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사회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사회당은 1945년 결성된 비공산당계열의 일본 사회주의 정당이다. 창당 초기에는 사회민주주의와 마르크스주의 등 다양한 사회주의 노선이 공존했으며, 가타야마 데쓰가 초대 서기장을 역임했다. 1947년 총선거에서 제1당이 되어 연립 내각을 구성했으나 내부 분열로 붕괴되었다. 이후 좌우 분열과 재통합을 거치며 55년 체제 하에서 제1야당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구조개혁 논쟁과 당의 침체, 안보 투쟁 실패, 민주사회당 분당 등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채택하고 여성 당수 도이 다카코의 등장으로 잠시 당세가 회복되기도 했지만, 1990년대 이후 연립 정권 참여와 내부 분열을 겪으며 쇠퇴하여 1996년 사회민주당으로 개칭되었다. 일본사회당은 북한과 교류하고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지지했으나, 납북 피해자 문제와 관련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해산된 정당 - 무당파국민연합
    무당파국민연합은 1996년 15대 총선을 앞두고 한병채 등 무소속 정치인들이 창당한 정당으로, 기존 정당의 폐해를 비판하며 중앙당과 당수가 없는 정당을 표방했으나 선거 참패로 등록이 취소되었다.
  • 1945년 설립된 정당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1945년 설립된 정당 - 오스트레일리아 자유당
    오스트레일리아 자유당은 1944년 로버트 멘지스에 의해 창당된 오스트레일리아의 주요 우파 정당으로, 다민족 이민 확대, 경제 성장 추구, 미국과의 동맹 강화 등을 주요 정책으로 삼고 있으며 피터 닷튼이 현재 당 대표를 맡고 있다.
  • 진보주의 정당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은 2011년 여러 정당의 통합으로 결성되어 2012년 총선에서 제3당으로 도약했으나, 부정, 분열, 내란음모 혐의 등의 논란 끝에 2014년 헌법재판소의 해산 결정으로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해산된 정당이다.
  • 진보주의 정당 - 녹색좌파당 (네덜란드)
    녹색좌파당은 환경 보호와 사회 정의를 핵심 이념으로 1989년 네 개의 좌파 정당이 합쳐져 창당되었으며, 국제 협력, 사회 복지 개혁, 사회적 관용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며 좌파 정당들과의 연대를 통해 네덜란드 정치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여성, 성소수자, 이민자 유권자에게 높은 지지를 얻고 있다.
일본사회당 - [정당]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일본 사회당
로마자 표기Nippon shakai-tō 또는 Nihon shakai-tō
약칭JSP
창립일1945년 11월 2일
해산일1996년 1월 19일
후계 정당사회민주당
민주당 (대부분)
신사회당 (일부)
본부 위치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나가타초 1-8-1 사회문화회관
기관지《사회신보》
국제 조직사회주의 인터내셔널
당색파랑
일본 사회당 당기
당기
일본 사회당 로고
로고
정치
정치 이념사회주의
평화주의
정치적 위치좌익
내부 정파중도좌파 ~ 극좌
주요 이념 (우파 계열)민주사회주의
주요 이념 (좌파 계열)혁명적 사회주의
주요 정책호헌
비무장 중립
전면강화론
주요 사상혁신
노농파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 리버럴 (1994년 이후)
민주사회주의 (말기 이후)
관련 이념간접민주제
다당제
노동기본권
자유권
복지국가론
혼합경제
부의 재분배
공정무역
환경보호
세속주의
협동조합
사회정의
역대 지도자
초대 당수가타야마 데쓰
마지막 당수무라야마 도미이치
기타 정보
법인 번호3010005002277

2. 역사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45년 ~ 195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전의 비공산당계열 합법 사회주의 세력들이 결집하여 1945년 11월 2일 일본사회당을 결성하였다. 니시오 스에히로, 히라노 리키조, 미즈타니 쵸사부로 등이 중심이 되었다.[78][79][80] 히비야 공회당에서 열린 결당대회에서 가타야마 데쓰가 서기장으로 선출되었고, 위원장은 공석으로 남겨졌다. 부녀부장에는 아카마쓰 쓰네코가 취임했다.[78][79][80]

일본사회당은 온건파 사회민중당(사민) 계열, 중도파 일본노농당(일노) 계열, 급진파 일본무산당(일무) 계열 등이 힘을 합쳐 결성되었다. 온건파와 중도파는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적 인식을, 급진파는 마르크스주의적인 사회주의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노농당 계열의 핵심 의원들은 전전 사회주의운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천황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의 실현을 위해 군부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대정익찬회에 합류를 추진하는 의원들도 있었다. 한편 급진파는 천황제를 타도하고, 소련식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를 목표로 하는 이들이 많았다.

결당 당시 당명은 “일본사회당” 또는 “사회민주당”을 두고 논의가 있었고, 일본어 명칭을 “일본사회당”, 영문 명칭을 “Social Democratic Party of Japan”(SDPJ, 직역은 일본 사회민주당)으로 결정했다. 이후 좌파가 주도권을 잡으면서 “Japan Socialist Party”(JSP, 직역은 일본 사회당)라는 영문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 후 다시 우파의 영향력이 강해져 사회민주주의가 당의 노선이 되면서 SDPJ의 영문 명칭을 회복하게 되었다고 한다.

도쿠가와 요시치카 후작 등 명망가를 추대하려는 의도로 당초에는 위원장은 공석으로 하고, 초대 서기장에 가타야마 데쓰가 취임했다(후에 위원장에 취임).

카타야마 데쓰


니시오 스에히로와 카타야마 데쓰는 일본 사회당 창당 멤버 중 한 명이며 당내에서 지도적 위치를 차지했다. 가타야마 데쓰는 1947년부터 1948년까지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다. 니시오 스에히로는 1960년 당에서 분당하여 민주사회당을 결성했다.

2. 1. 1. 일본사회당의 출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전의 비공산당계열 합법 사회주의 세력들이 결집하여 1945년 11월 2일 일본사회당을 결성하였다. 니시오 마스히로, 히라노 리키조, 미즈타니 쵸사부로 등이 중심이 되었다.[78][79][80] 히비야 공회당에서 열린 결당대회에서 가타야마 데쓰가 서기장으로 선출되었고, 위원장은 공석으로 남겨졌다. 부녀부장에는 아카마쓰 쓰네코가 취임했다.[78][79][80]

일본사회당은 우익의 사회민중당(사민) 계열, 중간파의 일본노농당(일노) 계열, 좌익의 일본무산당(일무) 계열 등이 힘을 합쳐 결성되었다. 우익과 중간파는 민주사회주의적인 사회주의관을, 좌익은 마르크스주의적인 사회주의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분열하여 민주사회당(후에 민사당이 됨)을 결성하게 되는 우익은 반공주의 성향도 가지고 있었다. 일본노농당 계열의 중심 인물들은 전전에 사회주의 운동의 난관을 돌파하기 위해 덴노를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실현을 추구하며 군부에 적극적으로 협력했고, 대정익찬회 합류를 추진한 의원들이 많았다. 반면 좌익은 덴노제 타도를 목표로 한 인물들이 많았다.

결당 당시 당명은 “일본사회당” 또는 “사회민주당”을 두고 논의가 있었고, 일본어 명칭을 “일본사회당”, 영어 명칭을 “Social Democratic Party of Japan”(SDPJ, 직역은 일본 사회민주당)으로 결정했다. 이후 좌익이 주도권을 잡으면서 “Japanese Socialist Party”(JSP, 직역은 일본 사회당)라는 영어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 후 다시 우익의 발언력이 강해지고 사회민주주의가 당의 노선이 되면서 SDPJ 약칭이 재확인되었다.

