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동 경고 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동 경고 시스템(AWS)은 열차 운전자에게 선로 신호를 알려주는 데 사용되는 열차 안전 시스템이다. 선로에 설치된 영구 자석과 전자석, 열차 하부의 수신기로 구성되며, 자기장의 극성과 순서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 또는 진행 신호를 표시한다. AWS는 진행 신호(녹색) 시 벨 소리, 경고 신호(적색) 시 경적 소리를 내며, 경고 신호 발생 시 운전자는 2~3초 안에 확인 버튼을 눌러야 한다. AWS는 두 가지 신호 상태만 제공하며, 운전자의 주의 분산, 시스템 오류, 신호 위반 등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영국, 홍콩, 호주, 대만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자동 열차 보호 장치(ATP)로 대체되기도 했다.

2. 작동 원리

자동 경고 시스템(AWS)은 열차에 설치된 수신기로 자기장을 감지하여 작동한다. 이 자기장은 선로에 설치된 영구 자석과 전자석으로 생성된다. 열차가 감지하는 자기장의 극성(남극, 북극)과 순서(남극, 북극)에 따라 운전자에게 표시되는 신호가 결정된다.[18][17]

'AWS 자석'은 선로 중앙에 설치되며, 다음 신호에 따라 자기장이 설정된다. 열차는 밑에 설치된 수신기로 자기장 극성을 감지한다.

AWS 자석은 영구 자석 1개와 전자석(선택 사항)으로 구성된다. 영구 자석은 항상 남극을 띠는 고정 자기장을 생성하며, 열차가 지나가도 극성이 바뀌지 않아 운전자에게 경고(적색, 정지) 신호를 표시한다.

전자석은 운전자에게 명확(녹색, 진행) 신호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수신기가 영구 자석을 감지 후, 특정 극성의 두 번째 자기장(전자석)을 감지하면 경고 대신 명확 신호를 표시한다. 열차는 영구 자석, 전자석 순으로 극성을 감지하는데, 이는 전자석이 진행 방향에서 영구 자석 뒤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전자석은 녹색 신호와 연결되어, 운전자는 신호가 명확(녹색, 진행)일 때만 명확 신호를 받는다.

영구 자석은 항상 남극을 띤다. 전자석이 전원 공급으로 북극을 띠면,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명확(녹색, 진행) 신호를 표시한다.

중련 편성 이상의 열차는 각 끝에 수신기가 있다. 단일 차량 DMU 및 기관차는 수신기가 하나뿐이며, 이동 방향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에 있을 수 있다.

열차 내 관련 장비는 다음과 같다.


  • AWS 수신기 (운전실 밑 자기장 감지기)
  • AWS 시각적 표시기 ('해바라기')
  • AWS 청각적 표시기 (명확(녹색, 진행) = 벨, 경고(적색, 정지) = '경적' 또는 전자음)
  • AWS Acknowledge 버튼 (경고(적색, 정지) 확인용. 2~3초 내 미작동 시 비상 제동.)[19]
  • AWS 무시/오류 표시기


영국은 남극 영구 자석을 사용하지만, 다른 국가는 북극을 사용하기도 한다. 핵심 원리는 전자석이 영구 자석의 반대 극성을 띤다는 것이다.

2. 1. 구성 요소

자동 경고 시스템(AWS)은 선로에 설치된 자석과 열차에 탑재된 수신기를 통해 작동하며, 선로 측 장치와 차량 측 장치로 구성된다.
선로 측 장치선로에는 영구 자석과 전자석(선택 사항)이 설치된다. 이 자석들을 'AWS 자석'이라고 부른다.

  • 영구 자석: 항상 남극을 띠는 자기장을 생성한다. 열차가 영구 자석 위를 지나가면, 자동 경고 시스템은 경고(적색, 정지(Warning)) 신호를 표시한다.
  • 전자석: 전원이 공급되어 북극을 띌 때, 자동 경고 시스템은 명확(녹색, 진행(Clear)) 신호를 표시한다. 전자석은 영구 자석 뒤에 설치되어, 열차는 영구 자석의 극성을 먼저 감지한 후 전자석의 극성을 감지한다.


