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류학은 인간과 관련된 모든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간의 기원, 신체적 특징, 행동, 문화, 사회 등을 탐구한다.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논의되었으며, 19세기에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출판 이후 큰 변화를 겪었다. 인류학은 문화 상대주의, 비교문화론, 총체적 접근 등의 관점을 가지며, 사회문화인류학, 생물인류학, 고고학 등 다양한 하위 분야로 나뉜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지조사, 참여관찰, 민족지학 등이 활용되며, 사회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와 융합하고 있으며, 윤리적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에 관한 - 문학
문학은 언어를 통해 심미적 효과를 추구하며 다양한 형식과 사조를 보이고, 저작권 및 감상과 비평을 통해 독자들과 소통하는 예술 분야이다. - 문화에 관한 - 철학
철학은 지혜를 사랑한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필로소피아'에서 유래한 학문으로, 지식과 지혜를 추구하는 삶의 태도를 의미하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19세기 일본에서 '철학'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 입력지원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입력지원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인류학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 인류학 - 민족지
민족지는 특정 문화, 사회, 집단에 대한 연구 방법이자 결과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람들의 사회적 의미와 일상 활동을 포착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변이를 연구, 해석하는 학문이다.
인류학 | |
---|---|
구글 지도 | |
개요 | |
학문 분야 | 인간, 인간 행동 및 사회에 대한 과학적 연구 |
하위 분야 | |
방법론 | |
주요 개념 | |
세부 분야 | |
관련 분야 |
2. 역사
집단 간의 차이를 논하는 것은 고대 이집트의 그림에서도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인류학"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했지만, 그 의미는 "남의 험담을 하는 사람, 또는 자랑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현대적 의미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고대 로마의 의사 갈레노스가 동물과 인류의 해부학적인 비교를 한 기록은 자연 인류학적인 최초의 보고로 여겨진다. 마그누스 헌트가 "인류학"을 현대적인 용법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E. 타이슨은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의 비교 해부를 한 기록을 남겼다.
칼 폰 린네는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인류, 긴꼬리원숭이, 여우원숭이, 박쥐를 영장목의 4속으로 하고, 인류 속에 호모 사피엔스와 유인원을 두었다. 뷔퐁은 기능적인 분석을 통해 인류의 진화와 인종에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까지 서구에서의 인류학 논의는 기독교회의 단일 기원설(아담으로부터 모든 인류가 태어났다는 교리)과 그 반론을 큰 틀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1856년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이 발견되고, 1859년 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을 출판하면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종의 기원』 출판 이후, 인류의 단일 기원설과 다중 기원설이 논의의 중심이었던 인류학은 인간의 신체적 특징이 어떻게 적응적 의미를 가지는가 하는 논의로 옮겨갔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인종관에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인종차별주의라는 용어는 인종별 우열이 과학적으로 존재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를 운영해야 한다는 당시의 비과학적인 주장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에 의해 널리 퍼졌다.[128]
2. 1. 19세기 이전
현대 인류학은 대륙발견시대에 기술적으로 발전해 있던 유럽 문화가 다양한 토착문화를 '야만' 또는 '원시' 문화로 규정하며 시작되었다.[5] 1647년, 코펜하겐 대학교의 초기 학자였던 바르톨린 가문은 l'anthropologie프랑스어를 신체와 각 부분을 고려하는 해부학과 영혼에 대해 논하는 심리학으로 나누어 정의했다.[5]이후 에티엔 세르가 비교 해부학에 기반한 인류의 자연사 또는 고생물학을 설명하기 위해, 장 루이 아르망 드 콰트르파주 드 브레오에 의해 프랑스 국립 자연사 박물관에 인류학 및 민족학 교수직이 신설되는 등 비정기적으로 일부 학문 분야에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 1839년에 설립된 파리 민족학회는 인종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창립자 윌리엄 프레데릭 에드워즈가 사망한 후 활동이 줄어 1862년에 해산되었다.[6]
