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탈리아 공산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공산당은 1921년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등을 중심으로 창당되었다. 무솔리니에 의해 강제 해산, 지하화되는 시련을 겪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지스탕스 활동을 통해 파시즘에 대항했다. 전후 내각에 참여했으나 1947년 배제된 후, 1948년 총선에서 상당한 의석을 확보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했다. 1956년 소련의 스탈린 격하 이후 독자 노선을 모색하고, 1970년대에는 유럽공산주의를 주창하며 타 정당과의 연정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80년대 동유럽 사회주의 붕괴 이후 좌파민주당으로 개편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 공산당 - 좌파민주당
    좌파민주당은 1991년 이탈리아 공산당이 노선을 변경하며 재창당된 이탈리아 정당으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과 유럽 사회주의자당에 가입, 1996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로마노 프로디 1차 내각에 참여했으며, 1998년 여러 중도좌파 정당들과 통합하여 좌파 민주주의당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 이탈리아 공산당 - 팔미로 톨리아티
    팔미로 톨리아티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장기간 서기장으로, 안토니오 그람시와 함께 이탈리아 공산당 창당에 기여하고 무솔리니 정권 하 망명 생활과 스페인 내전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후 이탈리아 공산당 재건, 그리고 "이탈리아식 사회주의" 노선 추구 등의 활동을 펼친 이탈리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다.
  • 이탈리아의 정당에 관한 - 베티노 크락시
    베티노 크락시는 이탈리아 사회당 서기장과 총리를 역임하며 임금-물가 연동제 폐지, 라테라노 조약 개정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친미, 친아랍 외교를 펼쳤으나, 마니 풀리테 수사 중 부패 혐의로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한 정치인이다.
  • 이탈리아의 정당에 관한 - 좌파민주당
    좌파민주당은 1991년 이탈리아 공산당이 노선을 변경하며 재창당된 이탈리아 정당으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과 유럽 사회주의자당에 가입, 1996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로마노 프로디 1차 내각에 참여했으며, 1998년 여러 중도좌파 정당들과 통합하여 좌파 민주주의당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 1943년 설립된 정당 - 기독교민주당 (이탈리아)
    1943년 이탈리아에서 설립되어 1994년 해산될 때까지 이탈리아 정치를 지배한 기독교민주당은 반공주의와 중도 및 중도좌파 연정을 통해 장기 집권했으나, 탕겐토폴리 스캔들로 몰락하여 해산 후 좌우파는 다른 정당으로 재편되었다.
  • 1943년 설립된 정당 - 공화 파시스트당
    공화 파시스트당은 1943년 무솔리니가 국가 파시스트당을 재건하여 창당한 살로 공화국의 유일 합법 정당으로, 수정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주의적 정책을 추진했으며 무솔리니 사망 후 해산되었으나 이탈리아 사회 운동 창설에 영향을 주었다.
이탈리아 공산당
기본 정보
당 로고
정당 이름이탈리아 공산당
로마자 표기Partito Comunista Italiano
약칭PCI
창당일1921년 1월 21일
당명 변경일1943년 5월 15일
해산일1991년 2월 3일
전신 정당이탈리아 사회당
후계 정당좌파민주당 (공식 후계 정당)
공산주의 재건당 (분리)
본부이탈리아 로마 Via delle Botteghe Oscure 4
기관지l'Unità
청년 조직이탈리아 공산주의 청년 연맹
회원 수 (1947년)2,252,446명
색상빨강
당가Bandiera Rossa ("붉은 깃발")
당기[[파일:Flag of the Italian Communist Party.svg|200px]]
국가이탈리아
이념 및 정치 성향
이념공산주의 (이탈리아)
민주사회주의
정치 성향좌익
연합
국내민족해방위원회 (1943년–1947년)
인민민주전선 (1947년–1956년)
PCI–PSIUP (1966년–1973년)
국제코민테른 (1921년–1943년)
코민포름 (1947년–1956년)
유럽 의회공산주의자와 동맹 (1973년–1989년)
유럽 연합 좌파 (1989년–1991년)
지도부
서기아마데오 보르디가 (초대)
아킬레 오케토 (마지막)
대통령루이지 론고 (초대)
알도 토르토렐라 (마지막)

2. 역사

1921년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등을 중심으로 이탈리아 공산당이 창당되었다. 그러나 1926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당을 강제로 해산하고 관계자 대부분을 구속하면서 위기를 맞았다.[67] 코민테른 회의 참석차 모스크바에 있던 톨리아티는 국외 망명을 선택하고 이탈리아 공산당을 지하화했다.[67]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 공산당은 레시스텐자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무솔리니 정권 붕괴에 기여했다.

전후 이탈리아 공산당은 다른 반파시스트 정당과 함께 내각에 참여했으나, 1947년 기독교민주당 중심의 내각에서 이탈리아 사회당과 함께 쫓겨났다.[37]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8년 총선에서 상당한 의석을 확보하며 조직화된 지지층과 실용적 전략으로 이탈리아 정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이오시프 스탈린을 비판한 후, 톨리아티는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 톨리아티 사후 '이탈리아파'와 '소련파' 간의 대립으로 당내 분열이 있었지만, 1969년 총선에서도 의석을 유지했다.