네트워크 레일(NR)의 AWS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레일 사이에 중앙에 배치된 영구 자석은 관련 신호 약 182.88m 전에 위치한다. 자석 케이스 상단은 레일의 주행 표면과 거의 수평(12mm 이내)을 이룬다.[12]
  • 영구 자석 뒤에 위치한 레일 사이의 전자석은 영구 자석과 반대 극성을 띈다. 케이스 상단은 레일의 주행 표면과 거의 수평(12mm 이내)을 이룬다.[12]


BR 표준 강도 AWS 트랙 장비

차량 측 장치차량(열차)에는 다음 장비들이 설치된다.

  • AWS 수신기: 열차 운전실 아래에 위치하며, 자기장을 감지한다.
  • AWS 시각적 표시기: '해바라기'라고도 불리며, 신호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 AWS 청각적 표시기: 명확(녹색, 진행(Clear)) 신호일 때는 벨 소리를, 경고(적색, 정지(Warning)) 신호일 때는 경적 소리(또는 전자음)를 낸다.
  • AWS Acknowledge 버튼: 운전자가 경고 신호를 확인하는 데 사용한다. 경고 신호 후 2~3초 안에 누르지 않으면 비상 제동이 작동한다.[19]
  • AWS 무시(Isolation)/오류 표시기: 자동 경고 시스템이 무시되었거나 오류가 있을 때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클래스 43 운전실의 운전자 AWS 장비


중련 편성 이상의 열차에는 각 끝에 AWS 수신기가 있지만, 단일 차량 DMU 및 기관차에는 AWS 수신기가 하나만 있다.

2. 2. 신호 현시에 따른 작동 방식

자동 경고 시스템(AWS)은 선로에 설치된 자석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열차 운전자에게 신호 현시 상태를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진행 신호 (녹색):열차가 녹색 신호를 향해 달릴 때, 선로에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이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영구자석은 항상 남극(S극)을 띠고, 전자석은 전원이 공급되면 북극(N극)을 띤다. 열차는 남극 - 북극 순서로 자기장을 감지하며, 이는 운전실에 명확(녹색, 진행) 신호를 표시한다. 이때, 벨 소리(또는 '핑' 소리)가 울리고, '해바라기' 표시기는 검은색으로 유지된다.[18][17]
주의/정지 신호 (황색/적색):열차가 황색 또는 적색 신호를 향해 달릴 때, 전자석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열차는 영구자석의 남극(S극) 자기장만 감지하게 된다. 이는 운전실에 경고(적색, 정지) 신호를 표시한다. 경고음이 울리면 운전자는 2초 이내에 AWS 확인 버튼을 눌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비상 제동이 작동한다.[19][20] 확인 버튼을 누르면 경고음은 멈추고, '해바라기' 표시기는 노란색과 검은색 패턴으로 바뀐다. 이 표시는 다음 신호까지 유지되어 운전자에게 주의/정지 신호를 받았음을 상기시킨다.[1]

2. 3. 속도 경고

자동 경고 시스템은 속도 감소 지점 전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경고를 제공한다. 속도 제한 구간 전방에는 영구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 항상 주의(황색) 신호를 발생시키며, 운전자는 이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통해 비상 제동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20] 또한, 선로변에는 경고 게시판이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전방의 속도 제한 사항을 알려준다.[20]

1971년부터는 노선의 허용 속도가 3분의 1 이상 감소하는 지점의 경고 표시기 앞에도 AWS 영구 자석이 설치되었다.[13] 이는 1969년 모페스 탈선 사고 조사 결과에 따른 권고 사항이었다. 1977년부터는 임시 속도 제한(TSR) 접근 시 경고 게시판 앞에 휴대용 AWS 영구 자석을 설치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1975년 니네톤 탈선 사고 조사 결과에 따른 권고 사항이었다.[10]

3. 한계점

자동 경고 시스템(AWS)은 명확(녹색, 진행) 및 경고(적색, 정지)의 두 가지 상태만을 표시한다. 경고 표시는 그 이유(예: 신호 위반, 속도 제한)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주변을 관찰하여 경고 이유를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21]

운전자는 경고 신호를 받으면 AWS 확인 버튼을 눌러야 한다. 그러나 혼잡한 구간에서는 하루에도 수백 번씩 경고 표시를 확인해야 하므로, 운전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신호 무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오류(Wrong-Side Failure) 발생 시 운전자에게 잘못된 신호(경고 대신 진행)를 표시할 수 있다. 안내서에도 "자동 경고 시스템은 열차 운전자가 선로 측면 신호 및 표시기를 관찰하고 준수해야 하는 책임을 제외하지 않는다."라고 명시되어 있다.[21]

정지 신호에 대한 특별한 처리가 없어, 운전자가 경고 신호를 확인하고도 (SPAD)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한계는 (TPWS)과 같은 다른 보호 시스템으로 보완할 수 있다.

