니카를 차용한 〈Wake up〉 등의 곡들을 통해 매우 다양한 시도를 했음을 알 수 있다.[39]

이수영은 2010년 4월 19일부터 KBS 2FM 《이수영의 뮤직쇼》의 DJ로 활동하기 시작했다.[6]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진행한 《감성시대》 이후 라디오 DJ에 대한 열망을 보였던 이수영은, 해당 자리를 통해 열정적이고 즐겁게 진행하며 입지를 굳혔다. 《이수영의 뮤직쇼》는 방송 3사를 통틀어 청취율 상위권에 랭크되었다. 이수영은 자신이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결혼 소식을 알렸으며, 2010년 10월 5일 교회 지인을 통해 만난 10살 연상의 회사원 조재희 씨와 결혼하였다.[6]

결혼 후에도 《이수영의 뮤직쇼》 DJ로 활동하던 중, 2011년 2월 23일 임신 소식이 알려졌고, 팬들과 청취자들의 축하를 받았다. 이후에도 DJ 활동을 이어갔으나, 라디오 진행 1주년을 일주일 앞둔 4월 10일, 태교와 출산에 전념하기 위해 하차하였다. 2011년 7월 27일 아들을 출산했다.[7]

2012년 5월 6일부터 이수영은 MBC 《나는 가수다 시즌2》를 통하여 3년 만에 TV 방송에 복귀하였다. 2013년 2월 19일부터 2017년까지는 SBS MTV에서 《더 스테이지 빅 플레저》의 MC를 맡았으며, 2013년 3월 28일 《클래식 : 더 리메이크 두번째》를 발매하며 약 4년 만에 앨범을 발매했다. 그 이후에 《히든싱어》에 출연하여 최종우승을 차지하기도 하였고, 《불후의 명곡》에도 출연하는 등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다.

2. 1. 1979년 ~ 1998년 : 어린 시절 및 초기 활동

이수영은 1979년 4월 12일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태어났다.[31]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를 다니던 도중에 경기 분당으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남은 어린 시절을 보냈다. 9살 되던 해에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난 뒤, 어머니는 세 자녀를 키우기 위해 식당 일, 우유 배달 등을 하며 생계를 꾸려나갔다. 그 와중에 그녀는 CCM 행사에서 개신교를 접하게 되었고,[31] 이후 한동안 교내 친구들을 상대로 전도활동에 전념하였다.[32] 그러나, 어머니마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면서, 어머니에게 많이 의지했던 이수영은 자신이 믿던 개신교를 잠시나마 포기할 정도로 매우 절망했다고 한다.[34]

이와는 별개로, 이수영은 17살 때 MBC 라디오 프로그램인 별이 빛나는 밤에의 장기자랑 코너에서 장원을 수상했다. 18살에는 머라이어 캐리 등의 노래를 불러서 만든 데모 테잎을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에 보냈고, 합격하여 본격적인 보컬 트레이닝이 시작되었다.[35] 이가기획의 사장 이도형은 이수영이 다양한 분야의 가창법을 트레이닝 받도록 시켰으며, "10시간 보컬 연습 10시간 안무 연습 4시간 취침"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강도높은 연습을 했다.[35] 트레이닝 막바지에 이도형은 이수영의 음색이 댄스 가수와 맞지 않다며 발라드 가수로 데뷔시켰다. 1995년 7월 MBC-Radio '별이 빛나는 밤에' 자랑대회에서 대상을 받았다.

2. 2. 1999년 ~ 2001년 : I Believe, Never Again, Made in Winter

1999년 10월 8일에 발매된 이수영의 데뷔 앨범인 정규 1집 《I Believe》의 타이틀곡 〈I Believe〉는 오리엔탈 발라드 곡으로 각종 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후속곡 〈Good Bye My Love〉로 활동하였다.[28] 데뷔 앨범은 독특한 음색과 가창력으로 24만 장의 앨범 판매량과 4개월간 지상파 TV·라디오 최다 방송, 영상·음원 최다 다운로드, 지상파 TV 3사(순위 프로그램) 최장 기간 랭크인 등의 기록을 세웠다.

2001년 2월 2일에 발매된 정규 2집 《Never Again》의 타이틀 곡 〈Never Again〉은 웅장한 오케스트라 세션이 동원된 곡이다. 후속곡 〈스치듯 안녕〉은 타이틀곡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 앨범 활동 중 이수영은 갑작스럽게 쓰러졌으나, 소속사의 강행군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2집 활동을 조기에 마무리했다.