1972년 서기장이 된 엔리코 베를링구에르유럽공산주의를 주창하며 당의 실용주의 노선을 강화했다. 그는 알도 모로역사적 타협을 통해 연정 구성을 시도했으나, 1978년 모로가 붉은 여단에게 납치 및 살해당하면서 실패했다.[54]

1980년대에 베를링구에르가 사망하고 베티노 크락시가 이끄는 이탈리아 사회당이 성장하면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위기를 겪었다.[55][56]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 붕괴 이후, 아킬레 오케토는 이탈리아 공산당을 해산하고 좌파민주당으로 재창당했다.[55][56] 이에 반대한 일부는 탈당하여 공산재건당을 창당했다.[57]

2. 1. 초기 (1921년 ~ 1926년)

1921년 총선에서 4.6%의 득표율로 15석을 획득한 이탈리아 공산당은, 이탈리아 사회당에서 분리되어 창당되었다.[26]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니콜라 봄바치, 아마데오 보르디가 등이 초기 지도부를 구성했다. 창당 초기에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비전에 따라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급진적인 노선을 추구했다.[26]

1921년 1월, 리보르노의 골디노 극장에서 열린 이탈리아 사회당(PSI) 제17차 대회에서 "공산주의파"는 아마데오 보르디가의 호소에 따라 산 마르코니 극장에 모여 코민테른 지부 및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당을 선언했다. 니콜라 봄바치,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등이 이 자리에 함께 했다. 같은 해 5월 15일 총선거에서 30만 표를 획득하여 16명의 의원을 배출했다.

1922년 제2차 전당대회에서 신생 정당은 4만 3천 명의 당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사회주의 청년 연맹(''Federazione Giovanile Socialista'')의 거의 전원이 가입했기 때문이었다. 당은 15명의 중앙위원회를 중심으로 조직을 구성했고, 그중 5명은 집행위원회(EC)에도 속해 있었다.

이탈리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및 집행위원회 명단 (1922년)
중앙위원회집행위원회 (EC)



창당 이후, 이탈리아 공산당은 기존 정당의 기반을 단순히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독자적인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생산 분야에서 이미 미래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일부 구조가 생겨나고 있기 때문에, 이 목표는 유토피아적인 것이 아니라고 여겨졌다. 초기에는 공식적인 지도자가 없었으며, 좌파 공산주의 계열의 아마데오 보르디가가 당의 지도자로 인정받았다. 소수 경향의 지도자는 안젤로 타스카(우파)와 안토니오 그람시(중도)였다.

코민테른의 일부로서 이탈리아 공산당(PCd'I)은 1920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차 코민테른 대회에서 채택된 것과 동일한 강령, 동일한 당의 개념, 동일한 전술을 채택하였다. 10개 항으로 구성된 공식 강령은 자본주의 체제의 본질적인 파국적 성격으로 시작하여 국가의 소멸로 끝을 맺었다. 이는 레닌이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를 위해 개략적으로 제시한 모델을 따랐다. 그러나 유럽에서 반동의 빠른 진전으로 볼셰비키 당 내부, 그리고 결과적으로 코민테른 내부에서 민주적인 방향으로 전술이 변화하면서, 당 내부 갈등이 발생했다.

2. 2. 파시즘 시기 (1926년 ~ 1943년)

1921년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등을 주축으로 창당된 이탈리아 공산당은 빠르게 세를 확대했지만, 1926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당을 강제로 해산하고 관계자 대부분을 구속하면서 위기를 맞았다.[67] 이때 코민테른 회의 참석차 모스크바에 있었던 톨리아티는 국외 망명을 선택한 후 이탈리아 공산당을 지하화했다.[67]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당이 정권을 장악하자, 아마데오 보르디가 등 당 간부들이 잇따라 체포되고 조직 해체를 강요당했다. 1924년 안토니오 그람시가 귀국하여 비밀리에 공산당 제1차 전국협의회를 개최했지만, 1925년 파시스트당이 공산당 잔당을 진압했고, 1926년 프랑스 파리로 지도부가 망명해야 했으며, 망명에 실패한 안토니오 그람시는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안토니오 그람시


코민테른을 방문한 팔미로 토리아티(전열 중앙)


1926년, 보르디가와 그람시는 우스티카(Ustica) 섬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1927년, 팔미로 토리아티(Palmiro Togliatti)가 그람시를 대신하여 서기로 선출되었다. 파시스트당의 일당 독재가 계속되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국내에서의 공산당 활동은 탄압된 채로 남았고, 토리아티는 프랑스에서 스페인 공화국으로, 그리고 소비에트 연방으로 망명을 계속하게 되었다. 1930년, 보르디가는 코민테른에서 축출되고 트로츠키주의(Trotskyism)로 고발되었다.[67]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 공산당은 레시스텐자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해 무솔리니의 패퇴에 크게 기여했다.[67]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1940년 이탈리아 왕국추축국으로 참전했지만, 1943년 시칠리아연합군의 상륙을 허용하는 등 열세에 놓였다. 그 결과, 같은 달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명령으로 무솔리니가 체포되었고, 9월에는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군과 강화를 맺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3년 ~ 1969년)

1943년 팔미로 톨리아티가 귀국하면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재건되었다.[28] 이탈리아 공산당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레시스텐자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베니토 무솔리니 패퇴에 기여했고, 전후 다른 반파시스트 정당들과 함께 내각에 참여했다.[29] 1944년 4월, 톨리아티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과 피에트로 바돌리오 총리와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탈리아 공산당은 1944년 6월부터 1947년 5월까지 모든 정부에 참여했으며,[29] 새 이탈리아 민주 헌법 제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1944년 굴로 법령은 시골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조건 개선을 목표로 했다.[30]

그러나 1947년 알치데 데 가스페리 총리는 기독교민주당 중심의 내각을 구성하며 이탈리아 공산당과 이탈리아 사회당을 내각에서 제외했다.[37] 이는 조지 마셜 미국 국무장관의 압력에 따른 것으로, 미국은 반공주의를 원조의 전제 조건으로 내세웠다.[38]

1948년 총선에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이탈리아 사회당과 함께 인민민주전선(FDP)을 결성했지만, 기독교민주당에 패배했다. 미국은 이탈리아 공산당의 승리를 막기 위해 반공 선전에 1천만~2천만 달러를 사용했다.[42]

그 후에도 이탈리아 공산당은 상당한 의석을 확보하며 주요 정당으로 자리 잡았다.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이오시프 스탈린을 비판한 이후, 톨리아티는 독자적인 노선을 모색했다. 톨리아티 사후, '이탈리아파'와 '소련파' 간의 대립으로 당내 분열이 발생했지만, 1969년 총선에서도 의석을 유지했다.

