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노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금 노예는 고대부터 제기된 개념으로, 임금 노동자가 사실상 노예와 같은 처지에 놓인다는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역사를 통해 다양한 사상가들은 임금 노동과 노예제의 유사성을 지적하며,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의 자율성 침해와 심리적 영향을 강조했다. 임금 노예제는 자본주의, 파시즘 등 다양한 경제 체제에서 논의되었으며, 노동자 자주 관리, 환경 파괴, 고용 계약 등과 연관되어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신고전 경제학에서는 임금 노동을 자발적인 거래로 보지만, 사회주의 경제학에서는 계급 불평등의 문제로 인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크스주의 용어 - 상업화
상업화는 상품, 서비스, 아이디어 등이 상품 가치를 갖게 되는 과정으로,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는 자본주의 기본 단위로, 대중 매체 연구에서는 문화적 요소가 이윤 추구 대상으로 변질되는 현상으로 분석되며, 공공재의 경우 접근성 제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마르크스주의 용어 - 사회 의식
사회 의식은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관, 신념, 태도, 지식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치, 경제와 상호작용하며 사회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디지털 시대에는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가 사회 의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연구된다. - 윤리적 논란이 있는 노동 조건 - 아동 노동
아동 노동은 18세 미만 아동의 경제 활동을 의미하며, 건강, 안전,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노동으로, 산업혁명 시대부터 현재까지 빈곤, 교육 부족, 문화적 요인 등으로 인해 국제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지속되고 있다. - 윤리적 논란이 있는 노동 조건 - 성희롱
성희롱은 원치 않는 성적 언동으로, 불쾌감, 굴욕감, 위협감을 주는 행위이며, 1970년대 미국에서 처음 법적 개념으로 등장했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성차별 및 인권 침해 문제로 인식되어 관련 법률이 제정되어 있다. - 노동경제학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노동경제학 - 임노동
임노동은 노동자가 고용주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임금을 받는 형태로, OECD 국가에서 가장 흔한 고용 형태이며 자본주의 체제의 기반이 되지만, 잉여가치 착취, 열악한 노동 환경, 고용 불안정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임금노예 |
---|
2. 역사
임금을 받고 일하는 것이 노예와 같다는 견해는 고대 세계로 거슬러 올라간다.[21] 고대 로마의 키케로는 "임금 노동자가 받는 바로 그 임금이 그들의 노예 상태에 대한 증표"라고 썼다.[10]
엠마 골드만은 "당신들은 묶인 노예가 아닌 고용된 노예일 뿐이라는 점이 유일한 차이점이다"라고 말하며 임금 노예를 비난했다.[20] 임금 노동 비판론자들은 임금 노동과 노예제의 다음과 같은 유사점을 제시한다.
1763년, 프랑스 언론인 시몽니콜라 앙리 링게는 임금 노예에 대한 영향력 있는 묘사를 발표했다.[12] 그는 노동자들이 궁핍 때문에 부자에게 무릎을 꿇고, 그들에게 풍요를 제공할 허락을 얻어야 하는 현실을 지적하며, 노예제 폐지가 노동자들에게 가져다준 실질적인 이득은 없다고 주장했다.
