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련번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련번호는 개별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숫자 또는 문자열이다. 품질 관리, 도난 및 위조 방지, 제품 추적, 군사 및 정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특히 품질 관리에서 결함 제품군을 신속하게 특정하는 데 유용하며, 지폐나 문서의 위조를 방지하고 도난을 추적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정기간행물, 도서 등 무형의 객체에도 적용된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는 시퀀스 번호로 사용되며, RFC 1982에서 시퀀스 번호 산술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과거 대한민국 국가유산청은 국보, 보물 등에 일련번호를 부여했으나, 2021년 11월 19일 관련 법규 개정으로 일련번호 부여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열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 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식별자 - 아카이벌 리소스 키
    아카이벌 리소스 키(ARK)는 디지털, 물리적, 추상적 자원의 영구적인 식별을 위한 체계로, 분산된 웹 환경에서 관리 주체의 약속을 통해 객체의 보존과 접근성을 제공하며, ARK Alliance가 국제적인 사용을 장려하고 한국에서도 활용된다.
  • 식별자 - 바코드
    바코드는 다양한 폭의 막대와 공백 조합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로, 상품 식별, 재고 관리 등에 사용되며 1차원과 2차원 바코드가 존재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되어 산업 효율성을 높인다.
일련번호
식별
유형고유 식별자
목적특정 단일 개체 식별
응용
제조추적 및 이력 관리
품질 관리
위조 방지
판매재고 관리
보증 추적
고객 서비스제품 식별
문제 해결
기타도난 방지
불법 복제 방지
특징
고유성각 개체에 대해 고유한 번호 할당
불변성한 번 할당된 번호는 변경되지 않음
가변성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
구성
형식숫자, 문자 또는 혼합형
길이응용 분야에 따라 다름
생성 방법순차적, 임의적 또는 알고리즘 기반
예시
자동차차량 식별 번호 (VIN)
전자 제품일련 번호
서적국제 표준 도서 번호 (ISBN)
화폐지폐 일련번호
같이 보기

2. 일련번호의 활용

일련 번호는 개별 장치를 식별하고 기록하여 도난 및 위조 제품을 방지하고, 지폐 등 가치 있는 문서의 위조 방지 및 도난 추적에 도움을 준다.[3]

과거 국가유산청국가유산에 일련번호를 부여했으나, 2021년 11월 19일 관련 법 개정으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스마트폰은 전체 기기뿐만 아니라 화면, 배터리, , 카메라 등 통합 전자 부품에도 일련 번호(직렬화)를 부여하여 관리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나 온라인 게임 이용권 등 무형 객체에도 일련 번호(제품 키, 라이선스 키)를 사용하여 식별한다.

2. 1. 품질 관리

발레스터-몰리나 반자동 권총의 일련 번호


일련 번호는 특정 제품 배치 생산에서 결함이 발견될 경우, 영향을 받는 장치를 식별하므로 품질 관리에 유용하다.[3] 자동차, 총기, 전자 제품 및 가전 제품과 같이 일련 번호가 있는 일부 품목의 경우, 품질 관리에 유효하며, 일정 기간 동안 제조된 제품결함이 발견되었을 때, 일련번호를 통해 신속하게 결함 상품군을 특정할 수 있다.[3]

2. 2. 도난 및 위조 방지



일련 번호는 도난 및 위조 제품을 식별하고, 지폐와 같이 가치 있는 양도 가능 문서의 위조를 방지하며 도난품 추적에 도움을 준다.[3]

일련 번호는 특정 제품 배치의 생산에서 결함이 발견될 때, 영향을 받는 장치를 식별하여 품질 관리에 유용하다. 일련 번호가 사용되는 품목으로는 자동차, 총기, 전자 제품 및 가전 제품 등이 있다.

2. 3. 제품 추적

일련 번호는 각각의 동일한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일련 번호는 기록이 가능하여 도난당하거나 규격에 맞지 않는 상품을 식별할 수 있어 도난 및 위조 제품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폐와 같이 가치가 있는 양도 가능한 문서에는 위조를 막고 도난된 것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 번호가 있다.[3]

일련 번호는 특정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결함이 발견되었을 때, 해당 일련 번호를 통해 영향을 받는 장치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품질 관리에 유용하다. 일련 번호가 부여되는 품목으로는 자동차, 총기, 전자 제품, 가전 제품 등이 있다.