이처럼 사회민중당 계열, 일본노농당 계열, 일본무산당 계열 3파의 대립을 전전부터 끌어오며 여러 차례 파벌 대립을 일으켰다. 사회당 결성에 참여한 좌익의 아라하타 간손은 나중에 “사회주의와는 전혀 관계없는 인물들과 사정과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것에 불과했다”라고 평가했고, 실제로 결성 협의회에서는 사회주의에 대해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81]

도쿠가와 요시치카 백작 등 명망가를 추대하려는 의도로 당초에는 위원장은 공석으로 하고, 초대 서기장에 가타야마 데쓰가 취임했다(후에 위원장에 취임).

니시오 스에히로와 카타야마 테쓰는 일본 사회당 창당 멤버 중 한 명이며 당내에서 지도적 위치를 차지했다. 카타야마는 1947년부터 1948년까지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다. 니시오는 1960년 당에서 분당하여 민주사회당을 결성했다.

2. 1. 2. 가타야마 내각과 좌우 분열 (1947년 ~ 1949년)

일본국 헌법에 의해 치러진 1947년 중의원 총선거에서 일본사회당은 143석을 획득, 제1당으로 부상했다. 그 결과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립하여 가타야마 데쓰 내각이 출범했다. 그러나 히라노 리키조 농림성 장관이 공직에서 추방된 것을 둘러싸고 우파 일부가 탈당하고, 당내 좌파는 공공연하게 내각을 비판하는 등 분열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1948년에 가타야마 내각은 당내 파벌 대립으로 와해되었다. 니시오 스에히로 내각관방 장관은 좌파의 입각을 인정하지 않았고, 좌파는 사실상 당내 야당처럼 되어 갔다.

이후 수립된 아시다 히토시 내각에서 사회당은 여당 자리를 지켰고, 일부 좌파의 입각을 인정했지만, 극좌파 구로다 히사오 등 6명이 예산안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제명되는 등, 극좌파와 극우파를 몰아내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쇼와전공 사건으로 뇌물 수수 혐의로 아시다 총리와 니시오 스에히로 부총리가 체포되면서, 결국 내각이 하야하게 되었다.

제명된 구로다 히사오 등은 12월 3일, 노동자농민당을 결성했다. 1949년 1월 23일제24회 중의원 총선거에서는 의석이 48석으로 격감해 여당에서 제2야당으로 추락했으며, 위원장이던 가타야마 데쓰마저 낙선했다.

2. 1. 3. 모리토-이나무라 논쟁과 좌우 분열 (1949년 ~ 1951년)

총선거에서 패배한 후 열린 제4회 당대회에서 모리토 다쓰오가 당의 성격을 ‘국민정당’으로 규정하고, 의회주의에 근거한 반공을 주창했다. 그러자 이나무라 준조가 혁명에 의해 사회제도를 변혁하며, 때에 따라서는 공산당과의 연합도 불사하는 ‘계급정당’적 성격의 일본사회당을 주장했다. 이 논쟁은 결국 일본에서의 사회주의적 정책의 실현 방향에 대한 논쟁으로 발전했으며, 가쓰마타 세이이치가 제기한 ‘계급적 대중정당’이라는 정의로 결착이 지어지는듯 했다.[84]

하지만 이로 인해 촉발된 좌우 양파의 대립은 심각하게 진행되었고, 1950년 1월 16일에는 좌·우파가 분열하게 된다. 이때는 75일 후인 4월 3일의 당대회에서 다시 통일할 수 있어 대립이 종료된 것으로 보였다.

1950년 7월에는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총평)가 결성된다. 총평은 노동조합에서 일본공산당의 영향력을 배제하고자 하는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주선으로 결성되었기에 초기에는 온건한 색채를 띄고있었다. 그러나 일본 내에서 재군비 논쟁이 과열되면서, 총평 내에는 재군비반대파가 대두해 반미·반정부의 자세를 강화해갔다.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대한 찬반을 놓고 다시 좌우 양파가 대립하여, 1951년 10월 24일 재분열했다. 당내 우파가 지향하는 “사회주의”는 영국 노동당과 같은 민주사회주의였던 반면, 당내 좌파가 지향하는 “사회주의”는 소련·중국과 같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체제 국가였다. 소련·중국을 포함한 “전면 강화”를 요구한 사회당은, 일본의 자유주의 진영 편입을 받아들여야 할지 여부를 놓고, 두 국가를 포함한 동구권 국가들을 제외한 “다수 강화” 문제로 당내가 대립했다. 당시 사회당 위원장은 좌파의 스즈키 시게사부로였으며, 전면 강화·중립 고수·(주일 미군)군사기지 반대 “강화 3원칙”을 주창했다. 당내 좌파는 소련 등 동구권 국가들을 제외한 단독 강화론에 부정적이었고, 전면 강화론을 주장했다. 반대로 당내 우파는 일미 안보 조약에는 반대하지만 단독 강화론에 찬성하여, 당내 대립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51년에는 야마카와 히토시 등 전쟁 이전의 마르크스주의 활동가를 중심으로 사회주의협회가 결성되는 등, 이후의 일본사회당을 지탱하는 조직적·이론적 배경의 기반을 형성해갔다.

2. 1. 4. 총평, 사회주의협회 결성과 좌파 우위 체제 확립

1950년 7월에는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총평)가 결성되었다. 총평은 노동조합에서 일본공산당의 영향력을 배제하고자 하는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주선으로 결성되었기에 초기에는 온건한 색채를 띄고있었다. 그러나 일본 내에서 재군비 논쟁이 과열되면서, 총평 내에는 재군비반대파가 대두해 반미·반정부의 자세를 강화해갔다.[81] 1951년에는 야마카와 히토시 등 전쟁 이전의 마르크스주의 활동가를 중심으로 사회주의협회가 결성되는 등, 이후의 일본사회당을 지탱하는 조직적·이론적 배경의 기반을 형성해갔다.

분열 직전인 1951년에 위원장으로 취임한 스즈키 모사부로는 위원장 취임사에서 “'''청년이여, 총을 취하지 말게'''”라고 호소하며 '''비무장 중립론'''을 주창했다. 이는 전쟁을 싫어하는 감정이 강했던 당시의 젊은 층에서 부각되며, 분열 이후에도 비무장 중립론을 주창하던 사회당 좌파의 세력을 늘리게 했다. 또한 총평도 사회당 좌파의 약진을 지원했다. 한편 사회당 우파는 재군비에 적극적이었던 니시오 스에히로와 소극적이었던 가와카미 조타로의 대립 등으로 재군비에 대해 명확한 자세를 취하지 못했고, 노조의 지원도 받을 수 없었으므로 세력이 후퇴했다.

2. 2. 55년 체제와 안보 투쟁 (1955년 ~ 1960년)

1955년 10월 13일, 사회당 좌우 양파는 긴다 공립강당에서 당대회를 열고 오랜 분열에 종지부를 찍고 '''사회당 재통일'''을 달성했다(스즈키 시게자부로 위원장・아즈마 이나지로 서기장).[89] 통일 당시 중의원 의석은 156석에 달했다. 같은 해 11월 보수 세력은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을 결성하여, 이른바 '''55년 체제'''가 성립되었다.