2001년 12월 11일 발매된 세 번째 정규 앨범 《made in winter》는 현악기 세션을 최대한 자제한 앨범으로, 타이틀곡 〈그리고 사랑해〉는 〈라라라〉와 함께 팬들에게 이수영 노래들 가운데 최고의 명곡으로 꼽힌다. 3집 활동에서는 예능 프로그램 출연을 통해 홍보를 강화, 연변 사투리 개인기로 많은 사랑을 받았고, MBC 예능 프로그램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코너 〈게릴라 콘서트〉에 출연하여 대중에게 이미지를 각인시켰다.[36] 청룽과 듀엣곡을 녹음하며 동남아시아 프로모션도 진행했으나, 이후 활동은 없었다. 후속곡 〈차라리〉로 활동하던 중 MBC 라디오 프로그램 《감성시대》를 진행했으며, 2002년 6월 월드컵 개막과 동시에 3집 활동을 마무리했다.

2001년에는 ''파이널 판타지 X''의 수록곡 "Suteki Da Ne"의 한국어 버전인 "얼마나 좋을까"를 불렀다. 데뷔 초에는 앨범 재킷이나 뮤직비디오를 일본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았고, 일본 곡을 커버하기도 했다. ("혼자 맞이하는 겨울"(히로세 코미의 "DEAR...again"), "굿바이"(ZARD의 "GOOD DAY"), "얼마나 좋을까"(RIKKI의 "素敵だね"), "끝한국어"(안전지대의 "와인 레드의 마음"), "첫사랑의 그 아이"(THE ALFEE의 "ROCKDOM -風に吹かれて-") 등.)

2. 3. 2002년 ~ 2003년 : My Stay in Sendai, This Time

2002년 4월, MBC는 봄 개편을 통해 이수영을 MBC 표준FM 《감성시대》의 DJ로 발탁했다. 이수영은 2002년 4월 2일부터 2003년 3월 10일까지 진행하였다. 이후 그룹 UN의 최정원에게 DJ 자리를 물려주었다.

이수영은 일본 비디오게임 《파이널 판타지 X》의 OST 수록곡 〈素敵だね〉(스테키다네)를 〈얼마나 좋을까〉로 번안하여 불렀다. 이 곡은 게임 유저들에게 이수영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2002년 9월 16일, 정규 4집 《my stay in sendai》가 발매되었다. 이수영은 앨범 활동과 DJ 활동을 병행하며 앨범 홍보에 도움을 받았다. 타이틀곡 〈라라라〉로 SBS 인기가요에서 첫 1위를 수상하며 눈물을 흘렸다. 후속곡 〈빚〉도 인기를 얻어 1위를 기록했다. 4집은 역대 앨범 중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고, 연말 시상식에 처음으로 참석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3년 1월, 4.5집 스페셜 앨범 《Sweet Holiday in Lombok》을 발매, ZARD의 곡인 〈GOOD DAY〉를 리메이크한 〈굿바이〉로 활동했다.

2003년 8월 21일, 정규 5집 《this time》이 발매되었다. 타이틀 곡 〈덩그러니〉와 후속곡 〈여전히 입술을 깨물죠〉로 활동했다. 그 해 연말, MBC 10대 가수가요제에서 최희준이 시상・발표한 최고 인기가수상을 수상했다. 이효리의 수상이 예상되었던 상황에서 이수영은 본인이 수상했다는 사실에 눈물을 흘렸다.

2. 4. 2004년 ~ 2005년 : 일본 진출, The Colors of My Life

5집 활동을 마친 이수영은 휴식기에 들어갔다. 소속사가 이미 일본 진출을 선언한 터라[37] 다른 작업은 할 수 없었다. 공백기 동안 이수영은 리메이크 앨범 《Classic the remake》를 발매하고 이문세의 〈광화문 연가〉를 리메이크해 첫 싱글로 내세웠다. 이 앨범은 CD와 테이프의 판매 비율이 거의 비슷한 경우에 속해 기존 음반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유례없는 기현상을 보였다. 앨범이 발매되는 휴식기동안 이수영은 여행을 통해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고 귀국했다.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은 이수영의 일본 진출을 오래 전부터 계획해왔다. 2004년 5월 소속사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와 정규앨범 1장, 싱글앨범 2장 발매를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일본 진출을 감행했다. 일부 언론의 기사에서 '일본 시장에서 성공할 때까지 돌아오지 않겠다'라는 각오를 보여주기도 했다.[38] 그러나, 일본에서 발매한 싱글 〈사이고노 와가마마 (最後の我がまま)〉는 오리콘 차트 125위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일본 활동은 씁쓸하게 마무리되었다.

