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준 (군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응준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 군인, 정치인이다. 평안남도 안주 출신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장교로 복무하며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광복 후 미군정의 군사 고문으로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했으며, 초대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육군대학교 총장, 체신부 장관을 지냈으며, 1985년 사망했다.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동문 - 조성환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제국 육군 참위 출신인 조성환은 신민회에 가담하여 무장투쟁을 주장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무부장, 광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해방 후에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위원장을 지낸 독립운동가이자 우익 정치인이다. -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동문 - 이갑 (1877년)
이갑은 평안남도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개화 운동, 애국 계몽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대한제국 육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신민회를 창립하고 러시아로 망명하여 독립운동 기지 개척에 힘썼으며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수안 이씨 - 학눌
학눌은 평양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법관으로 활동하다가 승려가 되어 금강산 신계사에서 출가하여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등을 역임하고 1966년 입적하였다. - 수안 이씨 - 이용삼
이용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강원도 철원·화천·양구 지역구에서 제15대, 제16대,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변호사 및 굿모닝코리아 대표변호사로 활동했으며, 다양한 정당에서 활동하며 민주자유당 수석 부대변인을 역임했다. - 안주시 출신 - 최정훈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최정훈은 1972년 드라마 《여로》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동하며, 특히 여러 작품에서 이승만 대통령 역을 맡아 '이승만 전문 배우'라는 평을 받았고, 롯데제과 광고에도 출연했다. - 안주시 출신 - 김양건
김양건은 1970년대부터 북한 노동당에서 활동하며 통일전선부장,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남북 고위급 회담에 참여했으나 2015년 교통사고로 사망한 북한의 고위 관료였다.
이응준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응준 |
한자 표기 | 李應俊 |
일본어 표기 | 香山武俊 (가야마 다케토시) |
로마자 표기 | Lee Eung-Jun |
출생일 | 1890년 8월 12일 |
사망일 | 1985년 7월 8일 |
출생지 | 조선 평안남도 안주군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본관 | 수안(遂安) |
호 | 추연(秋硏), 추정(秋汀) |
배우자 | 이정희(李正熙)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장군 제2묘역 6호 |
가족 관계 | |
자녀 | 2남 3녀 |
장녀 | 이혜란(李慧蘭) |
장남 | 이창선(李昌善) |
장인 | 이갑 |
장조부 | 이응호 |
맏사위 | 이형근 |
외손자 | 이현 |
군 경력 | |
복무 기간 | 1914년 ~ 1945년 (일본 육군), 1946년 ~ 1955년 (한국 육군) |
최종 계급 | 일본 육군 대좌, 한국 육군 중장 |
근무 | 육군본부 |
참전 |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
주요 경력 | |
대한민국 육군 | 초대 육군참모총장, 육군대학 총장 |
체신부 장관 | 제7대 체신부 장관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육군참모총장 임기 | |
첫 번째 임기 | 1948년 12월 15일 ~ 1949년 5월 8일 |
두 번째 임기 | 1955년 9월 16일 ~ 1958년 9월 8일 |
대통령 | 이승만 |
전임 | (초대), 이광 |
후임 | 채병덕, 곽의영 |
기타 정보 | |
![]() |
2. 생애
이응준은 평안남도 안주 출신으로, 1906년 한성부로 올라와 신학문을 접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 출신 노백린과 이갑의 영향을 받아 군인이 되기로 결심, 이갑의 지원으로 보성중학교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09년 일본 유학을 떠났다. 1914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 육군 장교로 복무했다.
1919년 3·1 운동 당시 김경천, 지청천과 중국 망명을 모의했으나 실행하지 않았다.[1] 1937년 중일 전쟁과 1941년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고, 1945년 일본 패망 시까지 일본군 대좌로 복무했다.
1945년 광복 후 미군정 군사고문으로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 1948년 정부 수립 후 초대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에 취임했다.[12] 1949년 강태무, 표무원 대대 월북 사건으로 경질되었으나,[12]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여러 직책을 맡으며 참전, 1952년 육군대학교 총장 재임 중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다.[2]
1955년 육군대학교 부정 진급 사건으로 예편 후, 체신부 장관과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2] 1985년 96세로 사망했다.
2. 1. 출생과 성장 (1890년 ~ 1909년)
평안남도 안주 출신으로, 본관은 수안이다. 1906년 16세 때 한성부로 올라와 신학문을 접하기 전까지 향리에서 한학을 공부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 출신의 고향 선배 노백린과 이갑의 영향을 받아 군인이 되기로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주 출신 김응선도 일본 육사를 졸업하여 일본군 소장을 지냈다.이갑의 지원으로 보성중학교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09년 일본 유학을 떠났다.
