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룡하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룡하강(Lepidosauromorpha)은 이궁류에 속하는 파충류 분류군이다. 현존하는 유일한 하위 그룹은 도마뱀, 뱀, 무족도마뱀, 투구이구아나 등을 포함하는 인룡류(Lepidosauria)이며, 악어, 조류 등을 포함하는 원룡류(Archosauria)와 비교적 근연 관계에 있다. 인룡형류는 페름기에 거북 및 원룡류의 조상과 분기되었고, 트라이아스기에는 적응 방산을 이루어 지룡류 등을 낳았다. 인룡하강에는 멸종된 에케로소돈토사우루스, 기룡상목 등이 있으며, 인룡형류에는 시석목과 인룡상목이 포함되고, 인룡상목에는 옛도마뱀목과 뱀목이 속한다. 뱀목에는 지렁이도마뱀아목, 도마뱀아목, 뱀아목이 있으며, 쿠에네오사우루스과, 코리스토데라, 헬베티코사우루스과 등 다양한 멸종 분류군도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궁아강 - 이궁류
    이궁류는 석탄기 후기에 등장한 양막류의 한 그룹으로, 눈 위아래 두 쌍의 측두창을 가진 두개골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이 구조는 턱 근육 발달과 운동 범위 확장에 기여하고, 현생 조류, 악어류, 거북류, 도마뱀류, 뱀류, 두발토카게류를 포함하여 전 세계에 약 14,600종이 서식한다.
  • 이궁아강 - 지배파충류
    지배파충류는 악어류와 조류의 가장 최근 공통 조상과 그 후손을 포함하는 파충류 그룹으로, 트라이아스기에 번성하여 중생대 육상 생태계를 지배했으며 현재는 악어류와 조류만이 살아남아 고생물학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인룡하강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소피네타 크라코비엔시스 두개골
인룡목의 다양성. 위에서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쐐기도마뱀, 검은맘바, 녹색이구아나, 스마우그 브레예리그물무늬왕뱀.
학명Lepidosauromorpha
명명자벤턴, 1983
어원도마뱀붙이목과 유사한 형태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아강쌍궁아강
하강린코케팔리아목
하위 분류군
하위 분류군†마르모레타
†팔리그아나
†파멜리나
†소피네타
†큐네오사우루스과
인룡목
이명안킬로포다 (절멸된 분기군)
판-인룡목
고티에 & 데 케이로스, 2020
시간 척도
화석 범위삼첩기 전기 - 홀로세
시간 척도 시작2억 5200만 년 전
시간 척도 끝0년 전

2. 분류

인룡하강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이궁아강 (Diapsida)
  • * '''인룡하강''' (Lepidosauromorpha)
  • ** † 에케로소돈토사우루스 (''Acerosodontosaurus'')
  • ** † 기룡상목 (Sauropterygia)
  • ** 인룡형류 (Lepidosauriformes)

† 시석목 (Eolacertilia)[13]
인룡상목 (Lepidosauria)
* 옛도마뱀목 (Sphenodontia) - 옛도마뱀목
* 뱀목 (Squamata)
** 지렁이도마뱀아목 (Amphisbaenia) - 지렁이도마뱀
** 도마뱀아목 (Lacertilia)* - 도마뱀
** 뱀아목 (Serpentes) - 뱀

2. 1. 인룡형류 (Lepidosauriformes)

인룡형류(Lepidosauriformes)는 페름기에 거북 및 원룡류(Archosauria)의 조상(원룡형류)과 분기되었고, 트라이아스기에 적응 방산을 이루어 기룡상목(Sauropterygia) 등을 낳았다.[12]

원룡형류와 달리 인룡형류는 원시적인 엎드린 자세를 취하며, 물고기처럼 정현파를 그리며 이동한다. 까마귀뼈와 흉골을 잇는 관절을 가지며, 면생치를 가진다. 반면 원룡형류는 시상면 보행으로 이동하며, 더 작은 피골을 가지고, 흉골이 작거나 소실되었으며, 조치아(소켓에 들어간 이) 치열을 가진다.

인룡형류는 엎드린 자세 때문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할 필요가 없어, 현생하는 것은 모두 변온 동물이다.

인룡형류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2. 1. 1. 인룡상목 (Lepidosauria)

인룡상목(Lepidosauria)은 현존하는 도마뱀, , 무족도마뱀과 투구이구아나 등을 포함한다.[12] 악어조류를 포함한 원룡류(Archosauria)와 비교적 근연 관계에 있는데, 최근에는 거북이 원룡류에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12]

인룡형류는 페름기에 거북 및 원룡류의 조상(원룡형류)과 분기되었고, 이어지는 트라이아스기에 적응 방산을 이루었다.[12]

인룡형류는 원룡형류(원룡류)와 달리, 보다 원시적인 엎드린 자세를 취하며, 물고기와 같은 정현파를 그리는 동작으로 이동하며, 까마귀뼈와 흉골을 잇는 관절을 가지며, 면생치를 가진다. 이에 비해 원룡형류는 시상면 보행으로 이동하며, 더 작은 피골을 가지며, 흉골이 더 작거나 소실되었고, 조치아(소켓에 들어간 이) 치열을 가진다.

