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케다 유키히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케다 유키히코는 1937년 효고현 고베시 출생으로,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대장성과 외무성에서 근무했다. 1976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된 후 10번 당선되었으며, 스즈키 젠코 내각에서 관방부 장관, 우노 소스케 내각에서 총무청 장관을 역임했다. 1996년 하시모토 류타로 내각에서 외무대신으로 재직하며 독도 관련 발언으로 한일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1998년 오부치 게이조 정권에서 정조회장, 1999년 총무회장을 거쳐 2004년 직장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총무청 장관 - 가노 미치히코
가노 미치히코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자유민주당에서 활동하며 운수성 정무차관, 농림수산대신 등을 지냈고, 여러 정당을 거쳐 간 나오토 내각과 노다 요시히코 내각에서 농림수산성 장관을 세 차례 역임했으며, 농림수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일본의 총무청 장관 -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가타야마 도라노스케는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자치성에서 공직을 시작하여 참의원 의원, 총무대신 등을 역임했으며, 여러 정당을 거쳐 오사카 유신회 소속으로 활동하다가 2023년 욱일대수장을 수훈했다. - 이케다 하야토 - 고도경제성장
고도경제성장은 1954년부터 1973년까지 일본에서 연평균 10%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동양의 기적"이라 불릴 만큼 빠른 경제 회복과 성장을 이룬 현상을 말한다. - 이케다 하야토 -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
1961년 7월 18일에 출범한 제2차 이케다 내각을 1962년 7월에 개조하여 새롭게 구성한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는 이케다 하야토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았으며,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사임 후 이케다 하야토가 경제기획청 장관직을 겸임하게 된 것이 특징이다. - 일본의 재무관료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일본의 재무관료 - 하타 이쿠히코
하타 이쿠히코는 일본의 역사학자로, 일본 근현대사와 군사 및 전쟁사를 연구하며 난징 대학살,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논쟁적인 주제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다수의 저서를 저술하여 일본 내외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이케다 유키히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池田 行彦 |
로마자 표기 | Ikeda Yukihiko |
출생일 | 1937년 5월 13일 |
출생지 | 고베시, 일본 제국 |
사망일 | 2004년 1월 28일 |
사망지 | 도쿄도, 일본 |
정당 | 자유민주당 |
출신 학교 | 도쿄 대학 |
경력 | |
중의원 의원 | 히로시마 2구 (1976–1996) 히로시마 5구 (1996–2004) |
당선 횟수 | 10회 |
임기 시작 | 1976년 12월 10일 |
임기 종료 | 2004년 1월 28일 |
이전 | 다선거구 |
이후 | 데라다 미노루 |
주요 직책 | |
외무대신 | 하시모토 류타로 내각 |
임기 시작 | 1996년 1월 11일 |
임기 종료 | 1997년 9월 11일 |
이전 | 고노 요헤이 |
이후 | 오부치 게이조 |
방위청 장관 | 가이후 도시키 내각 |
임기 시작 | 1990년 12월 29일 |
임기 종료 | 1991년 11월 5일 |
이전 | 이시카와 요조 |
이후 | 미야시타 소헤이 |
총무청 장관 | 우노 소스케 내각 |
임기 시작 | 1989년 6월 3일 |
임기 종료 | 1989년 8월 10일 |
이전 | 가네마루 사부로 |
이후 | 미즈노 기요시 |
내각관방부장관 (정무 담당) | 스즈키 젠코 내각 |
임기 시작 | 1981년 11월 30일 |
임기 종료 | 1982년 11월 27일 |
이전 | 가와라 류키 |
이후 | 후지나미 다카오 |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 총재: 오부치 게이조, 모리 요시로 |
임기 시작 | 1999년 9월 21일 |
임기 종료 | 2000년 7월 4일 |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총재: 오부치 게이조 |
임기 시작 | 1998년 7월 24일 |
임기 종료 | 1999년 9월 21일 |
학력 | |
학위 | 법학사 (도쿄 대학, 1961년) |
출신 학교 | 도쿄 대학 법학부 졸업 |
기타 정보 | |
가족 관계 | 배우자: 이케다 노리코 자녀: 3녀 |
친족 (정치인) | 장인: 이케다 하야토 (제58-60대 내각총리대신) 조카사위: 데라다 미노루 (제27대 총무대신) |
서훈 | 정3위 [[파일:JPN Kyokujitsu-sho 1Class BAR.svg|40px]] 욱일대수장 |
2. 생애
1937년 5월 13일 효고현 고베시에서 태어났다.[2] 7세 때 아버지 아와네 노부유키가 사망한 후, 아버지의 고향인 히로시마현 나카지마 혼마치(현재의 히로시마 평화 기념 공원)로 이사했다. 1945년 8월 6일 원폭 투하 당시에는 다른 지역에 있어 피폭을 면했다. 1951년 도쿄도로 거처를 옮겨 도쿄 도립 히비야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1년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4] 도쿄대 법학부 재학 중 국가 공무원 시험에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했으며[15], 졸업 후 대장성에 들어갔다.[16] 1964년부터는 외무성으로 자리를 옮겨 주 뉴욕 총영사관에서 근무했다.[4]
1969년 전 내각총리대신 이케다 하야토의 차녀 기코와 결혼하고, 부인의 성을 따라 이케다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 슬하에 장녀 히로코, 차녀 아키코, 삼녀 교코를 두었다.[18] 1975년 대장성을 퇴직했다.
