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검은따오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검은따오기는 긴 다리와 아래로 굽은 부리를 가진 큰 검은 새이다. 인도 아대륙 평원에 널리 분포하며, 습지, 농경지, 도시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붉은발따오기와 흰목따오기 두 아종으로 분류되며, 잡식성으로 곤충, 작은 동물, 곡물 등을 먹는다.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파키스탄에서는 개체 수가 감소했지만, 인도에서는 농부들의 관용과 도시 적응력으로 인해 개체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4년 기재된 새 - 홍여새
    홍여새는 분홍빛 갈색 깃털과 뾰족한 볏, 검은색 줄무늬가 특징인 작은 새로, 러시아 극동과 중국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일본, 한반도 등지에서 월동하며, 날개의 붉은 돌기가 없고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협에 놓여 있으며, 무리 짓는 습성 때문에 '연작', 꼬리깃의 수 때문에 '십이홍'이라고도 불린다.
  • 1824년 기재된 새 - 오스트레일리아사다새
    오스트레일리아사다새는 몸길이 24~36cm의 작은 사다새류로,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뉴기니 남부 등에서 서식하며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고, 수컷은 번식기에 붉은색 깃털을 띠며, 얕은 물가나 습지에 둥지를 짓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아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남아시아의 새 - 흰점어깨수리
    흰점어깨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작은 맹금류로, 북반구와 남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작은 포유류, 파충류, 새 등을 사냥하고, 나무나 바위 틈에 둥지를 짓고 1~2개의 알을 낳아 번식하며, 서식지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남아시아의 새 - 인도파랑새
    인도파랑새는 몸길이 30-34cm의 큰 새로, 서아시아에서 인도, 스리랑카까지 분포하며, 곤충을 주로 먹고 3-6월에 번식하며, 힌두교에서 신성하게 여겨지는 관심 필요 종이다.
  • 따오기아과 - 적갈색따오기속
    적갈색따오기속은 따오기과의 한 속으로, 유리따오기, 흰뺨따오기, 푸나따오기 등의 현존하는 세 종과 †아나스타무스 렉스 등의 멸종된 화석 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 세계 및 유럽에서 발견되었다.
  • 따오기아과 - 아메리카따오기속
    아메리카따오기속은 따오기과에 속하며 미국흰따오기와 진홍따오기 두 종을 포함하고, 해안 습지에서 서식하며 물고기, 개구리 등을 먹고, 흰색 또는 진홍색 깃털과 긴 부리를 가진 조류이다.
인도검은따오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붉은목따오기 한 쌍
한 쌍
학명Pseudibis papillosa
명명자Temminck, 1824
이전 학명Inocotis papillosus
보전 상태
IUCNLC (관심 필요)
IUCN 버전IUCN3.1
분포
붉은목따오기 분포 지도
대략적인 분포 범위

2. 묘사

인도검은따오기는 긴 다리와 아래쪽으로 굽은 부리를 가진 큰 검은 새이다. 날개 깃털과 꼬리는 청록색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며, 목과 몸은 갈색이고 광택이 없다. 어깨에는 흰색 반점이 눈에 띄고 깃털이 없는 머리 윗부분은 밝은 붉은 사마귀 피부의 반점이다.[54] 사마귀 반점(엄밀히 말하면 축 처진 살)은 왕관에 꼭지점이 있고 목덜미 뒤에 삼각형의 밑부분이 있는 삼각형 반점으로 성체 새에서 발달한다. 홍채는 주황색 빨간색이다. 암수 모두 동일하며 어린 새들은 갈색을 띠며 처음에는 맨머리와 왕관이 없다. 부리와 다리는 회색이지만[55] 번식기에는 붉은 색으로 변한다.[56][57] 발가락에는 가장자리 막이 있으며 밑부분에 약간의 물갈퀴가 있다.[58]

아성체의 머리 근접 촬영 사진으로 붉은 육아가 특징이며, 이 육아는 종명을 부여하는 데 기여한다.