1955년 10월 13일, 좌우 양파는 당대회를 열고 사회당 재통일을 달성했다.


당시에는 양당제를 이상적으로 보는 시각이 강했고, 사회당 또한 정권 획득이 가까워졌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1956년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새로 선출한 127석 중 자민당이 61석을, 사회당이 49석을 얻어 양당 체제가 견고해졌다.[90] 1957년에는 노동자농민당이 합류하여, 당의 분열이 완전히 해소되기도 했다.

1958년 중의원 총선거에서 사회당은 166석을 획득했지만, 자민당은 287석을 획득하며 주춤했다. 하지만 이때는 사회당의 최고 의석으로, 유일하게 3분의 1을 넘는 의석을 획득한 선거였다. 1959년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도쿄 선거구에 공천한 후보가 전멸하는 등 당세가 후퇴했다.

극우파였던 니시오 스에히로는 ‘패한 원인은 계급정당론, 용공, 친·소 노선’이라고 비판했다. 게다가 미·일안전보장조약 폐지를 주장하던 사회당에 조약 개정에 반대한다면 그를 대신하는 안전보장체제를 명확히 할 것이나 안보개정저지국민회의의 주도권을 총평에서 사회당으로 옮긴 뒤 일본공산당을 배제할 것을 요구했다. 오오타 카오루와 이와이 아키라는, 일본공산당과의 공투를 원칙으로 할 것을 주장하여, 양자는 정면으로 대립했다.[128] 니시오 스에히로가와카미 조타로 등의 파벌 일부는 1959년에 연달아 탈당한 뒤, 다음 해에 민주사회당('''민사당''')을 결성했다. 이런 배후에는 미국의 지원이 있었음이 밝혀졌다.[128]

사회당은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을 앞두고 조약 폐기를 쟁점으로 정권 획득을 노리게 되었다(''안보투쟁''). 또한 거의 동시에 전쟁 이후 최대의 노동쟁의로 불리는 후쿠오카현오무타시의 미쓰이 미이케 쟁의가 일어났다. 이 쟁의와 일본민중들과 기독교계의 사회운동인 안보투쟁에 사회당은 전력을 쏟으며 싸우기 시작한다. 이때 사회당의 청년부를 기초로 한 일본사회주의청년동맹이 결성되었다. 하지만 결국 중앙노동위원회에서 미이케 광산 노동자 측에 현저하게 불리한 조정안을 제시하면서부터 패배가 결정되었고, 새 안전보장조약도 자연스럽게 성립하게 되었다.

2. 2. 1. 좌우 통일과 양당 체제

1955년 10월 13일, 사회당 좌우 양파는 오랜 분열에 종지부를 찍고 통일을 완수했다.[89] 통일 당시 중의원 의석은 156석에 달했다. 같은 해 11월 보수 세력은 자유민주당을 결성하여, 이른바 '''55년 체제'''가 성립되었다.

당시에는 영국과 같은 양당제를 이상적으로 보는 시각이 강했고, 사회당 또한 정권 획득이 가까워졌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1956년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새로 선출한 127석 중 자민당이 61석을, 사회당이 49석을 얻어 양당 체제가 견고해졌다.[90] 1957년에는 당의 분열이 완전히 해소되기도 했다.

2. 2. 2. 안보 투쟁과 민사당 분열

1955년 10월 13일에 열린 당대회에서 사회당 좌우 양파는 오랜 분열에 종지부를 찍고 통일을 완수했다. 1958년 중의원 총선거에서 사회당은 166석을 획득했지만, 자민당은 287석을 획득했다.[89] 1959년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도쿄 선거구에 공천한 후보가 전멸하는 등 당세가 후퇴했다.

니시오 스에히로는 ‘패한 원인은 계급정당론, 용공, 친·소 노선’이라고 비판했다. 게다가 미·일안전보장조약 폐지를 주장하던 사회당에 조약 개정에 반대한다면 그를 대신하는 안전보장체제를 명확히 할 것을 요구했다.[128] 니시오 스에히로가와카미 조타로 등의 파벌 일부는 1959년에 탈당한 뒤, 다음 해에 민주사회당을 결성했다.[128]

사회당은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을 앞두고 조약 폐기를 쟁점으로 정권 획득을 노리게 되었다(''안보투쟁''). 미쓰이 미이케 쟁의와 안보투쟁에 사회당은 전력을 쏟았지만, 결국 패배했다.

2. 3. 구조개혁 논쟁과 당의 침체 (1960년 ~ 1970년대)

민사당이 떨어져 나갔지만, 제1야당의 자리는 여전히 일본사회당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보수세력에 대비되는 혁신세력의 중심으로 건재했다.

1960년10월 12일에는 NHK가 기획한 도쿄 히비야공회당 3당수 연설회에서 연설중이던 대표 아사누마 이네지로가 17세의 우익 소년 야마구치 오토야에게 좌측 흉부를 찔려 사망했다. 11월 20일 중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일어났지만, 선거에서 사회당은 145석을 획득했다. 민사당은 17석을 획득했지만, 자민당은 296석으로 의석을 늘렸다.

1958년의 총선거 직후부터 당 내에는 개혁운동이 시작되어, 에다 사부로는 젊은 층의 지지를 받아 지도자의 지위를 확립했다. 곧 안보 투쟁과 미쓰이 미이케 쟁의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점진적인 개혁을 진행시킨 뒤 그 축적된 것으로 사회주의를 실현하자는 ‘구조개혁론’을 제창했다. 에다 사부로는 1962년의 강연에서, 장래의 일본의 목표로 해야하는 미래상으로 이른바 ‘에다 비전’을 제시했다. 이 미래상에는 ‘미국의 평균적인 생활수준과 소련의 철저한 생활보장, 영국의 의회 민주주의, 일본국 헌법의 평화주의를 종합적으로 조정할 때 대중과 맺어진 사회주의가 태어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것으로 에다는 여론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사사키 고조 등은 에다의 대두를 경계하기 시작했고, 사사키와 손잡은 사회주의협회의 영향력도 커졌다. 당의 ‘대중화’ 구호와는 반대로, 지도자들은 파벌 싸움에 날이 지고, 사회당은 오로지 사회주의협회와 총평의 조직력에만 의존하는 체질이 되어갔다. 1964년에는 사회주의협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사실상의 강령 ‘일본에서의 사회주의로 가는 길’(통칭 '''길''')이 채택되었다. ‘길’은 1966년에 보정되어, 사실상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긍정하는 표현을 포함시키기에 이르렀다.

사회당은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맹하고 이었지만, 사민주의는 좌파를 중심으로 ‘자본주의 체제를 인정한 개량주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매우 적대시 되었다. 좌파는 체제의 개혁이 아닌, 자본주의 체제 자체를 타도하려는 혁명을 지향하고 있었으며, 사민주의로의 전환은 자본주의에의 패배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극우파가 민사당으로 떠나 좌파의 힘이 강해진 때문이기도 하고, 당내의 우파가 적극적으로 사민주의를 주장할 수 없게 된 원인이 되었다. 그 결과 일본사회당은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맹한 정당이면서, 소련이나 중국 등의 제2세계 국가와 친근함을 나타내는 특이한 강령을 가진 정당이 되었다. 사회당 간부는 소련이나 중국에는 우호 방문을 반복하는 한편, 미국에 대해서는 베트남 전쟁에 항의하거나 사죄하라고 대사관을 통해서만 전달하는 등의 편향적인 대외 교류정책을 취해 사실상 중립정책을 폐기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미국의 베트남 전쟁을 지지했기 때문에, 사회당은 어느 기간은 회비를 납부하지 않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탈퇴는 하지 않았다.