2. 1. 정치 경력
1961년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대장성에 들어가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3][4] 1964년에는 외무성으로 자리를 옮겨 주 뉴욕 총영사관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1969년 전 내각총리대신 이케다 하야토의 딸 기코와 결혼하였다. 1975년 대장성을 퇴직하고 정계에 입문했다.1976년 제3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구 히로시마현 제2구에 출마하여 처음 당선되었으며[4][14], 이후 정계를 은퇴할 때까지 10번 연속 당선되었다.[7][21] 자유민주당 내에서는 장인 이케다 하야토 및 오히라 마사요시와의 인연으로 오히라가 이끌던 파벌 굉지회에 속했다. 중의원에서는 예산위원회, 대장위원회, 외무위원회, 안전보장위원회 등에서 활동했다.
1981년 스즈키 젠코 내각에서 내각관방부장관을 지냈고, 중의원 대장위원장 등을 거쳐 1989년 우노 내각에서 총무청 장관으로 임명되어 처음으로 입각했다. 하지만 우노 내각은 총리의 스캔들로 69일 만에 총사퇴했다. 1990년 제2차 가이후 내각에서는 방위청 장관에 임명되었다.[6] 방위청 장관 재임 중이던 1991년 4월, 걸프 전쟁 이후 페르시아만의 기뢰 제거를 위해 해상자위대 파견 명령을 내려, 자위대 창설 이후 첫 해외 실전 임무 수행을 결정했다. 1991년 11월 5일 퇴임하여 미야시타 소헤이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6]

1996년 1월 11일, 하시모토가 이끄는 제1차 하시모토 내각에서 고노 요헤이의 후임으로 외무대신에 임명되었다.[7][8][9]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방위 협력을 위한 지침(가이드라인) 재검토 작업과 주페루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22] 해결에 관여했다.[7] 특히 1996년 2월, 대한민국 정부가 독도에 접안 시설 건설을 추진하자, 이케다는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상으로나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망언을 하며 한국 정부에 건설 중지를 요구했다.[23][10] 이 발언은 한국 내에서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서울의 일본 대사관 앞에서 격렬한 항의 시위가 벌어지는 등 한일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었다.[10] 당시 김영삼 대통령은 "그런 망언은 용납할 수 없다"며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하시모토 내각은 사태가 확산되자 독도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언급을 회피하며 사실상 일본 측이 양보하는 형태로 사태를 수습하려 했다. 이케다는 제2차 하시모토 내각까지 외무대신직을 유지하다 1997년 9월 11일 오부치 게이조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8]
1998년 오부치 게이조 정권 하에서 자유민주당의 정책 결정 책임자인 정무조사회장에 취임했다.[11][12] 이듬해인 1999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는 파벌 회장인 가토 고이치의 출마를 만류했으나 가토가 출마를 강행하자, 오부치 총리 지지를 표명했다. 선거 후 오부치 총리는 이케다를 당 3역 중 하나인 총무회장으로 임명했다. 이케다는 2000년 제1차 모리 내각까지 총무회장직을 유지했다.
2000년 11월, 자신의 파벌 회장인 가토 고이치가 모리 요시로 내각에 반기를 든 이른바 가토의 난이 발생했을 때, 이케다는 미야자와 기이치, 호리우치 미쓰오 등과 함께 반(反)가토 그룹의 핵심으로 활동하며 가토의 내각 불신임 결의안 동조 움직임을 좌절시키는 데 기여했다.
2004년 1월 28일, 직장암으로 투병 중 6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2. 사망
이케다는 2004년 1월 28일, 도쿄에서 직장암으로 6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4][7]3. 정책 및 외교 활동
도쿄 대학 법학부 졸업 후 1961년 대장성에 입성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했고, 1964년에는 외무성으로 자리를 옮겼다.[3][4] 1975년 관료 생활을 마치고 정계에 입문하여, 1976년 총선에서 히로시마현 제2 선거구에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중의원 의원으로 처음 당선되었다.[4][14][5] 이후 정계 은퇴 시까지 총 10번 당선되었다.[7] 자유민주당 내에서는 오히라 마사요시 파벌에 속했으며, 중의원에서는 예산위원회, 대장위원회, 외무위원회, 안전보장위원회 등에서 활동했다.
