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스트소프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스트소프트는 199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소프트웨어 회사로, 알집, 알약 등 '알툴즈' 제품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인공지능(AI) 사업, 테크핀, 커머스, 보안, 게임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AI 휴먼 기술을 개발하여 AI 클론 및 페르소나를 제작하며, 자회사 라운즈를 통해 가상피팅 안경 쇼핑몰을 운영한다. 과거 알툴즈 사이트 개인정보 유출 및 알딜 강제 설치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트소프트 - 페인트샵 프로
    로버트 보이트가 개발한 페인트샵 프로는 이미지 변환기로 시작하여 다양한 이미지 편집 기능을 추가하며 발전해 왔고, 코렐에 인수된 후에도 기능 개선을 통해 어도비 포토샵과 경쟁하는 대표적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이다.
  • 이스트소프트 - 알집
    알집은 이스트소프트에서 개발한 한글 압축 소프트웨어로, 윈집의 한글 미지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ALZ 파일 형식을 도입하여 ZIP 파일 형식의 크기 제한을 극복했고, 현재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 1993년 설립된 비디오 게임 기업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는 플레이스테이션 콘솔과 관련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개발 및 배급하는 소니의 자회사로, 게임 업계를 선도하며 PC 및 모바일 게임 시장으로 확장하고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와 같은 온라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 1993년 설립된 비디오 게임 기업 - 재팬 스튜디오
    재팬 스튜디오는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부서에서 설립되어 플레이스테이션 콘솔용 게임 개발에 주력하며 《파라파 더 래퍼》, 《모두의 골프》, 《그란 투리스모》 등 인기 타이틀을 제작했으나, 2021년 4월 해체되어 Team Asobi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 대한민국의 소프트웨어 기업 - 안랩
    안랩은 1995년 안철수가 설립한 안철수컴퓨터바이러스연구소에서 시작하여 V3 백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며 국내 보안 시장을 선도해 온 대한민국의 정보보안 기업이다.
  • 대한민국의 소프트웨어 기업 - NHN
    NHN은 1999년 한게임 커뮤니케이션으로 시작하여 네이버와의 합병 및 분할, 사명 변경을 거쳐 게임, 클라우드, 커머스, 페이먼트, 디지털 광고, 콘텐츠 등 다양한 IT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한게임, 페이코, NHN클라우드 등의 주요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외 시장에 진출한 대한민국의 IT 기업이다.
이스트소프트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명(주)이스트소프트
원어ESTsoft Corp.
이스트소프트 로고
로고 크기240px
시장 정보코스닥
설립일1993년 10월 2일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서초동, 이스트빌딩)
국가대한민국
산업IT
웹사이트이스트소프트
경영진
대표이사정상원 (1975년)
제품
주요 제품AI Studio Perso
알툴즈
라운즈
줌닷컴
카발 온라인
ALZip
ALFTP
재무 정보 (2023년)
매출액924억 8,178만 원
영업 이익-89억 705만 원
순이익-116억 4,467만 원
주주 정보 (2022년)
주요 주주김장중 외 특수관계인 26.74%
직원 수
직원 수 (2022년 12월, 종속회사 제외)188명
직원 수 (2019년)282명
자회사
주요 자회사(주)이스트시큐리티
(주)이스트게임즈
(주)이스트에이드
(주)라운즈
엑스포넨셜자산운용

2. 역사

1993년 10월 2일, 김장중 대표가 소프트웨어 회사를 창립하였다.[1] 같은 해, 김장중 대표는 무료 워드프로세서 '21세기 워드프로세서'를 하이텔에 공개하며 소프트웨어 업계에 진출했다.[2] '21세기 워드프로세서'는 아래아 한글보다 먼저 벡터 글꼴을 지원하여 주목받았다.[3] 1998년, '알집'을 시작으로 '알' 제품군을 출시하여 성공을 거두었다.[3]

2016년, 김장중 대표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고, 1999년 이스트소프트에 입사해 알툴즈 사업본부장, 줌인터넷 부사장을 역임한 정상원 신임 대표이사가 취임했다.[4] 정상원 대표는 취임 후 '비전 2025'를 발표하며 AI를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제시했다.[5] 현재 AI 휴먼, 가상피팅 솔루션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6]

3. 사업 분야

이스트소프트는 알툴즈, AI 휴먼, 테크핀, 커머스, 보안, 게임 등 다양한 사업 분야를 가지고 있다.