4. 역사

초기 자동 경고 시스템은 신호와 기관차 사이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었다. 1840년 에드워드 버리는 기관차의 경적을 울리고 객실에 빨간색 램프를 켜는 시스템을 실험했다. 그러나 1850년, 철도 검사단의 윌리엄 욜랜드 대령은 위험 신호를 통과할 때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시스템을 요구했지만, 만족스러운 방법을 찾지 못했다.[2]

1873년 찰스 데이비슨과 찰스 더피 윌리엄스는 궤도 측 레버가 기관차의 경적을 작동시키고,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며, 증기를 차단하고, 차장에게 경고하는 시스템에 대한 영국 특허를 받았다.[3]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고속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독일에서는 코플러 시스템이 신호 기둥의 팔을 사용하여 기관차 객실 지붕의 레버와 맞물리게 했다.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버의 스프링 장착은 기관차의 차축 상자에 직접 연결되었다.[4] 1929년 베를린 S반 전철화와 함께 접촉 레버가 열차 측면으로 옮겨진 발전된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1895년 빈센트 레이븐은 앞쪽의 분기기가 분기 경로로 설정되었을 때 운전자에게 청각 경고를 제공하는 장치를 발명했다. 1909년까지 노스 이스턴 철도는 약 100마일의 궤도에 이 장치를 설치했다. 1907년 프랭크 와이엇 프렌티스는 레일 사이의 연속 케이블을 사용해 헤르츠파를 기관차로 중계하는 무선 신호 시스템을 특허냈다. 블록이 "깨끗하지" 않으면 신호가 꺼져 응집기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아 릴레이가 객실의 조명을 빨간색으로 바꾸고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다.[5] 런던 & 사우스 웨스턴 철도는 1911년 햄프턴 코트 지선에 이 시스템을 설치했지만, 전철화 후 제거했다.[6]

최초로 광범위하게 사용된 시스템은 1905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GWR)에서 개발한 자동 열차 제어(ATC)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고속에서 사용 가능하고, 신호가 통과되었을 때 운전실에서 확인음을 울렸다. GWR 시스템은 기관차에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가 진공 열차관에 장착되었고, 배터리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되었다. 경사로를 통과하면 기관차 아래의 접촉 슈가 들어 올려져 배터리 회로가 끊어졌다. 신호가 '정상'이면, 선로변 배터리에서 경사로를 활성화하는 전류가 기관차로 전달되어 브레이크 밸브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며 벨을 울렸다. 신호가 '주의' 또는 '위험'이면, 경사로 배터리가 분리되어 사이렌을 통해 진공 열차관으로 공기가 유입,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청각 경고를 제공했다. 운전자는 경고를 취소하고 브레이크를 작동해야 했다.[7]

GWR 기관차는 전철화된 제3 레일 방식의 공유 선로에서 운행할 수 있었다. 전철화 구간 입구에서는 특정 경사로가 접촉 슈를 들어올려 래칫과 맞물리게 했다. 전철화 구간의 끝에 있는 경사로는 래칫을 해제했다. 그러나 고전류 견인 전류가 온보드 장비 작동에 간섭할 수 있어, 1949년 GWR 시스템은 국가 표준으로 선택되지 않았다.[7][9]

1930년대, 다른 철도 회사들도 자체 시스템을 고려했다. 알프레드 어니스트 허드( - 1958)의 Strowger–Hudd 시스템은 자기 유도 방식을 기반으로 영구 자석과 전자석 한 쌍을 사용했다. Hudd는 자신의 발명품에 대한 특허를 얻었고, 리버풀의 Automatic Telephone Manufacturing Company에 개발을 제안했다.[11][8] 이 시스템은 여러 철도에서 시험되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48년, Hudd는 자신의 시스템을 런던, 틸버리 앤 사우스엔드 선에 장착했다. 이 시스템은 성공적이었고, 영국 철도는 마지막 통과 신호의 모습을 객차 내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1956년, 교통부는 GWR, LTS 및 BR 시스템을 평가하여 BR에서 개발한 것을 영국 철도의 표준으로 선정했다. 이는 1952년 해로우 & 위드스톤 철도 사고에 대한 대응이었다.[9]