이탈리아 공산당은 피아트가 소비에트 연방에 아브토바즈(라다) 자동차 공장을 설립하도록 로비했다. 또한 에밀리아-로마냐, 토스카나, 움브리아 등에서 지방 정부를 운영하며 효율적인 행정을 보여주었다.[45]

2. 4. 유럽공산주의와 역사적 타협 (1969년 ~ 1980년)

1969년 총선에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기존 의석을 유지했다. 1972년 서기장이 된 엔리코 베를링구에르유럽공산주의를 주창하며 당의 실용주의 노선을 더욱 강화했다.[54] 그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집권을 위해서라면 타 정당과도 손을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기독교민주당 좌파 세력을 이끌던 알도 모로와 그는 역사적 타협을 통해 연정 구성에 거의 다다랐다.

그러나 역사적 타협은 당내 좌파 세력의 극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1978년 모로가 극좌 테러리스트인 붉은 여단에게 납치, 살해당하면서 역사적 타협은 종결되었다.[54]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탈리아 공산당(PCI)이 소련의 복종과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교조에서 벗어나 유로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인터내셔널로 이동함에 따라 소련과의 관계는 점차 악화되었다. 이탈리아 공산당은 이탈리아 사회당과 기독교 민주당과의 협력을 추구했는데, 이 정책은 역사적 타협으로 알려져 있다. 1978년 5월, 기독교 민주당(DC) 지도자 알도 모로붉은 여단에 의해 납치 및 살해당하면서 이러한 타협에 대한 모든 희망은 사라졌다. 이 타협은 1981년 이탈리아 공산당 정책으로서 대체로 폐기되었다.

납의 세월 동안 이탈리아 공산당은 테러와 붉은 여단에 강력히 반대했고, 붉은 여단은 이탈리아 공산당 당원이나 이탈리아 공산당과 가까운 노조원들을 살해하거나 부상을 입혔다. 미트로킨에 따르면, 이탈리아 공산당은 소련에 체코슬로바키아 국가보안부(StB)에 그룹에 대한 지원을 철회하도록 압력을 가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모스크바는 그렇게 할 수 없거나 하지 않았다.[54] 이와 함께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인해 1979년 모스크바와 완전히 결별하게 되었다. 1980년 이탈리아 공산당은 파리에서 열린 공산당 국제회의에 참석하는 것을 거부했고, 이탈리아 공산당에 대한 현금 지급은 1984년까지 계속되었다.[53]

1973년 10월, 귀족 출신의 엔리코 베를린구에르 서기장 주도하에 당 강령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폭력 혁명의 달성”을 포기하는 등 독자적인 온건화 노선을 취함으로써 국민들 사이에 만연한 공산주의와 극좌에 대한 공포심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베를린구에르가 이끄는 지도부는 더 나아가 공산주의가 그 존재를 부정하는 기독교를 교리로 하는 기독교민주당(이탈리아 기독교민주당)과의 협력 노선을 제시하고, “역사적 타협” 정책에 의한 연립 정권 수립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소련의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80년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한편, 독일 사회민주당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접근하는 등 소련과 거리를 두면서 독자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유로 공산주의” 노선을 추진하여, 1975년에 실시된 의회 선거에서는 득표율이 30%대에 달했고, 수도 로마볼로냐, 피렌체를 비롯한 지방 자치 단체장을 다수 배출하며 세계 각국으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역사적 타협” 정책에 의한 세력 확장은 일시적으로 지지자를 늘리는 데 성공했지만, 냉전하의 이탈리아에서 기독교민주당 내 우익, 가톨릭 교회, 대기업과 노동조합, 그리고 “용공(容共)” 정권 성립을 꺼린 미국의 영향을 받은 우익 세력, 이탈리아 공산당의 독자 노선에 강한 불쾌감을 표시한 소련, 그리고 공산주의 원칙에 충실한 당내 좌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력의 이해관계가 뒤섞였고, 더욱이 선봉장인 베를린구에르가 1984년에 급사한 것 등으로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

2. 5. 위기와 해산 (1980년 ~ 1991년)

1980년대엔리코 베를링구에르가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베티노 크락시가 이끄는 이탈리아 사회당이 성장하면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위기를 맞게 된다.[55][56] 1980년대 말부터 동유럽 사회주의 체제가 붕괴되자 당내에서 노선 변경을 주장하는 목소리에 힘이 실렸다.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 붕괴 이후, 아킬레 오케토는 유럽공산주의 시대가 끝났다고 판단했다. 그의 지도 아래 이탈리아 공산당은 해산되고, 민주사회주의 정당을 표방하는 좌파민주당(PDS)으로 재창당되었다.[55][56] 그러나 아르만도 코수타가 이끄는 당원 3분의 1은 이에 반대하며 탈당, 공산재건당을 결성했다.[57]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 추진 중이던 1988년 6월, 아킬레 오케토가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냉전 종식으로 소련의 압력이 사라진 가운데, 1991년 2월 마지막 제20차 당대회에서 이탈리아 좌익민주당(PDS, 후의 좌파 민주당)으로 전환, 사실상 해산이 결정되었다.

이후 알만도 코스타와 파우스토 베르티노티 등은 공산재건당을 결성했다. 1998년 로마노 프로디 정권 참여 문제로 알만도 코스타 등은 좌익민주당에서 다시 분당하여 이탈리아 공산주의자당을 결성했다.

