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바이오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바이오네는 달걀 노른자에 설탕을 넣고 거품을 낸 후, 데우면서 마르살라 와인, 셰리주, 백포도주 등의 양주를 더해 졸인 커스터드 크림이다. 르네상스 시대에 기원을 둔 이탈리아의 디저트로, 19세기 중반 프랑스로 건너가 사바용으로 발전했다. 디저트로 먹거나 티라미수 등 서양 과자용 소스로 사용되며, 지역에 따라 파네토네에 곁들여 먹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루과이의 후식 - 브레드 푸딩
    브레드 푸딩은 남은 빵을 재활용하여 만든 디저트로, 11세기 잉글랜드에서 유래되었으며, 계란과 우유가 추가되어 다양한 변형을 거쳐 여러 국가에서 즐겨 먹는 음식이다.
  • 우루과이의 후식 - 추로
    추로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전통 음식으로, 밀가루 반죽을 기름에 튀겨 만들며 기원은 로마 시대 프리터, 중국 유탸오, 스페인 목동의 빵 대용 등 다양한 설이 있고, 현재는 전 세계에서 핫 초콜릿과 함께 즐겨 먹는다.
  • 커스터드 디저트 - 호박 파이
    호박 파이는 호박을 주재료로 한 파이로, 특히 미국과 캐나다에서 추수감사절의 대표적인 디저트이며, 1796년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의 레시피가 등장하여 19세기 초부터 추수감사절 만찬의 메뉴로 자리 잡았다.
  • 커스터드 디저트 - 나나이모 바
    나나이모 바는 캐나다 나나이모에서 유래하여 웨하스 바닥, 크림층, 초콜릿 윗면으로 이루어진 과자이며, 1953년 요리책에 처음 등장한 이후 캐나다를 대표하는 디저트로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 이탈리아의 후식 - 젤라토
    젤라토는 이탈리아 전통 수제 방식으로 만든 아이스크림으로, 낮은 공기 함량과 유지방 함량으로 인해 일반 아이스크림보다 밀도가 높고 칼로리가 낮으며, 16세기 이탈리아에서 기원하여 여러 인물의 기여와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이탈리아에서는 수제 젤라토가 여전히 인기 있다.
  • 이탈리아의 후식 - 카사타
    카사타는 10세기 시칠리아 이슬람 에미르국 시대 팔레르모에서 기원한 시칠리아 디저트로, 리코타 치즈를 사용한 둥근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와 변형이 존재하며, 미국과 인도 등지에서도 독특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자바이오네 - [음식]에 관한 문서
요리 정보
국가이탈리아
지역피에몬테주
종류디저트
주요 재료달걀 노른자, 설탕, 스위트 와인
이름
이탈리아어zabajone / zabaione / zabaglione
로마자 표기Jabaione
일본어ザバイオーネ (Zabaione)
설명
특징달걀, 설탕, 와인으로 만든 이탈리아 디저트

2. 역사

자바이오네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르네상스 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6][7] 초기 자바이오네에는 설탕 대신 꿀이나 단맛이 있는 와인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4세기 이탈리아에 이미 자바이오네 레시피가 존재했지만, 초기에는 달걀 노른자를 이용해 걸쭉하게 만들고 향신료를 더한 와인 칵테일을 지칭했다. 이후 달걀 노른자의 양을 늘려 소스나 크림 형태로 만드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이 기법은 19세기 중반 프랑스로 건너가 사바용으로 발전했으며, 20세기에는 짠맛 요리나 마요네즈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있다.

토스카나에서는 16세기부터 자바이오네가 알려져 카트린 드 메디치의 궁정에서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6] 16세기 카테리나 데 메디치 궁정에서는 자바이오네와 비슷한 크림 과자가 있었다고 한다. 피에몬테에서는 성 파스칼 바일론을 기리기 위해 '삼바욘'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한다.[7] 그러나 에밀리아-로마냐에서는 1471년 용병대장 조반니 발리오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는 설이 있는데, 그의 부하들이 계란, 꿀, 백포도주, 허브밖에 구할 수 없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7] 17세기 토리노에서 요리사의 수호 성인 을 기념하기 위해 고안된 음료, 17세기 베네치아에서 먹었던 달마티아 유래의 "자바야"라는 크림 또한 자바이오네의 기원으로 언급된다.

자바이오네는 달걀 노른자에 설탕을 넣고 거품을 낸 후, 데우면서 마르살라 와인, 셰리주, 백포도주 등의 양주를 더해 졸인 커스터드 크림이다.[13] 디저트로 먹거나, 티라미수 등 서양 과자용 소스로 사용된다.[14] 롬바르디아 주에서는 파네토네에 곁들여 먹기도 한다.