1842년 뉴욕 민족학회가 설립되었고, 1843년에는 런던 민족학회가 설립되었다.[7] 당시의 인류학자들은 자유주의적이고 반노예제도적이며 인권 운동가를 지지했다. 19세기 초, 해부학, 언어학, 민족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이론가들은 연구 대상을 특징별로 비교하기 시작했고, 1850년대 후반 다윈과 월리스는 진화론을 발표했다.[8]
1859년 파리의 폴 브로카는 파리 인류학회를 결성하고 다윈의 저서를 읽고 '변형설'에 전향했다.[9][10] 그는 인류학을 "인간 집단을 전체적으로, 세부적으로, 그리고 자연의 나머지와의 관계에서 연구하는 것"으로 정의했다.[11] 브로카는 인간 뇌의 언어 중추인 브로카 영역을 발견했다. 독일 철학자 테오도르 바이츠는 『자연민족의 인류학』에서 일반 및 사회 인류학이라는 주제를 다루었다.[12] 그는 인류학이 비교 해부학, 생리학 및 심리학을 사용하여 인간을 "가장 가까운 동물"과 구별한다고 지적하며, 비교 데이터는 실험을 통해 수집된 경험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12]
1863년,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과 제임스 헌트는 런던 인류학회를 결성했다.[14] 초기 회원들 중에는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가 있었다. 다른 국가에서도 마드리드 인류학회(1865년), 미국 인류학회(1902년), 비엔나 인류학회(1870년), 이탈리아 인류학 및 민족학회(1871년) 등이 생겨났다. 루돌프 비르쇼가 설립한 베를린 인류학, 민족학 및 선사학회(1869년)는 진화론자들을 비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세기 마지막 30년 동안 인류학회와 협회가 급증했고, 주요 이론가들은 이러한 단체들에 속해 있었다. 1898년까지 13개국의 48개 교육 기관에서 인류학 교육 과정을 일부 제공했다.[15]
고대 이집트의 고대 그림에서도 집단 간의 차이를 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류학"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했지만, 그 의미는 현재와는 달랐다. 고대 로마의 의사 갈레노스는 동물과 인류의 해부학적인 비교를 한 기록을 남겼다. 마그누스 헌트는 "인류학"을 현대적인 용법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E. 타이슨은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의 비교 해부를 했다.
칼 폰 린네는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인류, 긴꼬리원숭이, 여우원숭이, 박쥐를 영장목의 4속으로 하고, 인류 속에 호모 사피엔스와 유인원을 두었다. 뷔퐁은 기능적인 분석을 하고, 인류의 진화와 인종에 영향을 주었다. 1856년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이 발견되고, 1859년 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을 출판함으로써 큰 변화가 일어났다.
『종의 기원』 이후, 인류학은 인간의 신체적 특징이 어떻게 적응적 의미를 가지는가 하는 논의로 옮겨갔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인종관에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인종차별주의라는 말은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에 의해 널리 퍼졌다.[128]
2. 2. 19세기
19세기 중반에 학문에 대한 종교적인 통제가 약화됨에 따라 인간의 기원, 인종 분류, 비교해부학, 언어와 같은 주제가 유행했고, 1859년 다윈이 〈종의 기원〉 출판을 통해 공식적으로 진화 개념을 언급함에 따라 인류발전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문화 발전에 대한 연구가 크게 활성화되었다.[8] 당대 유행하던 주제와 비교의 관점, 진화론·우생학 등 학문의 지적 유산에 영향을 받은 인류학은, 친족형태의 진화, 문명의 진화, 종교의 진화 등을 중심적으로 연구하며 인종주의 및 제국주의의 발흥에 기여하기도 했다. 이 때 (19세기 후반) 주류였던 인류학은 단선적인 역사개념을 토대로, 모든 인간집단은 문화적인 진화의 특정 단계들, 즉 '야만' 또는 '미개' 상태를 거쳐 '문명인'(예를 들면 서구 유럽인)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고 설명했다.같은 시기에 마르크스와 그 영향을 받은 사상가들은 그와는 다른 사회진화론을 주장했다. 마르크스의 이론에 따르면 한 사회의 경제적인 생산양식이 일련의 지배원리를 결정한다. 이 지배원리는 생산양식이 변한 후에도 한동안 지체되는 것이 특징이며, 그결과 지배원리와 생산양식 사이에 갈등이 일어남으로써 새로운 사회질서가 생긴다. 이러한 통일된 이론들은 여행가·상인·선교사 들이 수집한 지식을 바탕으로 씌어진 프레이저 경의 〈황금가지 The Golden Bough〉(1890) 같은 대중적인 저서와 달리 몇 년 안 되어 학문적으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1856년,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이 발견되고, 1859년에 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을 출판함으로써 격변이 일어난다.