18세기 말과 19세기, 미국 남부의 노예제 옹호자들과 자본주의 반대자들은 임금 노동이 재산 노예 제도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고 주장했다.[9][22] 남부 노예주 옹호자들은 북부 노동자들이 "이름만 자유롭고 끝없는 노동의 노예"이며, 자신들의 노예가 더 나은 삶을 살고 있다고 주장했다.[23][24]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남부의 감독관을 두는 것은 힘들고, 북부의 감독관을 두는 것은 더 나쁘지만, 최악은 당신 자신이 당신의 노예 감시자가 될 때"라고 썼다.[27]
미국의 노예 폐지 운동가들은 이러한 유추를 비판했다.[28] 그들은 임금 노동자들이 억압받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9] 에이브러햄 링컨과 공화당원은 노동자들이 자영업을 통해 스스로 일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면, 임금 노동자의 조건은 노예제와 다르다고 주장했다.[30] 노예 폐지 운동가이자 전 노예였던 프레더릭 더글러스는 처음에는 유료 직업을 얻은 후 "이제 나는 내 자신의 주인이다"라고 선언했지만,[31] 말년에는 "경험은 재산 노예 제도보다 그 영향이 조금 덜 고통스럽고 파괴적인 임금 노예 제도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임금 노예 제도는 다른 것들과 함께 무너져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32][33] 그는 이러한 상황이 소유/자본가 계급과 비소유/노동자 계급 간의 불평등한 교섭력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다.[34]
19세기 후반, 장인 전통이 사라지면서 자영업은 덜 일반적이 되었다.[5] 1869년, ''뉴욕 타임스''는 임금 노동 시스템을 "최근 남부에서 널리 퍼졌던 것만큼이나 절대적이지만, 타락하지 않은 노예 제도"로 묘사했다.[30] 19세기 중반, 노동 단체들은 노동자의 자율 관리 부족에 반대하며 '임금 노예'라는 용어를 널리 사용했지만, 19세기 말에는 임금 인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점차 '임금 노동'이라는 중립적인 용어로 대체되었다.[5]
칼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가 개인의 자율성을 침해한다고 비판하며, 임금 노예제를 계급 사회의 특징으로 묘사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프롤레타리아가 매일, 매 시간 자신을 팔아야 하는 반면, 노예는 한 번에 팔린다고 언급하며, 임금 노예제의 불안정성을 지적했다.[36][37]
3. 임금 노동과 노예제의 유사성
19세기 로웰 방적 공장 소녀들은 시위 노래를 통해 우려를 표명했다.[45] 아나코 생디칼리스트 철학자 노엄 촘스키는 노동자들이 스스로 물품 노예제와 임금 노예제의 유사점을 알아차렸다고 언급하며,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공장을 소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3]
문학에서 임금 노동과 물품 노예제를 옹호하는 것은 인간의 인간에 대한 예속을 자연에 대한 인간의 예속과 연결하여, 계층과 사회 시스템의 특정 생산 관계가 인간 본성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46]
인류학자 데이비드 그레이버는 역사적으로 최초의 임금 노동 계약은 물품 노예를 임대하는 계약이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C. L. R. 제임스는 산업 혁명 기간 동안 공장 노동자에게 사용된 인간 조직 기술의 대부분이 노예 농장에서 처음 개발되었다고 주장했다.[49]
4. 다양한 경제 체제에서의 임금 노예제
일부 반자본주의 사상가들은 엘리트가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산업,[52][53] 교육 기관, 불공정한 법률, 민족주의적이고 기업 선전, 권력 구조에 유용한 가치를 내면화하려는 압력과 인센티브, 국가 폭력, 실업에 대한 두려움 등을 통해 임금 노예제와 분열된 노동 계급을 유지한다고 주장한다. 애덤 스미스는 고용주들이 임금을 낮게 유지하고 노동자와 고용주 간의 갈등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종종 공모한다고 언급했다.
4. 1. 자본주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시민은 기계적이거나 상업적인 삶을 살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으며,[56] 키케로는 "유급 직업은 정신을 흡수하고 저하시킨다"고 풀이했다.[57] 기원전 44년에는 "우리가 예술적 기술이 아닌 단순한 육체 노동에 대해 돈을 지불하는 모든 고용 노동자의 생계 수단은 저속하다. 그들의 경우 그들이 받는 바로 그 임금이 그들의 노예의 증표이다"라고 썼다.[10]임금 노예라는 개념은 제라드 윈스탄리와 같은 자본주의 이전 인물들에게서 유래했을 수 있다.[55] 실비오 게젤, 토머스 페인,[58] 헨리 조지,[9] 분배주의 사상가들도 임금 노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카를 마르크스와 미하일 바쿠닌, 표트르 크로포트킨과 같은 아나키스트 사상가들에게 임금 노예는 사유 재산과 주권 국가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계급적 상황이었다. 이러한 계급 상황은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었다.[105]
- 적극적인 사용을 위한 것이 아닌 재산의 존재
- 소수의 손에 집중된 소유
- 노동자가 생산 수단 및 소비재에 직접 접근할 수 없음
- 노동 예비군의 영속화
카를 마르크스는 노동자는 자유롭게 노동력의 판매처, 구매자인 자본가를 선택할 수 있지만, 어떤 자본가를 선택해야만 하는 강제에 의해 자본가 계급에 묶여 있다고 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를 "'''임금 노예제'''"라고 명명했다.[106]
4. 2. 파시즘
파시스트 경제 정책은 유럽이나 미국의 현대 경제보다 독립적인 노동 조합에 더 적대적이었다.[59] 파시즘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더 널리 수용되었으며, 파시스트가 권력을 잡은 후 독일의 외국 기업 투자(특히 미국으로부터)가 증가했다.[60][61]부에나벤투라 두루티와 같은 일부 비평가들은 파시즘을 임금 노예 제도를 유지하기 위한 특권층의 최후 수단으로 인식했다.