2. 2. 일본 유학과 군 생활 (1909년 ~ 1945년)
이응준은 평안남도 안주 출신으로, 1906년 한성부로 올라와 신학문을 접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 출신인 노백린과 이갑의 영향을 받아 군인이 되기로 결심, 이갑의 지원으로 보성중학교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09년 일본 유학을 떠났다. 일본 육군중앙유년학교를 거쳐 1914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제26기로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1] 동기로는 홍사익, 지청천 등이 있었다. 1916년에는 육군보병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중위로 진급했다.[2]1920년 제20사단 제40여단 보병 제79연대에 배속되었고,[2] 1924년 대위로 진급하여 대대 부관을 거쳐 중대장이 되었다.[1][2] 1945년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망할 때까지 일본군에서 복무했으며, 최종 계급은 일본 제국 육군 대좌였다.
2. 2. 1. 3·1 운동과 중국 망명 시도 (1919년)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김경천, 지청천과 함께 중국 망명을 모의했다. 그러나 김경천과 지청천은 망명을 결행하여 무장 독립 운동을 이끈 것과는 달리, 이응준은 일본군 장교로 남았다.[1]2. 2. 2. 시베리아 출병과 만주 침략 (1918년 ~ 1930년대)
1917년 10월 혁명 이듬해인 1918년, 일본군은 시베리아 지역의 적화를 막기 위해 출병했다. 육군 중위였던 이응준은 출정 명령을 받고 블라디보스토크에 파견되어 이 지역 한국인들을 이용한 대민 정탐 활동을 했다.[1][2]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김경천, 지청천과 함께 중국 망명을 모의했으나, 김경천과 지청천이 망명하여 무장 독립 운동을 이끈 것과는 달리 이응준은 일본군 장교로 남았다.
1925년과 1928년 두 차례 만주 봉천 지역으로 파견되었다. 1928년 5월에는 제남사건으로 봉천에 파견되었다.[2] 1931년 8월 1일 육군보병소좌(陸軍歩兵少佐)로 임관했다.[1] 1934년 8월 1일 제20사단 제79연대 대대장[1][2]이 되었다.
1936년 중좌로 진급한 뒤 중일 전쟁 직전까지 경성의학전문학교와 경성약학전문학교에서 배속 장교로 근무했다.[3] 당시 전쟁 준비 중이던 일본은 각급 학교에서 군사 교육을 필수적으로 실시했으며, 배속 장교는 군사 교육을 담당했다.
2. 2. 3.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1937년 ~ 1945년)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이응준은 사단사령부와 북지파견군 사령부 등에서 근무했다. 주로 병무 업무와 병참수송업무를 맡았으나, 직접 여러 전투에 참여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전투가 중일 전쟁 확전의 빌미가 된 난위엔 전투였다. 산둥성에서는 팔로군 게릴라 토벌 부대의 지휘관을 맡았다.[3]1941년에 육군 대좌로 승진했다. 이후 전쟁이 태평양 전쟁으로 확대되면서 징병제가 실시되는 등 여건은 어려워졌다. 이응준은 1943년 징병제 실시에 대하여 무한한 감사와 적극적인 지지를 공개적으로 표방하면서 인력 동원에 앞장섰다. 부민관에서 열린 강연회에 참석하여 지원병 제도를 홍보하고 학도병으로 참전할 것을 권유하는 연설도 했다.[3]
1940년 8월부터 1942년까지 조선군(朝鮮軍) 대구 본부에 근무했다.[2] 1943년 7월 제7여단 토벌부대 지휘관으로 팔로군 진압에 종사[2]하였다. 1944년 용산 역장 사령관[2]이 되었고, 종전 당시에는 제170역장 사령관[4]이었다.
일본 정부로부터 1935년 훈4등 서보장, 1939년 훈3등 서보장을 받았다.
