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한 (전주 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한은 전주 이씨의 시조로, 자는 견성이다. 신라 말 사공 벼슬을 지냈으며, 경주 김씨와 혼인하여 이자연을 낳았다. 이한은 754년 사망했으며, 묘소가 실전되어 고종 때 조경단을 설단하고 제사를 지냈다. 이성계는 이한의 21세손을 칭하지만, 여진족이라는 설도 있다. 조경묘는 영조 때 창건되었으며, 조경단과 함께 전라북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54년 사망 - 보니파시오
    보니파시오는 8세기 잉글랜드 출신 선교사로, 윈프리트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게르마니아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교회를 정비했으며, 교황으로부터 '보니파시오'라는 이름을 받고 게르마니아 선교 주교로 임명되어 프랑크 왕국과 협력하여 선교하다 순교 후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754년 사망 - 킬데리쿠스 3세
    킬데리쿠스 3세는 메로빙거 왕조의 마지막 프랑크 왕으로, 궁재 피핀 3세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실권 없이 폐위되어 메로빙거 왕조를 단절시킨 인물이다.
  • 전주 이씨 - 이낙연
    이낙연은 1952년 전라남도 영광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4선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낸 후 새로운미래를 창당하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 전주 이씨 - 이상민 (법조인)
    이상민은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재직했지만,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해 탄핵 소추 및 계엄령 선포 후 사퇴했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한 (전주 이씨)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이한
한글 표기이한
한자 표기李翰
로마자 표기I Han
구분신라의 인물
활동 시기성덕왕 대
직위사찬
자견 (子堅)
가족 관계배필: 박씨 부인
인물 정보
이름이한
한글 표기이한
한자 표기李翰
로마자 표기I Han
작위조선 태조의 22대조 (추존)
견성(甄城)
출생일713년 (추정)
사망일754년 (추정)
묘지조경묘(조경묘)
배우자시조비 김씨(경주 김씨)
자녀이자연
부모아버지: 이씨 (李氏), 어머니: 불명
가문전주(開城)
왕조조선(朝鮮)
시호시조고선공존령(始祖考先公尊靈)

2. 생애

전주 출신으로, 자는 견성(甄城)이다.

전주 이씨 족보 『선원계보(璿源系譜)』에 따르면, 태종무열왕의 10세손 군윤(軍尹) 김은의(金殷義)의 딸 경주 김씨(慶州金氏)와 결혼하고, 신라 말기 사공 벼슬을 지냈다고 한다. 754년(신라 경덕왕 13) 사망하였다. 『태조실록』에 따르면, 이한은 통일 신라에서 사공을 지냈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이한의 21세손을 칭하고 있지만, 여진족이라는 설도 있다.[1][2][3]

3. 가계

부인은 경주 김씨(慶州金氏)로, 신라 태종무열왕의 10세손이자 군윤(軍尹)을 지낸 김은의(金殷義)의 딸이다. 아들은 시중을 지낸 이자연(李自延) 혹은 이자연(李子延)이며, 손자는 복야를 지낸 이천상(李天祥)이다. 며느리는 진양군 윤자인(尹自仁)의 딸 윤씨(尹氏)이다.

22세손은 조선 태조 이성계이다. 이성계가 이한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일각에서는 이성계가 여진족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1][2][3]

4. 관련 문화재

1771년(영조 47년) 전국 유생의 상소에 의하여 영조의 명으로 전주 이씨의 발상지라 하여 경기전의 북쪽 인접에 '''조경묘'''를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일을 정해 제사를 모셨다.[1] 위패는 '시조고신라사공신위(始祖考新羅司空神位)'와 '시조비경주김씨신위(始祖妣慶州金氏神位)'라 쓰여 있으며, 영조의 친필이다.[1]

조경묘는 대한민국 문화재청에서 1973년 6월 23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하고,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경묘봉향회에서 매년 중양절(重陽節) 음력 9월 9일에 제향을 받들고 있다.[1] 묘소는 실전되어 고종 명으로 조경단을 설단하고, 제향일을 정해 제사를 모셨다.[1] 이 조경단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에서 1973년 6월 23일 전라북도 시도기념물 제3호로 지정하고, 조경단봉향회에서 매년 양력 4월 10일에 제향을 받들고 있다.[1]

전주 조경단에서 나왔다는 지석(誌石)은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1] 이 지석 앞면에는 '천보십삼재 구척하(天寶十三載 九尺下)'라고 새겨져 있다.[1] 장례 때 묻었다면 이한의 졸년은 '천보 13년'이다.[1] '천보'는 중국 당나라 현종의 연호로 서기 742년 ∼ 755년에 해당된다.[1] 따라서 '천보 13년'은 서기 754년이요, 신라 경덕왕 13년이다.[1]

5. 논란

이성계는 조선을 건국하고 자신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한을 시조로 내세웠지만, 이성계가 여진족이라는 설도 있어[1][2][3] 역사학계에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참조

[1] 서적 李朝の四祖の伝説とその構成 中央公論美術出版 1972
[2] 서적 朝鮮王朝の成立と両班支配体制 山川出版社 2000-08-01
[3] 서적 明清と李朝の時代 中央公論新社|中央公論社 1998-04-01
[4] 문서 경주 김씨(慶州金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