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는 자민당의 대표를 선출하는 선거로, 당 소속 국회의원, 당원, 당우의 투표로 진행된다. 1972년 추천제 도입 이후에는 당 소속 국회의원 20명 이상의 추천을 받은 국회의원만이 후보가 될 수 있다. 선거는 1인 1표의 무기명 투표로 진행되며, 국회의원 표와 당원 투표를 합산하여 과반수 득표자가 당선된다.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 투표를 실시한다. 역대 선거 결과와 기록에 대한 정보도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시나 재정
시이나 재정은 1974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출 과정에서 시이나 에쓰사부로 부총재가 미키 다케오를 총재로 추천하여 당내 갈등을 중재하고 미키 다케오를 총리로 선출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정치적 결정이다. -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5인조 (자유민주당)
5인조는 2000년 오부치 게이조 총리 뇌경색 입원 후 자민당 주요 인사 5명이 모리 요시로를 후임 총리로 추대하고 아오키 간오를 총리 대리로 결정한 사건을 지칭하며, 밀실 협의라는 비판과 함께 일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로마자 표기 | Jiyūminshutō Sōsai Senkyo |
선거 종류 |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선출 대상 | 자유민주당 총재 |
임기 | 3년 (연임 3회까지 가능) |
선거 방식 | 당원, 당우에 의한 투표 및 국회의원 투표 |
피선거권 | 자유민주당 소속의 국회의원 |
최근 선거 | |
실시일 | 2023년 9월 20일 |
당선자 | 기시다 후미오 |
투표 결과 | 2023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참고 |
이전 선거 | |
실시일 | 2021년 9월 29일 |
2. 역사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는 1955년 자민당 창당 이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초기에는 주로 당내 파벌 간의 협상과 타협을 통해 총재가 결정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당원들의 직접 투표가 도입되면서 선거의 민주성이 강화되었다.
자민당 총재는 여당 제1당 당수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이들은 국회에서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었다. 따라서 자민당 총재 선거는 사실상 총리를 결정하는 선거로 여겨졌다.
자민당이 야당이었거나 연립 정권에서 다른 정당 인사가 총리가 되었을 때는 예외였다. 고노 요헤이, 하시모토 류타로 (총재 임기 중 총리 취임), 다니가키 사다카즈, 아베 신조 (25대, 총재 임기 중 총리 취임) 총재 시기가 이에 해당한다. 특히 다니가키 사다카즈는 총재 임기 내내 야당 총재였다.
현직 총리 총재가 총재 선거에 입후보할 때, 현직 각료가 경쟁 후보로 나설 경우 각료직을 사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총리의 각료 파면권 때문이었다. 1964년 사토 에이사쿠, 1966년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1968년 미키 다케오가 이러한 사례이다. 단, 1978년 가와모토 도시오는 당선 가능성이 낮아 각료직을 유지한 채 출마했다.
현직 당 간부의 경우, 총리에게 해임 권한이 없으므로 직책을 유지한 채 총재 선거에 출마했다. 1964년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1978년 오히라 마사요시와 나카소네 야스히로가 그 예이다. 다만, 현직 자유민주당 간사장이 총재 선거에 출마할 경우, 공정성을 위해 간사장 권한을 다른 간부에게 위촉하는 경우가 있었다.[1]
자유민주당 총재는 "자유민주당 당칙 제6조" 및 "총재 공선 규정"에 따라 선출된다. 국회의원과 당원, 자유국민회의 회원, 국민정치협회 회원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단, 만 18세 이상의 일본 국민 중 최근 2년간 당비나 회비를 납부한 사람만이 투표권을 가진다.
총재 선거는 당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 총재가 임기 중 궐위되고 긴급한 경우, 당 대회 대신 양원 의원 총회에서 후임을 선출할 수 있다.
- 총재 임기 만료 전, 당 소속 국회의원 및 도도부현 지부 연합회 대표 과반수의 요구가 있을 때 총재 선거를 실시할 수 있다.
총재 후보는 당 소속 국회의원만이 될 수 있으며, 과거에는 당 간부 협의나 사전 합의로 결정되는 경우도 많았다.