보통 조용하지만 새벽과 황혼에 울음소리를 내며 둥지를 틀 때 더 자주 울음소리를 낸다. 울음소리는 크고 삐걱거리는 비명 소리의 연속으로, 소리를 내며 내려온다.[59] 야행성 울음소리는 드물며 도시 환경에서도 관찰되었다.[60]

멀리서 볼 때 적갈색따오기와 혼동될 수 있지만, 광택이 나는 따오기는 더 작고 더 사교적이며 습지와 관련이 있고 날개에 흰색이 없으며 완전히 깃털이 달린 머리를 가지고 있다.[58]

체장은 약 68cm이다. 머리 부분은 검은색 피부가 노출되어 있지만, 뒤통수는 붉고 피부는 사마귀 모양이다. 목에서 몸 아랫부분에 걸쳐 등은 짙은 갈색이며, 등과 어깨 깃털은 녹색 광택이 있다. 작은 덮깃에 흰색 부분이 있어 정지 시에도 비행 시에도 눈에 잘 띈다. 부리는 짙은 녹색이고, 다리는 짙은 복숭아색이다.

어린 새는 머리에 갈색의 짧은 깃털이 나 있으며, 성조에 비해 체색이 갈색을 띤다.

3. 분류

이 종은 1824년 템민크가 처음 학명을 부여했다. 템민크는 이 종을 ''Ibis'' 속에 포함시켰지만, 라이헨바흐가 만든 ''Inocotis'' 속으로 분리되었다. 이는 우선성의 원칙에 따라 호지슨이 이 종을 포함시킨 ''Pseudibis'' 속이 우선함에도 불구하고, 《영국령 인도 동물상》을 포함한 여러 주요 저서에서 사용되었다.[7]

1970년대부터 흰어깨따오기를 ''P. papillosa davisoni''라는 아종으로 포함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취급하며, 이들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8] 두 종 간의 주요 형태학적 차이는 머리 깃털과 목 윗부분에서 나타난다. ''P. papillosa''는 머리 뒤쪽에 붉은 결절이 있는 반면, ''P. davisoni''는 없다. 성체 ''P. papillosa''는 좁고 밝은 붉은색 머리 깃털을 가지며, 뒷머리 부분에서 더 넓어진다. 반면 성체 ''P. davisoni''는 목 윗부분까지 뻗어 목 윗부분을 완전히 감싸는 털이 없는 옅은 파란색 뒷머리 부분을 가진다.[9] 핵 및 미토콘드리아 DNA를 사용한 연구에 따르면, 이 종은 신세계와 구세계 구성원을 모두 포함하는 넓적부리황새아과에 속한다.[10]

3. 1. 아종

인도검은따오기는 1824년 템민크에 의해 처음 학명이 부여되었다. 템민크는 이 종을 ''Ibis''속에 포함시켰지만, 라이헨바흐가 만든 ''Inocotis''속으로 분리되었다. 이는 우선성의 원칙에 따라 호지슨이 이 종을 포함시킨 ''Pseudibis''속이 우선함에도 불구하고, 《영국령 인도 동물상》을 포함한 여러 주요 저서에 의해 따랐다.[7] 1970년대부터 흰어깨따오기를 아종 ''P. papillosa davisoni''로 포함했지만,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취급되며,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8]

두 종 간의 주요 형태학적 차이는 머리 깃털과 목 윗부분에서 나타난다. ''P. papillosa''는 머리 뒤쪽에 붉은 결절이 있는 반면, ''P. davisoni''는 없다. 성체 ''P. papillosa''는 좁고 밝은 붉은색의 머리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 뒷머리 부분에서는 더 넓어진다. 반면 성체 ''P. davisoni''는 목 윗부분까지 뻗어 목 윗부분을 완전히 감싸는 털이 없는 옅은 파란색의 뒷머리 부분을 가지고 있다.[9] 핵 및 미토콘드리아 DNA를 사용하여 이 종은 신세계와 구세계의 구성원을 모두 포함하는 분류군인 넓적부리황새아과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0]

다음의 2아종으로 분류된다.

