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갈선은 하천 부지에서 채취한 자갈을 건축 자재 등으로 수송하기 위해 부설된 철도 노선이다. 20세기 초 일본에서 철도 건설과 건축 수요 증가로 인해 대도시 주변 하천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자갈 채취는 환경 문제와 규제를 낳았고, 이후 여객 철도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한국에서도 일제강점기부터 자갈선이 부설되었으며, 남북 분단 이후에도 일부 노선이 운영되거나, 2007년 동해북부선 노반 자갈 운반에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도 - 지하철
지하철은 도시 내 대중교통 시스템의 하나로, 지하 또는 고가로 건설되어 운행되며, 1863년 런던에서 최초로 개통되어 현재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운영되고, 한국에서는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주요 도시에서 운영되며 교통 체증 완화에 기여한다. - 철도 - 복선 (철도)
복선 철도는 단선 철도보다 많은 열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선로를 병행 설치한 시스템으로, 운영 효율성과 열차 운행 자유도가 높지만 건설비용이 많이 들고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며, 국가나 노선에 따라 통행 방향이 다르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단선 구간과의 혼용은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자갈선 | |
---|---|
자갈선 정보 | |
유형 | 철도 |
사용 | 산업 철도 |
용도 | 자갈 운송 |
2. 역사
20세기 초, 하천 부지에서 채취한 자갈을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대도시 중심부까지 수송하는 것은 중요했다. 이는 수도권 등에서 철도가 새롭게 건설되는 큰 목적 중 하나였다. 특히 도쿄 도심에 가까운 다마가와에서는 자갈 채취와 철도 화물 수송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그 초기 대표적인 예가 1908년에 개업한 도큐 다마가와선이다.[1][2]
다이쇼 말기부터 쇼와 초기까지 수도권의 자갈 철도는 자갈 채취의 기계화와 철도를 이용한 대량 수송으로 번성했다. 반면에 자갈 채취는 강에 제방 파괴, 하상면 저하로 인한 교량 기초 노출 및 위험, 수질 오염 등 다양한 악영향을 미쳤다.[3][4]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자갈 채취량이 상류로부터의 공급량을 초과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다마가와 등에서는 하류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자갈 채취 규제가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갈 채취는 다시 활발해졌지만, 그 제한은 강화되었다. 1964년에 다마가와, 사가미가와, 이루마가와, 아라카와 등에서 자갈 채취가 전면적으로 금지되면서, 자갈 철도도 그 역할을 마치게 되었다.[1][2] 한편, 도쿄 교외 지역의 택지화가 진행되면서, 통근객 등의 수송량은 계속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한때 자갈 화물 수송을 위해 건설되었던 철도는 많은 연선 주민들이 이용하는 통근 노선으로 발전하여 그 모습을 크게 바꾸게 되었다.
난부선, 오메선, 사가미 철도 등은 자갈 철도를 주요 기원으로 하지만, 현재는 통근 노선으로 활약하고 있다. 또한 폐지된 자갈 철도의 폐선 부지는 사이클링 로드나 산책로 등으로 정비되어, 지역 주민들에게 사랑받는 곳도 있다.