"ALTools" 제품군은 "알"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달걀 테마의 아이콘과 마스코트를 특징으로 한다. ALTools에는 알집, 알FTP, 알씨, 알패스(업데이트 서비스 종료), 알GIF(업데이트 종료), 알송, 알쇼, 알맵(업데이트 종료), 알약, 알툴바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이스트소프트는 인터넷디스크, 아이디스크, 아이맨, ''카발 온라인'', ''Cabal 2'', ''히어로즈고'' 등의 제품을 제공한다.

3. 1. AI 사업 (AI 휴먼)

이스트소프트는 2016년부터 AI 사업을 시작했으며, 그중에서도 AI 휴먼 사업이 대표적이다. 이스트소프트의 AI 휴먼 기술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주목받는 CG(VFX, 시각특수효과 기술) 기반 가상인간과 달리, 실사 데이터를 학습하는 Photo-Realistic(포토-리얼리스틱)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실제 사람의 외모와 목소리 차이를 거의 느낄 수 없을 만큼 자연스러운 표정과 립싱크를 구현하여 콘텐츠의 주목도와 정보 전달 효과를 높인다.

이스트소프트의 AI 휴먼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제작 가능하다.

제작 방식특징
AI 클론공인, 유명인 등 실제 인물의 외모와 정체성을 유지하여 신뢰감과 친근감을 확보하고 다양하게 활용 가능
AI 페르소나기업의 목적과 콘셉트에 맞는 새로운 페르소나를 제작하여 아이돌, 아나운서, 강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



2022년 12월, 이스트소프트는 8K까지 구현 가능한 AI 휴먼 전용 스튜디오를 사옥 내에 구축했다. 이를 통해 교육, 뉴스,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더욱 자연스럽고 선명한 고품질 AI 휴먼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스트소프트는 AI 휴먼의 정면, 측면 등 다양한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자체 이미지 제너레이터 AI 기술을 고도화했다. 2023년 2월에는 글로벌 스톡 콘텐츠 기업 게티이미지코리아와 협력하여 ‘프리다 칼로 AI 사진전’을 개최하고, AI 휴먼과 ChatGPT를 연동하는 기술을 최초로 시연하기도 했다.

3. 2. 소프트웨어 (알툴즈)

이스트소프트의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제품군은 '알툴즈'이며, PC용과 모바일용 제품을 포함한다. "알"은 한국어로 달걀을 의미하며, 알툴즈 제품에는 달걀 모양의 아이콘과 마스코트가 사용된다. 알툴즈는 개인 사용자와 기업/공공기관용으로 나뉘며, 개인 사용자는 무료, 기업 및 공공기관은 라이선스 구매 후 사용할 수 있다.[4]

알툴즈 외 이스트소프트 제공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다.

  • 알FTP - FTP 클라이언트・서버 소프트웨어.
  • 알패스 - 웹사이트용 보안 비밀번호 관리자. (업데이트 서비스 종료)
  • 알GIF - GIF 애니메이션 제작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종료)
  • 알쇼 - 미디어 플레이어.
  • 알맵 - 디지털 지도 열람 + GPS 표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포함). (업데이트 종료)
  • 알툴바 - 인터넷 익스플로러용 툴바.
  • 아이디스크 - 온라인 스토리지용 솔루션.
  • 아이맨 - 인스턴트 메시지 소프트웨어 솔루션.

3. 2. 1. 개인용 제품

이스트소프트를 대표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으로는 '알툴즈'가 있다.

알툴즈는 알집, 알PDF, 알캡처 등 10가지 PC용 제품과 알집, 알송, 알약 3가지 모바일용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전국적으로 약 3천만 명이 사용한다. 개인 고객은 알툴즈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업 및 공공/교육기관에서는 해당 라이선스를 구매해 사용해야 한다.[4]

알툴즈의 PC용 제품은 다음과 같다.