3. 주요 정책 및 노선

1921년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등을 주축으로 창당된 이탈리아 공산당은 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었다. 전후 내각에 참여했으나 1947년 알치데 데 가스페리 총리에 의해 내각에서 쫓겨났다.[1]

1948년 총선에서 상당한 의석을 확보한 이탈리아 공산당은 조직화된 지지층과 실용적 전략으로 이탈리아 정계에서 막강한 힘을 유지했다.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이오시프 스탈린을 비난한 이후 톨리아티는 독자적인 노선을 계획했다. 톨리아티 사후 당내 분열이 있었지만, 1969년 총선에서도 이탈리아 공산당은 기존 의석을 유지했다.

1972년 서기장이 된 엔리코 베를링구에르유럽공산주의를 주창하며 당 실용주의 노선을 강화했다. 특히 그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집권을 위해 타 정당과의 협력을 강조했다. 알도 모로역사적 타협을 통해 연정 구성에 거의 다다랐으나, 이는 당내 좌파 세력의 반발과 1978년 모로의 피살로 인해 종결되었다.

1980년대에 베를링구에르가 사망하고 이탈리아 사회당이 성장하면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위기를 맞았다. 동유럽 사회주의 체제 붕괴 이후 당내 노선 변경 주장이 힘을 얻었고, 결국 이탈리아 공산당은 좌파민주당으로 변경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한편, 이에 반대한 당내 좌파 세력은 공산재건당을 창당하였다.

3. 1. 초기: 코민테른 노선

코민테른의 일부로서 이탈리아 공산당(PCd'I)은 1920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차 코민테른 대회에서 채택된 것과 동일한 강령, 동일한 당의 개념, 동일한 전술을 채택하였다. 10개 항으로 구성된 공식 강령은 자본주의 체제의 본질적인 파국적 성격으로 시작하여 국가의 소멸로 끝을 맺었다. 이는 레닌이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를 위해 개략적으로 제시한 모델을 종합적으로 따르고 있다.[1] 한동안 이러한 일치는 유지되었으나, 유럽에서 반동의 빠른 진전으로 볼셰비키 당 내부, 그리고 결과적으로 코민테른 내부에서 민주적인 방향으로 전술이 변화하였다. 이는 특히, 이전에는 반대되었던 사회민주당과 부르주아 정당과의 연합 가능성과 관련하여 발생하였다.[1] 이는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는 다수파(좌파)와 소수파(우파와 중도파) 사이에서 당 내부 갈등을 야기했다. 좌파의 제안은 더 이상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파벌 간의 갈등은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다.[1]

3. 2. 유럽공산주의

1969년, 이탈리아 공산당 부총서기이자 훗날 총서기를 역임한 엔리코 베를링구에르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공산당 국제회의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프라하의 비극"이라고 부르며 비판하고, 국가 주권, 사회주의 민주주의, 문화의 자유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공산주의 운동 내부의 상당한 차이점을 명확히 했다.[47]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탈리아 공산당은 소련과 거리를 두면서 유로공산주의 노선을 추구했다. 엔리코 베를링구에르 서기장은 1973년 10월, 당 강령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폭력 혁명의 달성”을 포기하는 등 독자적인 온건화 노선을 추진했다. 또한 소련의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80년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독일 사회민주당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접근하는 등 독자적인 정책을 추진했다.[53]

이러한 노력의 결과, 1975년 이탈리아 지방 선거에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거의 모든 대도시 시의회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이 되었으며, 1976년 이탈리아 총선에서는 34.4%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등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46]

3. 3. 역사적 타협

1970년대 엔리코 베를링구에르가 이끄는 이탈리아 공산당(PCI)은 기독교민주당과의 협력을 추구하는 "역사적 타협" 노선을 제시했다.[54] 이는 유로공산주의 노선의 일환으로, 소련과의 관계가 점차 악화되는 가운데 추진되었다. 1976년 이탈리아 총선에서 34.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최대 정당 중 하나로 부상했지만, 1978년 기독교민주당 지도자 알도 모로붉은 여단에 의해 납치 및 살해되면서 이 타협은 큰 타격을 입었다.

1973년 10월, 엔리코 베를린구에르 서기장은 당 강령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폭력 혁명의 달성”을 포기하는 등 독자적인 온건화 노선을 취했다. 이는 국민들 사이에 만연한 공산주의와 극좌에 대한 공포심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베를린구에르가 이끄는 지도부는 더 나아가 공산주의가 그 존재를 부정하는 기독교를 교리로 하는 기독교민주당과의 협력 노선을 제시하고, “역사적 타협” 정책에 의한 연립 정권 수립을 도모하게 된다.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독일 사회민주당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접근하는 등 소련과 거리를 두면서 독자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유로 공산주의” 노선을 추진했다. 1975년 이탈리아 지방 선거에서는 득표율이 30%대에 달했고, 수도 로마볼로냐, 피렌체를 비롯한 지방 자치 단체장을 다수 배출하며 세계 각국으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역사적 타협” 정책은 냉전하의 이탈리아에서 기독교민주당 내 우익, 가톨릭 교회, 대기업과 노동조합, 그리고 “용공(容共)” 정권 성립을 꺼린 미국의 영향을 받은 우익 세력, 이탈리아 공산당의 독자 노선에 강한 불쾌감을 표시한 소련, 그리고 공산주의 원칙에 충실한 당내 좌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력의 이해관계가 뒤섞여 성공하지 못했다. 더욱이 베를린구에르가 1984년에 급사한 것도 실패의 원인 중 하나였다.

