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즈베스티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즈베스티야는 소련 시기에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공식 입장을 담아 발행된 신문으로, 1917년 페트로그라드에서 창간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국가 신문'으로 묘사되었으나, 민영화 과정을 거치며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2005년 가즈프롬에 인수되었으며, 2008년에는 내셔널 미디어 그룹에 매각되었다. 2024년 유럽 연합은 이즈베스티야가 러시아의 선전을 퍼뜨린다고 비난하며 제재 명단에 올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7년 창간 - 스타스 앤 스트라이프스 (신문)
    스타스 앤 스트라이프스는 미국 국방부와 의회의 승인을 받아 발행되는 독립적인 일간 군사 뉴스 매체로, 남북 전쟁 중 창간되어 미군 기지에 배포되며, 헌법 수정 조항 제1조의 보호 아래 편집권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다.
  • 1917년 창간 - 신조형주의
    신조형주의는 피에트 몬드리안이 주창한 미술 운동으로, 수직선과 수평선, 원색, 무채색만을 사용하여 극도의 단순함과 추상성을 추구하며 건축, 회화,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어 신문 - 노바야 가제타
    노바야 가제타는 1993년 러시아에서 창간된 독립 언론으로, 탐사 보도로 사회적 관심을 환기했으나 푸틴 정권의 탄압과 검열로 활동이 중단되었고, 편집장 드미트리 무라토프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현재는 '노바야 가제타 유럽'으로 해외에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러시아어 신문 - 프라우다
    프라우다는 1912년 러시아에서 창간되어 소련 공산당의 기관지로 활동했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 공산당에 매각되어 발행이 지속된 러시아의 신문이다.
  • 러시아의 신문 - 노바야 가제타
    노바야 가제타는 1993년 러시아에서 창간된 독립 언론으로, 탐사 보도로 사회적 관심을 환기했으나 푸틴 정권의 탄압과 검열로 활동이 중단되었고, 편집장 드미트리 무라토프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현재는 '노바야 가제타 유럽'으로 해외에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러시아의 신문 - 프라우다
    프라우다는 1912년 러시아에서 창간되어 소련 공산당의 기관지로 활동했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 공산당에 매각되어 발행이 지속된 러시아의 신문이다.
이즈베스티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즈베스티야 로고
2012년 6월 15일자 이즈베스티야 신문 1면
유형일간 신문
형태브로드시트
소유주국가 미디어 그룹
발행인Inews (뉴스 미디어)
편집장아르세니 오게네샨
창간일1917년 3월 13일
언어러시아어
본사베고보이 구, 모스크바, 러시아
발행 부수234,500
ISSN0233-4356
OCLC427395058
웹사이트iz.ru
이름
러시아어Известия
로마자 표기Izvestiya
문화어이즈베스찌야

2. 역사

1917년 3월 13일(율리우스력 2월 28일) 페트로그라드에서 페트로그라드 노동자 소비에트의 신문으로 처음 발행되었다. 초기에는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의 논조를 따랐으나, 1917년 8월 페트로그라드 중앙 집행위원회 소비에트의 기관지가 되었고, 10월에는 노병 소비에트 중앙 집행위원회의 기관지가 되었다. 이후 소련 정부(러시아 최고 회의와 중앙 집행위원회)의 공식 신문이 되었다.

소련 시대에 프라우다공산당의 공식 대변지 역할을 한 반면, 이즈베스티야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가 발표한 소련 정부의 공식 입장을 담았다.[3]

소련 붕괴 이후, 이즈베스티야는 스스로를 러시아의 "국가 신문"으로 묘사했지만, 블라디미르 포타닌 소유의 회사였기 때문에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6][7] 2005년에는 국영 가즈프롬이 인수하여 가즈프롬 미디어 지주 회사에 포함시켰다. 2011년에는 경영진 교체와 함께 사옥 이전 및 판형 변경, 직원 해고 등이 이루어졌다.[14] 2024년 5월, 유럽 연합은 이즈베스티야가 선전을 퍼뜨리고 있다고 비난하며 제재 명단에 올렸다.[10]

2. 1. 1917년–1991년 (소련 시대)

옛 이즈베스티야 로고. 러시아어 철자 개혁(Реформы русской орфографии) 이후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두 글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련 시대에 프라우다공산당의 공식 대변지 역할을 한 반면, 이즈베스티야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가 발표한 소련 정부의 공식 입장을 담았다.[3] 이 신문의 정식 명칭은 러시아어로 ''Известия Советов народных депутатов СССР''(Izvestija Sovjetov Narodnyh Djeputatov SSSR), 즉 "소련 인민대표 소비에트의 보고"였다.

이즈베스티야 트로피 아이스하키 토너먼트는 1969년부터 1996년까지 이 신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즈베스티야의 주말 증보판은 네델랴(Неделя)였다.[4][5]

이즈베스티야는 1917년 3월 13일(율리우스력 2월 28일) 페트로그라드에서 페트로그라드 노동자 소비에트의 신문으로 발행되었다. 초창기 이즈베스티야는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의 논조를 따랐다. 1917년 8월에는 페트로그라드 중앙 집행위원회 소비에트의 기관지가 되었다. 1917년 10월까지는 노병 소비에트 중앙 집행위원회의 기관지였다가, 이후 소련 정부(러시아 최고 회의와 중앙 집행위원회)의 공식 신문이 되었다.

2. 2. 1992년–현재 (소련 붕괴 이후)

소련 해체 이후, 이즈베스티야는 스스로를 러시아의 "국가 신문"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신문은 블라디미르 포타닌의 거대 지주 회사 소유였으며, 이 때문에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비판을 받았다.[6][7] 2005년 6월 3일에는 국영 가즈프롬이 이즈베스티야의 지배 지분을 인수하여 가즈프롬 미디어 지주 회사에 포함시켰다.