2. 4. 스마트폰 및 스마트 기기

스마트폰에서 일련번호는 전체 전자 장치뿐만 아니라 화면, 배터리, , 카메라와 같은 통합된 전자 부품에도 부여되어 관리된다. 이를 일련번호화(Serialization)라고 한다. 이러한 부품들은 정상적인 사용을 위해 소프트웨어에서 일련번호를 확인한다.[3]

2. 5. 무형 상품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온라인 게임 이용권과 같은 무형 상품에도 일련번호(제품 키 또는 라이선스 키)가 사용된다. 소프트웨어 일련 번호는 보통 사용할 권리와 함께 특정 사용자에게 주어지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려면 유효한 제품 코드를 입력해야 한다. 무단 사용자가 코드를 사용하면 정당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1]

하지만 무단 사용자가 여러 코드를 시도하거나 소프트웨어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하여 유효하지만 할당되지 않은 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할당되지 않은 코드가 사용될 때 소프트웨어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그 사용을 추적할 수 있다.[1]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에는 고유한 라이선스 키 번호가 부여되며, 설치할 때 이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번호는 "시리얼", "시리얼 코드"라고도 불리지만, 위조를 막기 위해 중복성을 가지므로 엄밀히 말하면 시리얼이 아니다. 만약 시리얼이라면, 아무렇게나 입력한 번호도 (라이선스 총수를 넘지 않는 한) 유효한 번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2]

2. 6. 군사 및 정부

군번은 군대에서 군인에게 부여하는 일련번호이다. 공군에서는 항공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개별 항공기를 식별하는데, 이를 "꼬리 번호"라고도 부른다. 이 번호는 주로 항공기 동체 양쪽, 꼬리 부분에 표시된다.

영국 영국 공군(RAF)의 경우, 일련번호는 두 글자와 세 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BT308''은 프로토타입 Avro Lancaster를, ''XS903''은 English Electric Lightning F.6을 나타낸다.[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기밀 장비를 탑재한 RAF 항공기는 일련번호 뒤에 "/G"를 붙여 무장 경계가 필요함을 표시했다. 예를 들어 ''LZ548/G''는 프로토타입 de Havilland Vampire 제트 엔진 전투기를 의미한다. 이전에는 RAF와 Royal Flying Corps(RFC)는 문자 하나와 숫자 4개로 구성된 일련번호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D8096''은 Bristol F.2 Fighter를, ''K5054''는 프로토타입 Supermarine Spitfire를 나타낸다.

3. 일련번호의 기타 용도

"일련 번호"라는 용어는 특정 개체를 식별하지 않는 코드에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품질 관리에서 일련번호는 제조된 제품의 결함을 신속하게 특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또한, 도난이나 위조품을 추적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영국 공군(RAF) 일련 번호 (''XG900'') Short SC.1


몇몇 나라에서는 지폐에 고유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위조지폐 추적에 활용하기도 한다.[3]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에는 고유한 라이선스 키 번호, 즉 "시리얼" 또는 "시리얼 코드"가 부여된다. 하지만 이 번호는 중복성을 가지고 있어 엄밀한 의미의 일련번호는 아니다. 만약 일련번호라면, 임의로 입력한 번호도 유효한 번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3. 1.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에 사용되는 국제 표준 일련 번호(ISSN)는 책에 적용되는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와 유사하며, 각 정기간행물에 할당된다.[1] 이 용어는 정기간행물을 의미하는 "serial"의 도서관학적 사용에서 유래되었다.[1] 잡지 등의 정기 간행물에는 ISSN이 부여되지만, ISSN의 제5자리부터 제7자리는 국내 잡지에 대해 일련번호일지라도, ISSN 전체로는 일련번호가 아니다.[1]

3. 2. 도서

책에는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가 부여된다.[1] 잡지, 학술지 및 기타 정기간행물에는 국제 표준 일련 번호(ISSN)가 부여되는데, 이는 책에 적용되는 ISBN과 유사하다.[1] ISSN의 제5자리부터 제7자리는 국내 잡지에 대해 일련번호이지만, ISSN 전체로는 일련번호가 아니다.[1] ISBN은 출판사에 따라 "서명 기호"가 해당 출판사의 서적에 대해 일련번호인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고 ISBN 전체도 일련번호가 아니다.[1]

3. 3. 암호화

암호화의 광범위한 사용을 위해서는 인증 기관(CA)이 필요하다. 인증 기관은 공개 키 인증서를 발행하는데, 여기에는 일련 번호가 사용되지만, 엄밀한 의미의 일련 번호는 아니다.[1]

3. 4. 도도부현 코드 (일본)

일본의 47개 도도부현에는 대략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01번부터 47번까지의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3]