『종의 기원』 이후, 그때까지 인류의 단일 기원설과 다중 기원설이 논의의 중심이었던 인류학은, 인간의 신체적 특징이 어떻게 적응적 의미를 가지는가 하는 논의로 옮겨간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인종관에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 명확해진다. 인종차별주의racism라는 말은, 인종별 우열은 과학적으로 존재하고 그것을 밟고 나아가려고 하는 당시 흔히 보였던 지금 와서는 비과학적인 주장을 비판하는 태도 속에서,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에 의해 세상에 널리 퍼졌다.[128]
문화인류학이 독자적으로 하나의 성숙한 사회과학 분과로 발전하는 동안 형질인류학은 자연현상에서 차지하는 인간의 위치를 규정하고, 인간과 다른 영장류 사이의 차이를 알아내고, 다양한 인종의 신체적인 차이를 분류하는 일에 계속 관심을 두었다. 19세기 후반 다윈의 진화론이 일반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진 가운데, 형질인류학자들은 고대인류를 추적하는 데 고고학자들과 고생물학자들의 발굴 성과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2. 2. 1.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이 독자적으로 하나의 성숙한 사회과학 분과로 발전하는 동안 형질인류학은 자연현상에서 차지하는 인간의 위치를 규정하고, 인간과 다른 영장류 사이의 차이를 알아내고, 다양한 인종의 신체적인 차이를 분류하는 일에 계속 관심을 두었다. 19세기 후반 다윈의 진화론이 일반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진 가운데, 형질인류학자들은 고대인류를 추적하는 데 고고학자들과 고생물학자들의 발굴 성과를 이용하기 시작했다.생물인류학과 체질인류학은 인간과 영장류를 그들의 생물학적, 진화적, 인구학적 차원에서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 인류학 연구를 설명하는 동의어이다. 이는 인간과 다른 영장류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고, 현대 유전적 및 생리적 변이를 생성, 유지 또는 변화시키는 생물학적 및 사회적 요인을 조사한다.[33]
2. 3. 20세기
20세기가 시작되면서 서구 유럽과 북아메리카 초기 인류학자들이 갖고 있던 강한 문화적인 편견은 점점 사라지고, 사회와 문화의 폭넓은 다양성에 대한 다원론적이고 상대주의적인 견해가 우세하게 되었다. 문화적 상대주의에 바탕을 둔 이 입장은 모든 문화를 물리적인 환경, 문화적인 접촉, 그밖의 다른 여러 가지 요소들의 독특한 산물로 파악했다. 이러한 견해에 뒤이어 경험적인 자료, 현지조사, 일정한 문화적·자연적 환경 안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행동에 관한 구체적인 증거를 강조하는 경향이 생겨났다. 이러한 접근방법을 행한 가장 주요한 본보기가 된 사람은 문화사학파의 시조로 알려진 독일 태생 미국의 인류학자 보아스였다. 1900년 초기에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진화론을 부정하고 고전적 인류학의 근간이 되는 네 가지 접근법 (언어학, 고고학, 문화인류학 그리고 체질인류학)의 기초를 닦았다. 보아스와 베네딕트, 미드, 사피어 등 그의 제자들은 20세기 전반을 통해 미국 인류학의 주류를 형성했다. 문화사학파는 문화적인 자료에 기능주의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한 문화에 속한 여러 다양한 양식·특징·관습을 조화시켜 표현하려 했다. 한편 프랑스의 경우 파리대학교의 민족학연구소 설립자인 모스는 인간사회를 자기조절 할 뿐 아니라, 문화통합체계를 보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총체적인 체계로 보는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시켰다.모스는 프랑스의 레비스트로스, 영국의 말리노프스키와 래드클리프브라운과 같이 이질적인 접근방법을 꾀한 이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말리노프스키는 계속 엄격한 기능주의적인 접근방법을 추구했으며, 래드클리프브라운과 레비스트로스는 구조주의 원리를 발전시켰다. 두 학파는 사회사를 사회이론의 토대로 보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별개의 방향으로 발전했다. 기능주의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사회현상을 분석하는 단 하나의 타당한 방법은 그 현상이 사회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하는 것이었다. 반면 구조주의자들은 사회구성원들이 신화와 상징을 통해서만 인식하는 폭넓은 현상의 구조적 성격 및 대상을 알아내려 했다.