언론인 보호 위원회에 따르면, 이즈베스티야의 편집장 라프 샤키로프는 베슬란 학교 인질극 보도에 대한 정부 당국의 불만으로 인해 사임을 강요당했다고 한다. 이는 언론 자유 침해 논란으로 이어졌다.[6][7]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포타닌이 크렘린이 이즈베스티야의 학살 사진 보도에 분노할 것을 우려하여 샤키로프에게 사임을 요청했다고 한다.

2005년 이즈베스티야의 발행 부수는 240,967부였다. TNS Gallup Media가 인증한 2007년 발행 부수는 371,000부였다.[8] 2008년 10월 1일 사망할 때까지 수석 화가는 조세프 스탈린 시절 정치 만화가로 활동했던 백세의 삽화가 보리스 예피모프였다.

2008년, 가즈프롬 미디어는 이즈베스티야를 내셔널 미디어 그룹에 매각했다.[9]

2011년 4월, 경영진이 전면 교체되었고, 6월에는 모스크바 시 중심부에 있던 사옥이 노후화를 이유로 시 북서부로 이전되었다.[14] 또한 6월 7일부터는 타블로이드 판에 가까운 콤팩트한 판형으로 변경되었으며, 직원의 60%를 해고할 방침이 발표되었다.[14]

2024년 5월, 유럽 연합은 이즈베스티야가 선전을 퍼뜨리고 있다고 비난하며 제재 명단에 올렸다.[10]

3. 논란 및 비판

소련 해체 이후, 이즈베스티야는 스스로를 러시아의 "국가 신문"으로 묘사하며,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다. 2004년 베슬란 학교 인질극 보도와 관련해 편집장이었던 라프 샤키로프가 정부 압력으로 사임한 사건은 언론 자유 침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자세한 내용은 #언론 자유 침해 논란 하위 섹션 참조)

2005년 국영 기업 가즈프롬에 인수된 후, 사실상 정부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2008년 내셔널 미디어 그룹에 매각되었고, 2024년 유럽 연합은 선전을 퍼뜨린다는 이유로 제재 대상에 올렸다.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 정부와의 관계 하위 섹션 참조)

2011년 경영진 교체, 사옥 이전, 판형 변경, 직원 대량 해고 등 큰 변화를 겪었다.[14]

3. 1. 언론 자유 침해 논란

2004년 베슬란 학교 인질극 보도와 관련하여, 당시 이즈베스티야의 편집장이었던 라프 샤키로프(Raf Shakirov)는 정부 당국의 압력으로 사임해야 했다.[6][7] 언론인 보호 위원회(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는 정부 당국이 이즈베스티야의 보도 내용에 불만을 품고 샤키로프에게 사임을 강요했다고 밝혔다.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당시 이즈베스티야의 소유주였던 블라디미르 포타닌(Vladimir Potanin)이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가 학살 사진 보도에 분노할 것을 우려하여 샤키로프에게 사임을 요청했다고 한다.

이는 푸틴 정부가 언론을 통제하고, 자신에게 비판적인 보도를 억압하려 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이즈베스티야는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의 "국가 신문"을 자처했지만, 2005년 국영 기업인 가즈프롬(Gazprom)에 인수되면서 사실상 정부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이즈베스티야의 독립성과 공정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3. 2. 러시아 정부와의 관계

소련 해체 이후, 이즈베스티야는 스스로를 러시아의 "국가 신문"이라고 칭하고 있다. 이 신문은 블라디미르 포타닌의 거대 지주 회사 소유였으나, 2005년 6월 3일 국영 기업 가즈프롬이 지배 지분을 인수하여 가즈프롬 미디어에 포함시켰다.[6][7] 언론인 보호 위원회에 따르면, 당시 이즈베스티야의 편집장 라프 샤키로프는 베슬란 학교 인질극 보도에 대한 정부 당국의 불만으로 사임을 강요당했다고 한다.[6][7]

2008년, 가즈프롬 미디어는 이즈베스티야를 내셔널 미디어 그룹에 매각했다.[9]

2024년 5월, 유럽 연합은 이즈베스티야가 선전을 퍼뜨리고 있다고 비난하며 제재 명단에 추가했다.[10] 이는 이즈베스티야가 소련 시절부터 현재까지 러시아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해왔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Атлас российской прессы: Газета "Известия" http://www.mediaatla[...]
[2] 웹사이트 Izvestiia Digital Archive 1917–2010. Online access to the Kremlin's newspaper of record http://www.eastview.[...] East View Information Services 2012-02-18
[3] 논문 The Russian Press after Perestroika http://www.cjc-onlin[...]
[4] 뉴스 Soviet says Hare Krishna cloaks hide C.I.A. Daggers https://www.nytimes.[...] 1983-07-31
[5] 논문 Book review 1965-12-01
[6] 웹사이트 Attacks 2005: Europe and Central Asia http://www.cpj.org/a[...] 2006-02-16
[7] 웹사이트 Russia, Media, Gazprom, Izvestia – JRL 6March 2005 http://www.cdi.org/r[...]
[8] 뉴스 Main papers http://news.bbc.co.u[...] BBC 2008-05-16
[9]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nm-g.ru/e[...]
[10] 웹사이트 EU ambassadors approve ban on number of Russian propaganda resources https://www.pravda.c[...] 2024-05-15
[11] 웹사이트 (Empty Title)
[12] 웹사이트 ロシア政府系の報道機関 https://jp.rbth.com/[...]
[13] 웹사이트 日本国衆議院での使用例 https://www.shugiin.[...]
[14] 뉴스 露有力紙でリストラの嵐 背景に政権の思惑?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1-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