2. 1. 초기 총재 선거 (1956년 ~ 1970년)
초기 총재 선거는 당내 주요 파벌 간의 권력 다툼과 합의를 통해 총재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2. 2. 당원 투표 도입과 민주화 (1972년 ~ 현재)
1972년 총재 선거부터는 당 소속 국회의원 20명의 추천을 받은 후보자만이 출마할 수 있게 되었다.[6] 또한, 당원 투표가 도입되어 선거 절차가 보다 민주적으로 개선되었다.이 시기에 다나카 가쿠에이, 미키 다케오, 후쿠다 다케오, 오히라 마사요시, 나카소네 야스히로, 아베 신조,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등이 총재로 선출되었다.
일반 당원·당우가 투표에 참여하려면 최근 2년 동안 당비 체납이 없어야 한다. 일반 당원, 가족 당원, 특별 당원 간에는 차이가 없다. 어떤 이유로든 당원이 될 수 없는 경우에는, 자유국민회의 회원이면 연회비(10000JPY)를 2년간 완납하면 된다. 그러나 그것도 할 수 없을 때는 그 이상을 국민정치협회에 헌금하여 개인 회원이 되고, 2년 이상 그 자격을 유지해야 한다. 자민당 넷 서포터즈 클럽 회원이 된 것만으로는 투표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국민정치협회를 통해 연간 10000JPY 이상의 정치 헌금을 2년 연속(전년, 전전년) 하고 있는 법인에 대해서는, 그 대표자 1명에게 직역 전체를 대표하는 의미에서 투표 자격이 부여되지만, 대표자 외의 임원이나 회원·구성원은 거주지의 지역 지부를 통해 자민당의 일반 당원이 되거나, 자유국민회의, 국민정치협회의 개인 회원이 되지 않는 한 그대로는 투표에 참여할 수 없다.
3. 선출 방식
자유민주당 총재는 총재 공선 규정 및 총재 공선 실시 세칙에 따라 선출된다. 투표 방식은 총재 공선 규정에 따른 총재 선거와 총재가 임기 중에 궐위된 경우, 특히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 실시되는 당 대회에 갈음하는 양원 의원 총회에 의한 총재 선거의 경우에 따라 다르다.[1]
현행 제도는 2013년, 2014년의 개정을 통해 실시되고 있다. 1972년 총재 선거부터는 일정 수의 국회의원 추천을 요하는 입후보 제도가 도입되었다.[1] 그 이전에는 자유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기만 하면 공개적으로 총재 선거로서의 선거 활동을 하지 않은 자에 대한 투표라도 유효표로 간주되었다.
참의원 의원도 입후보가 가능하다. 1972년에 추천제가 도입된 이후 사례가 없었지만, 2012년에 하야시 요시마사가 처음으로 참의원 의원으로서 입후보했다. 참의원에서 중의원으로 전직하여 총재 선거에 입후보한 자는 미야자와 기이치, 이시하라 신타로, 후지이 다카오, 고이케 유리코가 있다.[1]
당원·당우 표의 취급은 각 도도부현 연합회에 위임되지만, 많은 경우 당원·당우의 예비 선거에 의해 취급을 결정한다. 예비 선거는 의원 투표 투표일 전날까지 실시된다. 투표는 투표소에 직접 투표하거나, 투표 용지를 선거 관리 위원회로 우송하는 방식을 취한다. 개표 결과는 돈트 방식에 의해 산정표로 변환된다.[1]
과거에는 당원·당우 표가 현 연합회에 위임되지 않고, 전국 일제히 우편으로 투표하게 하여 취급을 결정하던 시대도 있었다. 1980년대에는 당원·당우에 의한 유효 득표 1만 표를 국회의원 표 1표로 환산하여 기초표로 하는 제도가 시행되었다.[1]
당선자는 당 대회 또는 이에 갈음하는 양원 의원 총회에서의 보고를 거쳐 자유민주당 총재가 된다.[1]