5. 심리적 영향
노엄 촘스키에 따르면, 임금 노예제의 심리적 영향에 대한 분석은 계몽주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791년 저서 《국가 활동의 한계》에서 고전적 자유주의 사상가 빌헬름 폰 훔볼트는 노동자가 외부의 통제하에서 일할 때 "우리는 그가 하는 일은 칭찬할 수 있지만, 그가 존재하는 모습은 경멸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63] 밀그램 실험과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인간의 권위와 복종을 탐구하기 때문에 임금 기반 직장 관계에 대한 심리학 연구에 유용하다.[64]
5. 1. 자아 정체성 문제와 스트레스
연구에 따르면, 현대 사회에서 일은 개인에게 정체성을 제공하며, 실직은 이러한 정체성의 상실을 수반한다.[65] 에리히 프롬은 소유물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사람은 정체성이 위협받을 때 불안감과 권위주의적 성향을 보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66]로버트 쿠트너는 임금 노동 하에서 저임금, 저지위 근로자가 자신의 일에 대한 통제력이 부족하여 가장 해로운 형태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결론 내렸다.[67] 임금 노예 제도는 지도자에게 권력을 집중시키고, 사람들의 주도권, 책임감, 자존심을 억압하며, 인간의 개성을 침식시킨다.[68][69]
5. 2. 심리적 통제
현대 사회에서 일은 개인에게 정체성을 제공하고, 가족 부양 및 친구 관계 형성과 같은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65] 따라서 실직은 이러한 정체성의 상실을 의미한다.[65]에리히 프롬은 자신의 정체성을 소유물과 동일시하는 사람은 소유물 상실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불안감과 권위주의적 성향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자아 인식을 '존재'의 경험에 기반을 두면 덜 권위주의적인 성향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프롬에 따르면, 존재의 상태는 노동자가 관리하는 경제에서 번성하지만, 자기 소유는 노동자 통제의 부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물질주의적 자아 개념을 수반한다.[66]
탐사 저널리스트 로버트 쿠트너는 제프리 존슨과 엘렌 홀의 연구를 분석하여, 타인에 의한 끊임없는 요구를 경험하고 스스로 통제력이 거의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것은 건강에 해롭다고 결론 내렸다. 임금 노동 하에서는 소수의 엘리트만이 자율성과 직무 만족을 얻는 반면, 저임금, 저지위 근로자는 자신의 일에 대한 통제력이 부족하여 심각한 스트레스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67]
임금 노예 제도와 그 이전의 교육 시스템은 지도자에게 권력을 집중시키고, 이는 부패로 이어질 수 있다.[68] 이러한 권력 집중은 사람들의 주도권, 책임감, 자존심을 빼앗아 지도자에게 귀속시키며, 독립적인 사고를 억압하는 시스템을 만든다. 지도자는 대중의 높은 지능을 불필요하게 여기며, 비판과 반대를 혼란을 야기하는 장애물로 간주한다.[68] 임금 노예 제도는 인간의 개성을 침식시키고, 타인의 의지에 굴복하게 하여 잔혹함과 무관심을 조장한다.[69]
5. 2. 1. 고임금
19세기 노동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 재산이 없는 사람들은 굶주림의 위협 때문에 임금을 받고 일해야만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졌다. 현대에 고용은 노동자들이 다양한 대안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럼에도 임금 노예제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그 지속성을 고용주 계급의 헤게모니를 유지하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본다.[42][70]해리엇 핸슨 로빈슨은 로웰 공장 여성들에 대한 설명에서, 관대하게 높은 임금이 일의 비참한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제공되었다고 썼다.[71]
제프 슈미트는 그의 저서 ''훈련된 정신''에서 전문직 종사자들이 고용주의 이익을 위해 조직을 운영하도록 신뢰받는다고 지적한다. 고용주는 모든 결정을 관리하기 위해 곁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전문직 종사자들은 명시적인 통제가 없는 상황에서 "그들의 업무의 모든 세부 사항이 올바른 이익에 유리하도록 하거나, 불리한 이익을 깎아내도록" 훈련받는다.[72]