이어서 나온 6집 《The Colors of My Life》는 전체적으로 듣기 편안한 음악들로 이루어졌고 이는 이수영이 지향하는 음악이기도 하다. 그러나 6집에 대한 대중들의 평은 전 앨범들에 비해 그리 좋지 못한 편이었다. 하지만 앨범 판매량에 있어서는 2004년 9월 10일에 발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2월까지 34만장의 판매고를 올려 그 해 앨범판매량 3위를 차지했다. 2위 또한 이수영의 앨범인 《Classic the remake》였다. 6집 활동에서 소속사인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은 각종 예능 프로그램의 크레딧타임에 타이틀 곡 〈휠릴리〉의 뮤직비디오를 방영시켰다. 이수영은 연말 시상식 가운데 제19회 골든디스크상에서 대상을 수상했으며, 《MBC 10대 가수 가요제》에서도 가요대상을 2년 연속 수상했다. 이수영은 2005년 1월 1일을 기해 6집 활동을 마무리지었다.

이수영이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과의 계약이 만료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각 언론들은 그녀의 행보에 주목했다. 한편 이수영은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 주최 아래 진행되는 공연 가운데 ‘톡톡콘서트’라는 공연이 있다는 사실을 공연 3일 전에 알게 되었다. 그 전까지 이수영은 미국으로 떠나 친구 박경림과 생활하던 중이어서 준비 한번 된 적 없는 공연이 제대로 되었을 리 없었다. 이 때문에 톡톡콘서트에서의 반주는 모두 MR을 사용했고 노래 또한 5곡만 불렀으며 주로 이야기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공연 마지막에 이수영은 이 공연에 대한 사실을 이야기하면서 이 공연이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과의 마지막 일이라고 밝혔다.

당시 이수영의 소속사였던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은 이수영이 미국에 있을 때 그녀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6.5집 및 스페셜 앨범 《As Time Goes By》를 발매했다. 첫 번째 싱글은 〈꽃들은 지고〉였으며, 계약이 끝난 상황에서도 이수영이란 이름과 음원들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소속사 측에서의 홍보 수단으로 전락하였다. 이로 인해 2005년 4월까지 휴식을 취한 이수영은 소속사를 옮길 목적을 가지게 되었고, 4월 22일에 리쿠드엔터테인먼트와 3년간 정규 앨범 3장, 비정규 앨범 2장 발매의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했다.

이수영이 새 소속사를 확정짓기 전의 후보로는 신나라레코드와 리쿠드엔터테인먼트가 물망에 떠올랐는데 이수영은 신생기획사인 리쿠드엔터테인먼트를 택했다. 그곳은 직원 전원이 개신교 신자로서 그 점이 그 곳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후에 밝혔다. 계약 체결 후 미국으로 떠났는데 그곳에서 한인 축제 행사 등에 참여한 뒤 이수영은 보컬 트레이닝에 임했다. 미국의 보컬 트레이너는 이수영에게 "당신은 흑인이 아니라서 절대 흑인의 목소리를 낼 수 없다"며 창법이나 음색을 바꾸려 하지 말고 더욱 발전 시킬 것을 조언했다. 한 달여 간의 트레이닝을 마친 이수영은 국내로 귀국하여 팬들과 만남을 계획해 2005년 7월 30일, 경기도 안성시에서 데뷔 후 처음으로 팬들과 팬미팅 겸 캠프 행사를 가졌다. 이 날 이수영은 팬들에게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토해내며 마지막으로 이가기획(팬텀엔터테인먼트)에서 추가로 발매할 3장의 앨범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것은 자신의 앨범이 아니며 꼭 7집만을 사랑해 달라고 부탁했다. 10월에 발매 예정이었던 7집이 이듬 해로 연기되면서 이수영은 또 다시 약 6개월간의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