  • ''Pseudibis papillosa papillosa'' 붉은발따오기

: 파키스탄 서부에서 인도, 네팔에 걸쳐 분포한다. 기본 아종이다.

  • ''Pseudibis papillosa davisoni'' 흰목따오기

: 미얀마 중부에서 베트남에 걸쳐 분포한다. 기본 아종과 비교하면 뒷머리도 검고, 뒷머리에서 목에 걸쳐 피부가 회청색으로 목걸이 모양으로 보인다. 이 아종을 독립 종으로 보는 설도 있다.

4. 분포 및 서식지

인도검은따오기는 인도 아대륙 평야에 널리 분포한다.[64] 라자스탄주에서는 아라발리산맥을 따라 흔히 볼 수 있지만, 산의 나무를 사용하는 것은 완전히 피한다.[61] 인도검은따오기는 호수, 습지, 강바닥, 관개된 농경지, 마른 휴경지, 마을 및 도시를 사용한다.[55] 경관에 더 많은 습지가 있으면 인도검은따오기가 더 많이 모이지만, 주로 마른 들판에서 먹이를 찾으며 여름 동안 먹이를 찾는 습지의 사용이 증가한다.[63][62] 반건조 지역에서는 2~4마리의 작은 무리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큰 무리는 비교적 드물다.[62][63] 습한 지역과 계절에서는 더 적은 수의 따오기가 집계되었다.[64]

하리아나주, 펀자브주, 라자스탄주, 그리고 갠지스 평원에서 흔히 번식한다. 이 종은 인도 남부까지 확장되지만, 반도나 스리랑카 남동쪽의 숲이 우거진 지역이나 건조한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56] 네팔 저지대에서는 대부분의 인도검은따오기가 농경지에서 발견되었지만, 대부분의 둥지는 숲에서 발견되었다.[65] 인도검은따오기는 일반적으로 먹이를 찾고, 둥지를 틀고, 대도시에서 서식한다.[55][61][62][66][67][68]

인도검은따오기는 주로 먹이를 찾는 활동과 다른 활동을 하며,[69] 밤에는 나무나 섬에서 공동으로 둥지를 틀기도 한다.[61][55] 시끄러운 울음소리와 같은 야행성 활동은 드물다.[60] 반건조 지역에서는 주로 고지대 서식지에서 먹이를 찾아 다른 따오기 종들과의 잠재적인 경쟁적 상호작용을 피한다.[70]

5. 생태

붉은목따오기는 다리가 길고 아래로 굽은 부리를 가진 큰 검은색 새이다. 날개 깃털과 꼬리는 푸른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며, 목과 몸통은 갈색이고 광택이 없다. 어깨의 흰색 반점이 눈에 띄며, 깃털이 없는 머리 꼭대기에는 밝은 붉은색 사마귀 피부가 있다. 암수 모두 동일하며, 어린 새는 더 갈색이며 처음에는 맨머리와 머리 꼭대기가 없다. 부리와 다리는 회색이지만 번식기에는 붉어진다. 발가락에는 테두리 막이 있으며 밑부분이 약간 물갈퀴가 있다.[32][33][4]

보통 조용하지만, 해가 뜨고 질 때, 그리고 둥지를 틀 때 더 자주 운다. 울음소리는 일련의 큰 꽥꽥거림, 꽥꽥거리는 비명이며 소리가 점점 줄어든다.[5]

검은따오기와 혼동될 수 있지만, 검은따오기는 더 작고, 군집 생활을 하며, 습지와 관련이 있고, 날개에 흰색이 없으며, 머리에 깃털이 완전히 덮여 있다.[24]