2. 3. 1. 구조개혁 논쟁과 '길' 채택

1960년 10월 12일, NHK가 기획한 도쿄 히비야공회당 3당수 연설회에서 연설 중이던 아사누마 이네지로 대표가 17세의 우익 소년에게 암살당했다. 11월 20일 중의원 총선거에서 사회당은 145석을 획득했다.

1958년 총선거 직후부터 당 내에는 개혁운동이 시작되어, 에다 사부로는 젊은 층의 지지를 받아 지도자 지위를 확립했다. 곧 안보 투쟁과 미쓰이 미이케 쟁의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사회주의를 실현하자는 ‘구조개혁론’을 제창했다. 1962년 강연에서 에다 사부로는, 장래 일본의 목표로 해야하는 미래상으로 이른바 ‘에다 비전’을 제시했다. ‘에다 비전’에는 ‘미국의 평균적인 생활수준과 소련의 철저한 생활보장, 영국의 의회 민주주의, 일본국 헌법의 평화주의를 종합적으로 조정할 때 대중과 맺어진 사회주의가 태어난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하지만 사사키 고조 등은 에다의 대두를 경계하기 시작했고, 사사키와 손잡은 사회주의협회의 영향력도 커졌다. 1964년에는 사회주의협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사실상의 강령 ‘일본에서의 사회주의로 가는 길’(통칭 '''길''')이 채택되었다. ‘길’은 1966년에 보정되어, 사실상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긍정하는 표현을 포함시키기에 이르렀다.

2. 3. 2.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적대와 공산주의 경도

사회당은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맹하고 있었지만, 좌파를 중심으로 사회민주주의는 '자본주의 체제를 인정한 개량주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매우 적대시되었다.[24] 좌파는 체제의 개혁이 아닌, 자본주의 체제 자체를 타도하려는 혁명을 지향하고 있었으며, 사회민주주의로의 전환은 자본주의에의 패배로 간주되었다. 이는 민사당으로 우파가 떨어져 나가 좌파의 힘이 강해진 때문이기도 하고, 당내 우파가 적극적으로 사회민주주의를 주장할 수 없게 된 원인이 되었다. 그 결과 일본사회당은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맹한 정당이면서도, 소련이나 중국 등의 제2세계 국가와 친근함을 나타내는 특이한 강령을 가진 정당이 되었다. 사회당 간부는 소련이나 중국에는 우호 방문을 반복하는 한편, 미국에 대해서는 베트남 전쟁에 항의하거나 사죄하라고 대사관을 통해서만 전달하는 등의 편향적인 대외 교류정책을 취해 사실상 중립정책을 폐기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미국의 베트남 전쟁을 지지했기 때문에, 사회당은 어느 기간은 회비를 납부하지 않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탈퇴는 하지 않았다.

2. 3. 3. 고도 경제 성장과 당세 정체

1963년중의원 총선거에서는 144석, 1967년 중의원 총선거에서는 140석으로, 일본사회당의 세력은 정체되거나 미묘하게 감소했다. 사회당은 정체의 원인을 찾기보다 내부 파벌 싸움에 에너지를 소비했다.[91]

일본의 저널리스트 이시카와 마스미는 새로 도시에 유입된 사람은 상당 부분 기권층으로 전락하며, 일부는 공명당이나 일본공산당 등 지역을 보살피는 데 열중하는 정당에 흡수되어 갔다고 분석했다.

1969년 중의원 총선거에서 사회당은 90석으로 급감했다. 이시카와 마스미는 사회주의에 불리한 사건들이 발생하면서 사회당에 실망한 지지층이 대거 기권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92] 그러나 1970년대 전반에는 위원장 나리타 도모미와 서기장 이시바시 마사시를 중심으로 잃어버린 의석을 어느 정도 회복하기도 했다.

55년 체제 성립 당시 사회당도 정권 획득을 목표로 했지만, 자민당의 일당 우위 체제가 지속되면서 정권 획득에 대한 열망은 희미해졌다. 사회당은 '만년 야당'으로 불렸고, 지지자들 또한 자민당 정권이 지속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인식이 퍼졌다.

지방에서는 자민당과 사회당의 양당 체제가 유지되었기 때문에, 사회당은 도시형 정당에서 농촌형 정당으로 전락해 갔다.

2. 3. 4. 혁신 지자체와 사회주의협회 세력 대두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본사회당일본공산당까지 포함한 모든 야당의 공동투쟁 노선을 취해, 지자체에서 공산당과 함께 선거를 진행시켰다. 그 결과 도쿄도, 오사카부 등 각지에서 혁신 지자체의 수장이 탄생했다.[13][14][15][16][17][18][19] 혁신 지자체들은 사회 복지의 강화 등 일정한 결과를 남겼지만, 재정의 악화를 불렀다는 비판도 받고있다. 이런 가운데 일본사회주의청년동맹에 세력을 가지고 있던 극좌파를 배제하면서 사회주의협회의 영향력이 조직에서도 강해지기 시작했다. 사키사카 이츠로를 지도자로 한 당시의 사회주의협회는 마르크스나 레닌 등의 저작을 절대시하면서, 소련을 ‘사회주의의 조국’으로 생각하며 체코 침공을 공공연하게 지지하는 등, 사회당이 제시한 당시의 중립정책이 용납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친소 경향의 사회주의협회 세력이 확대되면서, 사사키 고조 등은 예전에 적대시하던 에다 사부로와 연합하면서, 이후 사회주의협회 세력과 반협회 세력의 대립은 격화되어 갔다.

2. 4. 1980년대 이후의 변화와 쇠퇴

나가타초에 위치한 전 일본사회당 본부, 사회문화회관 ()


1986년 7월, 이시바시 마사시 당수 하에서 일본사회당은 1986년 일본 총선과 1986년 일본 참의원 선거에서 모두 참패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가 이끄는 자유민주당에 패하여 중의원 의석 수는 112석에서 85석으로 줄었고, 득표율도 19.5%에서 17.2%로 감소했다. 이 결과, 도이 다카코가 새 당수로 선출되었는데, 이는 일본 정당 역사상 최초의 여성 당수였다.[94] 도이 다카코는 대중적 인기를 바탕으로 1990년 일본 총선에서 136석, 득표율 24.4%를 기록하며 당세를 회복시켰다. 일부 선거구에서는 사회당 후보가 2명 이상 당선되기도 했다. 도이는 130개 선거구에 2명 이상의 후보를 공천하는 결정을 내렸는데, 이는 과거와는 다른 논쟁적인 결정이었다. 많은 당 후보들이 서로 경쟁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출마한 149명의 사회당 후보 중 대다수(8명 중 7명의 여성 후보 포함)가 당선되었다.

헌법학 교수 출신인 도이는 강하고 직설적인 태도로, 다른 정치인들의 회피적인 태도에 지친 유권자들에게 호소력을 가졌다. 많은 여성들은 그녀를 순종적인 여성상에 대한 신선한 대안으로 여겼고, 1980년대 후반 여론조사에서 그녀는 가장 인기 있는 정치인으로 꼽혔다(2위는 강경한 보수 성향의 자민당 의원 이시하라 신타로였다). 그러나 도이의 인기는 당에 제한적인 도움만 주었다. 당원 7만 6천 명 중 일부를 지원하는 강력한 사회주의협회(Shakaishugi Kyokai)는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고수하며, 도이의 '페레스트로이카'와 온건 노선 추진을 방해했다.