2. 5. 2006년 ~ 2007년 : Grace, 내려놓음

2006년 1월 21일, 이수영은 정규 7집 앨범 《Grace》를 발매했다. 앨범 발매 한 달 만에 타이틀 곡 〈Grace〉는 방송횟수 1000회를 돌파하였고, SBS 인기가요에서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MBC FM4U의 라디오 프로그램 정오의 희망곡에서는 7주간 1위를,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 벅스뮤직에서는 8주간 1위를 기록했다. 이 앨범은 차트 정상에 바로 오르는 등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3만장 한정판 리패키지 앨범이 발매되기도 했다. 7집 제작에는 일본 아티스트 가스야 요코가 참여했다. 이수영은 이미지 변신을 위해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했다. 후속곡 〈시린〉으로 활동하던 이수영은 하반기 앨범 작업과 국내외 공연 일정으로 2006년 4월 9일 7집 활동을 마감했다.

2006년 7월 말, 소속사 리쿠드엔터테인먼트와 이수영 간의 불화설이 불거졌다. 리쿠드엔터테인먼트는 이수영에게 계약금을 지급하지 않고, 이수영의 매니저팀을 전원 해고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으며, 이수영의 동의 없이 전국투어 콘서트 일정을 일방적으로 체결하는 등 불성실한 계약 이행을 했다. 이수영은 소속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리쿠드엔터테인먼트는 이수영을 맞고소했다. 분쟁은 2007년 1월 양측이 이수영의 전속 계약금 10억원 중 2억 1000만원을 리쿠드엔터테인먼트가 반환하는 것으로 합의하며 종결되었다. 이후 이수영은 해브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으나, 소속사 경영에는 참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소속사 문제를 해결한 후, 이수영은 2007년 9월 11일 8집 앨범 《내려놓음》을 발매했다. 타이틀곡 〈단발머리〉는 기타아이리쉬 휘슬 전주가 특징이며, 경쾌한 멜로디에 이별 후 여성의 마음을 표현한 가사를 담았다. 8집은 발매와 동시에 각종 음반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고, 지상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전 앨범보다는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11월 22일에는 8집 리패키지를 발매하고, 타이틀곡 〈남자를 모르고〉로 활동을 이어갔다. 한편, 이수영은 가까운 친구인 박경림, 김유미, 서민정의 결혼식에서 자신의 새 앨범 수록곡 "Lavender"를 불렀다.

2. 6. 2008년 ~ 2009년 : Once, Dazzle

2008년 11월 13일 이수영은 생애 첫 번째 미니 앨범 《Once》를 발매하고, 타이틀곡 〈이런 여자〉로 활동했다. 이 곡은 그제껏 해왔던 이수영표 발라드와는 다른 대중성이 강한 오리지널 발라드곡이었다. 하지만, 이 앨범은 8집 이후 처음으로 차트진입에 실패하였고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이후 별다른 후속곡 없이 2개월만에 첫 미니앨범 활동을 마무리 하였다.

2009년 10월 21일에는 정규 9집 《DAZZLE》이 발매되었다. 원래의 9집 발매 계획은 2009년 봄이었으나, 연기자 데뷔 작품인 드라마 《그저 바라보다가》로 인해 계획보다 늦게 발매되었다.[39] 타이틀 곡인 〈내 이름 부르지 마〉는 다소 복고적인 리듬에 세련된 멜로디를 가미하여 팝의 느낌을 살린 이수영표 발라드의 끝을 보는 대체로 편안한 분위기의 노래이다.[39] 9집에는 총 12개의 트랙이 있는데 타이틀을 포함한 신곡이 10개 트랙이며 나머지 두 개 트랙은 첫 번째 미니앨범 《Once》의 수록곡이었던 〈이런 여자〉와 〈첫사랑 그아이〉이다.[39] 신곡을 살펴보면 기존에 여러 차례 선보였던 웅장한 사운드의 발라드 〈아이예〉와 탱고의 느낌을 빌려온 동시에 은유적 가사가 두드러지는 〈Five Of Swords〉, 일렉트로니카를 차용한 〈Wake up〉 등의 곡들을 통해 매우 다양한 시도를 했음을 알 수 있다.[39]