인도 아대륙 평원에 널리 분포하며, 호수, , 강바닥, 관개 농지, 건조한 휴경지, 마을, 읍, 도시를 이용한다.[32] 경관에 더 많은 습지가 있으면 더 많은 붉은목따오기가 모이지만, 주로 건조한 밭에서 먹이를 찾으며 여름에는 먹이를 찾기 위해 습지 이용이 증가한다.[12][11] 하리아나, 펀자브, 라자스탄, 갠지스 평원에서 흔하게 번식하며, 남부 인도까지 분포하지만, 숲이 우거진 지역이나 반도의 극남동부의 건조 지역 또는 스리랑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33]

주로 주행성이며,[15] 밤에는 나무나 섬에서 집단으로 횃대에 모인다.[36][32]


  • -|]]|thumb|어린 개체]]


초기에는 갑각류(새우, 게), 곤충(딱정벌레, 메뚜기, 귀뚜라미), 전갈, 동물의 사체, 개구리를 먹는 것으로 알려졌으나,[17][22] 이후 동물의 사체,[18] 곤충, 개구리, 다른 작은 척추동물, 곡물을 먹는 등 잡식성으로 밝혀졌다.[33] 주로 건조하고 탁 트인 땅과 그루터기가 많은 밭에서 먹이를 찾으며, 때로는 흰색 왜가리 및 다른 새들과 함께 경작지에서 드러난 지렁이, 방해받은 곤충을 먹거나 딱정벌레 애벌레를 찾기 위해 땅을 판다.[19] 물에서 드물게 물갈퀴질을 하지만,[4] 게 구멍에 숨어 있는 개구리를 찾는 모습이 관찰되었다.[20] 쓰레기 매립지에서 흔히 먹이를 먹으며 포유류와 조류의 사체를 먹는다.[5][19] 가뭄 동안에는 육식성 사체와 곤충 유충을 먹기도 하며, 땅콩 및 기타 작물도 먹는다.

일반적으로 개별적으로 둥지를 틀며, 혼합된 종의 왜가리 서식지에서는 둥지를 틀지 않는다. 번식기는 3월에서 10월 사이이며 몬순 전에 시작되는 경향이 있다. 짝짓기를 할 때 암컷은 먹이를 구하는 수컷에게 먹이를 구걸하며, 수컷은 둥지에서 트럼펫 소리를 낸다.[32] 둥지는 주로 지름 35~60cm, 깊이 약 10~15cm의 큰 나뭇가지 플랫폼이다. 벵골보리수나 보리수 나무 위, 지상 6~12m 높이에 둥지를 틀며, 종종 인간 거주지 근처에 위치한다. 2~4개의 옅은 청록색 알을 낳으며, 암수 모두 알을 품고 33일 후에 부화한다.[33][34][35]

5. 1. 기생충

선충인 ''Belanisakis ibidis''는 인도검은따오기의 소장에서 확인되었으며,[38] 따오기의 깃털에는 ''Ibidoecus'' 속의 특정 종류의 새 이가 기생한다. 붉은목따오기에서 발견된 종은 ''Ibdidoecus dennelli''이다.[39] 흡충류 편형동물인 ''Patagifer chandrapuri''는 알라하바드에서 채집된 표본의 창자에서 발견되었다.[40] 사육 상태의 붉은목따오기에서는 흡충류인 ''Diplostomum ardeiformium''이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다.[41] 원생생물 기생충에는 ''Eimeria''와 유사한 유기체가 포함된다.[42]

6. 문화

타밀 상감 문학에는 "''anril''"이라는 새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 새는 굽은 부리를 가지고 있으며 야자수 꼭대기에서 운다고 묘사되어 있다. 마드하비아 크리슈난은 이 새를 검은따오기로 확실하게 확인했으며, 이것이 사루스 두루미라는 현대의 제안을 배제했다. 그는 황혼에 ''anrils''|안릴ta가 도착하여 야자수 꼭대기에서 운다는 내용에 기반하여 확인했다. 그는 또한 현지인들에게 따오기를 가리키며 이름을 물었고, 몇몇 사람들이 그것을 ''anrils''|안릴ta라고 불렀다는 것을 기록했다.[43][44] 상감 시는 또한 이 새들이 평생 짝을 지어 항상 쌍으로 다닌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이 이것이 남인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종인 사루스 두루미라고 추측하게 된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

