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호 (197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승호(1976년)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투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1999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주로 중간 계투로 활동했으며, 2003년에는 탈삼진 1위를 기록했다. 2008년 SK 와이번스로 이적하여 2010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2014년 선수 은퇴 후 SK 와이번스 스카우트, 재활 담당 코치를 거쳐 2019년부터 kt 위즈, 2023년에는 키움 히어로즈의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강남초등학교 동문 - 전병헌
전병헌은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및 실장을 지내고 17·18·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현재 새로운미래 당대표를 맡고 있다. - 서울강남초등학교 동문 - 이병기 (1947년)
이병기(1947년)는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인, 공무원으로,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 대통령비서실 의전수석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주일본 대사, 국가정보원장, 대통령비서실장 등을 역임하며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체결에 관여했으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유용 혐의로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 KBO 탈삼진상 수상자 - 최동원
경상남도 남해군 출신 프로 야구 투수 최동원은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4승을 거두며 롯데 자이언츠의 첫 우승을 이끌었고, '무쇠팔'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선동열과 함께 한국 프로 야구 초창기를 대표하는 투수였으나 선수협 파동 이후 은퇴, 지도자 및 해설가로 활동하다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 KBO 탈삼진상 수상자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강남중학교 (서울) 동문 - 이병기 (1947년)
이병기(1947년)는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인, 공무원으로,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 대통령비서실 의전수석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주일본 대사, 국가정보원장, 대통령비서실장 등을 역임하며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체결에 관여했으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유용 혐의로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 강남중학교 (서울) 동문 - 이영하 (야구 선수)
이영하는 1997년생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두산 베어스 투수이며, 고교 시절 강속구로 주목받아 1차 지명으로 입단, 2019년 17승을 기록하고 한국 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학교 폭력 혐의로 기소되었다가 무죄 판결을 받고 복귀했다.
이승호 (197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승호 |
로마자 표기 | Lee Seung-Ho |
한글 표기 | 이승호 |
한자 표기 | 李承浩 |
출생일 | 1976년 8월 23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신장 | 189cm |
체중 | 90kg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좌투 |
타석 | 좌타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선린상업고등학교 단국대학교 |
프로 | LG 트윈스 (1999년 ~ 2008년) SK 와이번스 (2009년 ~ 2014년) |
프로 입단 정보 | |
드래프트 | 1999년 2차 1라운드, LG 트윈스 지명 |
데뷔 | KBO / 1999년 |
마지막 경기 | KBO / 2011년 6월 28일, 문학 한화전 구원 |
통계 | |
승-패 | 51승 52패 |
평균 자책점 | 4.20 |
탈삼진 | 721 |
수상 | |
주요 수상 | 2003년 KBO 탈삼진왕 |
코치 경력 | |
코치 경력 | SK 와이번스 3군 재활코치 (2017년 ~ 2018년) KT 위즈 불펜코치 (2019년 ~ 2021년) KT 위즈 2군 투수코치 (2022년) 고양 히어로즈 잔류군 투수/재활코치 (2023년) 키움 히어로즈 투수코치 (2024년 ~ ) |
프런트 경력 | |
프런트 경력 | SK 와이번스 스카우트 (2015년 ~ 2016년)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 | 2007년 야구 월드컵 (대만) |
2. 선수 시절
2. 1. LG 트윈스 시절
1999년에 2차 1라운드 지명을 받아 LG 트윈스에 입단했다.[3] 입단 이후 오랫동안 2군 레귤러로 출장했으며, 1군에서는 주로 중간 계투로 활약했다. 2003년에는 탈삼진 1위를 차지했으나, 그 전까지 중간 계투로만 활동하면서 코칭스태프가 100이닝도 소화하지 않았던 선수를 200이닝 가까이 던지게 해 혹사 논란이 있었다.[3]2. 2. SK 와이번스 시절
2008년 11월 22일에 LG 트윈스로 이적한 이진영의 보상 선수로 지명돼 이적했다. 2009년에는 팔꿈치 부상으로 일찌감치 시즌을 접고 재활했다. 2010년에 복귀해 2승을 기록했고, 2010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포함돼 3차전에서 구원 승을 기록했다. 2011년 이후에 부상으로 재활군에 머무르다가 2014년 7월 22일에 방출됐다.3. 야구선수 은퇴 후
2014년 시즌 후 SK 와이번스의 스카우트로 활동했다.[4] 은퇴 후 2년간 SK의 스카우트로 활동했다.[2] 2016년 11월부터 재활 담당 코치가 되었다. 2019년부터 kt 위즈로 이적하여 투수 코치가 되었다. 2023년부터는 키움 히어로즈의 코치로 활동했다.
4. 기타
팀 창단 멤버인 좌투수 이승호와 혼동을 막기 위해 이름 앞에 '큰'을 붙여서 부른다.
4. 1. 트리비아
팀 창단 멤버인 좌투수 이승호와 혼동을 막기 위해 이름 앞에 '큰'을 붙여서 부른다.4. 2.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G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