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녕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녕군은 조선 태종의 막내아들로, 이름은 치이며, 1422년에 출생하여 1464년에 사망하였다. 1430년 익녕군에 봉해졌으며, 석전놀이 금지, 종 사사로이 치죄 등의 비행으로 유배 및 안치되었다. 43세에 사망하여 소강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능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다. 슬하에 두 아들과 네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2년 출생 -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우르비노 공작이자 뛰어난 용병대장이었고,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과 인문주의를 후원하여 우르비노 궁정을 문화 중심지로 만들었으며,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를 비롯한 예술가들을 후원했다. - 1422년 출생 - 윤사흔
윤사흔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정희왕후의 동생이자 왕족 및 사대부와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음보로 관직에 입문하여 계유정난과 성종 옹립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영돈녕부사에 이르렀으나 훈척으로서 병권 운영에 대한 비판을 받았고 우의정, 영경연사를 역임 후 사망하여 양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464년 사망 - 니콜라우스 쿠자누스
니콜라우스 쿠자누스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 신학자, 추기경으로서 스콜라 철학 비판, 독창적 형이상학, 동서 교회 통합 노력, 그리고 "지적인 무지"와 "대립의 일치" 개념을 통해 중세에서 근대로의 사상적 전환에 기여하고 수학과 과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 - 1464년 사망 - 정통제
정통제는 명나라의 제6대 황제이자 제8대 황제로, 선덕제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왕진의 발호와 토목의 변을 겪었으며, 포로 생활과 유폐 후 복위하여 천순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익녕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익녕군 |
한자 표기 | 益寧君 |
휘 | 치(袳) |
시호 | 소강(昭剛) |
출생 | 1422년 |
사망일 | 1464년 8월 21일 (향년 43세) |
아버지 | 태종 |
어머니 | 선빈 안씨 |
배우자 | 군부인 운봉 박씨 군부인 평양 조씨 |
자녀 | 1남 2녀 |
2. 생애
익녕군은 1438년(세종 20년) 단오에 의금부에서 금지한 석전놀이를 하였다는 죄목으로 원평(原平)에 추방되었고[1], 1449년(세종 31년)에는 자신이 부리는 종을 사사로이 벌을 주었다는 죄목으로 제천(堤川)에 안치되었다.[2] 1450년(문종 원년) 김혁(金革)과 가옥과 토지 문제로 다투었는데, 판결이 나기 전에 강제로 빼앗아 하위지 등이 종친의 비행과 폐단을 징계하여 다스릴 것을 청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았다.[3]
1464년(세조 10년), 4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임금은 쌀·콩 100석, 백지(白紙) 200권, 정포(正布) 40필, 백저포(白苧布) 3필, 석탄 60석을 부조하였다. 시호는 소강(昭剛)이며 능원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에 있다.
2. 1. 출생과 혼인
1422년(세종 4년) 태종의 막내아들로 출생하였으며 이름은 치(袳)이다. 1430년(세종 12년) 익녕군에 봉해졌다. 1434년(세종 16년) 판사 박종지(朴從智)의 딸 운봉 박씨와 혼인하였으나 슬하에 자식을 두지는 못하였다. 후에 평양 조씨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두었다.2. 2. 비행과 처벌
1438년(세종 20년) 단오에 의금부에서 금지한 석전놀이를 하였다는 죄목으로 원평(原平)에 추방되었다.[1] 1449년(세종 31년)에는 자신이 부리는 종을 사사로이 벌을 주었다는 죄목으로 제천(堤川)에 안치되었다.[2] 1450년(문종 원년) 김혁(金革)과 가옥과 토지 문제로 다투었는데, 판결이 나기 전에 강제로 빼앗아 하위지, 김효급, 정갑손 등이 종친의 비행과 폐단을 징계하여 다스릴 것을 청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았다.[3]2. 3. 사망
1464년(세조 10년), 4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임금은 쌀·콩 100석, 백지(白紙) 200권, 정포(正布) 40필, 백저포(白苧布) 3필, 석탄 60석을 부조하였다. 시호는 소강(昭剛)이며 능원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에 있다.3. 가족 관계
구분 | 배우자 | 자녀 |
---|---|---|
정실 | 군부인 운봉 박씨(郡夫人 雲峰 朴氏) | 슬하 1녀 |
계실 | 군부인 평양 조씨 | 슬하 2남 3녀 |
3. 1. 부모
3. 2. 정실
군부인 운봉 박씨(郡夫人 雲峰 朴氏)는 절제사(節制使) 증 찬성(贈贊成) 박종지(朴從智)의 딸이다.[1]항목 | 내용 |
---|---|
장녀 | 이미중(李眉重) |
사위 | 경주 김씨 판관(判官) 증 통례(贈 通禮) 김신(金信) |
손자 | 김양호(金良豪, 1463 ~ ?) 김양준(金良俊) 김양건(金良健) 김양보(金良輔) |
손녀 | 여흥 민씨 민종원(閔宗元)의 처 임강부수 이준(臨江副守 李畯)의 처 |
3. 3. 계실
군부인 평양 조씨- 장남 : 의천군 이승은(義泉君 李承恩)
:** 며느리 : 경주 정씨 - 참의 정계우(鄭繼禹)의 딸
::* 손자 : 수성정 이수장(水城正 李壽長)
::* 손녀 : 진주 강씨 강세응(姜世應)의 처
:** 며느리 : 노비 출신
::* 서손자 : 조종령 이만석(朝宗令 李萬石)
::* 서손자 : 유산령 이수양(柔山令 李壽楊, 1500 ~ ?)
::* 서손녀 : 충의위 이례(李禮)의 처
- 차남 : 수천군 이정은(秀泉君 李貞恩) - 이원익의 증조부
:** 며느리 : 문화 류씨 - 감찰 류중발(柳重發)의 딸
::* 손자 : 청기군 이표(靑杞君 李彪) - 이원익의 조부
::* 손자 : 부림수 이표(缶林守 李豹)
::* 손자 : 결기수 이현(結己守 李玄)
:** 며느리 : 양천 허씨
::* 손자 : 무령수 이월(武寧守 李越)
- 차녀 : 여흥 원씨 현감 원근례(元謹禮)의 처
:* 손자 : 원유(元裕)
- 3녀 : 박정(朴禎)의 처
:* 손자 : 박수계(朴秀桂)
:* 손자 : 박수양(朴秀楊)
:* 손자 : 박수춘(朴秀春)
:* 손녀 : 전거원(全居元)의 처
- 4녀 : 동래 정씨 정지아(鄭之雅)의 처
:* 손녀 : 정수우(鄭壽祐)
참조
[1]
서적
세종실록
1438
[2]
서적
세종실록
1449
[3]
서적
문종실록
1452-11-04 # 문종 즉위년은 1452년이므로 11월 4일을 추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