파레콘 (참여 경제) 이론은 "의사, 변호사, 엔지니어, 관리자 등"과 같은 더 높은 임금을 받는 전문직 종사자들의 사회 계급을 "노동과 자본 사이"에 위치하며, 힘을 실어주는 노동을 독점하고 주로 "순종적이고 암기적인 일"을 하는 임금 노동자보다 상위 계급을 형성한다고 가정한다.[73]
5. 2. 2. 저임금
"직원" 또는 "노동자"라는 용어는 "동료" 또는 "파트너"로 대체되어, 임금 노동자의 종속적 지위를 약화시킨다.[74] 선진국, 특히 서비스 부문의 저숙련 노동자에 대한 채용 자료를 보면, 고용주는 더 나은 고용 기회가 없는 노동자를 선별하고, 그들이 보상이 없는 동기를 가장할 것을 기대한다.[75] 서비스 산업의 고용주들은 불안정한 파트타임 고용과 낮은 임금을 정당화하기 위해 서비스 직무가 임금 노동자의 삶에서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한다.[76][77] 20세기 초에는 파업을 '조화'와 '미국주의'를 훼손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파업 파괴의 과학적 방법'이 고안되었다.[78][79]6. 노동자 자주 관리
일부 사회 운동가들은 시장 경제 또는 가격 체계에 반대하며, 역사적으로 생디칼리즘, 노동자 협동조합, 노동자 자치 관리, 노동자 통제를 현재의 임금 체제에 대한 가능한 대안으로 고려해 왔다.[4][5][6][15]
6. 1. 노동과 정부
존 듀이는 "산업적 봉건주의"가 "산업 민주주의"로 대체될 때까지 정치는 "대기업이 사회에 드리운 그림자"가 될 것이라고 보았다.[80] 토마스 퍼거슨은 정당 경쟁의 투자 이론에서 자본주의 경제 제도의 비민주적인 성격이 선거를 투자자 집단이 연합하여 국가를 통제하기 위해 경쟁하는 기회로 만든다고 주장했다.[81]노엄 촘스키는 정치 이론이 정부의 '엘리트' 기능을 감추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의 민주주의가 경제 영역을 침범하지 않아 강압과 억압의 요소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촘스키는 미하일 바쿠닌의 "자유에 대한 본능",[83] 노동 운동의 투쟁사, 표트르 크로폿킨의 상호부조 생존의 진화 원리, 마크 하우저의 생득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능력을 뒷받침하는 이론[84]을 통해 억압이 인간 본성의 특정 측면과 양립할 수 없음을 설명했다.[85][86]
6. 2. 환경 파괴에 대한 영향
로욜라 대학교 철학 교수 존 클라크와 자유지상주의 사회주의 철학자 머레이 북친은 환경 파괴를 조장하는 임금 노동 시스템을 비판하며, 자율 관리 산업 사회가 환경을 더 잘 관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87] 다른 무정부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산업 혁명의 많은 오염이 이에 수반되는 "계층적"이고 "경쟁적인" 경제 관계에서 비롯된다고 본다.[88]6. 3. 고용 계약
데이비드 엘러먼과 캐롤 페이트먼은 고용 계약이 인간을 법적으로 단순한 도구나 투입물로 취급하여 책임과 자기 결정권을 포기하는 법적 허구라고 비판하며, 이는 양도할 수 없는 권리라고 주장한다.[89] 엘러먼은 "고용주는 법적으로 공동 책임 파트너에서 입력 공급자로 변모하여, 입력 부채(비용) 또는 고용주의 사업에서 생산된 산출물(수익, 이익)에 대해 법적 책임을 공유하지 않습니다."라고 지적했다.[89] 그러한 계약은 "그 사람이 '사실상' 완전히 유능한 성인으로 남아 있을 뿐, 비인격체의 계약 역할만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자기 결정권을 물리적으로 이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무효하다.[90] 페이트먼은 노동력, 능력 또는 서비스는 재산 조각처럼 노동자의 인격에서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91]현대 자유주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고용 계약은 시행되는 반면 노예 계약은 그렇지 않다. 전자는 동의/비강제적 성격 때문에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고 후자는 본질적으로 무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폴 새뮤얼슨은 노예 제도가 폐지된 이후, 인간의 소득 창출 능력은 법적으로 자본화하는 것이 금지되었다고 언급했다.[92]
로버트 노직을 포함한 일부 우파 자유지상주의 옹호론자들은 일관된 자유주의 사회는 동의/비강제적 노예 계약을 허용하고 유효하다고 간주할 것이며 양도할 수 없는 권리라는 개념을 거부한다고 주장한다.[93] 머레이 로스바드를 포함한 다른 경제학자들은 채무 노예의 가능성을 허용하며, 노예가 적절한 손해 배상을 지불하는 한 평생 노동 계약을 파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94]
7. 경제학파