1930년대에 베네딕트가 행한 미국 남서부 인디언에 관한 연구를 통해 문화심리학이라는 문화인류학의 파생분야가 생겨났다. 베네딕트의 주장에 따르면 문화는 천천히 발전하면서 구성원들에게 독특한 '심리적인 성향'을 갖게 하는데, 구성원들은 환경적인 요소에 상관없이 문화를 통해 정해진 방향을 따라 현실을 해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른바 전통사회는 물론, 현대사회의 문화적인 '통합' 또는 가치체계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는 것처럼 문화와 인성(人性)의 상호관계는 폭넓은 연구주제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인류학은 19세기 말 특수 학문 분야로서 크게 발전하였다. 그 후 20세기 초부터 빠르게 확장되어 세계의 많은 고등 교육 기관에 인류학과가 설립되었다. 수천 개의 인류학과가 생겨났고, 인류학 또한 소수의 주요 세부 분야에서 수십 개 이상으로 다양화되었다. 인류학적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 인류학이 등장했다. [16]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프란츠 보아스와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의 연구 이후, 영국의 사회인류학과 미국의 문화인류학은 다른 사회과학과는 달리 문화 간 비교, 장기간에 걸친 심층적인 맥락 조사, 그리고 참여 관찰 또는 연구 지역에 대한 경험적 몰입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특히 문화인류학은 문화 상대주의, 전체론, 그리고 연구 결과를 이용한 문화 비판의 제시를 강조해 왔다.[17] 이러한 경향은 미국에서 특히 두드러졌는데, 19세기 인종 이데올로기에 대한 보아스의 주장에서부터 마가렛 미드의 성 평등과 성적 해방 옹호, 그리고 현재의 탈식민주의 억압 비판과 다문화주의 옹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민족지는 주요 연구 설계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인류학 현장 연구에서 생성되는 텍스트이기도 하다.[29][18][19]
영국과 영연방 국가에서는 영국의 사회인류학 전통이 지배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프란츠 보아스가 20세기 초에 개발한 4분야 접근법에 따라 인류학이 전통적으로 나뉘어져 왔습니다. 즉, 생물 인류학 또는 물리 인류학, 사회 인류학, 문화 인류학 또는 사회문화 인류학, 고고학 인류학, 그리고 언어 인류학입니다. 이러한 분야는 종종 중복되지만 서로 다른 방법론과 기술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20]
해외 식민지를 가진 유럽 국가들은 민족학(1783년 아담 F. 콜라르가 만들고 정의한 용어)을 더 많이 연구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는 유럽 전통의 영향을 받은 세계 지역에서는 사회문화인류학으로 불리기도 합니다.[21]
제2차 세계 대전(WWII) 이전에는 영국의 '사회인류학'과 미국의 '문화인류학'이 여전히 구분되는 학문 전통이었다. 전쟁 후, 영국과 미국의 인류학자들이 서로의 아이디어와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차용하면서 일부 학자들은 이들을 통틀어 '사회문화인류학'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2. 3. 1. 형질인류학
20세기가 시작되면서 확실한 증거를 바탕으로 인종이 분류되었으며, 고등 영장류 사이의 차이점에 관한 개괄이 이루어졌다. 1900년 멘델의 일반유전법칙이 재발견되고, ABO식 혈액형계가 처음 발견되면서 종(種)의 진화적인 변화 개념은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20세기 후반 형질인류학자들은 두개골 화석에서 나타난 증거를 바탕으로 약 50만 년 동안의 인류진화과정을 도표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생물인류학과 체질인류학은 인간과 영장류를 그들의 생물학적, 진화적, 인구학적 차원에서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 인류학 연구를 설명하는 동의어이다. 이는 인간과 다른 영장류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고, 현대 유전적 및 생리적 변이를 생성, 유지 또는 변화시키는 생물학적 및 사회적 요인을 조사한다.[33]