인룡형류는 엎드린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대량의 에너지를 소비할 필요가 없으며, 현생하는 것은 모두 변온 동물이다.

인룡상목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옛도마뱀목 (Sphenodontia) - 옛도마뱀목
  • 뱀목 (Squamata)
  • 지렁이도마뱀아목 (Amphisbaenia) - 지렁이도마뱀
  • 도마뱀아목 (Lacertilia)* - 도마뱀
  • 뱀아목 (Serpentes) - 뱀

2. 1. 2. 기타 멸종 분류군


  • 멸종 에케로소돈토사우루스(''Acerosodontosaurus'')
  • 멸종 기룡상목(Sauropterygia)
  • 멸종 쿠에네오사우루스과
  • 멸종 코리스토데라
  • 멸종 헬베티코사우루스과
  • 멸종 ''카르기니아''
  • 멸종 ''코아르타레덴스''
  • 멸종 ''페랄리사우루스''
  • 멸종 ''프락시니사우라''
  • 멸종 ''라케르툴루스''
  • 멸종 ''마르모레타''
  • 멸종 ''메가키렐라''
  • 멸종 ''팔리구나''
  • 멸종 ''파멜리나''
  • 멸종 ''소피네타''
  • 멸종 ''타마울리파사우루스''
  • 멸종 ''타이탈루라''
  • 멸종 ''벨베르기아''
  • 멸종 ''비니타사우라''

2. 2. 멸종된 분류군


  • 이궁아강 (Diapsida)
  • * '''인룡하강''' (Lepidosauromorpha)
  • ** † 에케로소돈토사우루스 (''Acerosodontosaurus'')
  • ** † 기룡상목 (Sauropterygia)
  • ** 인룡형류 (Lepidosauriformes)

† 시석목 (Eolacertilia)[13]
인룡상목 (Lepidosauria)
* 옛도마뱀목 (Sphenodontia) - 옛도마뱀목
* 뱀목 (Squamata)
** 지렁이도마뱀아목 (Amphisbaenia) - 지렁이도마뱀
** 도마뱀아목 (Lacertilia)* - 도마뱀
** 뱀아목 (Serpentes) - 뱀

  • ** † ''카르기니아''
  • ** † ''마르모레타''
  • ** † ''메가키렐라''
  • ** † ''팔리구나''
  • ** † ''소피네타''
  • ** † ''타마울리파사우루스''
  • ** † ''타이탈루라''
  • ** † ''벨베르기아''
  • ** † ''비니타사우라''

참조

[1] 논문 Integration of molecules and new fossils supports a Triassic origin for Lepidosauria (lizards, snakes, and tuatara)
[2] 서적 Phylonyms: A Companion to the PhyloCode CRC Press
[3] 웹사이트 Pan-Lepidosauria https://www.phyloreg[...]
[4] 논문 A small lepidosauromorph reptile from the Early Triassic of Poland http://palaeontologi[...]
[5] 논문 A reassessment of the enigmatic diapsid Paliguana whitei and the early history of Lepidosauromorpha 2021-08-25
[6] 논문 A Triassic stem lepidosaur illuminates the origin of lizard-like reptiles https://www.nature.c[...] 2021-08-25
[7] 간행물 Pan-Lepidosauria J. A. Gauthier and K. de Queiroz, new clade name https://www.taylorfr[...] CRC Press 2021-08-22
[8] 논문 A lepidosauromorph specimen from the Middle Jurassic (Bathonian) Moskvoretskaya Formation of the Moscow Region, Russia https://www.tandfonl[...] 2021-06-09
[9] 논문 New information on the Jurassic lepidosauromorph Marmoretta oxoniensis https://ora.ox.ac.uk[...] 2021
[10] 논문 The origin of squamates revealed by a Middle Triassic lizard from the Italian Alps 2018-05-30
[11] 서적 "[新版] 恐竜の世界 DVD付" Gakken
[12] 웹사이트 Phylogenetic Tree http://interactive-l[...] 2016-08-16
[13] 문서 정착된 한국어 명칭이 없으므로, [[중국어 위키백과]]의 [[:zh:海龍目|海龍目]], [[:zh:始蜥目|始蜥目]] 문서의 한자 명칭을 한글로 바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