"kālakaṇṭak"을 포함한 산스크리트 문학의 많은 이름들이 이 종을 지칭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5] 제던은 텔루구어로 "karankal"과 "nella kankanam", 힌디어로 "buza" 또는 "kālā buza"라는 지역 이름을 언급했다.[46]

영국령 인도에서 운동가들은 이 종을 "킹 바다오리"(king curlew),[47] "킹 따오기"(king ibis) 또는 "검은 바다오리"(black curlew)[48]라고 불렀으며, 식용으로도, 샤힌 매를 사용하여 매사냥꾼들의 스포츠로도 여겨졌다.[46] 그들은 매를 피하기 위해 경주하고 날아올랐다.[49] 재배자들은 따오기가 인디고 농장에서 많은 수의 귀뚜라미를 잡아먹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종을 "농부의 친구"라고 불렀다.[21]

7. 보전 상태

이 종은 사냥과 서식지 손실로 인해 파키스탄에서 크게 감소했다. 인도에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전통적으로 농부와 도시 사람들이 용인하는 종이다.[71][61] 인도검은따오기의 혈장 내 DDT 수치는 19ng/mL로, 인도에서 실시된 한 프로젝트에서 표본으로 채취한 13종의 조류 중 가장 낮았다.[72]

인도검은따오기의 개체군 밀도 추정치는 대부분 습지의 자원봉사자 수에서 도출된다. 이러한 추정치는 대부분의 인도검은따오기 개체군이 고지대와 더 건조한 서식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용하지 않다.[64] 이 종에 대한 유일한 견고한 현장 기반 모니터링 활동은 개체군 추정치를 2,081,800마리 (95% CI: 17,45,340 - 25,41,460마리)로 유지하며, 이는 인도검은따오기를 가장 개체가 많은 고유한 물새 종 중 하나로 만든다.[64] 계절에 따라 종의 수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모니터링하기 어려운 종이다. 대부분의 따오기는 고지대 및 기타 건조한 서식지에서 먹이를 찾지만, 더 많은 따오기는 지형에 습지가 더 많은 곳에서 발생한다.[63][62] 인도검은따오기는 특정 크기의 습지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지형에 몇 개의 큰 습지가 있어 여름에 모든 작은 습지가 말라버리는 반건조 지역의 개체군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63]

메흐타브 바그(Mehtab Bagh)에 있는 인도검은따오기(Red Naped Ibises) 한 쌍, 아그라


도시 지역 연구에 따르면 인도검은따오기는 도시 기반 음식을 활용하고, 번화한 시장에 위치하더라도 조명 기둥과 같은 인공 구조물에 둥지를 틀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9][23] 인도검은따오기는 도시 녹화가 둥지를 틀 나무를 계속 제공하는 한, 특히 둥지를 틀 키 큰 나무가 시골에 드문 건조 및 반 건조 지역에서 도시 지역 확장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사람들이 이 새들을 박해하지 않는 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36] 곡물 농업의 확장은 넓은 지역에서 나무의 감소로 이어졌지만, 인도검은따오기는 전력선 타워 및 휴대전화 타워와 같은 인공 둥지 기질을 사용하여 이러한 지역에서 계속 번성하고 있다.[28] 이러한 연구들은 인도검은따오기가 행동 적응성, 특히 다양한 인간이 변형시킨 서식지와 지역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31]

프랑크푸르트, 싱가포르(주롱 공원)를 포함한 몇몇 동물원에서 이 종의 번식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한 개체는 베를린 동물원에서 30년 동안 살았다.[52]