2. 7. 2010년 ~ 현재 : 라디오 활동, 결혼, 그리고 새로운 시작

이수영은 2010년 4월 19일부터 KBS 2FM 《이수영의 뮤직쇼》의 DJ로 활동하기 시작했다.[6]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진행한 《감성시대》 이후 라디오 DJ에 대한 열망을 보였던 이수영은, 해당 자리를 통해 열정적이고 즐겁게 진행하며 입지를 굳혔다. 《이수영의 뮤직쇼》는 방송 3사를 통틀어 청취율 상위권에 랭크되었다. 이수영은 자신이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결혼 소식을 알렸으며, 2010년 10월 5일 교회 지인을 통해 만난 10살 연상의 회사원 조재희 씨와 결혼하였다.[6]

결혼 후에도 《이수영의 뮤직쇼》 DJ로 활동하던 중, 2011년 2월 23일 임신 소식이 알려졌고, 팬들과 청취자들의 축하를 받았다. 이후에도 DJ 활동을 이어갔으나, 라디오 진행 1주년을 일주일 앞둔 4월 10일, 태교와 출산에 전념하기 위해 하차하였다. 2011년 7월 27일 아들을 출산했다.[7]

2012년 5월 6일부터 이수영은 MBC 《나는 가수다 시즌2》를 통하여 3년 만에 TV 방송에 복귀하였다. 2013년 2월 19일부터 2017년까지는 SBS MTV에서 《더 스테이지 빅 플레저》의 MC를 맡았으며, 2013년 3월 28일 《클래식 : 더 리메이크 두번째》를 발매하며 약 4년 만에 앨범을 발매했다. 그 이후에 《히든싱어》에 출연하여 최종우승을 차지하기도 하였고, 《불후의 명곡》에도 출연하는 등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다.

3. 학력

4. 수상 경력

이수영은 여러 가요 시상식에서 수상한 경력이 있다. 1994년 MBC 라디오 《별이 빛나는 밤에》 장기자랑에서 장원을 차지했다.[41] 2002년에는 골든 디스크상 본상, KBS 가요대상 본상, SBS 가요대전 본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본상, 코리안 뮤직 어워드 본상,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발라드 음악상을 수상했다.[25] 2003년에는 골든 디스크상 본상, KBS 가요대상 본상, SBS 가요대전 본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10대 가수상 및 최고 인기 가수상, 코리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여자 가수상, 서울가요대상 본상을 수상했다.[26]

2004년에는 골든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고, SBS 가요대전 본상 및 프로듀서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 가수상(2년 연속),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여자 가수상, 서울가요대상 본상을 수상했다.[27] 2007년에는 모바일 연예대상 여자 가수상[41]을 수상했다.

연도수상 내역
1994년MBC 라디오 《별이 빛나는 밤에》 장기자랑 장원
2002년
2003년
2004년
2007년모바일 연예대상 여자 가수상[41]


4. 1. 시상식

이수영은 여러 가요 시상식에서 수상한 경력이 있다. 1994년 MBC 라디오 《별이 빛나는 밤에》 장기자랑에서 장원을 차지했다.[41] 2002년에는 골든 디스크상 본상, KBS 가요대상 본상, SBS 가요대전 본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본상, 코리안 뮤직 어워드 본상,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발라드 음악상을 수상했다.[25] 2003년에는 골든 디스크상 본상, KBS 가요대상 본상, SBS 가요대전 본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10대 가수상 및 최고 인기 가수상, 코리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여자 가수상, 서울가요대상 본상을 수상했다.[26]

2004년에는 골든 디스크 대상을 수상하였고, SBS 가요대전 본상 및 프로듀서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 가수상(2년 연속),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여자 가수상, 서울가요대상 본상을 수상했다.[27] 2007년에는 모바일 연예대상 여자 가수상[41]을 수상했다.

연도수상 내역
1994년MBC 라디오 《별이 빛나는 밤에》 장기자랑 장원
2002년
2003년
2004년
2007년모바일 연예대상 여자 가수상[41]


4. 2. 가요 프로그램 1위

연도수상 내역 (총 17회)
2002년 (총 2회)
2003년 (총 8회)
2004년 (총 5회)
2006년 (총 2회)



2004년에는 골든 디스크 어워드 대상을 수상하였고,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 가수상(대상)을 2년 연속 수상했다.