현직 총리 총재가 입후보하는 총재 선거에서 현직 각료가 입후보하는 경우에는 각료를 사임한 후 총재 선거에 입후보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총리의 연임에 대립하여 현직 각료가 입후보하는 경우, 총리의 각료 파면권에 의해 각료의 지위를 잃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1] 예외로 1978년 총재 선거에서는 가와모토 도시오 통산대신은 각료를 사임하지 않은 채 입후보했는데, 이는 가와모토의 당선 가능성이 낮고, 차회 이후의 총재 선거를 위한 포석이나 미키파의 세력 유지가 목적이었기 때문에, 후쿠다 다케오 총리가 각료 파면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 1962년 총재 선거에서는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경제기획청 장관, 1966년 총재 선거에서는 마에오 시게사부로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이 입후보하지 않았음에도 득표를 얻었는데, 이는 입후보하지 않은 의원에 대한 표도 유효표로 취급되었기 때문이다.[1]
한편, 현직 총리 총재가 입후보하는 총재 선거에서 현직 당 간부의 총재 선거 입후보는 총리의 각료 파면권과 같은 총리 총재의 재량으로 당 간부를 해임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현직 당 간부는 직책을 사임하지 않고 총재 선거에 입후보하고 있다.[1] 다만, 현직 자유민주당 간사장이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입후보하는 경우, 당내 규정에 규정은 없지만, 공정성의 관점에서 간사장 권한을 다른 간부에게 위촉하는 경우가 있다.[1]
3. 1. 후보 자격
총재 후보는 당 소속 국회의원이어야 하며, 당 소속 국회의원 20명 이상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1] 일반 당원은 총재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3. 2. 투표 방식
투표는 1인 1표로 무기명 투표로 실시되지만, 국회의원과 당원·당우에 따라 표의 취급이 다르다.- 국회의원은 1인 1표를 행사하며, 투표소에 직접 투표한다.
- 당원·당우 표는 자유민주당 소속 국회의원과 동수의 표를 각 후보별로 돈트식으로 배분한다.
당선자는 국회의원 표와 당원 투표의 산정표를 합산하여 과반수의 득표를 얻은 자가 된다. 과반수를 얻은 자가 없을 경우 득표수의 상위 2명에 의해 당 소속 국회의원과 도도부현 연합회 대표표(각 도도부현마다 결선 투표 진출자 중 득표수가 많은 쪽에 1표로 하며, 합계 47표)에 의한 결선 투표를 실시하여 득표수가 많은 자를 당선자로 한다.
3. 3. 당원 및 당우의 투표 참여 자격
일반 당원·당우가 투표에 참여하려면 최근 2년 동안 당비 체납이 없어야 한다. 본선거는 물론 예비 선거에서도 선거인 등록을 하면 비당원의 참가가 허용되며, 당원 집회에서는 개최 직전의 입당도 인정되는 경우가 있는 미국의 양대 정당과 달리, 총재 선거권을 얻는 것만을 노리고 고시 직전에 입당해도 투표할 수 없다.일반 당원, 가족 당원, 특별 당원 간에는 차이가 없다. 당원이 될 수 없는 경우에는 자유국민회의 회원이면 연회비(10000JPY)를 2년간 완납하면 된다. 그것도 할 수 없을 때는 국민정치협회에 그 이상을 헌금하여 개인 회원이 되고, 2년 이상 그 자격을 유지해야 한다. 자민당 넷 서포터즈 클럽 회원이 된 것만으로는 투표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국민정치협회를 통해 연간 10000JPY 이상의 정치 헌금을 2년 연속(전년, 전전년) 하고 있는 법인에 대해서는, 그 대표자 1명에게 직역 전체를 대표하는 의미에서 투표 자격이 부여된다. 단, 대표자 외의 임원이나 회원·구성원은 거주지의 지역 지부를 통해 자민당의 일반 당원이 되거나, 자유국민회의, 국민정치협회의 개인 회원이 되지 않는 한 투표에 참여할 수 없다.
