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본잉여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본잉여금은 기업이 주식을 액면가 이상으로 발행하거나, 자본 감소, 합병, 자산 재평가 등을 통해 발생하는 잉여금으로, 주주 자본의 일부를 구성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자본준비금, 재평가적립금, 기타 자본잉여금으로 분류하며, 해외에서는 주식 할증금 계정으로 관리된다. 영국과 네팔 등에서는 자본잉여금의 사용 목적과 관련된 법적 규정을 두고 있으며, 이는 채권자 보호 장치의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정 과목 - 자본
    자본은 경제학에서 생산의 3요소 중 하나이며 회계학에서는 순자산을, 법학에서는 출자액을 의미하고, 잉여가치 창출 및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개념이다.
  • 계정 과목 - 매출액
    매출액은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로 얻은 수익을 나타내는 경영 지표로, 순매출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순이익 등으로 구분되며 손익계산서에 기록되어 재무상태 분석에 활용된다.
  • 회계 - 감가상각
    감가상각은 시간 경과, 사용, 노후화에 따른 자산 가치 감소를 회계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으로, 취득 원가를 내용연수에 걸쳐 배분하여 수익과 비용을 일치시키고 재무 상태 파악에 기여하며, 유형자산에 적용되지만 토지 등은 제외되고, 정액법, 정률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세법상 한도가 제한되고 국가별로 상이한 제도를 운영한다.
  • 회계 - 배당
    배당은 기업이 이익을 주주에게 분배하는 것으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최초로 정기적인 배당을 지급한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신뢰도 향상 및 자본 조달에 기여하고, 현금, 주식, 현물 등 다양한 형태로 지급되며, 배당 수익률, 배당 성향 등으로 평가된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자본잉여금
개요
정의자본잉여금은 회사의 자본 거래에서 발생하는 잉여금을 의미함.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자산수증이익, 채무면제이익 등이 포함됨
세부 항목
주식발행초과금액면가액을 초과하여 주식을 발행할 때 발생하는 잉여금임
감자차익감자 시 소각된 주식의 액면가액과 실제로 지급된 금액의 차액에서 발생하는 이익임
자산수증이익회사에 무상으로 자산이 유입되어 발생하는 이익임
채무면제이익채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받음으로써 발생하는 이익임
회계 처리
자본잉여금 증가(차변) 자산 (증가)
(대변) 자본잉여금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자산수증이익, 채무면제이익)
자본잉여금 감소자본잉여금은 결손 보전이나 자본전입에 사용될 수 있음.
관련 법규
상법자본잉여금의 사용 및 처분에 관한 규정을 포함함
참고 사항
중요성자본잉여금은 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며, 주주에게 배당할 수 있는 재원이 될 수 있음
주의자본잉여금은 이익잉여금과는 달리 배당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므로 관련 법규를 확인해야 함

2. 자본잉여금의 종류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자본잉여금은 크게 자본준비금, 재평가적립금, 기타 자본잉여금으로 분류된다. 자본준비금은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합병차익 등으로 구성된다. 재평가적립금은 기업이 사업용 고정자산을 재평가하여 발생한 평가이익을 쌓아둔 것이다. 기타 자본잉여금에는 보험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자산수증이익, 채무면제이익 등이 있다.[2]

2. 1. 자본준비금

자본준비금은 주식발행시 액면가를 초과한 금액, 자본감소의 경우 감소액이 반환액을 초과한 금액, 회사합병의 경우 소멸된 회사의 순자산액을 의미한다.[2] 많은 기업들은 법적 요건에 따라 액면가가 있는 주식을 발행하는데, 액면가는 흔히 사용되는 최소 통화 단위(예: 1cent 또는 0.01USD)로 설정된다. 기업은 이후 이 주식을 훨씬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액면가를 초과하여 받은 모든 할증금은 자본잉여금으로 처리된다.[3]

영국 회사법 2006년 제610조에 따르면, 영국의 주식 할증금 계정은 특정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2008년에 관련 법이 개정되어 주식 할증금 계정을 주식 자본으로 전환한 다음 주식 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를 통해 사실상 2단계 과정을 거쳐 주식 할증금 계정을 없앨 수 있게 되었다.[4]