주류 신고전 경제학에서 임금 노동은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자발적으로 판매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마치 목수가 의자를 팔거나 농부가 밀을 파는 것과 같으며, 적대적이거나 학대적인 관계가 아니고, 특별한 도덕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95]
오스트리아 학파는 사람이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할 수 없다면 "자유"롭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 사람은 자기 소유권이 없으며, 여러 개인으로 구성된 "제3자"에게 소유될 것이기 때문이다.[96]
포스트 케인즈 경제학은 임금 노예제를 노동과 자본 사이의 교섭력 불평등의 결과로 인식하며, 이는 경제가 "노동자가 조직하고 강력한 대항 세력을 형성하도록 허용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97]
사회주의 경제학의 두 가지 주요 형태는 임금 노예제를 다르게 인식한다.
8. 비판
에이브러햄 링컨과 공화당은 노동자들이 자영업을 달성할 기회가 있다면 임금 노동자의 조건은 노예 제도와 다르다고 주장했다.[30] 프레더릭 더글러스는 유료 직업을 얻은 후 "이제 나는 내 자신의 주인이다"라고 선언했지만,[31] 말년에는 "재산 노예 제도보다 덜 고통스럽고 억압적인 임금 노예 제도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임금 노예 제도는 다른 것과 함께 사라져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32][33]
일부 노예 폐지론자들은 임금 노동자를 임금 노예에 비유하는 것을 그럴듯하지 않다고 여겼다.[98] 그들은 임금 노동자들이 "부당하거나 억압받지 않았다"고 믿었다.[99] 링컨과 공화당은 "평생 임금 노동자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노예와 유사하다는 개념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지만", 노동자들이 자영업을 달성할 기회가 있다면 그 조건은 다르다고 주장했다.[101]
로버트 노직을 포함한 일부 자유 방임 자본주의 옹호자들은 양도 불가능한 권리는 자발적으로 포기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자유로운 시스템이 개인이 자신을 노예로 팔도록 허용할 것인가? 나는 그럴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102]
무정부 자본주의자 경제학자 월터 블록과 같은 사람들은 더 나아가 모든 권리가 실제로 양도될 수 있으며, 자발적 노예 제도와 임금 노예 제도가 정당하다고 주장한다.[103]
참조
[1]
사전
wage slave
http://www.merriam-w[...]
2013-03-04
[2]
사전
wage slave
http://dictionary.re[...]
2013-03-04
[3]
논문
[4]
웹사이트
Conversation with Noam Chomsky
http://globetrotter.[...]
Globetrotter.berkeley.edu
2010-06-28
[5]
논문
[6]
웹사이트
The Bolsheviks and Workers Control, 1917–1921: The State and Counter-revolution
http://www.spunk.org[...]
Spunk Library
2013-03-04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서적
De Officiis
https://www.loebclas[...]
Harvard University Press
1913-01-01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서적
A Living Wage: American Workers and the Making of Consumer Society
https://books.google[...]
Cornell U.P.
[20]
논문
[21]
간행물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Wm. B. Eerdmans Publishing
1995
[22]
논문
[23]
웹사이트
The Hireling and the Slave – Antislavery Literature Project
http://antislavery.e[...]
2009-01-25
[24]
뉴스
Wage Slavery
https://www.pbs.org/[...]
PBS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서적
1969
[37]
웹사이트
The Principles of Communism
http://www.marxists.[...]
Marxists.org
1847-10
[38]
서적
1998
[39]
웹사이트
The Gray Area: Dislodging Misconceptions about Slavery
http://niahd.wm.edu/[...]
2008-09-27
[40]
웹사이트
Roman Household Slavery
http://home.triad.rr[...]