제품명설명
알집압축 및 아카이빙 유틸리티. Zip 등 36가지 종류의 보관 저장 형식을 지원하며, ISO 표준을 획득했다.
알씨이미지 뷰어사진 편집기. 디지털 이미지 편집기이다.
알PDFPDF 관련 유틸리티
알캡처화면 캡처 유틸리티
알송온라인 콘텐츠를 지원하는 MP3 플레이어. 실시간 온라인 가사 표시 MP3 플레이어이다.
알약안티바이러스 (엔진은 비트디펜더). 종합 보안 소프트웨어이다.
알드라이브파일 관리 프로그램
랜섬쉴드 PC랜섬웨어 방어 프로그램
페인트샵 프로 for 알툴즈코렐의 페인트샵 프로를 한글화하여 판매하는 제품
알툴즈 통합보안팩기업용 통합 보안 제품


3. 2. 2. 기업용 제품

이스트소프트를 대표하는 소프트웨어 제품군으로는 '알툴즈'가 있다. 알툴즈는 개인용 PC 제품과 모바일 제품으로 나뉜다.

개인용 PC 제품에는 알집, 알PDF, 알캡처 등 10가지 제품이 있으며, 모바일 제품으로는 알집, 알송, 알약 3가지 제품이 있다. 전국적으로 약 3천만 명이 알툴즈를 사용하고 있으며, 개인 사용자는 무료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기업 및 공공/교육기관에서는 알툴즈 라이선스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한다. 기업용 알툴즈 제품은 다음과 같다.

3. 3. 테크핀

계열사 줌인터넷은 줌닷컴 내 'ZUM 투자' 페이지를 운영하며 테크핀 플랫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당 페이지에서는 국내 및 해외 증시 정보, 전문가 분석, 실시간 테마 뉴스, 증권사 리포트 요약, 종목 토론방, 투자 캘린더, 종목별 시세 정보 등을 제공한다.[1] 2023년 3월에는 다양한 투자 정보를 한 곳에서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올인원 투자정보 플랫폼 '인베스팅뷰'를 출시했다.[1]

딥러닝 기반 트레이딩 알고리즘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자산운용사 엑스포넨셜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1]

3. 4. 커머스

자회사 라운즈는 가상피팅 안경 쇼핑몰 ‘라운즈’를 운영하고 있다.[1]

라운즈는 언제 어디서나 어떤 스타일이든 ‘원하는 안경을 제약없이 마음껏 써볼 수 있는’ 실시간 가상피팅 아이웨어 커머스이다. 라운즈 앱에 들어가서 안경을 선택한 후 가상피팅 버튼을 터치하면 이스트소프트에서 개발한 증강현실(AR) 기술을 통해 안경이 내 얼굴에 잘 어울리는지 바로 확인 할 수 있으며, 내 얼굴에 맞는 다양한 안경들도 추천 받을 수 있다.[1]

국내 법 규정상 도수 있는 렌즈는 반드시 안경원에서 구매해야 하는데, 라운즈는 온라인 커머스 기업이지만 기존 안경원들과 동반 성장을 사업 기조로 잡고 아이웨어 전용 O2O 옴니채널 구축이라는 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고 있다.[1] 그 결과, 라운즈와 파트너십을 맺은 안경원은 전국에 약 600개 매장(2022년 기준)이다. 라운즈를 통해 마음에 드는 안경을 구매했다면 집 근처 파트너 안경원에서 도수렌즈도 불편함 없이 구매할 수 있다.[1] 집근처 파트너 안경원은 라운즈앱에서 확인 가능하다.[1]

3. 5. 보안

자회사 ESTsecurity|이스트시큐리티영어는 백신 '알약'의 보안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알려지지 않은 위협 의심 행위를 사전에 차단하는 ‘알약 EDR’, 딥러닝 기반 악성코드 위협 대응 솔루션인 ‘쓰렛인사이드(Threat Inside)’를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통합 보안 환경을 제공한다.[1]

2007년 알약을 시작으로 엔드포인트 보안 전문기업이 되기 위해 이스트소프트에서 분사 후 대규모 연구 개발을 진행하였고, 2022년 5월 150억 규모의 상장 전 투자 유치(Pre IPO)에 성공했다.[1]

3. 6. 게임

이스트게임즈는 카발 온라인 IP를 활용한 온라인/모바일 게임과 SNS영어 장르 모바일 게임 '고양이 다방', '고양이 다방2: 포레스트'를 서비스하고 있다.