4. 역대 총재 선거
5. 기록
년월일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9위 | [2] | 추천인 | 상세 | |
---|---|---|---|---|---|---|---|---|---|---|---|---|---|
1956년 4월 5일 | 하토야마 이치로 | 기시 노부스케 | 하야시 조지 | 이시바시 탄잔 이시이 미쓰지로 마스야 히데지 오노 반보쿠 | 고노 이치로 시게미쓰 마모루 마쓰노 쓰루헤이 이케다 하야토 | colspan="4" rowspan="2" | | 5 | - | 상세 | ||||
394 | 4 | 3 | 2 | 1 | |||||||||
1956년 12월 14일 | 1차 | 기시 노부스케 | 이시바시 탄잔 | 이시이 미쓰지로 | colspan="6" rowspan="2" | | 0 | - | 상세 | |||||
223 | 151 | 137 | |||||||||||
결선 | 이시바시 탄잔 | 기시 노부스케 | colspan="7" rowspan="2" | | 0 | |||||||||
258 | 251 | ||||||||||||
1957년 3월 21일 | 기시 노부스케 | 마쓰무라 겐조 | 이시이 미쓰지로 기타무라 도쿠타로 | colspan="6" rowspan="2" | | 0 | - | 상세 | ||||||
471 | 2 | 1 | |||||||||||
1959년 1월 14일 | 기시 노부스케 | 마쓰무라 겐조 | 오노 반보쿠 요시다 시게루 이시이 미쓰지로 마스야 히데지 사토 에이사쿠 | colspan="6" rowspan="2" | | 0 | - | 상세 | ||||||
320 | 166 | 1 | |||||||||||
1960년 7월 14일 | 1차 | 이케다 하야토 | 이시이 미쓰지로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마쓰무라 겐조 | 오노 반보쿠 | colspan="4" rowspan="2" | | 0 | - | 상세 | |||
246 | 196 | 49 | 5 | 1 | |||||||||
결선 | 이케다 하야토 | 이시이 미쓰지로 | colspan="7" rowspan="2" | | 0 | |||||||||
302 | 194 | ||||||||||||
1962년 7월 14일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이치만다 나오토 | 기시 노부스케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요시다 시게루 후쿠다 다케오 | 다카하시 히토시 쇼리키 마쓰타로 | colspan="2" rowspan="2" | | 0 | - | 상세 | ||
391 | 17 | 6 | 5 | 3 | 2 | 1 | |||||||
1964년 7월 10일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나다오 고키치 | colspan="5" rowspan="2" | | 0 | - | 상세 | |||||
242 | 160 | 72 | 1 | ||||||||||
1964년 12월 1일 | 사토 에이사쿠 | 후보자 1명(이케다 총재의 재정으로 총재 선출) | - | 상세 | |||||||||
1966년 12월 1일 | 사토 에이사쿠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마에오 시게사부로 | 나다오 고키치 | 노다 우이치 | 고사카 젠타로 | 기시 노부스케 마쓰무라 겐조 무라카미 이사무 | colspan="2" rowspan="2" | | 0 | - | 상세 | ||
289 | 89 | 47 | 11 | 9 | 2 | 1 | |||||||
1968년 11월 27일 | 사토 에이사쿠 | 미키 다케오 | 마에오 시게사부로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colspan="5" rowspan="2" | | 0 | - | 상세 | |||||
249 | 107 | 95 | 1 | ||||||||||
1970년 10월 29일 | 사토 에이사쿠 | 미키 다케오 | 지바 사부로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우쓰노미야 도쿠마 | colspan="6" rowspan="2" | | 0 | - | 상세 | ||||||
353 | 111 | 1 | |||||||||||
1972년 7월 5일 | 1차 | 다나카 가쿠에이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미키 다케오 | colspan="5" rowspan="2" | | 7 | 10명 | 상세 | ||||
156 | 150 | 101 | 69 | ||||||||||
결선 | 다나카 가쿠에이 | 후쿠다 다케오 | colspan="7" rowspan="2" | | 0 | |||||||||
282 | 190 | ||||||||||||