5. 음반 목록

5. 1. 정규 앨범

배급: 도레미레코드, YBM 서울음반20012집 《Never Again》기획: 이가엔터테인먼트 (이가기획)
배급: 록레코드, YBM 서울음반3집 《made in winter》기획: 이가엔터테인먼트 (이가기획)
배급: YBM 서울음반20024집 《my stay in sendai》20035집 《this time》기획: 이가엔터테인먼트 (이가기획)
배급: 소니 뮤직, YBM 서울음반20046집 《The Colors of My Life》20067집 《grace》기획: 리쿠드엔터테인먼트
배급: 만인에미디어20078집 《내려놓음》기획: 해브엔터테인먼트
배급: 만인에미디어/만월당20099집 《DAZZLE》기획: 티 엔터테인먼트, HNS 엔터테인먼트
배급: KT 뮤직202210집 《SORY》기획: 뉴에라프로젝트
배급: 카카오엔터테인먼트


5. 2. 미니 앨범

2008년 첫 번째 미니 앨범 《Once》를 발매하였고, 2020년에는 두 번째 미니 앨범이자 리메이크 앨범인 《Masque》, 세 번째 미니 앨범이자 리메이크 앨범인 《No. 21》을 발매하였다.

5. 3. 컴필레이션 앨범

2003년 1월 23일, 컴필레이션 앨범 ''Sweet Holiday in Lombok''이 발매되어 대한민국에서 227,636장의 판매고를 올렸다.[19] 이 앨범은 대한민국 음반 차트에서 3위를 기록했다.[17] 2005년 10월 20일에는 일본 컴필레이션 앨범 ''An Autumn Day''가 발매되어 대한민국에서 44,361장이 판매되었으며,[21] 대한민국 음반 차트 7위에 올랐다.[17]

5. 4. 비정규 앨범

5. 5. 참여 앨범

2000년 《이정봉 4집》에 참여하였다.

2000년 《하얀마음 백구 OST》에 참여하였다.

2001년 《드라마 명성황후 OST》에 참여하였다.

2002년 《성룡 夢想的天材》에 참여하였다.

2002년 《영화 묻지마 패밀리 OST》에 참여하였다.

2002년 《Final Fantasy X International OST》에 참여하였다.

2002년 《The Winter》에 참여하였다.

2003년 《장나라와 친구들》에 참여하였다.

2003년 《드라마 장희빈 OST》에 참여하였다.

2003년 《Amazing Christmas》에 참여하였다.

2004년 《LEEJEEHOON 5》에 참여하였다.

2004년 Simply Sunday 싱글 〈사랑해요〉에 참여하였다.

2004년 《new Kpop compilation》에 참여하였다.

2005년 《이 죽일놈의 사랑 OST》에 참여하였다.

2006년 《A Love To Kill(這該死的愛電視原聲帶) OST》에 참여하였다.

2007년 《사랑에 미치다 OST》에 참여하였다.

2008년 《무슨 사랑이 그래요》에 참여하였다.

2009년 《유영석 20주년 기념 앨범》에 참여하였다.

2009년 《내조의 여왕 OST》에 참여하였다.

2010년 《거상 김만덕 OST》에 참여하였다.

2012년 《적도의 남자 OST》에 참여하였다.

2012년 《유령 OST》에 참여하였다.

2012년 《착한 남자 OST》에 참여하였다.

2013년 《장옥정, 사랑에 살다 OST》에 참여하였다.

아웃사이더 싱글앨범 〈슬피 우는 새〉 피쳐링에 참여하였다.

2014년 《러브 인 메모리2 - 아빠의 노트 OST》에 참여하였다.

2019년 《하나뿐인 내편 OST》에 참여하였다.

2020년 《꼰대인턴 OST》에 참여하였다.

2022년 《구필수는 없다 OST》에 참여하였다.

2004년 6월 23일 "Saigo no Wagamama" (마지막 변덕/最後のわがまま일본어)에 참여하였다.

2013년 6월 11일 "Salang Moshae" (당신을 사랑할 수 없어요/사랑 못해한국어) (''내 손을 잡아'' OST Part.26)에 참여하였다.

2020년 3월 3일 "Find Me"에 참여하였다.

6. 방송 활동


연도방송사제목역할비고
2021B tv 케이블힐링 산장 2진행자[23]
2021MBN조선판스타심사위원[24]
2020JTBC투유 프로젝트 슈가맨 3출연자13회 (2020.02.28)
2016SBS판타스틱 듀오출연자11 & 12회 (2016.06.26 & 2016.07.03)
2015MBC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출연자37, 38회 (아프로디테)
2015KBS21 vs 100출연자2015.11.24
2014KBS 월드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출연자2014.08.09
2013JTBC히든싱어출연자5회 - 시즌 1 (2013.03.30)
2009KBS2해피투게더게스트105회 - 시즌 3 (2009.07.16)
2006SBSX맨게스트118 ~ 126회


6. 1. 출연 및 진행 프로그램

이수영은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거나 진행을 맡았다. 2002년 MBC목표달성! 토요일 - 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 2기, 3기에 출연했고, 2006년에는 SBS 《'''X맨 - 일요일이 좋다'''》 57기에 출연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SBS 《신동엽, 이수영의 음악공간》을 진행했다.