참조

[1] 간행물 "''Pseudibis papillosa''" 2016
[2]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Birds. Volume 4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3] 논문 The integumentary morphology of modern birds - an overview
[4]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Birds. Volume 6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5]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Volume 2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6] 논문 A nocturnal call of the black ibis (Pseudibis papillosa) https://tapro.sljol.[...] 2015
[7] 논문 Inocotis Reichenbach to be replaced by Pseudibis Hodgson https://archive.org/[...] "[Washington,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8] 논문 Comments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Old World Ibises https://archive.org/[...]
[9] 논문 Head and sex-size dimorphism in Pseudibis papillosa and P.davisoni http://people.ds.cam[...] 2008
[10]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reskionithidae (Aves: Pelecaniformes)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https://pubmed.ncbi.[...] 2013
[11] 논문 'Is the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a "waterbird"? Distribution, abundance and habitat use in landscapes with two different dominant land uses in Udaipur district, Rajasthan, India' https://storkibisspo[...] 2022
[12] 논문 Effect of wetland extent on seasonal abundance and behaviour of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in the semi-arid Dungarpur district, Rajasthan, India https://storkibisspo[...] 2022
[13] 논문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density across time and space in south Asian farmlands: the influence of location, season, and rainfall https://storkibisspo[...] 2022
[14] 논문 Status of the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in agricultural landscapes of Nepal https://storkibisspo[...] 2022
[15] 웹사이트 Indian black ibis / Oriental black ibis / Red 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Temminck) http://www.ibisring.[...]
[16] 논문 Is Three a Crowd? Three Indian Ibis Species Vary Strategies to Achieve Sympatry Depending on Different Seasons, Landscapes and Habitats https://bioone.org/j[...] 2024
[17] 서적 Birds of India: A natural history. Volume III. Wyman and Co., Calcutta, India. 1864
[18] 논문 Indian Black Ibis Pseudibis papillosa feeding on carrion 2015
[19] 논문 Natural history and behavioural observations of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in Dhariawad and Sikar cities, Rajasthan https://storkibisspo[...] 2022
[20] 논문 Black ibis Pseudibis papillosa feeding on frogs from crab holes https://biodiversity[...]
[21] 논문 The birds of the Madhubani sub-division of the Darbhanga district, Tirhut, with notes on species noticed elsewhere in the district. Part 6 https://biodiversity[...]
[22] 서적 The food of birds in India. https://archive.org/[...] Imperial Department of Agriculture in India
[23] 논문 Nectar in the diet of the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https://storkibisspo[...] 2022
[24] 서적 Popular Handbook of Indian Birds https://archive.org/[...] Gurney and Jackson
[25] 서적 The nidification of birds of the Indian empire Pandionidae-Podicepidae. Vol IV. Taylor & Francis, London, UK 1935
[26] 논문 Nesting of Black Ibis Pseudibis papillosa on electricity pylons near Bikaner, Rajasthan 2013
[27] 논문 Observations of colonially-nesting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at Amla, Gujarat: nest tree preference and breeding success https://storkibisspo[...] 2022
[28] 논문 Nesting substrates of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in human dominated landscapes of Telangana, India https://storkibisspo[...] 2022
[29] 논문 Black ibis ''Pseudibis papillosa'' nesting on power transmission line pylons, Gujarat, India
[30] 논문 Black Ibis Pseudibis papillosa nesting on power transmission line pylons, Gujarat, India 2013
[31] 논문 Special Section Editorial: Spotlight on the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https://storkibisspo[...] 2022
[32] 서적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of the world Academic Press
[33]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Oxford University Press
[34] 논문 Laboratory observations on the incubation period of the Indian Black Ibis ''Pseudibis papillosa'' (Temminck) https://biodiversity[...]
[35] 서적 The nest and eggs of Indian Birds. Volume 3. https://archive.org/[...] R.H. Porter