네팔 회사 조례 1984년 제84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조항내용
1회사가 현금 또는 그 외의 방식으로 주식을 할증 발행하는 경우, 해당 주식의 할증금의 총액 또는 가치와 동일한 금액은 "주식 할증금 계정"이라는 계정으로 이체되어야 한다.
2주식 할증금 계정은 회사가 미발행 주식을 회원에게 전액 지급된 보너스 주식으로 배정하거나 다음의 항목을 상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2-(a)회사의 창업 비용
2-(b)회사의 주식 또는 사채 발행과 관련된 비용, 수수료 지급 또는 할인 허용
2-(c)회사의 사채 상환 시 지급할 할증금 충당.
3회사의 주식 자본 감소에 관한 법률 규정은 주식 할증금 계정이 회사의 납입 자본의 일부인 것처럼 적용된다.



회사의 주식 할증금 계정은 채권자 완충 장치의 일부이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자산부채주주 자본
현금: 450USD없음



주식 할증금 = 발행된 신주 수 x (발행 가격 - 액면가)

2. 2. 재평가적립금

자산재평가법에 의거해 기업이 사업용 고정자산을 재평가함으로써 발생한 평가익을 적립한 것이다.[1]

2. 3. 기타 자본잉여금

보험차익, 자기주식 처분이익, 자본 보전을 위한 자산 증여익 및 채무 면제 이익 등이 기타 자본잉여금에 해당한다.[1]

3. 해외의 자본잉여금 제도

많은 기업은 법적 요건에 따라 액면가가 있는 주식을 발행하는데, 액면가는 흔히 사용되는 최소 통화 단위(예: 1cent 또는 0.01USD)로 설정된다. 기업은 이후 이 주식을 훨씬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는데, 이는 액면가가 시대에 뒤떨어진 허구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액면가를 초과하여 받은 모든 할증금은 자본잉여금으로 처리된다. 주식 할증금은 발행된 신주 수 x (발행 가격 - 액면가)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재무 상태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보자.


  • 자산: 현금 450USD
  • 부채: 없음
  • 주주 자본:
  • 보통주: 100USD
  • 우선주: 25USD
  • 주식 할증금: 325USD

3. 1. 영국

영국 회사법 2006년 제610조[2]에 따르면, 영국의 주식 할증금 계정은 특정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2008년에 관련 법률이 크게 완화되어 주식 할증금 계정을 주식 자본으로 전환한 다음 주식 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를 통해 사실상 2단계 과정을 거쳐 주식 할증금 계정을 없앨 수 있게 되었다.[3]

3. 2. 네팔

네팔 회사 조례 1984년 제84조에 따르면:[4]

(1) 회사가 현금 또는 그 외의 방식으로 주식을 할증 발행하는 경우, 해당 주식의 할증금 총액 또는 가치와 동일한 금액을 "주식 할증금 계정"이라는 계정으로 이체해야 한다.

(2) 주식 할증금 계정은 회사가 미발행 주식을 회원에게 전액 지급된 보너스 주식으로 배정하거나 다음 항목을 상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a) 회사의 창업 비용

(b) 회사의 주식 또는 사채 발행과 관련된 비용, 수수료 지급 또는 할인 허용

(c) 회사의 사채 상환 시 지급할 할증금 충당.

(3) (2)항을 전제로, 회사의 주식 자본 감소에 관한 본법의 규정은 주식 할증금 계정이 회사의 납입 자본의 일부인 것처럼 적용된다.

회사의 주식 할증금 계정은 채권자 완충 장치의 일부이다.

