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자슬라프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자슬라프 3세는 1154년 이자슬라프 2세 사후 키예프 대공 자리를 두고 벌어진 권력 투쟁에 참여했다. 그는 로스티슬라프 1세를 인정하지 않고 군사적 충돌을 통해 키예프를 점령했으나, 유리 도르고루키의 반발로 키예프를 떠나야 했다. 이후 1157년 다시 키예프 대공이 되었지만, 할리치 공작에게 패배하여 쫓겨났고, 1161년 다시 키예프를 정복했으나, 로스티슬라프 1세와의 갈등 끝에 살해당했다. 이자슬라프 3세는 1154-1155년, 1158-1159년, 1161년 세 차례에 걸쳐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으며, 그의 생애는 키예프 루스의 정치적 불안정성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15년 출생 - 헌성자열황후
    평민 출신으로 고종을 호위하며 공을 세워 황후가 된 헌성자열황후는 고종 사후 태황태후로서 수렴청정을 하며 새로운 황제를 옹립하는 등 남송 황실의 안정에 기여했다.
  • 1115년 출생 - 토쿠다이지 킨요시
    고시라카와 천황과의 긴밀한 관계와 딸들을 천황의 후궁으로 들인 외척으로서 헤이안 시대 말기 권세를 누린 공경으로, 예술적 재능도 뛰어났으나 권력 남용에 대한 비판도 있는 인물이다.
  • 1162년 사망 - 이븐 주르
    이븐 주르는 중세 이슬람 시대 안달루시아의 저명한 의학자로, 임상 의학에 헌신하고 실험적 방법론을 통해 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저서와 업적은 후대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162년 사망 - 보두앵 3세 (예루살렘)
    보두앵 3세는 예루살렘 왕국의 왕으로, 어머니 멜리장드와 공동 통치 후 친정을 통해 단독 통치자가 되었으며, 아스칼론 점령과 비잔티움 제국과의 동맹을 추진했으나 십자군 국가 간의 갈등과 내부 분열을 겪고 갑작스럽게 사망하여 독살 의혹이 있다.
  • 키예프 대공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키예프 대공 - 야로폴크 2세
    야로폴크 2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로, 1132년부터 1139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위했으나, 모노마흐 가문 내부 갈등과 스뱌토슬라프 가문의 도전, 그리고 폴로츠크 공국의 부흥으로 인해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가며 키예프 대공국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
이자슬라프 3세
기본 정보
이름이자슬라프 3세 다비도비치
원어 이름슬라브어: Изѧславъ III Двд҃вичъ
러시아어: Изяслав Давидович
우크라이나어: Ізяслав Давидович
직위
키예프 대공1차: 1154년 말 - 1155년 3월
2차: 1157년 5월 19일 – 1158년 가을
3차: 1161년 2월 12일 – 1161년 3월 6일
체르니고프 공1151년 – 1154년
생애
출생알 수 없음
사망1161년
사망 장소체르니고프
매장 장소알 수 없음
가문
가문스뱌토슬라비치 가문
왕조류리크 왕조
아버지다비드 스뱌토슬라비치
어머니알 수 없음
배우자알 수 없음
자녀딸 (글레프의 비)

2. 생애

1154년 이자슬라프 2세가 사망한 후, 키예프 루스에서는 모노마흐 가문과 체르니고프 가문 사이에 키예프 대공 자리를 둘러싼 계승 분쟁이 벌어졌다. 이자슬라프 3세는 이 혼란 속에서 등장하여, 이자슬라프 2세의 뒤를 이은 로스티슬라프 1세를 대공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군사적 충돌 끝에 로스티슬라프 1세를 격파하고 키예프 시민들의 추대로 1154년 대공위에 올랐다.

그러나 북방의 수즈달 공작 유리 도르고루키의 압력으로 1155년 키예프를 떠나 체르니고프로 돌아가야 했고, 키예프는 유리가 차지했다. 이후 이자슬라프는 유리의 아들 글레프와 자신의 딸을 결혼시켜 잠시 동맹 관계를 맺기도 했다.

1157년 유리 도르고루키가 사망하자, 폴로베츠인의 침입을 우려한 키예프 시민들의 초청으로 다시 대공위에 복귀했다. 하지만 할리치의 야로슬라프 공작과의 갈등 끝에 1159년 패배하여 다시 키예프에서 쫓겨났다.