2008-09-27
[41]
웹사이트
The sociology of slavery: Slave occupations
http://www.britannic[...]
[42]
서적
2002
[43]
서적
2000
[44]
서적
2011
[45]
웹사이트
Liberty
http://www.library.c[...]
CSI
2007-12-01
[46]
서적
1940, 1857, 2003
[47]
서적
2005
[48]
문서
B.7.2 Does social mobility make up for class inequality? An Anarchist FAQ: Volume 1
[49]
서적
2004
[50]
서적
Slavery's Capitalism: A New History of American Economic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51]
웹사이트
Statistical table of frequency of use
https://books.google[...]
[52]
웹사이트
Democracy Now
http://www.democracy[...]
2007-10-19
[53]
웹사이트
Interview
http://www.chomsky.i[...]
[54]
서적
1971
[55]
서적
2005
[56]
문서
Politics
[57]
웹사이트
The Quotations Page: Quote from Aristotle
http://www.quotation[...]
[58]
웹사이트
Social Security History
https://www.ssa.gov/[...]
[59]
서적
2004
[60]
웹사이트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http://web.mit.edu/t[...]
[61]
서적
1962
[62]
뉴스
Quote from an interview with Pierre van Paassen
Toronto Daily Star
1936-07-24
[63]
서적
1993
[64]
서적
2006
[65]
서적
1998
[66]
서적
1995
[67]
서적
1997
[68]
서적
1991
[69]
문서
The CNT in the Spanish Revolution
[70]
서적
Prison Notebook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2
[71]
간행물
Early Factory Labor in New England
http://www.fordham.e[...]
Massachusetts Bureau of Statistics of Labor
1883
[72]
서적
2000
[73]
웹사이트
Parecon and Anarcho-Syndicalism: An Interview with Michael Albert
http://www.zcommunic[...]
ZNet
2013-03-05
[74]
서적
2009
[75]
서적
2011
[76]
서적
https://books.google[...]
2009
[77]
학술지
I Was a Warehouse Wage Slave
https://www.motherjo[...]
2013-03-04
[78]
서적
1950
[79]
서적
https://books.google[...]
2002
[80]
문서
The Need for a New Party
1931
[81]
서적
1995
[82]
웹사이트
The Relevance of Anarcho-syndicalism
http://www.chomsky.i[...]
1976-07-25
[83]
웹사이트
A Revolution is Just Below the Surface
http://www.chomsky.i[...]
2007-09-21
[84]
서적
2006
[85]
웹사이트
On Just War Theory at West Point Academy: Hauser's theories "could some day provide foundations for a more substantive theory of just war," expanding on some of the existing legal "codifications of these intuitive judgments" that are regularly disregarded by elite power structures. (min 26–30)
http://video.google.[...]
[86]
웹사이트
Interview
http://www.chomsky.i[...]
2004-07-14
[87]
웹사이트
An Anarchist FAQ Section E – What do anarchists think causes ecological problems?
http://www.infoshop.[...]
2011-04-05
[88]
서적
1990
[89]
서적
2005
[90]
서적
2005
[91]
서적
2005
[92]
웹사이트
Ellerman, David, Inalienable Rights and Contracts, 21
http://ellerman.org/[...]
2020-07-09
[93]
서적
2005
[94]
서적
2009
[95]
서적
2012
[96]
서적
https://www.mises.or[...]
1996
[97]
서적
https://books.google[...]
2007
[98]
서적
The Story of American Freedom
W. W. Norton & Company
1998
[99]
서적
Current Perspectives in Social Theory
Emerald Group Publishing
2002
[100]
문서
Three Addresses on the Relations Subsisting Between the White and Colored People of the United States
https://archive.org/[...]
[101]
서적
Democracy's Discontent
https://books.google[...]
[102]
문서
Translatio versus Concessio
http://ellerman.org/[...]
[103]
문서
Toward a Libertarian Theory of Inalienability: A Critique of Rothbard, Barnett, Smith, Kinsella, Gordon, and Epstein
http://mises.org/jou[...]
[104]
웹사이트
賃金奴隷(チンギンドレイ)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05]
문서
3. エリック・フォナー 「労働者と奴隷制」
https://www.rikkyo.a[...]
[106]
웹사이트
賃金奴隷制(ちんぎんどれいせい)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