[36] 논문 Can you nest where you roost? Waterbirds use different sites but similar cues to locate roosting and breeding sites in a small Indian city https://doi.org/10.1[...] 2024
[37] 논문 Reproductive Rate of the Red-Headed Falcon (Falco chicquera) in Surendranagar District, Gujarat, India https://doi.org/10.3[...] 2022
[38] 논문 On some nematodes from Indian vertebrates. I. Birds 1954
[39] 논문 Mallophagan parasites from Indian birds-Part V.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Ibidoecus'' Cummings, 1916 (Ischnocera) http://darwin.biolog[...] 1958
[40] 논문 A revision of Patagifer Dietz, 1909 (Digenea: Echinostomatidae) and a key to its species 2008
[41] 논문 Trematoden aus indischen Vögeln des Berliner Tierparks 1962
[42] 논문 Eimerian oozysts from Pseudibis papillosa 1970
[43] 문서 The Anril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44] 서적 The Treatment of Nature in Sangam Literature https://archive.org/[...] The South India Saiva Siddhanta Works Publishing Society 1957
[45] 서적 Birds in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1985
[46] 서적 The birds of India. Volume 3 https://archive.org/[...] George Wyman and Co. 1864
[47] 서적 Game, Shore, and Water Birds of India. https://archive.org/[...] W. Thacker and Co. 1904
[48] 서적 Indian Birds being a key to the common birds of the plains of India. https://archive.org/[...] John Lane 1920
[49] 서적 Falconry in the valley of the Indus https://archive.org/[...] John Van Voorst 1852
[50] 서적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of the World A&C Black 2010
[51] 논문 Levels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Blood Plasma of Various Species of Birds from India https://doi.org/10.1[...] 2010
[52] 논문 Longevity and breeding records of ibises and spoonbills in captivity 1994
[53] 간행물 ''Pseudibis papillosa'' 2016
[54] 논문 The integumentary morphology of modern birds - an overview 2000
[55] 서적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of the world Academic Press 1992
[56]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57]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Birds. Volume 6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1929
[58] 서적 Popular Handbook of Indian Birds https://archive.org/[...] Gurney and Jackson 1949
[59]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Volume 2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2005
[60] 논문 A nocturnal call of the black ibis (Pseudibis papillosa) https://tapro.sljol.[...] 2015
[61] 논문 Can you nest where you roost? Waterbirds use different sites but similar cues to locate roosting and breeding sites in a small Indian city https://doi.org/10.1[...] 2024
[62] 논문 Is the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a "waterbird"? Distribution, abundance and habitat use in landscapes with two different dominant land uses in Udaipur district, Rajasthan, India https://storkibisspo[...] 2022
[63] 논문 Effect of wetland extent on seasonal abundance and behaviour of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in the semi-arid Dungarpur district, Rajasthan, India https://storkibisspo[...] 2022
[64] 논문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density across time and space in south Asian farmlands: the influence of location, season, and rainfall https://storkibisspo[...] 2022
[65] 논문 Status of the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in agricultural landscapes of Nepal https://storkibisspo[...] 2022
[66] 논문 Natural history and behavioural observations of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in Dhariawad and Sikar cities, Rajasthan https://storkibisspo[...] 2022
[67] 논문 Nectar in the diet of the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https://storkibisspo[...] 2022
[68] 논문 Observations of colonially-nesting Red-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at Amla, Gujarat: nest tree preference and breeding success https://storkibisspo[...] 2022
[69] 웹인용 Indian black ibis / Oriental black ibis / Red naped ibis (Pseudibis papillosa Temminck) http://www.ibisring.[...]
[70] 논문 Is Three a Crowd? Three Indian Ibis Species Vary Strategies to Achieve Sympatry Depending on Different Seasons, Landscapes and Habitats https://bioone.org/j[...] 2024
[71] 서적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of the World A&C Black
[72] 논문 Levels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Blood Plasma of Various Species of Birds from India https://doi.org/10.1[...]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