스즈키 젠코 내각에서 관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1989년 우노 내각에서는 총무청 장관으로 처음 입각하였다. 1990년 제2차 가이후 내각에서는 방위청 장관을 지냈다.[6][7]
1996년 제1차 하시모토 내각에서는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어 1997년까지 재임했다.[7][8][9] 이 기간 동안 미일방위협력지침 재검토 작업에 참여하고 주페루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 해결에 관여했다.[22][7] 또한, 외무대신 재임 중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정부와 외교적 마찰을 일으키기도 했다.[23][10] (자세한 내용은 하위 외교 정책 및 독도 문제 섹션 참조)
이후 1998년 오부치 게이조 정권 하에서 자유민주당 정책조사회장(정조회장)을 맡았고,[11][12] 1999년부터 2000년 제1차 모리 내각 시기까지는 당 총무회장을 역임했다.[14]
3. 1. 외교 정책
이케다는 하시모토 류타로가 이끄는 연립 내각에서 1996년 1월 11일부터 1997년 9월 11일까지 외무대신을 역임했다.[7][8][9] 그는 고노 요헤이의 후임으로 외무대신이 되었다.[8]
외무대신 재임 중, 그는 미·일 방위 협력을 위한 지침의 재검토 작업에 참여했으며, 주페루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 해결을 위해 일본 측 노력을 주도했다.[22][7]
그러나 1996년 초, 대한민국 정부가 독도에 접안 시설 건설을 추진하자[10] 이케다는 "다케시마(일본이 독도를 부르는 이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상 관점에서나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망언을 하여[23]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등[10] 한일 관계를 크게 악화시켰다. 그의 발언은 한국 내에서 격렬한 항의 시위를 불러일으켰다.[10]
이케다는 1997년 9월 11일 오부치 게이조에게 외무대신직을 넘겨주었다.[8]
3. 2. 독도 문제
1996년 제1차 하시모토 내각의 외무대신으로 재직하던 중, 대한민국 정부가 독도에 접안 시설(부두 시설) 건설을 추진하자[23][10], 이케다는 "다케시마(일본 측이 독도를 부르는 이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상으로나 일본 고유 영토"라고 주장하며 건설 중단을 요구했다.[23][10] 이러한 그의 발언은 당시 한일 관계를 악화시켰으며, 대한민국 서울에서는 그의 주장에 항의하는 격렬한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10]4. 평가
장인인 이케다 하야토와 마찬가지로 술고래였다고 알려져 있다.
대장성 출신의 재정통이었으며, 외교·안보에도 정통한 정책통으로 평가받았다. 반면 대장성 관료 체질이 남아 오만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외무대신 취임 이후 인간성에도 원숙미를 더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사망 다음 날 지역 신문에 '지(知)·의(義)와 정(情)의 정치가'라는 표제의 추도 칼럼이 게재되었다. 주 페루 일본 대사 공저 점거 사건 당시 현지 방문했을 때, 기자 회견에서 체류 일정에 관한 질문을 받자, 회견 종료 후 해당 기자에게 격노하는 소동이 있었다. 현지 기자 회견장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외상 수행 기자뿐이었는데 외무성 현지 직원의 실수로 수행 기자 외의 언론 관계자가 잠입, 공식 회견에서 금기시되는 질문을 했기 때문에 질책한 것이었다.
외무대신, 방위청 장관, 당 정조회장, 당 총무회장을 역임하는 등 흠잡을 데 없는 경력을 쌓았지만, 장인이 창설한 파벌을 계승하거나 총재 후보가 되지는 못하고 뜻을 이루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1990년 9월, 가네마루 신 방북단의 일원으로서 북한을 방문한 이케다는, 스파이 혐의로 나포 구속되었던 제18 후지산호의 홍분용 선장 등 2명의 선원의 석방을 요구하며, 귀국 직전까지 북한 측과 끈질기게 협상했다. 그 결과 같은 해 10월 11일, 오자와 이치로 자민당 간사장·도이 다카코 사회당 위원장 (모두 당시)가 탑승한 전세기로, 2명은 귀국을 완수했다.
5. 가족 관계
아버지는 아와네 노부유키(粟根信行)로, 유키히코가 7세 때 사망했다. 이후 아버지의 고향인 히로시마시 나카지마 혼마치(현재의 평화 기념 공원 내)로 이사했다.