1983년, 도이의 전임 당수 이시바시 마사시는 자위대에 대한 당의 강경 반대 입장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헌법 제9조에 따라 자위대가 위헌이라는 주장은 유지하면서도,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설립되었기 때문에 합법적인 지위를 가진다고 주장했다(1년 후 자위대의 법적 존재를 인정하는 것으로 변경). 이시바시는 또한 미국 정치 지도자들과의 논의를 위해 워싱턴을 방문했다. 1980년대 말, 일본사회당은 자위대와 1960년 미일 안보 조약을 수용했다. 당은 군비 지출을 국내총생산의 1% 이하로 제한하고, 미국군과의 합동 군사 훈련 중단, 3원칙(핵무기 생산, 보유, 반입 금지) 재확인을 주장했다.

도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대한민국(남한)과의 균형 외교를 지지했다. 과거 일본사회당은 평양의 김일성 정권을 지지했으며, 1990년대 초에도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기본 관계 조약(1965)에 따른 한국일본 간의 관계 정상화를 인정하지 않았다. 국내 정책에서 일본사회당은 농업과 중소기업 보호, 소비세 폐지,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및 사용 중단을 요구했다. 1990년 4월 총회에서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약속을 철회하고 사회민주주의를 목표로 설정했다.[23] 즉, "모든 사람들이 기술 발전과 현대 문명의 결실을 공정하게 누리고 사회복지의 혜택을 받는"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다. 대의원들은 도이를 당수로 재선출했다.

일본사회당은 계급 기반 정당으로, 공공 부문 노동조합 연합인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와 공생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비조합원을 유치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었다. 일부 노조는 일본 공산당을 지지했지만, 일본사회당은 1989년 민간 부문 노조와 일본노동조합총연합()과의 합병까지 소효의 정치적 이익을 대표했다. 1980년대 노조 재정 지원 감소로 일부 당 의원들은 불분명한 자금 조달 방법을 찾기도 했다. 한 의원은 리쿠르트 사건에 연루되었다. 다른 정당들처럼 대량의 모금 파티 티켓을 판매했고, 자민당은 법안 통과를 위해 개별 사회당 의원들에게 자금을 제공하기도 했다.

2. 4. 1. 협회 규제와 '신선언'

1976년 중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무소속 보수계 의원들의 공인으로 과반수를 확보했지만, 당 자체의 의석 확보는 처음으로 과반수를 넘지 못해, 정권 교체가 도마위에 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사회당 내의 분란은 계속되어, 에다 사부로는 ‘1977년의 당대회에서 사회주의협회 세력이 대의원 다수를 억제해, 부위원장을 해임시킨 것 때문에 사회당에 절망했다’며 탈당해, 사회시민연합을 결성했다.[93] 1977년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도 저조한 성적을 기록해, 위원장 나리타 노모미 등이 사퇴했다. 결국 협회 규제가 행해져, 철저하게 이론집단으로만 머물 것을 맹세하게 해 사회주의협회의 활동에 제동을 걸 수 있었다.

1980년대 이후 사회당은 일본공산당은 제외하고, 민사당과 공명당 등의 중도 세력과 함께 연립정권을 구상하기 시작했다. (사공민 노선) 하지만 지지자들마저 자민당 정권이 자명한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공명당과 민사당은 공식적으로는 사회당과의 사-공-민 노선을 취하면서도, 자민당과의 연립정권을 노리게 되었다. (자공민 노선) 의석수는 여당과 야당이 비슷해졌지만, 유권자들의 의식에서는 자민당 정권의 안정성이 강해지고 있었던 것이다. 1980년의 중의원·참의원 동시선거에서는 자민당이 크게 승리했지만, 1983년 중의원 총선거에서는 다시 여당과 야당이 비슷해졌다. 그러나 사회당의 의석은 소폭 증가한 것에 머물렀다.

1986년에는 격렬한 논쟁 끝에 이시바시 마사시 위원장이 ‘길’을 ‘역사적 문서’로 보류함으로써 사실상 폐기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강령인 '''일본사회당의 신선언'''이 채택되었다. 여기서 처음으로 폭력혁명을 원천적으로 막아, 의회 정당의 지위를 확립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것도 표결을 통한 것이 아닌 만장일치로 채택하는 것에 집행부가 얽매여, 구노선을 계승한다고도 해석되는 추가 결의를 타협의 산물로 덧붙였기 때문에, 노선 전환이라는 의식이 당 전체에 명확하게 공유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2. 4. 2. 도이 다카코 위원장 시대와 '마돈나 선풍'

1986년 9월 8일, 도이 다카코가 위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일본의 의회 정당으로는 최초로 여성 당수가 탄생했다.[94]

도이 다카코의 인기와 함께, 소비세 도입으로 늘어난 정부에 대한 불만을 끌어안은 사회당1989년 참의원 통상선거에서 46석을 획득해, 36석을 획득한 자민당보다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사상 최초이자 최후가 된 사회당의 참의원 제1당으로의 등극에는, 여성후보를 적극적으로 공천했기 때문에 붙여진 '''마돈나 선풍'''의 영향도 컸다. 도이 다카코는 자민당의 의석이 무너진 것을 두고, “'''산이 움직였다'''”고 표현했다.

1990년 중의원 총선거에서는 136석을 획득해 다시 약진했지만, 자민당도 추가 공인을 포함해 안정적인 286석을 획득했다. 사회당은 선거에서 표면상으로는 정권 교체의 실현을 내걸었지만, 결국 사회당의 증가한 의석은 자민당이 아닌 다른 야당에서 나온 것이었다. 또한 격렬한 파벌 싸움과는 달리, 선거에서의 긴 시간 동안 보여준 소극적인 모습이 사회당의 체력을 빼앗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사회당 내에서는 정권 교체에는 실패했지만, 의석수를 회복했다는 안도감이 크게 작용해, ‘사회당은 정권 획득의 의지가 없는 만년 야당으로 만족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사회당의 단독 승리는 이에 불만을 가진 민사당과 공명당의 이탈을 불렀다.

걸프 전쟁을 둘러싸고, 일본이 국제적으로 어떠한 공헌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정치적인 문제로 부상했지만, 사회당은 정부안에 대한 반대만을 강조했으며, 상당수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제안을 보여주지 못해 실망을 불렀다. 이와 함께 민사당과 공명당과의 협조를 중시하는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등의 노조 간부와의 마찰도 강해져 도이 집행부의 구심력은 급속히 저하되었다. 결과적으로 1991년의 지방선거에서 공전의 패배를 기록해, 도이 다카코는 그 책임을 지고 위원장 직에서 물러났다.

2. 4. 3. 다나베 집행부와 PKO 법안

다나베 마코토 위원장은 자민당의 간마루 신과 가깝다는 평을 들었다. 그러나 1992년 ‘국련(UN)평화협력법안’, 일명 PKO법안에는 표결시에 의도적으로 의사진행을 지연시키는 등 강경한 반대를 취했다. 자민당과 공명당, 민사당의 3당은 문민에 의한 별도의 조직을 만드는 것에 합의했으므로, PKO법안이 순조롭게 성립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자민당의 본심은 자위대의 해외 파병을 목적으로 한 법안이었다. 그때문에 민사당과 공명당이 동의하자 곧 별도 조직안을 폐기했다. 이때문에 사회당은 PKO법안 자체에 반대했던 강경파가 주도권을 잡았던 것이다.