이러한 공산당의 세력 확장은 이탈리아의 좌경화를 경계하는 미국뿐만 아니라 마피아와 이탈리아군 내 우익 세력까지 강하게 자극하여, 그 결과 신파시스트 계열 단체와 “프리메이슨 로지 P2”가 관련된 좌익 테러로 위장하려는 목적을 가진 볼로냐역 폭파 테러 사건을 비롯한 여러 극우 테러를 일으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4. 주요 인물

직책이름재임 기간
서기장아메데오 보르디가1921년 ~ 1924년
안토니오 그람시1924년 ~ 1926년
팔미로 톨리아티1927년 ~ 1964년
루이지 롱고1964년 ~ 1972년
엔리코 베를링구에르1972년 ~ 1984년
알레산드로 나타1984년 ~ 1988년
아킬레 오케토1988년 ~ 1991년
이탈리아 대의원회 원내대표
루이지 롱고1946년 ~ 1947년
팔미로 톨리아티1947년 ~ 1964년
피에트로 인그라오1964년 ~ 1972년
알레산드로 나타1972년 ~ 1979년
페르난도 디 줄리오1979년 ~ 1981년
조르조 나폴리타노1981년 ~ 1986년
레나토 잔게리1986년 ~ 1990년
줄리오 퀘르치니1990년 ~ 1991년
이탈리아 공화국 상원 원내대표
마우로 스코치마로1948년 ~ 1958년
움베르토 테라치니1958년 ~ 1973년
에도아르도 페마1973년 ~ 1986년
제라르도 키아로몬테1983년 ~ 1986년
우고 페키올리1986년 ~ 1991년
유럽 의회 원내대표
조르조 아멘돌라1979년 ~ 1980년
귀도 판티1980년 ~ 1984년
조반니 체르베티1984년 ~ 1989년
루이지 알베르토 콜라잔니1989년 ~ 1991년
의장루이지 롱고1972년 ~ 1980년
알레산드로 나타1989년 ~ 1990년
알도 토르토렐라1990년 ~ 1991년


5. 평가 및 영향

이탈리아 공산당은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등을 주축으로 창당되어 파시즘에 맞서 싸우고 이탈리아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27]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레시스텐자 활동으로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 패퇴에 영향을 주었다.[3] 전후에는 다른 반파시스트 정당과 함께 내각에 참여, 이탈리아 민주 헌법 제정에 기여했고,[29] 1944년 굴로 법령으로 시골 지역의 사회, 경제적 조건 개선을 시도했다.[30]

1948년 총선에서 상당한 의석을 확보한 이탈리아 공산당은 조직화된 지지층과 실용적인 전략으로 이탈리아 정치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 이후, 톨리아티는 독자적인 노선을 계획했고, 그의 사후에도 당은 1969년 총선에서 기존 의석을 유지했다.

엔리코 베를링구에르유럽공산주의를 주창하며 당의 실용주의 노선을 강화했다. 그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집권을 위해 타 정당과의 협력을 강조했고, 알도 모로역사적 타협을 통해 연정 구성을 시도했다. 비록 이 시도는 붉은 여단에 의한 모로의 납치 및 살해로 실패했지만, 유럽공산주의는 서유럽 좌파 정당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팔미로 톨리아티


엔리코 베를링구에르


이탈리아 공산당은 볼로냐와 같은 도시에서 효율적이고 청렴한 정부 운영 능력을 보여주었다.[45] 노인 건강 프로그램, 유아 교육, 교통 개혁 등 성공적인 사업을 통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주택 건설과 급식 지원 사업도 진행했다.[58][59] 이러한 점들을 통해, 이탈리아 공산당은 사회주의적 이상과 현실 정치의 조화를 추구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냉전 시대의 이념 갈등 속에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소련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53] 1956년 헝가리 혁명이 소련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되었을 때, 당 지도부는 헝가리 혁명군을 반혁명 세력으로 간주했다.[47] 이 결정에 대해 훗날 조르조 나폴리타노는 후회했지만, 당시에는 당의 통합과 소련 공산주의의 국제적 지도력을 우선시했다.[49] 또한, 1960년대 미국 국무부는 이탈리아 공산당이 소련으로부터 상당한 재정 지원을 받는다고 추정했다.[52]

동독 방문 중 에리히 호네커와 회담하는 엔리코 베를링구에르(왼쪽 끝)


1970년대 엔리코 베를링구에르가 주창한 '역사적 타협'은 기독교민주당과의 연립 정부 구성을 목표로 했으나, 당내 좌파 세력의 반발과 알도 모로의 납치 및 살해 사건으로 인해 실패했다.

국민의힘과 비슷한 보수 정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이탈리아 공산당은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과도한 복지 정책으로 재정 적자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탈리아 공산당의 '역사적 타협'은 한국 정치의 양극화 해소와 협치 모델 구축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엔리코 베를링구에르가 주창한 유럽공산주의는 당의 실용주의 노선을 강화했으며, 특히 이탈리아 공산당의 집권을 위해서라면 타 정당과도 손을 잡아야 한다는 주장은 알도 모로와의 역사적 타협으로 이어졌다.[54] 비록 붉은 여단에 의한 알도 모로 납치 및 살해 사건으로 인해 역사적 타협은 종결되었지만, 이는 협치를 통한 사회 통합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54]

유럽공산주의는 한국의 진보 정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 이탈리아 공산당은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하며 유로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인터내셔널로 이동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이탈리아 공산당의 역사는 사회주의적 이상과 현실 정치의 균형, 협치를 통한 사회 통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탈리아 공산당이 피아트가 소비에트 연방에 아브토바즈(라다) 자동차 공장을 설립하도록 로비한 것은 실용적인 외교 정책의 성공 사례로 볼 수 있다. 볼로냐와 같은 도시에서 보여준 효율적인 지방 정부 운영 능력은 더불어민주당이 추구해야 할 지방 자치 모델의 모범이다.[45][46][58][59]

5. 1. 긍정적 평가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등을 주축으로 창당된 이탈리아 공산당은 파시즘에 맞서 싸우고 이탈리아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27]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레시스텐자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 패퇴에 큰 영향을 주었다.[3]

전후 이탈리아 공산당은 다른 반파시스트 정당과 함께 내각에 참여하였고, 이탈리아 민주 헌법 제정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29] 1944년 굴로 법령을 통해 시골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조건 개선을 시도하는 등 사회 개혁에도 힘썼다.[30]

1948년 총선에서 상당한 의석을 확보한 이탈리아 공산당은 조직화된 지지층과 실용적인 전략으로 이탈리아 정치계에서 막강한 힘을 유지했다.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 이후, 톨리아티는 독자적인 노선을 계획했고, 그의 사후에도 당은 1969년 총선에서 기존 의석을 유지하는 저력을 보였다.