2. 4. 현재
현대 인류학은 물리학, 생물학, 행동과학, 사회과학 등 폭넓은 전문 분야에 걸쳐 관심과 기법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원자 물리학은 방사성 탄소를 이용한 연대 측정법과 같은 기술 발전을 통해 고고학적 발굴물의 상대적 연대 측정에 기여했다.[16] 유전학 기술을 응용하여 혈액형을 조사함으로써 집시들이 원래 인도 태생이었다는 추측을 입증할 수 있었다. 여러 민족들의 가족관계, 근친상간 금기와 같은 종교적·법적인 관습을 이해하는 데에는 정신분석이론에 바탕을 둔 심리학의 원칙이 채택되고 있다.19세기 말 특수 학문 분야로서 크게 발전한 인류학은 20세기 초부터 빠르게 확장되어 세계의 많은 고등 교육 기관에 인류학과가 설립되었다.[16] 세계인류학협회협의회(WCAA)는 전 세계 인류학 분야의 소통과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국제 협회 네트워크로, 현재 약 30여 개국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16]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프란츠 보아스와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의 연구 이후, 영국의 사회인류학과 미국의 문화인류학은 문화 간 비교, 장기간에 걸친 심층적인 맥락 조사, 그리고 참여 관찰을 강조해 왔다.[17] 특히 문화인류학은 문화 상대주의, 전체론을 강조하고 연구 결과를 이용해 문화 비판을 제시한다.[17] 미국에서는 19세기 인종 이데올로기에 대한 보아스의 주장에서부터 마가렛 미드의 성 평등과 성적 해방 옹호, 그리고 현재의 탈식민주의 억압 비판과 다문화주의 옹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17][18][19] 민족지는 인류학 현장 연구에서 생성되는 텍스트이다.[29]
영국과 영연방 국가에서는 영국의 사회인류학 전통이, 미국에서는 4분야 접근법에 따라 생물 인류학 또는 물리 인류학, 사회 인류학, 문화 인류학 또는 사회문화 인류학, 고고학 인류학, 언어 인류학으로 인류학이 나뉘어져 있다.[20] 유럽 국가들은 민족학(1783년 아담 F. 콜라르가 만들고 정의한 용어)을 더 많이 연구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유럽 전통의 영향을 받은 세계 지역에서는 사회문화인류학으로 불리기도 한다.[21]
3. 관점
인류학의 관점은 크게 문화상대주의, 비교문화론, 총체적 접근(holistic approach)으로 나뉜다. 문화상대주의는 자신만의 관점으로 타문화를 평가하는 것을 경계하며, 특정 가치를 절대 기준으로 삼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되는 용어는 자문화중심주의이다.[29] 비교문화론은 연구 대상을 다른 문화와 비교하여 서술하는 것을 말한다. 절대적인 가치 기준 없이, 다른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서만 인류 공통의 문화에 대한 뿌리와 원리를 탐구할 수 있다. 총체적 접근은 특정 주제에 한정하지 않고, 분석적·기계적 관점으로 인간과 사회를 보는 것을 의식적으로 피하는 것을 뜻한다. 문화인류학은 총체론적 관점에서 사회와 문화를 정치, 종교, 역사, 경제, 법, 제도, 예술 등이 기계적으로 통합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총체"로 본다. 즉 종교가 곧 정치이고, 정치가 경제이며, 경제가 역사라는 관점을 강조한다.[29] 다시 말해, 하나의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 인간 개개인의 관념과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이 어떻게 전체와 연결되는지에 관심을 기울인다.