민사당과 공명당은 자민당과 함께 내각신임안을 가결시키는 등 실질적으로는 여당이 되어있었다. 사회당은 모든 중의원 의원의 사직까지 고려했지만, 최종적으로는 저항을 단념했으므로 PKO법안 반대파와 찬성파 쌍방에 나쁜 인상을 남겼다. 그리고 7월 26일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자민당이 승리해, 사회당은 대패했다. 집행부는 의석을 확보한 것에만 주목해 그런대로 나쁘지 않은 결과라고 항변했지만, 결국 다나베 집행부는 퇴진하고, 야마하나 사다오가 후임 위원장이 되었다.

2. 4. 4. 호소카와 연립내각과 무라야마 내각

1993년중의원 총선거에서는 70석을 확보해 대패했고, 야마하나 사다오가 패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으며, 무라야마 도미이치가 위원장으로 취임하게 되었다.[96] 자민당이 분열하면서 탄생한 호소카와 모리히로 내각에 연립 여당으로 참여했다. 호소카와 총리가 퇴진한 후에는 신생당·공명당과 대립하면서 연립에서 이탈한다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결국은 같은 구성으로 하다 쓰토무 내각 참여에 합의했다. 그러나 총리 지명 이후, 연립 여당의 일원이었던 민사당이 사회당을 제외한 여당에 통일 회파의 결성을 호소하자 이에 크게 반발한 무라야마 위원장이 하다 내각에서의 이탈을 선언했다. 결국 소수 여당으로 하다 정권은 2개월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1994년 6월, 자유민주당과 신당 사키가케, 일본사회당이 연립한 무라야마 내각이 발족했다. 무라야마 도미이치는 총리로 취임한 직후의 국회 연설에서 안보조약을 긍정하고, 비무장 중립정책의 폐기 등을 표명했다. 이것은 이제까지 지속된 당노선에서 180도 변화한 것으로, 일방적으로 선언한 것이었다. 이로 인해 당의 구심력이 떨어져, 분당이나 해산에 관한 논의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1995년참의원 선거에서 일본사회당이 크게 패하면서, 결국 1996년 1월 11일에 무라야마 내각이 총사직하게 되었다. 이어 1월 19일에 당의 명칭을 '''사회민주당'''으로 개칭하였다.

2. 5. 군소정당으로 전락과 해산

1996년 중의원 선거제도가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안팎의 사정도 달라져 사민당 단독으로 의석을 획득하는 것은 힘들다고 예상되었다. 간 나오토 등이 중심이 되어 민주당을 결성하게 되었으며, 사민당은 민주당으로 참가하기로 했지만 곧 참가 의견을 철회하였다. 간사장이었던 사토 간쥬 등을 포함하여 반 이상의 국회의원이 사민당을 떠나 민주당 결성에 참가했다. 또한 일부 당내 좌파는 탈당하여 신사회당을 결성했다.

남아있던 당대표 무라야마 도미이치는 선거를 앞두고 1996년 9월, 도이 다카코를 당수로 추대하고 10월 20일의 제41회 중의원 총선거에 임하게 되었다. 사회민주당은 선거 전 일본사회당의 70석에서 15석으로 의석이 급감하게 되었다. 55년 체제 이후 제1야당의 자리를 고수하였던 일본사회당의 역사는 이로써 막을 내렸다.

1996년 1월, 무라야마 도미이치는 갑자기 총리직에서 사퇴했고, 후임 총리는 부총리 겸 통상산업대신이었던 자민당의 하시모토 류타로가 되어 제1차 하시모토 내각이 발족했다. 사회당은 계속해서 정권에 남았고, 자민·사회·사교 연립정권은 유지되었다.

거의 동시에 사회당 내부에서는 중선거구제와 비례대표 병립제 성립으로 차기 총선거에 대한 선거 체제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고, 전년에는 전 위원장 야마하나 사다오를 중심으로 한 그룹이 1995년 1월 사회당을 탈당하여 새로운 "민주·리베럴 신당" 결성을 모색하고 있었다. 그러나 같은 해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이러한 움직임은 중단되었고, 야마하나 등 일부는 같은 해 5월 사회당을 탈당하여 그 후 시민 리그를 결성했다. 또한 사회당에 잔류한 사람들 중에서도 서기장이자 우파였던 구보 와타루의 주도로 같은 해 5월 당대회에서 민주·리베럴 신당 구상이 방침으로 채택되었다. 결과적으로 신당 결성은 당내 일부 반대론도 있었고, 무라야마 내각 총사퇴 후 같은 해 1월 당대회에서 '''사회민주당으로의 당명 변경'''을 결정하고, 같은 해 3월 사회민주당으로서 제1회 당대회를 개최하여 "일본사회당"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전년부터 이어진 중선거구제 반대와 무라야마 내각 당시의 정책 방침 전환의 후유증은 계속되었고, 사민당으로의 이행 반대 움직임에서 일부 좌파 의원들이 사민당 이행 결정 전에 탈당(모두 사회당은 제명)하여 '''신사회당'''을 결성했다.

3. 역대 일본사회당 위원장



4. 역대 선거 결과

4. 1. 중의원

우파 57석 (11.63%)1953년 선거좌파 72석 (13.05%)
우파 66석 (13.52%)1955년 선거좌파 89석 (15.35%)
우파 67석 (13.86%)1958년 선거166석32.94%1960년 선거145석27.56%1963년 선거144석29.03%1967년 선거140석27.88%1969년 선거90석21.44%1972년 선거118석21.90%1976년 선거123석20.69%1979년 선거107석19.71%1980년 선거107석19.31%1983년 선거112석19.49%1986년 선거85석17.23%1990년 선거136석24.39%1993년 선거70석15.43%



[[파일:Two Major Parties in House of Representatives of Japan.png|thumb|400px|right|중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좌, 아래 눈금)과 그에 대항하는 주요 정당(우, 위 눈금)의 의석 점유율(막대 그래프)과 득표율(꺾은선 그래프)을 나타낸 그래프.


일본사회당(보라)은 1955년 재통합 이후 1993년까지 항상 제2당의 지위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당세는 도이 붐이 일었던 1990년 제39회 총선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하락세였다. 1996년 사회당이 사회민주당으로 개칭하고, 더욱이 중의원 선거에서 중대선거구제가 도입되자, 사민당의 당세는 이전만큼 강하지 못했고, 대신 신진당(핑크)과 민주당(빨강)이 자유민주당(초록)에 대항하는 세력이 되었다.

|}

4. 2. 참의원

일본사회당은 1947년 선거에서 47석(16.36%)을 얻어 참의원에 진출했다. 이후 1950년 선거에서는 36석(17.34%)을 얻었다. 1953년에는 좌파와 우파로 분열되어 각각 18석(14.3%)과 10석(6.4%)을 얻었으나, 1956년 선거에서 재통합하여 49석(29.89%)을 확보했다.

1960년대에도 일본사회당은 참의원에서 꾸준히 의석을 확보했다. 1959년 선거에서는 38석(26.5%), 1962년 선거에서는 37석(24.2%), 1965년 선거에서는 36석(23.4%)을 얻었다. 1968년 선거에서는 28석(19.8%)으로 의석수가 감소했지만, 1971년 선거에서 39석(21.3%)으로 다시 의석을 늘렸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1974년 선거 28석(15.2%), 1977년 선거 27석(17.3%), 1980년 선거 22석(13.1%), 1983년 선거 22석(16.3%), 1986년 선거 20석(17.2%) 등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의석을 유지했다.