엔리코 베를링구에르유럽공산주의를 주창하며 당의 실용주의 노선을 더욱 강화했다. 그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집권을 위해 타 정당과의 협력을 강조했고, 알도 모로역사적 타협을 통해 연정 구성을 시도했다. 비록 이 시도는 붉은 여단에 의한 모로의 납치 및 살해로 실패했지만, 유럽공산주의는 서유럽 좌파 정당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탈리아 공산당은 볼로냐와 같은 도시에서 효율적이고 청렴한 정부 운영 능력을 보여주었다.[45] 노인 건강 프로그램, 유아 교육, 교통 개혁 등 성공적인 사업을 통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주택 건설과 급식 지원 사업도 진행했다.[58][59]

이러한 점들을 통해, 이탈리아 공산당은 사회주의적 이상과 현실 정치의 조화를 추구한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5. 2. 부정적 평가

냉전 시대의 이념 갈등 속에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소련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53] 1956년 헝가리 혁명이 소련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되었을 때, 당 지도부는 헝가리 혁명군을 반혁명 세력으로 간주했다.[47] 이 결정에 대해 훗날 조르조 나폴리타노는 후회했지만, 당시에는 당의 통합과 소련 공산주의의 국제적 지도력을 우선시했다.[49] 또한, 1960년대 미국 국무부는 이탈리아 공산당이 소련으로부터 상당한 재정 지원을 받는다고 추정했다.[52]

1970년대 엔리코 베를링구에르가 주창한 '역사적 타협'은 기독교민주당과의 연립 정부 구성을 목표로 했으나, 당내 좌파 세력의 반발과 알도 모로의 납치 및 살해 사건으로 인해 실패했다.[54] 이 실패는 이탈리아 정치의 불안정성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

국민의힘과 비슷한 보수 정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이탈리아 공산당은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과도한 복지 정책으로 재정 적자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5. 3. 한국 정치에 대한 시사점

이탈리아 공산당의 '역사적 타협'은 한국 정치의 양극화 해소와 협치 모델 구축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엔리코 베를링구에르가 주창한 유럽공산주의는 당의 실용주의 노선을 강화했으며, 특히 이탈리아 공산당의 집권을 위해서라면 타 정당과도 손을 잡아야 한다는 주장은 알도 모로와의 역사적 타협으로 이어졌다.[54] 비록 붉은 여단에 의한 알도 모로 납치 및 살해 사건으로 인해 역사적 타협은 종결되었지만, 이는 협치를 통한 사회 통합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54]

유럽공산주의는 한국의 진보 정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 이탈리아 공산당은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하며 유로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인터내셔널로 이동했다. 이는 사회주의적 이상과 현실 정치의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이탈리아 공산당의 역사는 사회주의적 이상과 현실 정치의 균형, 그리고 협치를 통한 사회 통합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교훈을 제공한다. 특히, 이탈리아 공산당이 피아트가 소비에트 연방에 아브토바즈(라다) 자동차 공장을 설립하도록 로비한 것은 실용적인 외교 정책의 성공 사례로 볼 수 있다. 또한, 볼로냐와 같은 도시에서 보여준 부패 없고 효율적인 지방 정부 운영 능력은 더불어민주당이 추구해야 할 지방 자치 모델의 모범이다.[45][46][58][59]

6. 선거 결과

이탈리아 공산당의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탈리아 의회 ===

대의원회의
선거 연도득표수%의석 수증감대표
1921년304,719 (7위)4.615 / 53515아메데오 보르디가
1924년268,191 (6위)3.619 / 5354안토니오 그람시
1929년참가 금지0 / 40019안토니오 그람시
1934년참가 금지0 / 400팔미로 톨리아티
1946년4,356,686 (3위)18.9104 / 556104팔미로 톨리아티
1948년8,136,637 (2위)[1]31.0130 / 57426팔미로 톨리아티
1953년6,120,809 (2위)22.6143 / 59013팔미로 톨리아티
1958년6,704,454 (2위)22.7140 / 5963팔미로 톨리아티
1963년7,767,601 (2위)25.3166 / 63026팔미로 톨리아티
1968년8,557,404 (2위)26.9177 / 63011루이지 롱고
1972년9,072,454 (2위)27.1179 / 6302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76년12,622,728 (2위)34.4228 / 63049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79년11,139,231 (2위)30.4201 / 63027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3년11,032,318 (2위)29.9198 / 6303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7년10,254,591 (2위)26.6177 / 63024알레산드로 나타



공화국 상원
선거 연도득표수%의석 수증감대표
1948년6,969,122 (2위)[1]30.850 / 237팔미로 톨리아티
1953년6,120,809 (2위)22.656 / 2376팔미로 톨리아티
1958년6,704,454 (2위)22.260 / 2464팔미로 톨리아티
1963년6,933,842 (2위)25.284 / 31524팔미로 톨리아티
1968년8,583,285 (2위)30.0101 / 31517루이지 롱고
1972년8,475,141 (2위)28.194 / 3157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76년10,640,471 (2위)33.8116 / 31522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79년9,859,004 (2위)31.5109 / 3157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3년9,579,699 (2위)30.8107 / 3152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7년9,181,579 (2위)28.3101 / 3156알레산드로 나타



=== 유럽 의회 ===

선거 연도득표수%의석 수+/−대표
197910,361,344 (2위)29.624-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411,714,428 (1위)33.327+3알레산드로 나타
19899,598,369 (2위)27.622-5아킬레 오케토