이자슬라프 3세는 포기하지 않고 1161년 다시 키예프를 점령하여 세 번째로 대공위에 올랐다. 그러나 전 대공이었던 로스티슬라프 1세와의 평화 협상에 실패하고, 로스티슬라프 군대가 증강되자 또다시 도망쳤으나 결국 추격자들에게 살해되었다. 그는 짧은 기간 동안 세 차례나 키예프 대공위에 오르는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2. 1. 키예프 대공위 계승 분쟁 (1154-1155)

1154년 이자슬라프 2세가 사망하면서 키예프 루스에서는 모노마흐 가문과 체르니고프 가문 사이에 키예프 대공 자리를 둘러싼 계승 분쟁이 시작되었다. 이자슬라프 3세는 이자슬라프 2세의 뒤를 이어 대공이 된 로스티슬라프 1세를 인정하지 않았다. 로스티슬라프 1세가 자신의 지위에 대한 승인을 얻기 위해 체르니고프로 이자슬라프 3세를 찾아왔지만, 이자슬라프 3세는 이를 거절했다.

결국 두 세력 간에는 군사적 충돌이 벌어졌고, 이 전투에서 이자슬라프 3세가 로스티슬라프 1세를 격파했다. 이 승리 이후 키예프 시민들은 이자슬라프 3세를 새로운 대공으로 맞이하여 1154년 대공위에 올랐다.

그러나 북쪽의 수즈달 공작이었던 유리 도르고루키가 이자슬라프 3세의 대공 즉위에 이의를 제기하며 항의했다. 결국 이자슬라프 3세는 1155년 키예프를 떠나 자신의 본거지인 체르니고프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자슬라프 3세가 떠난 키예프는 유리 도르고루키가 차지하게 되었다.

2. 2. 유리 도르고루키와의 관계 (1155-1157)

북방의 유리 도르고루키는 이자슬라프 3세가 키예프 대공이 된 것에 항의했다. 이자슬라프 3세는 결국 키예프를 포기하고 체르니고프로 돌아갔으며, 1155년 유리 도르고루키가 키예프를 차지했다. 이후 이자슬라프는 유리 도르고루키의 아들 글레프와 자신의 딸을 결혼시켜 일시적으로 동맹 관계를 맺기도 했다.

1157년 유리 도르고루키가 사망하자, 폴로베츠인의 습격을 두려워한 키예프 시민들은 이자슬라프 3세를 다시 키예프로 초청하여 대공위에 올렸다.

2. 3. 할리치 공작과의 갈등 및 사망 (1157-1161)

1157년 유리 도르고루키가 사망하자, 폴로베츠인의 습격을 두려워한 키예프 시민들에 의해 다시 키예프로 초청되어 대공위에 올랐다. 그러나 할리치의 야로슬라프 공작은 이를 좋게 여기지 않았고, 1159년에 이자슬라프를 격파했고, 그 결과 이자슬라프는 도망쳤다.

이후 다시 키예프를 탐내 1161년에 이를 정복하고 다시 대공위에 올랐다. 그러나 전 대공 로스티슬라프 1세와의 평화 협상에 실패하고, 로스티슬라프 군의 증강을 앞두고 도망쳤다. 그러나 추격자에 의해 살해되었다.

3. 키예프 대공 목록

4. 평가

이자슬라프 3세는 키예프 루스의 정치적 혼란기에 활동했던 인물로, 키예프 대공 자리를 둘러싼 치열한 경쟁 속에서 여러 차례 권력을 잡았으나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는 못했다. 1154년 이쟈슬라프 2세가 사망한 후 벌어진 대공위 쟁탈전에서 그는 로스티슬라프 1세를 인정하지 않고 군사적 충돌 끝에 키예프를 차지했지만, 북방의 강력한 경쟁자였던 유리 돌고루키의 압력으로 곧 물러나야 했다.

이후 유리 돌고루키가 사망하자 1157년 키예프 시민들의 추대로 다시 대공위에 올랐으나, 이번에는 할리치의 야로슬라프 공작과의 갈등으로 1159년 다시 권좌에서 쫓겨났다. 1161년에는 다시 키예프를 정복하여 세 번째로 대공이 되었지만, 이전 대공이었던 로스티슬라프 1세와의 관계를 안정시키지 못하고 결국 그의 군대에 쫓기다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이자슬라프 3세의 생애는 강력한 중앙 권력이 부재하고 여러 공작들이 끊임없이 대공위를 노리며 각축을 벌였던 12세기 중반 키예프 루스의 극심한 정치적 불안정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그는 여러 차례 키예프 대공이라는 최고 권력에 도달했지만, 주변 세력과의 복잡한 역학 관계 속에서 권력 기반을 다지지 못하고 짧은 통치를 반복하다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다. 이는 당시 키예프 대공의 권위가 실질적인 통치력보다는 경쟁 세력 간의 힘의 균형에 크게 의존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 서적 Political & Diplomatic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1936
[3] 서적 Rjurikowitschi. Proschloje w lizach. Biografitscheski slowar Olma Media Group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