1989년에는 도이 다카코 위원장 체제 하에서 1989년 선거에서 46석(35.05%)을 획득하며 약진했지만, 1992년 선거에서는 22석(17.76%)으로 다시 의석이 줄었다. 1995년 선거에서는 16석(16.92%)을 얻는데 그쳤다.

선거의석득표율
1947년 선거47석16.36%
1950년 선거36석17.34%
1953년 선거좌파 18석
우파 10석
좌파 14.3%
우파 6.4%
1956년 선거49석29.89%
1959년 선거38석26.5%
1962년 선거37석24.2%
1965년 선거36석23.4%
1968년 선거28석19.8%
1971년 선거39석21.3%
1974년 선거28석15.2%
1977년 선거27석17.3%
1980년 선거22석13.1%
1983년 선거22석16.3%
1986년 선거20석17.2%
1989년 선거46석35.05%
1992년 선거22석17.76%
1995년 선거16석16.92%


5. 평가 및 비판

일본사회당에 대한 주요 비판 및 평가는 다음과 같다.

6. 한국과의 관계

일본사회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조선사회민주당과 교류했다.[33] 또한 극우 대한민국의 반공 독재 정권, 특히 박정희전두환에 강력히 반대했고, 대한민국 자유주의자들, 특히 김대중과 연대했다.[34]

1990년 9월 26일, 자민당의 가네마루 신(金丸信), 사회당의 다나베 마코토(田辺誠), 북한 주석 김일성(金日成)이 묘향산에서 만났다.[95] 이들은 9월 28일 자민당, 사회당, 조선로동당 3당 공동선언을 발표했는데, "전후 45년간의 사죄, 충분한 보상"이 언급되어 논란이 되었다.[95]

1989년, "재일 한국인 정치범 석방에 관한 요망"에 많은 사회당 의원이 서명했는데, 이 "재일 한국인 정치범"에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사건의 실행범, 공작원 신광수 등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 후에 문제가 되었다. 북한이 일본인 납치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후, 납치를 부정해 온 도이 다카코 등 구 사회당 관계자들은 비난을 받았다.