=== 지방 선거 ===

선거 연도득표수득표율의석 수증감대표
19707,586,983 (2위)27.9%200 / 720루이지 롱고
197510,148,723 (2위)33.4%247 / 72047엔리코 베를링구에르
19809,555,767 (2위)31.5%233 / 72014엔리코 베를링구에르
19859,686,140 (2위)30.2%225 / 7208알레산드로 나타
19907,660,553 (2위)24.0%182 / 72043아킬레 오케토



6. 1. 이탈리아 의회

대의원회의
선거 연도득표수%의석 수증감대표
1921년304,719 (7위)4.615 / 53515아메데오 보르디가
1924년268,191 (6위)3.619 / 5354안토니오 그람시
1929년참가 금지0 / 40019안토니오 그람시
1934년참가 금지0 / 400팔미로 톨리아티
1946년4,356,686 (3위)18.9104 / 556104팔미로 톨리아티
1948년8,136,637 (2위)[1]31.0130 / 57426팔미로 톨리아티
1953년6,120,809 (2위)22.6143 / 59013팔미로 톨리아티
1958년6,704,454 (2위)22.7140 / 5963팔미로 톨리아티
1963년7,767,601 (2위)25.3166 / 63026팔미로 톨리아티
1968년8,557,404 (2위)26.9177 / 63011루이지 롱고
1972년9,072,454 (2위)27.1179 / 6302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76년12,622,728 (2위)34.4228 / 63049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79년11,139,231 (2위)30.4201 / 63027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3년11,032,318 (2위)29.9198 / 6303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7년10,254,591 (2위)26.6177 / 63024알레산드로 나타



공화국 상원
선거 연도득표수%의석 수증감대표
1948년6,969,122 (2위)[1]30.850 / 237팔미로 톨리아티
1953년6,120,809 (2위)22.656 / 2376팔미로 톨리아티
1958년6,704,454 (2위)22.260 / 2464팔미로 톨리아티
1963년6,933,842 (2위)25.284 / 31524팔미로 톨리아티
1968년8,583,285 (2위)30.0101 / 31517루이지 롱고
1972년8,475,141 (2위)28.194 / 3157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76년10,640,471 (2위)33.8116 / 31522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79년9,859,004 (2위)31.5109 / 3157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3년9,579,699 (2위)30.8107 / 3152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7년9,181,579 (2위)28.3101 / 3156알레산드로 나타


  • 1948년 총선에서 이탈리아 공산당은 인민민주전선에 참여했다.

6. 2. 유럽 의회

선거 연도득표수%의석 수+/−대표
197910,361,344 (2위)29.624-엔리코 베를린구에르
198411,714,428 (1위)33.327+3알레산드로 나타
19899,598,369 (2위)27.622-5아킬레 오케토


6. 3. 지방 선거

선거 연도득표수득표율의석 수증감대표
19707,586,983 (2위)27.9%200 / 720루이지 롱고
197510,148,723 (2위)33.4%247 / 72047엔리코 베를링구에르
19809,555,767 (2위)31.5%233 / 72014엔리코 베를링구에르
19859,686,140 (2위)30.2%225 / 7208알레산드로 나타
19907,660,553 (2위)24.0%182 / 72043아킬레 오케토