2. 1. 한국
한국의 철도가 시작된 이래 한반도 각지에 자갈선이 부설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박천선, 수려선, 한강 등에 자갈선이 있었다.[8][9][10]해방 이후에도 자갈선은 계속 존재하였다. 한국 전쟁 당시 중앙선 운산역에는 탄약보급소가 설치되기도 했다.[11] 안양역, 평은역, 추풍령역, 온릉역 등에도 자갈선이 있었으며, 현재는 정선선 쇄재1터널 북쪽에서 분기하는 쇄재자갈선이 사용되고 있다.[17]
2. 1. 1. 일제강점기
한국의 철도가 시작된 이래 자갈선은 한반도의 각 지역에 부설되었다. 박천선은 원래 평안북도 박천군에 있는 맹중리역의 자갈선이었는데, 선로를 보강하여 1926년 12월 10일 영업을 개시하였다.[8] 수려선에는 신갈천에서 자갈을 캐는 자갈선이 있었다.[9] 한강에도 자갈선이 부설되었다.[10]2. 1. 2. 해방 이후
남북분단 이후에도 자갈선은 존재하였다. 한국 전쟁 당시 중앙선 운산역의 자갈선에는 탄약보급소가 설치되어 있었다.[11] 1930년대에 부설되어 경부선과 수인선에 자갈을 공급하던 안양역의 수리산 방향 자갈선은 1980년대 초반까지 이용되었다.[12][13] 1968년 5월 10일에 중앙선 평은역에는 청(廳) 자갈선이 신설되었고, 2012년 7월에 취급을 중지하였다.[14] 경부선 추풍령역과 교외선 온릉역에도 자갈선이 부설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15][16] 아직 쓰이는 자갈선으로 정선선 쇄재1터널의 북쪽에서 분기하는 쇄재자갈선이 있는데[17], 2007년 남북 열차 시험운행을 위하여 복원된 동해북부선의 노반에도 이 선로로부터 운반한 자갈이 깔렸다.[18]2. 2. 일본
20세기 초반, 일본에서는 철도 부설과 콘크리트 건축물 증가로 도상자갈 및 시멘트 원료로 자갈 수요가 늘어났다. 이에 따라 대도시 주변 하천 부지에 자갈선이 많이 부설되었다. 도쿄 주변의 경우, 1907년에 개업한 東急玉川線|도큐 다마가와선일본어이 최초였다. 1960년대 이후 도시 확장에 따라 자갈 수송 비중이 줄면서 자갈선은 여객철도로 전환되는 추세를 보였다.[19]2. 2. 1. 자갈 철도의 성립 (1900-1910년대)
20세기 초, 하천 부지에서 채취한 자갈을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대도시 중심부까지 수송하는 것은 중요했다. 이는 수도권 등에서 철도가 새롭게 건설되는 큰 목적 중 하나였다. 특히 도쿄 도심에 가까운 다마가와에서는 자갈 채취와 철도 화물 수송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그 초기 대표적인 예가 1908년에 개업한 도큐 다마가와선 등이다.[1][2]2. 2. 2. 자갈 철도의 발전과 규제 (1920-1940년대)
다이쇼 말기부터 쇼와 초기까지 수도권의 자갈 철도는 자갈 채취의 기계화와 철도를 이용한 대량 수송으로 번성했다. 반면에 자갈 채취는 강에 제방 파괴, 하상면 저하로 인한 교량 기초 노출 및 위험, 수질 오염 등 다양한 악영향을 미쳤다.[3][4]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자갈 채취량이 상류로부터의 공급량을 초과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다마가와 등에서는 하류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자갈 채취 규제가 시작되었다.2. 2. 3. 자갈 철도의 종언과 여객 철도로의 전환 (1950-196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갈 채취는 다시 활발해졌지만, 그 제한은 강화되었다. 1964년에 다마가와, 사가미가와, 이루마가와, 아라카와 등에서 자갈 채취가 전면적으로 금지되면서, 자갈 철도도 그 역할을 마치게 되었다.[1][2] 한편, 도쿄 교외 지역의 택지화가 진행되면서, 통근객 등의 수송량은 계속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한때 자갈 화물 수송을 위해 건설되었던 철도는 많은 연선 주민들이 이용하는 통근 노선으로 발전하여 그 모습을 크게 바꾸게 되었다.2. 2. 4. 현재
난부선, 오메선, 사가미 철도 등은 자갈 철도를 주요 기원으로 하지만, 현재는 통근 노선으로 활약하고 있다. 또한 폐지된 자갈 철도의 폐선 부지는 사이클링 로드나 산책로 등으로 정비되어, 지역 주민들에게 사랑받는 곳도 있다.3. 일본의 자갈 철도 사례