2. 1. 기원과 전설

자바이오네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르네상스 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6][7] 초기 자바이오네에는 설탕 대신 꿀이나 단맛이 있는 와인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4세기 이탈리아에 이미 자바이오네 레시피가 존재했지만, 초기에는 달걀 노른자를 이용해 걸쭉하게 만들고 향신료를 더한 와인 칵테일을 지칭했다. 이후 달걀 노른자의 양을 늘려 소스나 크림 형태로 만드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이 기법은 19세기 중반 프랑스로 건너가 사바용으로 발전했으며, 20세기에는 짠맛 요리나 마요네즈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있다.

토스카나에서는 16세기부터 자바이오네가 알려져 카트린 드 메디치의 궁정에서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6] 16세기 카테리나 데 메디치 궁정에서는 자바이오네와 비슷한 크림 과자가 있었다고 한다. 피에몬테에서는 성 파스칼 바일론을 기리기 위해 '삼바욘'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한다.[7] 그러나 에밀리아-로마냐에서는 1471년 용병대장 조반니 발리오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는 설이 있는데, 그의 부하들이 계란, 꿀, 백포도주, 허브밖에 구할 수 없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7] 17세기 토리노에서 요리사의 수호 성인 을 기념하기 위해 고안된 음료, 17세기 베네치아에서 먹었던 달마티아 유래의 "자바야"라는 크림 또한 자바이오네의 기원으로 언급된다.

자바이오네는 달걀 노른자에 설탕을 넣고 거품을 낸 후, 데우면서 마르살라 와인, 셰리주, 백포도주 등의 양주를 더해 졸인 커스터드 크림이다.[13] 디저트로 먹거나, 티라미수 등 서양 과자용 소스로 사용된다.[14] 롬바르디아 주에서는 파네토네에 곁들여 먹기도 한다.

2. 2. 프랑스 전파와 발전

프랑스는 1800년대에 자바이오네 레시피를 디저트 크림인 ''사바용''(sabayon)으로 자국의 소스 체계에 포함시켰다. 20세기에는 ''사바용''이라는 이름이 풍미가 강한 국물과 노른자를 기반으로 한 소스를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9]

3. 제조법

클래식 자바이오네는 중탕으로 익힌 날달걀 노른자를 사용하며, 대부분 마르살라 와인과 함께 제공된다.[8] 다른 와인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8] 휘저은 달걀 흰자(머랭) 또는 때로는 휘핑 크림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가끔 와인은 어린이 또는 알코올 음료를 삼가는 사람들에게 제공될 때 생략된다. 이 경우, 매우 다른 디저트가 된다. 자바이오네의 간단한 버전은 ''우오보 스바타토''라고 불리며, 특히 에스프레소로 맛을 낸 경우 주로 아침 식사 메뉴로 여겨진다.

4. 지역별 특징

참조

[1] 웹사이트 REGIONE PIEMONTE BU16 21/04/2016 : Deliberazione della Giunta Regionale 18 aprile 2016, n. 16-3169 : D.lgs. n. 173/98, art. 8 e D.M. n. 350 del 8 settembre 1999 - Individuazione elenco aggiornato dei prodotti agroalimentari tradizionali del Piemonte. VI aggiornamento. https://www.regione.[...] 2022-03-09
[2] 서적 On Food and Cooking: The Science and Lore of the Kitche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6-11-27
[3] 웹사이트 Chef Foster: Hard to Pronounce Treats Offer a Pleasant Surprise with Seasonal Ingredients Added http://www.nkytribun[...] 2016-09-02
[4] 웹사이트 Luscious Treats Abound at Dulce D Leche Gelato café https://www.bostongl[...] 2016-09-23
[5] 웹사이트 Frozen Espresso Zabaglione https://cooking.nyti[...] The New York Times
[6] 웹사이트 A 15th-century recipe for Zabaglione, the famous Italian dessert https://coquinaria.n[...] 2022-03-09
[7] 웹사이트 Tunisian sabayon https://www.196flavo[...]
[8] 웹사이트 Creamy Indulgence of Zabaglione Whisk, Whisk, Whisk your Way to a Luscious Italian Custard https://web.archive.[...] 2013-06-26
[9] 웹사이트 Definition of SABAYON https://www.merriam-[...] 2017-12-06
[10] 웹사이트 żabaióne in Vocabolari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2-12-31
[11] 문서 LO ZABAIONE, ANTICA SPECIALITA' DELLA CUCINA PIEMONTESE di Carola Chiadò http://www.lacultura[...]
[12] 문서 InsideHalton Article: What's Cookin': Sabayon vs zabaglione— what's the difference? http://www.insidehal[...]
[13] 문서 Zabajone: Ricette Dolci | Cookaround http://www.cookaroun[...]
[14] 문서 Il tiramisù allo zabaglione http://www.gennari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