1969년 5월, 전 내각총리대신 이케다 하야토의 차녀[4] 노리코(紀子)와 결혼하여[5][7], 아내의 성인 이케다(池田)를 따랐다.[13] 장인은 이케다 하야토이다.
슬하에 세 딸을 두었다.
구분 | 이름 | 생년월일 | 비고 |
---|---|---|---|
장녀 | 히로코(裕子) | 1971년 7월 8일 | 학습원 중퇴[18] |
차녀 | 아키코(晶子) | 1973년 7월 10일 | 학습원 법학부 졸업[18], 에르메스 사원[19] |
삼녀 | 교코(恭子) | 1975년 2월 5일 | 학습원 법학부 졸업 |
2004년 이케다 유키히코 사망 후 치러진 보궐 선거에서는 아내 노리코의 조카사위(조카 게이코의 남편)인 테라다 미노루가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6. 기타
장인인 이케다 하야토와 마찬가지로 술고래였다.
대장성 출신의 재정통이자 외교·안보에도 정통한 정책통이었다. 반면 대장성 관료 체질이 없어지지 않아 오만한 성격으로 평가받기도 했지만, 외무대신 취임 이후 인간성에도 원숙미를 더해 사망 다음 날 지역 신문에 '지(知)·의(義)와 정(情)의 정치가'라는 표제의 추도 칼럼이 게재되었다.
페루 일본 대사 공저 점거 사건 당시 현지 방문했을 때, 기자 회견에서 체류 일정에 관한 질문을 받자, 회견 종료 후 해당 기자에게 격노하는 소동이 있었다. 현지 기자 회견장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외상 수행 기자뿐이었는데 외무성 현지 직원의 실수로 수행 기자 외의 언론 관계자가 잠입, 공식 회견에서 금기시되는 질문을 했기 때문에 질책한 것이었다.
외상이나 방위청 장관, 당 정조회장, 당 총무회장을 역임하는 등 흠잡을 데 없는 커리어를 쌓았지만, 장인이 창설한 파벌을 계승하거나 총재 후보가 되지는 못하고 뜻을 이루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1990년 9월, 가네마루 방북단의 일원으로서 북한을 방문한 이케다는, 스파이 혐의로 나포 구속되었던 제18 후지산호의 홍분용 선장 등 2명의 선원의 석방을 요구하며, 귀국 직전까지 북한 측과 끈질기게 협상했다. 그 결과 같은 해 10월 11일, 오자와 이치로 자민당 간사장·도이 다카코 사회당 위원장 (모두 당시)가 탑승한 전세기로, 2명은 귀국을 완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ormer Foreign Minister Yukihiko Ikeda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12-12-27
[2]
서적
The International Who's Who 2004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
서적
Japan on the Upswing: Why the Bubble Burst and Japan's Economic Renewal (Hc)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06-03-01
[4]
웹사이트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Yukihiko Ikeda
http://www.mofa.go.j[...]
2012-12-27
[5]
논문
The 1976 General Election in Japan
1977-Summer
[6]
웹사이트
Defense ministers of Japan
http://rulers.org/ja[...]
2013-01-09
[7]
뉴스
Deaths Elsewhere
https://news.google.[...]
2012-12-27
[8]
웹사이트
Foreign Ministers of Japan
http://rulers.org/ja[...]
2013-01-05
[9]
웹사이트
January 1996
http://rulers.org/19[...]
2013-01-05
[10]
웹사이트
Is Japanese maritime strategy changing? An analysis of the Takeshima/Dokdo issue
http://dev.wcfia.har[...]
Harvard University
2013-01-09
[11]
뉴스
Ikeda's prudence brings LDP General Council head post
http://www.thefreeli[...]
2013-01-06
[12]
뉴스
Leaving it to the old man
http://www.economist[...]
2012-12-27
[13]
뉴스
Former Foreign Minister Ikeda dies at 66
http://www.thefreeli[...]
2013-01-09
[14]
뉴스
Japan's Ex-Foreign Min. Yukihiko Ikeda Dies
http://www.accessmyl[...]
2013-01-06
[15]
간행물
週刊文春 第39巻 第17~20号
[16]
간행물
政界往来 第52巻、第9〜12号
[17]
간행물
職員録 昭和39年版 上巻
大蔵省印刷局
[18]
문서
人事興信録42版い130
[19]
웹사이트
https://www.yaesu-bo[...]
[20]
간행물
職員録 昭和45年版
大蔵省印刷局
[21]
문서
[22]
웹사이트
페루일본대사관인질사건 - 네이버 백과 사전
http://100.naver.com[...]
[23]
웹사이트
군 독도대응 과거와 판이…96년엔 화끈·지금은 조용
http://www.segy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