20세기 초반, 일본에서는 철도 부설과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 증가로 도상 자갈 및 시멘트 원료인 자갈 수요가 늘면서 대도시 주변 하천 부지에 자갈선이 많이 부설되었다. 도쿄 주변에서는 1907년 개업한 東急玉川線|도큐 다마가와 선일본어이 최초였다. 1960년대 이후 도시 확장에 따라 자갈 수송 비중이 줄면서 자갈선은 여객 철도로 전환되는 추세이다.[19]
3. 1. 간토 지방
철도의 부설에 따라 도상 자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철근 콘크리트 공법으로 지어지는 건축물이 증가하자 시멘트의 원료로 자갈이 필요해지면서, 20세기 초반부터 일본에서는 대도시 주변의 하천 부지에 자갈선이 많이 부설되었다. 도쿄 주변의 경우, 1907년에 개업한 東急玉川線|도큐 다마가와 선일본어이 최초였다. 철도를 이용한 화물 수송 중 자갈 수송의 비중이 크게 줄고, 도시의 확장에 따라 1960년대 이후에는 자갈선이 여객 철도로 전환되는 추세이다.[19]강 이름 | 관련 노선 |
---|---|
오모이 강(도치기현) | 오토메 인력차 궤도 (→오토메 자갈 전용 철도→다이쇼 자갈) |
이루마 강 | 세이부 안비나 선, 사이타마 현영 철도 |
다마 강 | 난부 철도 (현·JR난부 선), 이츠카이치 철도 (현·JR이츠카이치 선), 시모가와라 선[5], 세이부 다마가와 선, 게이오 사가미하라 선, 도큐 다마가와 선·기누타 선[6] |
사가미 강 | 사가미 철도 (현·JR사가미 선), 진나카 철도 (현·사가미 철도) |
참조
[1]
웹사이트
調布の交通 再発見 - 調布の道・鉄道
http://chofu.town-in[...]
[2]
웹사이트
調布の交通
http://lib-machi.cho[...]
調布市立図書館
2017-11-11
[3]
웹사이트
多摩川の砂利採取
http://www.city.inag[...]
稲城市
2017-11-11
[4]
서적
稲城市史
稲城市
[5]
간행물
東京市街高架線東京上野間建設概要 : 東京市街高架線路平面図付
http://dl.ndl.go.jp/[...]
下河原砂利採取所
[6]
간행물
帝国銀行会社要録 大正元年(初版)
http://dl.ndl.go.jp/[...]
玉川電気鉄道砂利部広告
[7]
웹인용
자갈선
http://www.kric.go.k[...]
2020-05-17
[8]
서적
조선교통사 3
BG북갤러리
[9]
저널
수려선 철도의 성격변화에 관한 연구
http://s-space.snu.a[...]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0-05-17
[10]
뉴스
어제와 오늘[한국민중 80인의 사진첩]
http://www.hani.co.k[...]
한겨레
2020-05-17
[11]
뉴스
6.25 전쟁과 철도기관사의 책임(5)
http://www.itrailnew[...]
레일뉴스
2020-05-17
[12]
뉴스
채석장 절개면에 인공폭포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20-05-17
[13]
뉴스
그곳에 가고 싶다-안양9동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20-05-17
[14]
뉴스
북적였던 시골역 ‘평은역’의 아련한 추억
http://www.yjinews.c[...]
영주시민신문
2020-05-17
[15]
뉴스
"[추석특집 고향의 정취 시골역]바람도 쉬어가고 구름도 자고가는 '추억의 간이역'"
http://www.ccdailyne[...]
충청일보
2020-05-17
[16]
뉴스
속도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역들 1. 서울 교외선 온릉역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0-05-17
[17]
보고서
한국철도공사 정선선 민둥산~정선역간 열차충돌사고 조사보고서
http://araib.molit.g[...]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2020-05-24
[18]
저널
남북철도 연결사업 중 동해선 궤도부설 공법 소개
http://document.ksce[...]
대한토목학회
2020-05-24
[19]
웹인용
砂利道とトロッコ
https://lib-machi.ch[...]
調布市立図書館
2020-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