5. 주요 사용 노선

영국 (NR) 자동 경고 시스템(AWS)은 선로 중앙에 설치된 영구 자석과 전자석, 기관실 내 표시기, 제어 장치, 확인 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신호가 '통과'(녹색)일 때는 전자석이 활성화되어 벨/차임 소리와 함께 표시기가 검은색으로 유지된다. '주의'(노란색) 신호에서는 전자석이 비활성화되어 경적이 울리고, 운전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작동한다. 운전자가 확인하면 표시기는 노란색과 검은색으로 변경되어 다음 신호까지 주의 상태임을 알린다.[12]

AWS는 전력 손실 시에도 작동하는 페일 세이프 시스템이지만, 단선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열차에는 경고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억제 자석을 설치하거나, 선로변 표지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무시하도록 알린다. 기계식 신호 시스템에서는 원격 신호에만 AWS가 설치되었지만, 다중 측면 신호 시스템에서는 모든 주요 노선 신호에 설치된다.

BR AWS 테스트 차고 인덕터


차량 정비소 출구 노선에는 차량이 운행을 시작할 때 경고 표시를 생성하는 '차고 테스트 인덕터'가 설치되어 있다. '표준 강도' 자석은 DC 세 번째 레일 전철화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 사용되며,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DC 전철화 지역에서는 '강력' 자석이 사용되며, 녹색으로 칠해져 있다.

AWS는 대부분의 주요 신호에 제공되지만,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1]

  • 허용 속도가 30mph 이하이고 레이아웃이 복잡한 통과역 (''AWS 갭'' 영역)
  • 세마포어 정지 신호
  • AWS 자석이 장착되지 않은 노선 (구간 부록에 표시)


임시 속도 제한 경고 보드


홍콩 MTR 동철선의 지역 열차는 2012년부터 (TBL)을 사용하며, (ATP)/(ATO)로 개선되었다.[14] 2021년까지 (CBTC)로 업그레이드될 예정이었다.[15] 중국발 특급 열차에도 사용된다.

호주 퀸즐랜드에서는 (ATP)로 개선되기도 하며, 무인 건널목 루프의 고정된 원방 신호에 영구 자석을 제공하기도 한다. 애들레이드에서도 사용된다.

타이완 철도 관리국 EMU100, EMU200 시리즈는 (ATS-SN/ATS-P)와 함께 사용되었으며, 2006년 (ATP)로 대체되었다.[16]

라이베리아의 한 광산 철도에서는 더 진보된 (AWS)을 사용하여 (BR) 버전보다 더 많은 신호를 제공할 수 있었다.

5. 1. 영국

Network Rail(NR) 자동 경고 시스템(AWS)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레일 사이에 중앙에 배치된 영구 자석. 이 자석은 일반적으로 관련 신호 약 182.88m 전에 위치한다. 자석 케이스 상단은 레일의 주행 표면과 거의 수평(12mm 이내)이다.[12]
  • 영구 자석 뒤에 위치한 레일 사이의 전자석(영구 자석과 반대 극성). 케이스 상단은 레일의 주행 표면과 거의 수평(12mm 이내)이다.[12]
  • 검은색 디스크 또는 노란색과 검은색 "폭발하는" 디스크를 표시할 수 있는 객실 표시기("AWS 해바라기"라고도 함)
  • 시스템을 열차의 브레이크에 연결하는 제어 장치
  • 운전자의 AWS 확인 버튼
  • AWS 제어 패널


이 시스템은 설정/재설정 원리로 작동한다.

신호가 '통과' 또는 녹색("꺼짐")일 때 전자석이 활성화된다. 열차가 지나가면 영구 자석이 시스템을 설정하고, 잠시 후 열차가 앞으로 움직이면 전자석이 시스템을 재설정한다. 재설정되면 벨소리(새로운 재고품의 경우 차임)가 울리고, 표시기가 이미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검은색으로 설정된다. 운전자는 확인이 필요하지 않다. 시스템은 설정된 지 1초 이내에 재설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경고 표시와 같이 동작한다.