4. 자본잉여금의 활용

기업은 일반적으로 법적 요건에 따라 액면가가 있는 주식을 발행하며, 액면가는 최소 통화 단위(예: 0.01USD)로 설정된다. 기업은 이 주식을 액면가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액면가를 초과하여 받은 금액은 자본잉여금으로 처리된다.[2]

영국 회사법 2006년 제610조에 따르면, 영국의 주식 할증금 계정은 특정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2008년에 관련 법이 개정되어 주식 할증금 계정을 주식 자본으로 전환한 후, 주식 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를 통해 사실상 두 단계를 거쳐 주식 할증금 계정을 없앨 수 있게 되었다.[3]

네팔 회사 조례 1984년 제84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4]

{| class="wikitable"

|-

! 조항

! 내용

|-

| (1)

| 회사가 현금 또는 그 외의 방식으로 주식을 할증 발행하는 경우, 해당 주식의 할증금 총액 또는 가치와 동일한 금액을 "주식 할증금 계정"으로 이체해야 한다.

|-

| (2)

| 주식 할증금 계정은 다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a)회사의 창업 비용 상각
(b)회사의 주식 또는 사채 발행 관련 비용, 수수료 지급, 할인 허용 상각
(c)회사 사채 상환 시 지급할 할증금 충당



|-

| (3)

| 회사의 주식 자본 감소에 관한 법 규정은 주식 할증금 계정이 회사 납입 자본의 일부인 것처럼 적용된다.

|}

회사의 주식 할증금 계정은 채권자 보호 장치의 일부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자산, 부채, 주주 자본이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보자.


  • 자산: 현금 450USD
  • 부채: 없음
  • 주주 자본:
  • 보통주: 100USD
  • 우선주: 25USD
  • 주식 할증금: 325USD


이때 주식 할증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주식 할증금 = 발행된 신주 수 x (발행 가격 - 액면가)

5. 자본잉여금과 주주 자본

많은 기업들은 법적 요건에 따라 액면가가 있는 주식을 발행하는데, 액면가는 흔히 사용되는 최소 통화 단위(예: 1페니 또는 0.01USD)로 설정된다. 기업은 이후 이 주식을 훨씬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액면가는 시대에 뒤떨어진 허구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2]

액면가를 초과하여 받은 모든 할증금은 자본잉여금으로 처리된다. 영국의 경우, 영국 회사법 2006년 제610조에 따르면, 영국의 주식 할증금 계정은 특정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2008년에 관련 법이 크게 완화되어 주식 할증금 계정을 주식 자본으로 전환한 다음 주식 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를 통해 사실상 2단계 과정을 거쳐 주식 할증금 계정을 없앨 수 있게 되었다.[3]

네팔의 경우, 네팔 회사 조례 1984년 제84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4]


  • (1) 회사가 현금 또는 그 외의 방식으로 주식을 할증 발행하는 경우, 해당 주식의 할증금의 총액 또는 가치와 동일한 금액은 "주식 할증금 계정"이라는 계정으로 이체되어야 한다.

  • (2) 주식 할증금 계정은 회사가 미발행 주식을 회원에게 전액 지급된 보너스 주식으로 배정하거나 다음의 항목을 상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a) 회사의 창업 비용
  • (b) 회사의 주식 또는 사채 발행과 관련된 비용, 수수료 지급 또는 할인 허용
  • (c) 회사의 사채 상환 시 지급할 할증금 충당.

  • (3) 이를 전제로, 회사의 주식 자본 감소에 관한 본법의 규정은 주식 할증금 계정이 회사의 납입 자본의 일부인 것처럼 적용된다.


회사의 주식 할증금 계정은 채권자 완충 장치의 일부이다.

자산, 부채, 주주 자본 예시
자산부채주주 자본
현금: 450USD없음보통주: 100USD
우선주: 25USD
주식 할증금: 325USD



주식 할증금 = 발행된 신주 수 x (발행 가격 - 액면가)

참조

[1] 논문 The Accounting and Legal Issues of Capital Reserve, with Particular Emphasis on Capital Increase by Share Premium - Public Finance Quarterly Archive Articles https://www.penzugyi[...] 2020
[2] 웹사이트 Companies Act 2006 s610 (United Kingdom) http://www.legislati[...]
[3] 웹사이트 The Companies (Reduction of Share Capital) Order 2008 (United Kingdom) http://www.legislati[...]
[4] 웹사이트 companies ordinance 1984 (iNDIA) http://www.pcp.org.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