2017년, 민진당이 희망의 당과의 합류를 결정하자, 이에 반발한 구 사회당 그룹에 소속된 의원의 대부분은 에다노 유키오가 이끄는 입헌민주당에 참여했다. 2022년, 국회의원으로서 사회당 소속 경력이 있는 현직 의원은 모두 사라졌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2020-11-22
[2] 웹사이트 Social Democratic Party of Japan | political party, Japa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11-22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cialism https://books.google[...] The Scarecrow Press 2020-11-22
[4] 서적 Japan's School Curriculum for The 2020s: Politics, Policy, and Pedagogy Springer Nature 2022
[5]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2020-11-22
[6]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2020-11-19
[7] 서적 圖說日本大事記:1945–2017,改變與形塑現代日本的百大事件 https://books.google[...] 麥浩斯
[8] 학술지 The Origin of One Party Domination: America's Reverse Course and the Emergence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in Japan https://www.jstor.or[...] 2021-01-26
[9] 서적 Allied Occupation of Japan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5-07-12
[10] 웹사이트 Occupation and Reconstruction of Japan, 1945–52 https://history.stat[...] 2021-01-26
[11] 서적 Aftermath of War: Americans and the Remaking of Japan, 1945–1952 Th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1989
[12] 학술지 Japan's Red Purge: Lessons from a Saga of Suppression of Free Speech and Thought https://apjjf.org/-J[...] 2021-01-26
[13] 웹사이트 Towards Political Inclusiveness: The Changing Role of Local Government in Japan http://siteresources[...] 2012-04-20
[14] 서적 Cities,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in Jap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7-12
[15] 서적 Local Government Development in Post-war Jap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Japanese Polit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02-25
[17] 웹사이트 FEATURE: Seeds planted by 'progressive' governments still sprouting in Japan. http://www.thefreeli[...] 2015-07-12
[18] 웹사이트 Controlled Decentralization: Local Governments and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in Japan http://unpan1.un.org[...] 2013-08-10
[19] 서적 The Pursuit of Power in Modern Japan 1825–1995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0-04-13
[20] 서적 日本社会党歴代委員長の思い出: 亡くなられた委員長をしのぶ https://books.google[...] 日本社会党前議員会
[21] 웹사이트 ja:社会民主連合 https://kotobank.jp/[...] 2020-02-26
[22] 웹사이트 ja:江田三郎 https://kotobank.jp/[...] 2020-02-26
[23] 서적 War, Revolution and Japa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2-10-12
[24] 서적 The Crisis of Democracy? Chances, Risks and Challenges in Japan (Asia) and Germany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9
[2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Japanese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9
[26] 서적 Japan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International Labor Affairs 1989
[27] 서적 左翼大辞典 https://books.google[...] 明哲の舎
[28] 서적 Creating Single-party Democracy: Japan's Postwar Political System Hoover Institution Press 1992
[29] 서적 Japan: A Postindustrial Power--third Edition, Revised And Update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30] 서적 The Failure of Political Opposition in Japan: Implications for Democracy and a Vision of the Fu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
[31] 서적 Japan's School Curriculum for The 2020s: Politics, Policy, and Pedagogy Prentice-Hall 1964
[32] 서적 Rethinking Japan: The Politics of Contested Nationalism Lexington Books 2017
[33] 서적 조선사회민주당 조선사회민주당출판사 1992
[34] 웹사이트 일본 정치인의 40분 연설 "김대중 정신 일본사회가 배워야" https://www.ohmynews[...] 2021-08-19
[35] 웹사이트 議会政治研究会編『政党年鑑 昭和22年版』ニュース社、1947年、pp.157-187. https://dl.ndl.go.jp[...]
[36] 서적 日本全史(ジャパン・クロニック) 講談社 1991
[37]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38]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2019-04-06
[39]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2019-04-06
[40]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2019-02-27
[41] 텍스트
[42] 텍스트
[43] 웹사이트 知恵蔵mini - 社会文化会館 https://kotobank.jp/[...] 2019-04-06
[44]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 社会新報 https://kotobank.jp/[...] 2019-04-06
[45]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 しゃかいしんぽう〔シヤクワイシンポウ〕【社会新報】 https://kotobank.jp/[...] 2019-04-06
[46]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 社会主義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s://kotobank.jp/[...] 2019-04-06
[47] 웹사이트 社会主義インターナショナル【しゃかいしゅぎ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s://kotobank.jp/[...] 2019-04-06
[48]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 しゃかいしゅぎインターナショナル【社会主義インターナショナル Socialist International】 https://kotobank.jp/[...] 2019-04-06
[49]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 - しゃかいしゅぎインターナショナル【社会主義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s://kotobank.jp/[...] 2019-04-06
[50]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社会主義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s://kotobank.jp/[...] 2019-04-06
[51] 웹사이트 Social Democratic Party of Japan | political party, Japa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11-24
[52] 서적 日本全史(ジャパン・クロニック) 講談社 1991
[53]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 - にほんしゃかいとう【日本社会党】 https://kotobank.jp/[...] 2019-04-06
[54]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 にっぽん‐しゃかいとう〔‐シヤクワイタウ〕【日本社会党】 https://kotobank.jp/[...] 2019-04-06
[55]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日本社会党 https://kotobank.jp/[...] 2018-12-31
[56] 웹사이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 日本社会党【にほんしゃかいとう】 https://kotobank.jp/[...] 2018-12-31
[57]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日本社会党 #第二期 https://kotobank.jp/[...] 2019-04-06
[58] 서적 政治・経済用語集 第2版 山川出版社 2019
[59] 웹사이트 民主社会主義とは §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20-11-12
[60] 일반
[61] 웹사이트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https://kokkai.ndl.g[...] 2024-02-16
[62] 웹사이트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https://kokkai.ndl.g[...] 2024-02-16
[63] 학술지 日本社会党の外交方針 https://doi.org/10.1[...] 日本国際政治学会 1957-08
[64] 웹사이트 日本社会党の外交方針 https://www.jstage.j[...] 2024-12-03
[65] 웹사이트 ソ連が13項目の条約修正提案 日米外交60年の瞬間 特別編集委員・伊奈久喜 https://www.nikkei.c[...] 2012-10-27
[66] 웹사이트 政策ノート NDLサーチ 国立国会図書館 https://ndlsearch.nd[...] 2024-12-03
[67] 웹사이트 日本社会党北海道本部 公約 NDLサーチ 国立国会図書館 https://ndlsearch.nd[...] 2024-12-03
[68] 웹사이트 日本社会党綱領・運動方針・政策大綱 (拡大画像 47-61) 史料にみる日本の近代 https://www.ndl.go.j[...] 2024-12-03
[69] 서적 点字表記辞典 博文館新社
[70] 웹사이트 Social Democratic Party of Japan political party, Japan https://www.britanni[...] 2019-04-06
[71] 서적 日本全史(ジャパン・クロニック) 講談社
[72]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 - にほんしゃかいとう【日本社会党】 https://kotobank.jp/[...] 2019-04-06
[73]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 にっぽん‐しゃかいとう〔‐シヤクワイタウ〕【日本社会党】 https://kotobank.jp/[...] 2019-04-06
[74]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革新政党 https://kotobank.jp/[...] 2019-04-06
[75] 기타
[76] 뉴스 自民、引退議員続出で〝空白苦〟に 立民も重鎮らが引退 https://www.sankei.c[...] 2021-07-02
[77] 웹사이트 立民・リベラル系が会合 泉代表を突き上げ? https://www.sankei.c[...] 2022-03-08
[78] 웹사이트 第5章 新日本の建設 - 政党の再建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79] 웹사이트 日本社会党・総評の軌跡と内実 20人のオーラル・ヒストリー https://www.junposha[...] 旬報社
[80] 웹사이트 婦人参政権獲得運動から戦後初の女性議員誕生まで―女性の政治活動について https://opac.ll.chib[...] 千葉大学
[81] 서적 日本政党史 吉川弘文館 2011
[82] 웹사이트 社会黨 憲法改正要綱(テキスト) https://www.ndl.go.j[...]
[83] 웹사이트 衆憲資第90号「日本国憲法の制定過程」に関する資料 https://www.shugiin.[...]
[84] 뉴스 講和で分裂する社会党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85] 웹사이트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https://kokkai.ndl.g[...] 2024-02-16
[86] 웹사이트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https://kokkai.ndl.g[...] 2024-02-16
[87] 논문 日本社会党の外交方針 https://doi.org/10.1[...] 日本国際政治学会 1957-08
[88] 웹사이트 解釈改憲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VOYAGE GROUP 2019-10-19
[89] 웹사이트 政権交代、他弱…与野党区別できない時代に? 戦後政治、野党の歩み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6-19
[90] 웹사이트 1956年3月12日衆議院議事録第16号 https://kokkai.ndl.g[...]
[91] 서적 戦後日本政治史-占領期から「ネオ55年体制」まで 中公新書
[92] 뉴스 人員整理で内ゲバ 社党本部に造反ムード 朝日新聞 1970-03-20
[93] 서적 リベラル再起動のために
[94] 서적 せいいっぱい 土井たか子半自伝 朝日新聞社
[95] 뉴스 日朝関係 金丸訪朝団 正常化目前「償い」で禍根 http://www.sankei.co[...] 産経ニュース 2014-08-02
[96] 웹사이트 20代の仕事を振り返って 「天下国家」と「都議会議員 真木茂」 https://web.archive.[...]
[97] 간행물 第128回 衆議院 本会議 第10号 https://kokkai.ndl.g[...] 1993-11-18
[98] 간행물 第128回 参議院 本会議 第11号 https://kokkai.ndl.g[...] 1994-01-21
[99] 웹사이트 立憲民主党、報じられない火種 https://biz-journal.[...] Business Journal 2017-12-29
[100] 웹사이트 日本共産党創立84周年記念講演会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101] 웹사이트 日本共産党創立78周年記念講演会 - 日本共産党 https://www.jcp.or.j[...]
[102] 웹사이트 憲法制定にいたる時期の政党状況は? - 日本共産党 https://www.jcp.or.j[...]
[103] 웹사이트 中核・革マルは共産党の分派なの? - 日本共産党 https://www.jcp.or.j[...]
[104] 웹사이트 1980年の「社公合意」とは? - 日本共産党 https://www.jcp.or.j[...]
[105] 서적 丸山眞男集 第八巻 岩波書店 2003
[106] 서적 戦後史のなかの日本社会党:その理想主義とは何であったのか 中央公論新社 2000
[107] 서적 戦後史のなかの日本社会党:その理想主義とは何であったのか 中央公論新社 2000
[108] 서적 戦後史のなかの日本社会党:その理想主義とは何であったのか 中央公論新社 2000
[109] 서적 戦後史のなかの日本社会党:その理想主義とは何であったのか 中央公論新社 2000
[110] 서적 戦後史のなかの日本社会党:その理想主義とは何であったのか 中央公論新社 2000
[111] 서적 日本社会党の研究 - 路線転換の政治過程 木鐸社 2002
[112] 웹사이트 書評・日本社会党の研究書 - 路線転換の政治過程」(森裕城) - 依田博 http://www.cs.kyoto-[...]
[113] 서적 転換期の戦後政治と政治学:社会党の動向を中心として 敬文堂 2003
[114] 서적 日本社会党―戦後革新の思想と行動 日本経済評論社 2003
[115] 서적 日本社会党―戦後革新の思想と行動 日本経済評論社 2003
[116] 서적 日本社会党―戦後革新の思想と行動 日本経済評論社 2003
[117] 서적 日本社会党―戦後革新の思想と行動 日本経済評論社 2003
[118] 서적 日本社会党―戦後革新の思想と行動 日本経済評論社 2003
[119] 서적 日本社会党―戦後革新の思想と行動 日本経済評論社 2003
[120] 서적 日本社会党―戦後革新の思想と行動 日本経済評論社 2003
[121] 서적 日本社会党:その組織と衰亡の歴史 新時代社 2005
[122] 서적 日本永久占領―日米関係、隠された真実 講談社+α文庫 1999
[123] 서적 日本永久占領―日米関係、隠された真実 講談社+α文庫 1999
[124] 서적 日本永久占領―日米関係、隠された真実 講談社+α文庫 1999
[125] 서적 裸の総理たち32人の正体 渡部昇一の人物戦後史 フォレスト出版 2010
[126] 웹인용 Social Democratic Party of Japan | political party, Japa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11-22
[127] 서적 Japan's School Curriculum for The 2020s: Politics, Policy, and Pedagogy Springer Nature 2022
[128] 뉴스 CIA, 일 야당분열 ‘비밀공작’ 폈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6-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