원격 신호 제어 배선에 추가적인 안전 장치가 포함되어 AWS "통과" 표시가 원격 신호가 "꺼짐"으로 입증된 경우에만 제공되도록 한다. 기계식 세마포어 원격 신호는 전자석 코일 회로에 최소 27.5도만큼 팔이 들어 올려지거나 내려질 때만 닫히는 접점이 있다. 컬러 조명 신호는 램프 조명 회로에 전류 감지 릴레이가 있어 신호 점등을 증명하며, 이는 AWS 전자석을 활성화하기 위해 녹색 측면을 제어하는 릴레이와 함께 사용된다. 고체 상태 인터로킹에서 신호 모듈은 전자석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드라이버 전자 장치에서 "녹색 증명" 출력을 갖는다.

원격 신호가 '주의' 또는 노란색(켜짐)일 때 전자석이 비활성화된다. 열차가 지나가면 영구 자석이 시스템을 설정한다. 그러나 전자석이 비활성화되어 시스템이 재설정되지 않는다. 시스템을 재설정할 수 있는 1초 지연 후 운전자가 플런저를 눌러 확인하면 경적 경고가 주어진다. 운전자가 2.75초 이내에 경고를 확인하지 못하면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작동한다. 운전자가 경고를 확인하면 표시기 디스크가 노란색과 검은색으로 변경되어 운전자에게 경고를 확인했음을 상기시킨다. 노란색과 검은색 표시는 다음 신호까지 지속되며 운전자가 주의 상태로 진행하고 있음을 신호 사이에서 알려준다. 경적이 울리기 전 1초의 지연은 시스템이 만큼 낮은 속도까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속도 미만에서는 주의 경적 경고가 항상 주어지지만 운전자가 아직 경고를 확인하지 않은 경우 전자석이 시스템을 재설정할 때 자동으로 취소된다.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재설정되면 디스플레이에 모두 검은색이 표시된다.

이 시스템은 페일 세이프이므로 전원 손실 시 전자석만 영향을 받으므로 모든 열차가 경고를 받는다. 이 시스템은 단선에서 트랙 장비가 의도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열차의 AWS 시스템을 설정하지만 전자석이 영구 자석 전에 나타나므로 재설정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억제 자석이 일반 영구 자석 대신 설치될 수 있다. 활성화되면 억제 코일이 영구 자석에서 자기 플럭스를 전환하여 열차에서 경고를 받지 않도록 한다. 억제 자석은 전력 손실로 인해 일반 영구 자석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페일 세이프이다. 더 저렴한 대안은 운전자에게 경고를 취소하고 무시하도록 알리는 선로변 표지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 표지판은 흰색 세인트 앤드루스 십자가 있는 파란색 사각형 보드(또는 임시 속도 제한과 함께 제공되는 경우 검은색 십자가 있는 노란색 보드)이다.

기계식 신호 시스템을 사용하면 AWS 시스템은 원격 신호에만 설치되었지만 다중 측면 신호 시스템을 사용하면 모든 주요 노선 신호에 설치된다. 녹색을 제외한 모든 신호 측면은 경적이 울리고 표시기 디스크가 노란색에서 검은색으로 변경된다.

전자석이 없는 AWS 장비는 항상 주의 신호가 필요하거나 임시 주의가 필요한 위치(예: 임시 속도 제한)에 설치된다. 이는 임시 AWS 장비에는 영구 자석만 포함하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차적인 장점이다. 전기 연결이나 공급이 필요하지 않다. 이 경우 객실의 경고 표시는 다음 녹색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 유지된다.

차내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력 정비소 출구 노선에는 차량이 운행을 시작할 때 경고 표시를 생성하는 '차고 테스트 인덕터'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노선에서 사용되는 낮은 속도로 인해 트랙 장비의 크기는 운행 네트워크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작다.

'표준 강도' 자석은 DC 세 번째 레일 전철화 지역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사용되며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차내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최소 자기장 강도는 2 밀리테슬라이다(트랙 장비 케이스에서 125mm 위에서 측정). 일반적인 트랙 장비는 5 mT의 자기장을 생성한다(동일한 조건에서 측정). 차고 테스트 인덕터는 일반적으로 2.5 mT의 자기장을 생성한다(동일한 조건에서 측정). DC 세 번째 레일 전철화가 설치된 경우 '강력' 자석이 장착되고 녹색으로 칠해진다. 이는 세 번째 레일의 전류가 자체 자기장을 생성하여 '표준 강도' 자석을 압도하기 때문이다.

