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 재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이나 재정은 1974년,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총리대신의 사임 후 자유민주당 총재 선출 과정에서 부총재 시이나 에쓰사부로가 중재하여 미키 다케오를 총재로 지명한 사건이다. 다나카 금맥 문제와 자민당의 참의원 선거 패배로 다나카가 사임한 후, 오히라 마사요시와 후쿠다 다케오 간의 파벌 갈등으로 총재 선출이 난항을 겪자, 시이나는 중도적 입장에서 미키를 지명했다. 시이나는 후보 압축, 파벌 초월 인사를 약속받았으며, 12월 1일 미키를 지명하는 재정문을 발표했고, 미키는 12월 4일 총재로 선출되었다. 이 사건은 자민당 내 권력 투쟁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12월 -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는 1974년 박정희 정권의 언론 탄압에 저항하여 동아일보 기자들이 정부 비판 기사를 게재하자 정부가 광고주를 압박하여 지면에 광고가 실리지 못하게 된 사건이다. - 1974년 12월 - 1974년 12월 13일 일식
1974년 12월 13일 일식은 부분 일식으로, 1974년 일식 시즌에 속하며 사로스 주기 151의 일부이고 시간과 매개변수 표로 세부 정보가 제공된다. - 미키 다케오 - 가이후 도시키
가이후 도시키는 1960년 중의원 의원에 당선되어 48년간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자유민주당 총재를 거쳐 제76대, 77대 총리를 역임했고, 2022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 미키 다케오 - 록히드 사건
록히드 사건은 1970년대 록히드사가 항공기 판매를 위해 세계 각국 정치인과 군 관계자에게 거액의 뇌물을 제공한 사건으로, 미국 해외 부패 방지법 제정의 계기가 되었으며, 서독,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등 각국의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74년 일본 -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은 1974년 11월 11일에 출범하여 록히드 사건 등 정치 스캔들로 인해 개조 후 28일 만인 12월 9일에 총사퇴한 일본의 내각이다. - 1974년 일본 -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1차 개조)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주도로 구성된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1차 개조)는 1974년 6월 26일 국토청 신설 등을 포함한 개조를 통해 주요 각료를 교체하고 자유민주당 소속의 다양한 파벌 출신 인물들로 구성되었으며, 1973년 11월 25일 일요일에 궁중 인증식을 거행하는 이례를 남겼다.
시나 재정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974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선거 종류 | 총재 선거 |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1972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이전 선거 년도 | 1972년 |
다음 선거 | 1976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다음 선거 년도 | 1976년 |
선거 날짜 | 1974년 12월 4일 |
선거 제도 | 양원 의원 총회에 의한 선출 |
유권자 수 | 무투표 |
후보 정보 | |
![]() | |
후보자 | 미키 다케오 |
색상 | 556B2F |
총재 정보 | |
직위 | 총재 |
선거 전 총재 | 다나카 가쿠에이 |
선거 후 총재 | 미키 다케오 |
시이나 재정 | |
인용문 | 나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신께 기도드리는 마음으로 생각했다. 새로운 총재는 청렴할 것은 물론이고 당의 체질 개선과 근대화에 몰두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국민은 우리 당이 파벌 항쟁을 끝내기를 기대하고 근대 정당으로 탈피하기 위한 연찬과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 열정을 가진 사람을 바라고 있다고 확신한다. 이와 같은 인식에서 나는 새로운 총재로 정계의 장로인 미키 다케오 군이 가장 적임자라고 확신하여 이에 천거한다. |
2. 배경
1974년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패배하고, 같은 해 10월 다치바나 다카시가 다나카 금맥 문제를 폭로하면서, 11월 26일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총리대신이 사퇴를 표명하면서 시나 재정이 시작되었다.[4]
1974년 11월 30일, 시이나 에쓰사부로는 자유민주당 본부에서 파벌 실력자들과 회합을 갖고, 자신을 총재 후보에서 제외하고 오히라 마사요시, 후쿠다 다케오, 미키 다케오, 나카소네 야스히로 4명으로 총재 후보를 압축했다. 이 회합에서는 파벌을 초월한 각료 인사, 총재 파벌에서 간사장을 내지 않는 총간 분리, 당의 정책 입안 기능 강화 등 당 개혁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이루어졌다.[1]