1974년 12월 4일 | 미키 다케오 | 후보자 1명(시이나 에쓰사부로 부총재의 재정으로 총재 선출) | 10명 | 상세 | |||||||||
1976년 12월 23일 | 후쿠다 다케오 | 후보자 1명(양원 의원 총회의 협의로 총재 선출) | 10명 | 상세 | |||||||||
1978년 11월 26일 | 예선[3] | 오히라 마사요시 | 후쿠다 다케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고모토 도시오 | colspan="5" rowspan="2" | | 0 | 20명 | 상세 | ||||
748점 | 638점 | 93점 | 46점 | ||||||||||
본선 | 오히라 마사요시 | 2위가 사퇴 | |||||||||||
1980년 7월 15일 | 스즈키 젠코 | 후보자 1명(니시무라 히데 부총재의 재정으로 총재 선출) | 20명 | 상세 | |||||||||
1980년 11월 27일 | 스즈키 젠코 | 후보자 1명(스즈키 총재의 임기 만료에 따른 총재 선거에서 무투표 재선) | 20명 | ||||||||||
1982년 11월 24일 | 예선[4] | 나카소네 야스히로 | 고모토 도시오 | 아베 신타로 | 나카가와 이치로 | colspan="5" rowspan="2" | | 0 | 50명 | 상세 | ||||
559673 | 265078 | 80443 | 66041 | ||||||||||
본선 | 나카소네 야스히로 | 2위 이하가 사퇴 | |||||||||||
1984년 10월 30일 | 나카소네 야스히로 | 후보자 1명(나카소네 총재의 임기 만료에 따른 총재 선거에서 무투표 재선) | 50명 | 상세 | |||||||||
1986년 9월 11일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임기 1년 연장(양원 의원 총회에서 나카소네 총재의 임기 연장을 만장일치로 재선) | - | ||||||||||
1987년 10월 31일 | 다케시타 노보루 | 후보자 1명(나카소네 총재의 재정으로 총재 선출) | 50명 | 상세 | |||||||||
1989년 6월 2일 | 우노 소스케 | 후보자 1명(다케시타 총재의 재정으로 총재 선출) | 50명 | 상세 | |||||||||
1989년 8월 8일 | 가이후 도시키 | 하야시 요시로 | 이시하라 신타로 | colspan="6" rowspan="2" | | 0 | 20명 | 상세 | ||||||
279 | 120 | 48 | |||||||||||
1989년 10월 31일 | 가이후 도시키 | 후보자 1명(가이후 총재의 임기 만료에 따른 총재 선거에서 무투표 재선) | 20명 | ||||||||||
1991년 10월 27일 | 미야자와 기이치 | 와타나베 미치오 | 미쓰즈카 히로시 | colspan="6" rowspan="2" | | 0 | 30명 | 상세 | ||||||
285 | 120 | 87 | |||||||||||
1993년 7월 30일 | 고노 요헤이 | 와타나베 미치오 | colspan="7" rowspan="2" | | 0 | 20명 | 상세 | |||||||
208 | 159 | ||||||||||||
1993년 9월 30일 | 고노 요헤이 | 후보자 1명(고노 총재의 임기 만료에 따른 총재 선거에서 무투표 재선) | 20명 | ||||||||||
1995년 9월 22일 | 하시모토 류타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colspan="7" rowspan="2" | | 0 | 30명 | 상세 | |||||||
304 | 87 | ||||||||||||
1997년 9월 11일 | 하시모토 류타로 | 후보자 1명(하시모토 총재의 임기 만료에 따른 총재 선거에서 무투표 재선) | 30명 | ||||||||||
1998년 7월 24일 | 오부치 게이조 | 가지야마 세이로쿠 | 고이즈미 준이치로 | colspan="6" rowspan="2" | | 0 | 20명 | 상세 | ||||||
225 | 102 | 84 | |||||||||||
1999년 9월 21일 | 오부치 게이조 | 가토 고이치 | 야마자키 다쿠 | colspan="6" rowspan="2" | | 0 | 20명 | 상세 | ||||||
350 | 113 | 51 | |||||||||||
2000년 4월 5일 | 모리 요시로 | 후보자 1명(양원 의원 총회의 협의로 총재 선출) | 20명 | 상세 | |||||||||
2001년 4월 24일 | 고이즈미 준이치로 | 하시모토 류타로 | 아소 다로 | style="text-align:left;" |(지방 투표 개표 후에 가메이 시즈카가 사퇴) | 3 | 20명 | 상세 | ||||||
298 | 155 | 31 | |||||||||||
2001년 8월 10일 | 고이즈미 준이치로 | 후보자 1명(고이즈미 총재의 임기 만료에 따른 총재 선거에서 무투표 재선) | 20명 | ||||||||||
2003년 9월 20일 | 고이즈미 준이치로 | 가메이 시즈카 | 후지이 다카오 | 다카무라 마사히코 | colspan="5" rowspan="2" | | 0 | 20명 | 상세 | |||||