3. 5. 소행성 번호

소행성에는 발견되는 순서대로 번호가 부여된다. 최초의 소행성인 케레스는 1번으로 시작하여, 확정되는 순서대로 번호가 부여된다.[3]

4. 일련번호 산술 (시퀀스 번호)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패킷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 시퀀스 번호(일련번호의 일종)가 사용된다. 통신 프로토콜에서 자주 사용되는 시퀀스 번호는 비트 수가 고정되어 있어, 한 바퀴 돌면 처음부터 번호가 재사용된다. 이러한 시퀀스 번호의 모호함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RFC 1982[5](일련번호 산술)에서는 특별한 계산 규칙을 정의하고 있다.

4. 1. 시퀀스 번호의 한계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자주 사용되는 시퀀스 번호는 대부분 고정된 비트 수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충분히 많은 숫자가 할당되면 오버플로되어 순환하며 재사용된다. 최근에 할당된 일련번호가 오래된 일련번호와 중복될 수 있지만, 다른 최근에 할당된 일련번호와는 중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번호 중복으로 인한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RFC 1982[5] "Serial Number Arithmetic"(일련번호 산술)에서는 특별 규칙을 정의하고 있다.

롤리팝 시퀀스 번호 공간은 유한 크기의 시퀀스 번호를 처리하기 위한 더 정교한 방식이다.

4. 2. RFC 1982

일련번호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패킷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대부분 고정된 비트 수로 제한되어 있어 오버플로가 발생하면 오래된 일련번호와 중복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FC 1982[5](일련번호 산술)에서는 특별한 계산 규칙을 정의한다.

일부 프로토콜은 일련번호로 큰 정수를 사용하여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기술이 쇠퇴할 것이라고 간주하기도 한다(2000년 문제 참조).

4. 2. 1. 덧셈 연산

요청 의견서(RFC) 1982[5](일련번호 산술)에서는 일련번호에 정수를 더하는 연산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일련번호에 정수를 더하는 것은 단순한 부호 없는 정수 덧셈 후에 부호 없는 나머지 연산을 수행하여 덧셈 결과를 범위 내에 맞추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CPU의 부호 없는 덧셈 명령어에서는 자동으로 그러한 연산이 수행된다.)

s' = (s + n) modulo (2 ^ SERIAL_BITS)

여기서,

  • s'는 덧셈 연산 후의 새로운 일련번호이다.
  • s는 원래 일련번호이다.
  • n은 더해지는 정수이다.
  • SERIAL_BITS는 일련번호에 할당된 비트 수이다.


다음 범위 밖의 값의 덧셈은 정의되지 않는다.

[0 .. (2 ^(SERIAL_BITS - 1) - 1)]

기본적으로 덧셈 결과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반올림"이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시퀀스 번호는 원래 값보다 작아진다.

4. 2. 2. 비교 연산

두 시퀀스 번호 i1과 i2 (시퀀스 번호 s1과 s2의 부호 없는 정수 표현)를 비교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같음 비교는 일반적인 수치 비교와 같다. 대소 비교 알고리즘은 복잡하며, 한쪽 시퀀스 번호가 값 범위의 한계 근처에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반올림된" 작은 값을 실제로는 큰 값으로 판단해야 한다. 즉, s1이 s2보다 작다고 간주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i1 < i2 and i2 - i1 < 2^(SERIAL_BITS - 1)) 또는
  • (i1 > i2 and i1 - i2 > 2^(SERIAL_BITS - 1))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경우 s1은 s2보다 크다고 간주된다.

  • (i1 < i2 and i2 - i1 > 2^(SERIAL_BITS - 1)) 또는
  • (i1 > i2 and i1 - i2 < 2^(SERIAL_BITS - 1))[5]

5. 대한민국 국가유산의 일련번호

과거 대한민국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은 국보, 보물, 사적국가유산에 일련번호를 매겨 관리했다.

5. 1. 일련번호 폐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국가유산에 대한 일련번호 부여가 폐지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ritish Aircraft Corporation Lightning F.Mk.6 http://1000aircraftp[...] 2007-06-02
[2] 웹사이트 Guidance for Industry Standards for Securing the Drug Supply Chain - Standardized Numerical Identification for Prescription Drug Packages Draft Guidance https://web.archiv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04-19
[3] 문서 日本銀行券
[4] 논문 Bayesian Estimation of the Size of a Population http://www.statistik[...] 2005-01-15
[5] 웹사이트 RFC 1982 https://datatracker.[...]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2023-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