다나카의 후임 총재 선출은 난항을 겪었다. 유력한 총재 후보는 오히라 마사요시 대장대신과 후쿠다 다케오 전 대장대신이었다. 총재 공선을 치르면 다나카 파벌과 오히라 파벌이 지지하는 오히라가 유리했지만, 후쿠다 파벌과의 격돌은 피할 수 없었고, 이 과정에서 많은 돈이 오갈 것으로 예상되어 국민의 비판이 예상되었다. 반면, 당내 협의로 후임자를 선출하면 친 후쿠다 성향이 강한 고문 회의가 주도하여 수적으로 우세하므로 다나카 파벌 및 오히라 파벌 연합, 즉 다이카쿠 연합의 반발이 불가피했다.[4] 이러한 상황은 자민당의 분열까지도 예상하게 했다.[4]
이러한 가운데, 중간 파벌인 시이나 파의 영수이자 당 개혁 추진론자였던 시이나 에쓰사부로 부총재에게 총재 선출 권한이 주어졌다.[4]
3. 시이나 재정
다음 날인 12월 1일, 시이나는 후쿠다, 오히라, 나카소네를 자민당 본부 총재실로 불러 "이미 논의는 다 나왔다"며 재정문을 낭독했다. 시이나는 재정문에서 "신임 총재는 청렴함은 물론 당의 체질 개선, 근대화에 힘쓰는 사람이어야 한다"며 미키 다케오를 신임 총재로 추천했다. 이로써 '시이나 재정'이 내려졌다.[1]
시이나는 후쿠다 다케오를 지지하면 다나카 가쿠에이와 오히라 마사요시 연합이 이탈하고, 오히라를 지지하면 후쿠다가 탈당할 것을 우려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당시 56세로 젊었기에, 당 근대화를 주창해 온 미키를 추천한 것이다. 당시 소수 파벌이었던 미키는 이 재정에 "청천벽력이다"라고 중얼거렸으며, 이 재정은 세상에 큰 놀라움을 안겨주었다.[1]
3. 1. 재정 과정
1974년 11월 30일, 시이나 에쓰사부로는 자유민주당 본부에서 파벌 실력자들과 회합을 갖고, 자신을 총재 후보에서 제외하고 오히라 마사요시, 후쿠다 다케오, 미키 다케오, 나카소네 야스히로 4명으로 총재 후보를 압축했다. 이 회합에서는 파벌을 초월한 각료 인사, 총재 파벌에서 간사장을 내지 않는 총간 분리, 당의 정책 입안 기능 강화 등 당 개혁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이루어졌다.[1]
다음 날인 12월 1일, 시이나는 후쿠다, 오히라, 나카소네를 자민당 본부 총재실로 불러 "이미 논의는 다 나왔다"며 재정문을 낭독했다. 시이나는 재정문에서 "신임 총재는 청렴함은 물론 당의 체질 개선, 근대화에 힘쓰는 사람이어야 한다"며 미키 다케오를 신임 총재로 추천했다. 이로써 '시이나 재정'이 내려졌다.[1]
시이나는 후쿠다 다케오를 지지하면 다나카 가쿠에이와 오히라 마사요시 연합이 이탈하고, 오히라를 지지하면 후쿠다가 탈당할 것을 우려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당시 56세로 젊었기에, 당 근대화를 주창해 온 미키를 추천한 것이다. 당시 소수 파벌이었던 미키는 이 재정에 "청천벽력이다"라고 중얼거렸으며, 이 재정은 세상에 큰 놀라움을 안겨주었다.[1]
3. 2. 재정문
椎名裁定일본어에서 시나 에쓰사부로는 신임 총재의 조건으로 "청렴함은 물론 당의 체질 개선, 근대화에 힘쓰는 사람"을 제시하며, 미키 다케오를 "정계의 원로"이자 가장 적합한 인물로 추천했다.[1] 재정문 초안은 산케이 신문 기자 후지타 요시로가 작성했으며,[1] 미키 다케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계의 최고 원로"라는 표현이 추가될 뻔했으나, 시이나가 최종적으로 "최" 자를 삭제하여 "정계의 원로"로 수정했다.[2] 미키는 1937년 총선에서 처음 당선되었지만, 당시 국회에는 1930년 총선에서 처음 당선된 후나다카가 있었고, 또한 시이나 자신도 당선 횟수는 미키보다 적었지만,[3] 미키보다 연상이었기에, 미키는 정계의 "최"고 원로가 아니었다.[4]
3. 3. 재정의 배경과 의미
1974년 참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자민당)이 패배하고, 다치바나 다카시가 다나카 금맥 문제를 폭로하면서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가 사임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후임 총재 선출을 둘러싸고 당내 갈등이 심화되었다.
오히라 마사요시와 후쿠다 다케오가 유력한 총재 후보였으나, 파벌 간 대립이 격화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당내 중진이자 부총재였던 시이나 에쓰사부로에게 총재 선출 권한이 주어졌다. 시이나는 당의 안정과 개혁을 위해 파벌을 초월하여 미키 다케오를 총재로 지명하는 '시이나 재정'을 내렸다.
당시 소수 파벌이었던 미키의 총재 지명은 이례적인 일이었으나, 청렴하고 개혁적인 이미지가 강점으로 작용했다. 다나카 가쿠에이는 시이나에게 잠시 정권을 맡기고 금맥 문제 해결 후 복귀하려 했으나, 미키가 총재가 되면서 그의 계획은 무산되었다.
일각에서는 시이나에게 재정을 일임한 적이 없다는 주장도 제기되지만, 시이나 재정은 당시 일본 정치 상황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賢人たちの世
[2]
서적
賢人たちの世
[3]
문서
第27回衆議院議員総選挙
1955
[4]
문서
岸信介、佐藤栄作、前尾繁三郎、西村英一、保利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