399 | 139 | 65 | 54 | ||||||||||
2006년 9월 20일 | 아베 신조 | 아소 다로 | 다니가키 사다카즈 | colspan="6" rowspan="2" | | 1 | 20명 | 상세 | ||||||
464 | 136 | 102 | |||||||||||
2007년 9월 23일 | 후쿠다 야스오 | 아소 다로 | colspan="7" rowspan="2" | | 1 | 20명 | 상세 | |||||||
330 | 197 | ||||||||||||
2008년 9월 22일 | 아소 다로 | 요사노 가오루 | 고이케 유리코 | 이시하라 노부테루 | 이시바 시게루 | colspan="4" rowspan="2" | | 2 | 20명 | 상세 | ||||
351 | 66 | 46 | 37 | 25 | |||||||||
2009년 9월 28일 | 다니가키 사다카즈 | 고노 다로 | 니시무라 야스토시 | colspan="6" rowspan="2" | | 1 | 20명 | 상세 | ||||||
300 | 144 | 54 | |||||||||||
2012년 9월 26일 | 1차 | 이시바 시게루 | 아베 신조 | 이시하라 노부테루 | 마치무라 노부타카 | 하야시 요시마사 | colspan="4" rowspan="2" | | 1 | 20명 | 상세 | |||
199 | 141 | 96 | 34 | 27 | |||||||||
결선 | 아베 신조 | 이시바 시게루 | colspan="7" rowspan="2" | | 1 | |||||||||
108 | 89 | ||||||||||||
2015년 9월 8일 | 아베 신조 | 후보자 1명(아베 총재의 임기 만료에 따른 총재 선거에서 무투표 재선) | 20명 | 상세 | |||||||||
2018년 9월 20일 | 아베 신조 | 이시바 시게루 | colspan="7" rowspan="2" | | 3 | 20명 | 상세 | |||||||
553 | 254 | ||||||||||||
2020년 9월 14일 | 스가 요시히데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 colspan="6" rowspan="2" | | 0 | 20명 | 상세 | ||||||
377 | 89 | 68 | |||||||||||
2021년 9월 29일 | 1차 | 기시다 후미오 | 고노 다로 | 다카이치 사나에 | 노다 세이코 | colspan="5" rowspan="2" | | 1 | 20명 | 상세 | ||||
256 | 255 | 188 | 63 | ||||||||||
결선 | 기시다 후미오 | 고노 다로 | colspan="7" rowspan="2" | | 1 | |||||||||
257 | 170 | ||||||||||||
2024년 9월 27일 | 1차 | 다카이치 사나에 | 이시바 시게루 | 고이즈미 신지로 | 하야시 요시마사 | 고바야시 다카유키 | 모테기 도시미쓰 | 가미카와 요코 | 고노 다로 | 가토 가쓰노부 | 0 | 20명 | 상세 |
181 | 154 | 136 | 65 | 60 | 47 | 40 | 30 | 22 | |||||
결선 | 이시바 시게루 | 다카이치 사나에 | colspan="7" rowspan="2" | | 5 | |||||||||
215 | 194 | ||||||||||||
2027년 | ー | 미정 |
자민당 총재 선거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들이 있다.[2]
기록명 | 기록 내용 |
---|---|
총재 선거 첫 당선 시점에서의 중의원 의원 총선거 최다 당선 횟수 | 하토야마 이치로, 미키 다케오, 나카소네 야스히로(14회) |
총재 선거 첫 당선 시점에서의 중의원 의원 총선거 최저 당선 횟수 | 기시 노부스케(3회) |
5. 1. 최다 당선 횟수
사토 에이사쿠(1964년, 1966년, 1968년, 1970년)아베 신조(2006년, 2012년, 2015년, 2018년)
(입후보제가 도입된 1972년 이후에 한함)
고이즈미 준이치로(1995년, 1998년, 2001년 4월, 2001년 8월, 2003년)
이시바 시게루(2008년, 2012년, 2018년, 2020년, 2024년)
(추천인 제도가 도입된 1972년 이후에 한함)
2024년(다카이치 사나에, 고바야시 다카유키, 하야시 요시마사, 고이즈미 신지로, 가미카와 요코, 가토 가쓰노부, 고노 다로, 이시바 시게루, 모테기 도시미쓰)
(추천인 제도가 도입된 1972년 이후에 한함)
이시바 시게루(2008년~2024년까지)
(추천인 제도가 도입된 1972년 이후에 한함)
이시바 시게루(2008년, 2012년, 2018년, 2020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 최다 당선 횟수
중의원 의원 총선거 최저 당선 횟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