참조

[1] 서적 Le origini del PCI: studi e interventi sulla storia del comunismo in Italia https://books.google[...] FrancoAngeli 1999
[2] 서적 Mussolini Phoenix
[3] 웹사이트 Partito comunista italiano https://www.treccani[...] 2023-02-01
[4] 학술지 The Italian Road to Socialism https://newleftrevie[...] 2023-07-05
[5] 서적 Which Socialism, Whose Détente? West European Communism and the Czechoslovak Crisis of 1968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7
[6] 웹사이트 Accaddeoggi 21 agosto 1964: Togliatti muore a Yalta https://www.welfaren[...] 2023-07-05
[7] 서적 Gramsci's Political Thought: Hegemony, Consciousness, and the Revolutionary Process University of Oxford Press 1987-04-01
[8] 서적 Antonio Gramsci Routledge 2006
[9] 서적 Gramsci Contested: Interpretations, Debates, and Polemics, 1922–2012 Brill 2021-12-21
[10] 서적 Politics, Murder and Love in an Italian Family: The Amendolas in the Age of Totalitarianis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1-13
[11] 서적 Togliatti e il partito di massa https://books.google[...] Castelvecchi 2014
[12] 웹사이트 Gli iscritti ai principali partiti politici italiani della Prima Repubblica dal 1945 al 1991 https://web.archive.[...] Cattaneo Institute 2013-11-10
[13] 서적 L'impossibile incontro: gli Stati Uniti e la destra italiana negli anni Cinquanta https://books.google[...] FrancoAngeli 2012
[14] 서적 La rivoluzione impossibile: l'attentato a Togliatti, violenza politica e reazione popolare https://books.google[...] Il Saggiatore 2009
[15] 웹사이트 La rivoluzione ungherese del 1956 e il ruolo del PCI https://www.pierober[...] 2023-07-17
[16] 서적 La Civiltà Cattolica https://web.archive.[...] 2018-06-28
[17] 학술지 The PCI and Occhetto's New Course: The Italian Road to Reform 1990
[18] 웹사이트 Correnti interne al PCI https://basileus88.w[...] 2023-02-01
[19] 서적 Riformisti e comunisti?: dal Pci al Pd: i "miglioristi" nella politica italiana nella politica italiana https://books.google[...] Donzelli Editore
[20] 서적 L'Italia repubblicana nella crisi degli anni Settanta: Sistema politico e istitutzioni https://books.google[...] Rubbettino Editore 2003
[21] 서적 Communist and Marxist Parties of the World Longman
[22] 뉴스 European Socialists Question Communist Party Independence https://news.google.[...] 2023-02-01
[23] 웹사이트 Guide to the Italian Communist Party Collection, 1969–1971 1613 https://web.archive.[...] 2023-02-01
[24] 서적 Moscow and the Italian Communist Party: From Togliatti to Berlinguer https://books.google[...] I.B.Tauris
[25] 뉴스 'Il socialismo democratico abita a Botteghe Oscure' https://ricerca.repu[...] 2023-02-01
[26] 서적 Storia del Partito comunista italiano. Da Bordiga a Gramsci Einaudi 1967
[27] 서적 Storia contemporanea. Il Novecento Editori Laterza 2008
[28] 서적 La vie intellectuelle entre fascisme et République 1940–1948 ENS éditions 2012
[29] 서적 Storia d'Italia Rcs Quotidiani 2003
[30] 서적 A History of Contemporary Italy: Society and Politics, 1943–1988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3
[31] 서적 Storia d'Italia
[32] 웹사이트 Assemblea costituente 02/06/1946 https://elezionistor[...] Italian Ministry of the Interior 2023-07-03
[33] 웹사이트 Referendum 02/06/1946 https://elezionistor[...] Italian Ministry of the Interior 2023-07-03
[34] 웹사이트 Il referendum istituzionale e la scelta repubblicana https://web.archive.[...] Luigi Sturzo Institute 2016-12-08
[35] 웹사이트 Savoia https://web.archive.[...] 2019-11-12
[36] 뉴스 Il Pci rifondato da Togliatti si perde nel berlinguerismo https://www.laterza.[...] 2023-07-05
[37] 서적 A History of Contemporary Italy: Society and Politics, 1943–1988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3
[38] 서적 Encyclopedia of Conflicts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39] 서적 US Covert Operations and Cold War Strategy: Truman, Secret Warfare and the CIA, 1945–5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9-12
[40] 뉴스 Sessanta anni senza Einaudi, il governatore che da Chigi salì al Colle https://www.milanofi[...] 2023-07-08
[41] 서적 Confronting America: The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mmunists in France and Italy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2011-07-15
[42] 서적 US Covert Operations and Cold War Strategy: Truman, Secret Warfare and the CIA, 1945–5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
[43] 뉴스 Italy's bloody secret https://www.theguard[...] 2023-07-03
[44] 학술지 Britain and the 'Hand-over' of Italian War Criminals to Yugoslavia, 1945–48 2004
[45]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Politics Penguin 1993
[46] 서적 A History of Contemporary Italy: Society and Politics, 1943–1988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3
[47] 웹사이트 1956: dopo la repressione sovietica in Ungheria, i contrasti e le rotture all'interno del Pci https://www.colletti[...] 2023-07-17
[48] 간행물 The Italian Communists: Foreign Bulletin of the P.C.I. 1980-10-12
[49] 서적 Dal Pci al socialismo europeo. Un'autobiografia politica Laterza 2005
[50] 웹사이트 Napolitano e l'{{'}}utopia mite' dell'Europa http://www.toscanaeu[...] 2007-07-14
[51] 학술지 Commu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1968-03
[52] 비디오 The Man Nobody Knew: In Search of My Father, CIA Spymaster Ashley Colby http://firstrunfeatu[...] Act 4 Entertainment 2011-09-15
[53] 학술지 The Soviet Dimension of Italian Communism 2004
[54] 서적 The Sword and the Shield: The Mitrokhin Archive and the Secret History of the KGB Basic Books 2001
[55] 서적 Dal PCI al PDS https://books.google[...] Il mulino 1992
[56] 서적 PCI, PDS, DS: la trasformazione dell'identità politica della sinistra di governo https://books.google[...] Donzelli Editore 2000
[57] 서적 Politics and Symbols: The Italian Communist Party and the Fall of Communism Yale University Press 1998
[58] 서적 Library of Nations: Italy, Time Life Books Time Life UK 1985
[59] 서적 The French and Italian Communist Parties: Comrade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3
[60] 웹사이트 イタリア共産党【イタリアきょうさんとう】 https://kotobank.jp/[...] 2019-07-23
[61] 웹사이트 イタリアきょうさんとう【イタリア共産党 Partito Comunista Italiano】 https://kotobank.jp/[...] 2019-07-23
[62] 웹사이트 イタリア共産党 いたりあきょうさんとう Partito Comunista Italiano https://kotobank.jp/[...] 2019-07-23
[63] 웹사이트 イタリア共産党 いたりあきょうさんとう Partito Comunista Italiano #改革と党名変更 https://kotobank.jp/[...] 2019-07-23
[64] 웹사이트 イタリア共産党 いたりあきょうさんとう Partito Comunista Italiano #多中心主義と歴史的妥協 https://kotobank.jp/[...] 2019-07-23
[65] 웹사이트 ユーロコミュニズム https://kotobank.jp/[...] 2019-07-23
[66] 웹사이트 ウニタ L'Unità https://kotobank.jp/[...] 2019-07-23
[67] 뉴스 首相にボノミ、共産党が入閣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68] 서적 ギネスブック'93 騎虎書房 1992
[69]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70] 웹사이트 Altiero SPINELLI http://www.europarl.[...] Europa 2016-01-01
[71] 웹사이트 The Founding Fathers of the EU http://europa.eu/abo[...] 欧州連合 2014-02-16
[72] 서적 L'Italia repubblicana nella crisi degli anni Settanta: Sistema politico e istitutzioni https://books.google[...] 2003
[73] 서적 Le origini del PCI: studi e interventi sulla storia del comunismo in Italia https://books.google[...] 1999
[74] 서적 La Civiltà Cattolica https://books.google[...] 1966
[75] 서적 Riformisti e comunisti?: dal Pci al Pd : I "miglioristi" nella politica italiana https://books.google[...] 2010
[76] 서적 La rivoluzione impossibile: l'attentato a Togliatti, violenza politica e reazione popolare https://books.google[...] 2009
[77] 서적 L'impossibile incontro: gli Stati Uniti e la destra italiana negli anni Cinquanta https://books.google[...]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