AWS는 주행선에서 대부분의 주요 측면 신호에 제공되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1]

  • 허용 속도가 30mph 이하이고 레이아웃이 복잡한 통과역. 이러한 경우 이를 ''AWS 갭'' 영역이라고 한다.
  • AWS 자석은 세마포어 정지 신호에는 제공되지 않는다(통과 또는 정지만 표시할 수 있음).
  • AWS 자석이 장착되지 않은 노선은 구간 부록에 표시된다.


5. 2. 홍콩

MTR 동철선 (도시간 열차)에서 MTR Corporation이 운영하는 지역 열차는 2012년부터 TBL을 사용하며, ATP/ATO로 개선되었다.[14] 2021년까지 CBTC로 업그레이드될 예정이었다.[15] 중국발 [급행 열차|특급 열차]]에도 사용된다.

5. 3. 호주

퀸즐랜드에서는 때때로 ATP로 개선된다. 퀸즐랜드는 무인 건널목 루프의 고정된 원방 신호에 영구 자석을 제공하기도 하는데, 이는 때때로 AWS 표지판과 함께 제공된다. 애들레이드에서도 사용된다.

5. 4. 대만

타이완 철도 관리국 EMU100, EMU200 시리즈는 ATS-SN/ATS-P와 함께 사용되었으며, 2006년 ATP로 대체되었다.[16]

5. 5. 라이베리아

라이베리아의 한 광산 철도에서는 억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두세 개의 극성 자석을 사용하고 레일 근처에 배치하는 더 진보된 AWS을 사용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BR 버전보다 더 많은 신호를 제공할 수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WS & TPWS Handbook: Section 1.1.3 "The purpose of AWS" https://www.rssb.co.[...] RSSB 2017-02-07
[2] 서적 Vanns 1997
[3] 뉴스 The Inventor 1873-10-24
[4] 특허 Automatic safety appliance for railway vehicles against overrunning of signals
[5] 특허 Electric Signaling System
[6] 서적 London's Local Railways David & Charles 1978
[7] 간행물 The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of the Great Western Railway G. W. R. Swindon Engineering Society 1936-03-10
[8] 특허 Railway Signalling System
[9] 서적 Report on the Double Collision which occurred on 8th October, 1952, at Harrow and Wealdstone Station in the London Midland Region British Railways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1953-06-12
[10] 웹사이트 AWS & TPWS Handbook: Section 1.4 "AWS indications and their meanings" https://www.rssb.co.[...] RSSB 2018-09-24
[11] 웹사이트 Alfred Ernest Hudd - Graces Guide https://www.gracesgu[...] 2019-08-06
[12] 서적 AWS and TPWS Interface Requirements Rail Safety and Standards Board 2018-03
[13] 웹사이트 Master Rulebook: Signals, hand signals, indicators and signs handbook. Section 7.2 "Warning indicators" https://www.rssb.co.[...] Network Rail 2017-03-07
[14] 웹사이트 MTR East Rail Line: an intro http://www.checkerbo[...] 2011-03-15
[15] 웹사이트 MTR awards East Rail upgrading contracts http://www.railwayga[...] 2012-12-21
[16] 뉴스 New Railway Signal Experiments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13-12-13
[17] 웹인용 AWS & TPWS Handbook: Section 1.1.3 "The purpose of AWS" https://www.rssb.co.[...] RSSB 2017-02-07
[18] 웹인용 AWS & TPWS Handbook: Section 1.1.3 "The purpose of AWS" https://www.rssb.co.[...] RSSB 2017-02-07
[19] 웹인용 AWS & TPWS Handbook: Section 1.1.3 "The purpose of AWS" https://www.rssb.co.[...] RSSB 2017-02-07
[20] 웹인용 AWS & TPWS Handbook: Section 1.1.3 "The purpose of AWS" https://www.rssb.co.[...] RSSB 2017-02-07
[21] 웹인용 AWS & TPWS Handbook: Section 1.1.3 "The purpose of AWS" https://www.rssb.co.[...] RSSB 2017-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