2009년에는 KBS 드라마휴먼네트워크 슈퍼주니어의 미라클》을 박경림, 이특, 강인, 신동, 은혁과 공동 진행했고,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2009년, 2012년, 2020년 출연했다. 2012년에는 MBC 《우리들의 일밤 나는 가수다 2》에 출연했고, 2012년부터 2013년까지 KBS2 《내 생애 마지막 오디션》을 진행했다.

2013년, 2015년, 2020년 JTBC히든싱어》, 2013년 SBS 《도전 1000곡》, 2013년부터 2017년까지 SBS MTV 《더 스테이지 빅 플레저》, 2013년, 2014년, 2018년, 2019년 KBS2 《불후의 명곡-전설을 노래하다》에 출연했다.

2015년과 2022년, 2023년에는 MBC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에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 및 패널로 출연했고, 2015년과 2017년에는 KBS2 《1대 100》에 출연했다. 2016년 SBS판타스틱 듀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TV조선 《알콩달콩》, 2020년부터 2021년까지 O'live 《슬기로운 생활》, 2021년 MBN 《조선판스타》,[24] 2021년 SK B tv 《힐링산장 2》,[23] 2022년 MBN 《아트싱어》, 2022년 채널S 《다시 갈 지도》, 2022년 JTBC 《뉴페스타》, 2022년 채널A 《배우는 캠핑짱》, 2022년, 2023년 OGN 《우리 아이 게임 사용 설명서》, 2023년부터 현재까지 JTBC 《TV정보쇼 알짜왕》에 출연 및 진행을 맡고 있다.

드라마와 영화에도 출연했는데, 2009년 KBS2 드라마 ''그저 바라보네''에서 조승은 역, 2010년 영화 ''퀴즈 쇼 스캔들''에서 라디오 가수 역을 맡았다.

6. 2. 라디오 DJ

이수영은 여러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DJ로 활동했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MBC 표준FM에서 《감성시대》를 진행했다. 2010년부터 2011년까지는 KBS 쿨FM에서 《이수영의 뮤직쇼》를 진행했다. 2017년부터 현재까지 CBS 음악FM에서 《12시에 만납시다》의 DJ를 맡고 있다.