카발 온라인은 2005년에 출시되어 해외 60여 개국에서 누적 3,100만 명이 사용하고 있는 글로벌 MMORPG영어이다.[1] 2015년에는 SNG영어(소셜네트워크게임)인 고양이 다방을 출시했으며, 2023년 3월에는 FULL 3D영어 기반의 고양이 다방2: 포레스트를 론칭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

4. 서비스 목록

이스트소프트는 "ALTools"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서비스하고 있다. "AL"은 한국어로 "알(卵, Eggs)"을 의미하며, "ALTools"는 "도구의 알"이라는 뜻을 가진다.

4. 1. AI Studio Perso

AI 스튜디오 페르소는 텍스트 입력과 영상 편집만으로 고품질의 AI 휴먼이 등장하는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이스트소프트의 서비스이다.[1] 이 서비스는 타사 대비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가진 AI 휴먼을 제공하며, 특히 입력한 텍스트를 말할 때 매우 높은 립싱크 정확도를 보여준다.[1] 상반신의 움직임 역시 매끄럽게 표현된다.[1]

이 서비스는 실제 인물을 복제하거나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인물을 만들어 AI 휴먼을 탑재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1] 여기에는 이스트소프트가 자체 개발한 'AI 클론'과 'AI 페르소나' 기술이 활용된다.[1]

AI 스튜디오 페르소의 AI 휴먼 제작 방식
제작 방식특징
AI 클론공인, 유명인 등 실제 인물의 외모와 정체성을 유지하여 신뢰감과 친근감을 확보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AI 페르소나기업이 설정한 목적과 콘셉트에 맞는 새로운 페르소나를 제작하여 아이돌, 아나운서, 강사 등 무한하게 활용할 수 있다.



AI 스튜디오 페르소에 탑재된 AI 휴먼은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1] 사용자는 발화 모드를 통해 AI 휴먼의 목소리 톤과 동작에 변화를 줄 수 있다.[1] 또한 AI 휴먼 선택, 영상 꾸미기, 텍스트 입력 등 영상 제작의 전 과정이 직관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별도의 설명 없이도 서비스의 모든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1]

4. 2. 과거 서비스

이스트소프트는 과거에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했다. 이 중 "알툴즈" 제품군은 "알"이라는 접두어를 사용하며, 달걀 모양의 아이콘과 마스코트를 특징으로 한다.

알툴즈 외에도 다음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했다.

  • 인터넷디스크 - 온라인 저장소 솔루션.
  • 아이디스크 - ISP가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호스팅하도록 설계된 인터넷디스크 버전.
  • 아이맨 -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
  • ''CABAL ONLINE'' - 대규모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5. 이슈 사항

이스트소프트는 여러 이슈를 겪었다.

2017년 9월에는 알툴즈 사이트 이용자 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했다. 해커가 알툴즈 이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 13만여 건, 그리고 알패스에 등록된 웹사이트 정보 등을 이용해 회사에 금전을 요구했다.[5] 이로 인해 알툴바의 알패스 기능은 종료되었다.[6]

5. 1. 개인정보 유출

2017년 9월, 알툴즈 사이트 이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 13만 3,800건 및 알툴즈 프로그램 중 알패스에 등록된 웹사이트 명단, 아이디, 비밀번호를 빌미로 해커가 회사 측에 금전을 요구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5] 이 사건으로 알툴바의 알패스 기능은 서비스가 종료되었다.[6]

5. 2. 2021년 3월 알딜 강제 설치 문제

알툴즈 제품을 설치할 때, 다른 설치 옵션에서 체크 해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알딜(Aldeal)이 강제로 설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알딜은 컴퓨터가 부팅될 때마다 팝업 광고를 띄우는 프로그램이다.[7]

이스트소프트 측은 이러한 알딜 강제 설치가 적법한 조치였으며 문제가 없다고 답변하여 많은 사용자들의 비판을 받았다.[7]

참조

[1] 웹사이트 About ESTsoft https://web.archive.[...] 2019-06-24
[2] 웹사이트 ESTsoft https://www.estsoft.[...]
[3] 문서 이스트소프트 상장 2008-07-01
[4] 뉴스 페인트샵 프로, 알툴즈와 만났다 https://www.boannews[...] 보안뉴스 2020-12-02
[5] 뉴스 보안업체 이스트소프트마저 해킹 피해…개인정보 13만건 유출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7-09-05
[6] 웹사이트 알툴바 버전 히스토리 https://www.altools.[...]
[7] 웹인용 울지 않는벌새 https://hummingbird.[...] 2021-11-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