2. 3. 광복 이후 (1945년 ~ 1985년)
1945년 8월 15일 일본 패망 당시 함경남도 원산부에서 원산항 수송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종전 소식을 듣자마자 서울로 향했다.[12] 이후 미군정의 군사고문으로 임명되었고,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초대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에 취임했다. 1949년 강태무, 표무원 대대의 월북 사건으로 경질되었다.[12]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수원지역 방위사령관, 전라남도 편성관구 사령관, 마산지역 계엄사령관, 제주지역 계엄사령관, 전라남도 계엄민사부장을 역임했다.[2] 1952년 현역으로 복귀하여 육군대학교 총장을 역임했고, 총장 재직 중 중장으로 진급했다. 1953년 제1훈련소장을 역임했다.[2]1955년 예편 후 체신부 장관을 지냈으며, 1967년 한국반공연맹 이사장에 취임했다.[2] 1972년 반공유공자 보국훈장 통일장을 받았고, 1979년 국정자문위원, 1980년 국방정책자문위원장, 국토통일원 고문을 역임했다.[2]
2. 3. 1. 대한민국 국군 창설과 한국 전쟁 (1948년 ~ 1953년)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패망했을 때, 이응준은 함경남도 원산부에서 원산항 수송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패전과 동시에 개인적으로 탈출하여 서울로 들어왔다.[12]이후 미군정의 군사 고문으로 위촉되어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초대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을 맡았다. 1949년 춘천 8연대의 강태무, 표무원 대대의 월북 사건으로 경질되었다. 이후 이응준 소장은 제5사단장에 임명되었다.(1950년 4월 22일)[12] 1950년 서울에서 한국 전쟁을 맞이하였으며, 수원지구방위사령관 등으로 참전하였다. 1952년 육군대학교 총장 재임 중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였다.[2]
2. 3. 2. 육군대학교 부정 진급 사건 (1955년)
1955년 육군대학교 진급 심사 시험에서 부정행위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준장 2명, 대령 2명, 중령 1명이 부정행위를 저질러 1955년 9월 5일 모두 예편하였다. 이 중 중령 1명은 당시 육군대학교 총장 이응준의 장남 이창선으로, 정일권 육군참모총장의 비서실장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이 사건으로 이응준 육군대학교 총장은 1955년 9월 5일 예편한 아들 이창선과 함께 군에서 물러났고, 13일 뒤인 1955년 9월 18일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2]2. 3. 3. 정계 활동과 생애 후반 (1955년 ~ 1985년)
1955년 예편한 뒤 체신부 장관을 지냈으며, 1967년 한국반공연맹 이사장에 취임했다.[2] 1972년 반공유공자 보국훈장 통일장을 받았고, 1979년 국정자문위원, 1980년 국방정책자문위원장, 국토통일원 고문을 역임했다.[2] 1985년 96세로 사망했다.3. 사후
이응준은 사망 후 육군장으로 장례가 치러졌으며,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13]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군인 부문에도 포함되어 공식적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초대 합참의장과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이형근은 이응준의 사위이다.[14]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장인 | 이갑 | 1877년 5월 12일 | 1917년 6월 13일 | |
부인 | 이정희 | 1897년 6월 1일 | 1987년 9월 29일 | |
사위 | 이형근 | 1920년 11월 2일 | 2002년 1월 13일 | 초대 대한민국 합동참모총장. 1959년 대한민국 육군 대장 예편. |
아들 | 이창선 | 1921년 5월 6일 | 2014년 12월 12일 | 대한민국 육군 중령 예편. |
외손자 | 이현 | 1950년 9월 7일 | 본명 이헌. 이형근의 차남. 가수 출신 기업인. |
5. 학력
- 보성고등보통학교 졸업
-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졸업
- 일본 도쿄 육군중앙유년학교 졸업
-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 군사영어학교 1기 졸업
- 통위부 육군보병학교 졸업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1기 졸업(1948년)
6. 경력
7. 상훈
- 瑞宝章|서보장일본어 4등 - 1935년
- 瑞宝章|서보장일본어 3등 - 1939년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1954년 1월 20일[5]
- 태극무공훈장 - 1954년 5월 12일
참조
[1]
문서
陸軍現役将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昭和10年9月1日調
https://dl.ndl.go.jp[...]
[2]
뉴스
황군의 일원, 일사(一死)로써 책무 완수
http://www.jejusori.[...]
제주의소리
2015-10-09
[3]
문서
陸軍現役将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昭和11年9月1日調
https://dl.ndl.go.jp[...]
[4]
서적
終戦時帝国陸軍全現役将校職務名鑑
戦誌刊行会
[5]
웹사이트
Lee Ung Jun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5-11-10
[6]
서적
朝鮮人学徒出陣
岩波書店
[7]
문서
장녀 이혜란 여사는 이형근 장군과 결혼하였으며 아명(兒名)은 이귀란(李貴蘭).
[8]
문서
예비역 육군 중령
[9]
문서
장남 이창선(李昌善)은 1955년 대한민국 육군 중령 예편 이후 2014년 12월 12일에 향년 94세로 별세.
[10]
웹인용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위패 목록 - 대한민국 육군 중령 이창선 先生
https://web.archive.[...]
2017-03-22
[11]
웹인용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위패 목록 - 대한민국 육군 중장 이응준 將軍
https://web.archive.[...]
2017-03-23
[12]
뉴스
參謀副長에 金大領就任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0-04-23
[13]
뉴스
죽어서도 차별받는 독립운동가 묘역 - 국립묘지를 바로 잡아야 할 이유
https://web.archive.[...]
참말로
2008-03-26
[14]
뉴스
[6·25 50주년 특별연재|‘잊혀진 전쟁’의 비록<상>] 전쟁은 술로 시작됐다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8-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