7. 가수 외 활동

7. 1. 홍보대사

2002년 11월 한국어린이보호재단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2005년에는 한민족복지재단 홍보대사, 2007년 5월에는 월드투게더 홍보대사, 2007년 8월에는 한국환경기술진흥원 홍보대사, 2007년 12월에는 국가인권위원회 홍보대사, 2008년 11월에는 인터넷 문화협회 홍보대사, 2010년 밀알복지재단 홍보대사, 2017년 상담의 날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이수영 소개 http://www.mnet.com/[...] 2018-05-18
[2] 뉴스 Singer Lee Soo-Young continues 'long journey' http://english.donga[...] 2001-02-20
[3] 뉴스 Lee Soo-young: A Rare Success Story http://english.chosu[...] 2005-01-13
[4] 간행물 Asian Talents Make Big Strides https://books.google[...] 2004-12-25
[5] 웹사이트 Lee to Sing New Song at Seo's Wedding Sat. http://english.kbs.c[...] 2007-09-13
[6] 웹사이트 수줍은 신부 이수영, 털털했던 모습은 어디 갔나? http://sports.chosun[...] 2010-10-05
[7] 뉴스 Lee Soo-young Gives Birth to Baby Boy http://english.chosu[...] 2011-07-29
[8] 웹사이트 K-Pop Album Sales Volume http://riak.or.kr/c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7
[8] 웹사이트 'I Believe' charting http://riak.or.kr/ch[...] 2018-05-18
[8] 웹사이트 'Never Again' charting http://riak.or.kr/ch[...]
[8] 웹사이트 'Made In Winter' charting http://www.miak.or.k[...] 2020-09-22
[8] 웹사이트 'My Stay In Sendai' charting http://www.miak.or.k[...] 2020-09-22
[8] 웹사이트 'This Time' charting http://www.miak.or.k[...] 2020-09-22
[8] 웹사이트 'The Colors Of My Life' charting http://www.miak.or.k[...] 2020-09-22
[8] 웹사이트 'Grace' charting http://www.miak.or.k[...] 2018-08-27
[8] 웹사이트 'Set It Down' charting http://www.miak.or.k[...] 2020-09-22
[8] 웹사이트 'Sory' – Week 21, 2022 http://gaonchart.co.[...] 2022-05-26
[9] 웹사이트 March 2000 K-pop Album Sales Volume http://riak.or.kr/c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7
[10] 웹사이트 May 2001 K-pop Album Sales Volume http://riak.or.kr/c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7
[11] 웹사이트 August 2002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m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7
[12] 웹사이트 February 2003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m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7
[13] 웹사이트 2003 K-pop Album Sales Volume http://riak.or.kr/c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8
[14] 웹사이트 December 2004 K-pop Album Sales Volume http://miak.or.kr:80[...]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7
[15] 웹사이트 June 2006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m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7
[16] 웹사이트 November 2007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m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7
[17] 웹사이트 K-Pop Album Sales Volume http://riak.or.kr/c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22
[17] 웹사이트 'Thank Her' charting http://www.riak.or.k[...] 2018-05-22
[17] 웹사이트 'Sweet Holiday in Lombok' charting http://www.miak.or.k[...] 2019-07-24
[17] 웹사이트 'Classic: The Remake Album' charting http://www.riak.or.k[...] 2018-05-22
[17] 웹사이트 'An Autumn Day' charting http://www.miak.or.k[...] 2019-07-24
[18] 웹사이트 September 2001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r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22
[19] 웹사이트 January 2004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m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22
[20] 웹사이트 2004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r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22
[21] 웹사이트 January 2001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m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22
[22] 웹사이트 이수영, 오늘(2일) '구필수는 없다' OST '시간의 표정' 발매 https://entertain.na[...] iMBC 2022-06-02
[23] 웹사이트 힐링산장2' 이수영-허경환 합류, MC 전광렬과 호흡(공식) https://entertain.na[...] 2021-10-09
[24] 뉴스 이수영, '조선판스타' 홀린 심사평 "돌아버릴 것 같았다 https://entertain.na[...] Naver 2021-08-15
[25] 웹사이트 2002 M.net Korean Music Festival Winners list http://mama.interest[...] 2014-06-12
[26] 웹사이트 2003 M.net Korean Music Festival Winners list http://mama.interest[...] 2014-06-12
[27] 웹사이트 2004 M.net Korean Music Festival Winners list http://mama.interest[...] 2014-06-12
[28]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1-07-18
[29] 뉴스 가수 이수영 "굶주리는 북한 아이들에게 희망을 들려주렵니다" https://news.v.daum.[...] 국민일보
[30] 뉴스 이수영, 통산 음반 판매량 400만장 도전 https://news.naver.c[...] 스타뉴스
[31] 뉴스 가수 이수영, 하나님의 계획을 따라 http://www.christian[...] 크리스천 투데이
[32] 문서 이러한 믿음이 그녀를 지탱하게 해주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후에 고백한 바 있다.
[33] 간행물 새천년 신데렐라로 부상한 소녀가장 가수 이수영 http://www.donga.com[...] 여성동아 2000-04
[34] 뉴스 이수영 '술 한모금 눈물 한방울' http://www.koreatime[...] 한국일보
[35] 뉴스 이수영 "한때 몸무게 38kg 나간 적도 있어요" https://news.naver.c[...] 쿠키뉴스
[36] 뉴스 눈물로 부른 게릴라콘서트 이수영 https://news.naver.c[...] 소년한국일보
[37] 뉴스 YBM서울, 이수영 해외진출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38] 뉴스 이수영의 고별 선물 http://www.starnstar[...] STARNSTAR 엔터테이너 뉴스
[39] 문서 보너스 트랙 설명
[40] 문서 이수영의 경원전문대학 입학
[41] 뉴스 비-이수영, 񟭇 모바일 연예대상' 남녀가수상 수상 https://news.naver.c[...] 조이뉴스24 2007-12-31
[42] 문서 카메오 출연 제외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