오늘날의 인류학자들은 과학적 객관성을 추구하며 문화 상대주의를 촉구한다.[29] 이는 다른 문화의 가치관으로 문화를 판단하지 않고, 각 문화의 고유한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조사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어떤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낫거나 나쁘다는 개념은 인류학에서 지양해야 한다.[94][95]
인류학은 집단 학살, 영아 살해, 인종차별, 성차별, 신체 훼손(할례 및 할례(남성) 포함), 고문을 인지하고 기록하는 윤리적 책무를 지닌다. 인종차별, 노예 제도, 인신 공양과 같은 주제는 인류학적 관심과 이론을 끌어들이며, 영양 결핍[96], 유전자[97], 문화 접변, 식민주의에 이르기까지 그 기원과 지속적인 재발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어 왔다. "인종차별"과 같은 주제 하나만으로도 모든 주요 및 하위 분야를 아우르는 수천 개의 인류학적 참고 자료를 찾을 수 있다.[98][99][100][101]
4. 분류
인류학은 영국에 전통을 둔 사회인류학, 미국에서 발전해 온 문화인류학,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민족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대 인류학은 개발인류학, 의료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고대 이집트의 그림에서도 집단 간 차이를 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인류학(アンスロポロジー)”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였지만, 그 의미는 현대와 달랐다. 고대 로마의 의사 갈레노스는 동물과 인류의 해부학적 비교를 기록했는데, 이는 자연 인류학적 최초의 보고로 여겨진다. 마그누스 헌트는 “인류학(アンスロポロジー)”을 현대적 용법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E. 타이슨은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의 비교 해부를 한 기록을 남겼다.
칼 폰 린네는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인류, 긴꼬리원숭이, 여우원숭이, 박쥐를 영장목의 4속으로 하고, 인류 속에 호모 사피엔스와 유인원을 두었다. 뷔퐁은 기능적인 분석을 하고, 인류의 진화와 인종에 영향을 주었다. 1856년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이 발견되고, 1859년 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을 출판하면서 인류학은 격변을 맞이했다.
『종의 기원』 이후, 인류학은 인간의 신체적 특징이 어떻게 적응적 의미를 가지는가 하는 논의로 옮겨갔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인종관에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인종차별주의라는 말은 인종별 우열은 과학적으로 존재한다는 비과학적인 주장을 비판하는 태도 속에서,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에 의해 널리 퍼졌다.[128]
1600년대에는 루소와 로크가 인식론적 접근법을 제시했고, 1800년대에는 스펜서, 타일러 등에 의해 진화론이 발상되고 인종적 분류법이 나타났다. 1900년대 초기에는 보아스가 미국 인류학계의 아버지로 불리며 많은 제자를 양성하고 다양한 문화에 대한 조사기록을 축적했다. 1920년대 영국에서는 말리노프스키와 래드클리프브라운에 의해 구조주의와 기능주의 인류학이 대두되었다.
4. 1. 역사에 따른 구분
인류학은 영국에 전통을 둔 사회인류학, 미국에서 발전해 온 문화인류학,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민족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대 인류학은 개발인류학, 의료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고대 이집트의 그림에서도 집단 간 차이를 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인류학(アンスロポロジー)”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였지만, 그 의미는 현대와 달랐다. 고대 로마의 의사 갈레노스는 동물과 인류의 해부학적 비교를 기록했는데, 이는 자연 인류학적 최초의 보고로 여겨진다. 마그누스 헌트는 “인류학(アンスロポロジー)”을 현대적 용법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E. 타이슨은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의 비교 해부를 한 기록을 남겼다.
칼 폰 린네는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인류, 긴꼬리원숭이, 여우원숭이, 박쥐를 영장목의 4속으로 하고, 인류 속에 호모 사피엔스와 유인원을 두었다. 뷔퐁은 기능적인 분석을 하고, 인류의 진화와 인종에 영향을 주었다. 1856년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이 발견되고, 1859년 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을 출판하면서 인류학은 격변을 맞이했다.
『종의 기원』 이후, 인류학은 인간의 신체적 특징이 어떻게 적응적 의미를 가지는가 하는 논의로 옮겨갔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인종관에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인종차별주의라는 말은 인종별 우열은 과학적으로 존재한다는 비과학적인 주장을 비판하는 태도 속에서,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에 의해 널리 퍼졌다.[128]
1600년대에는 루소와 로크가 인식론적 접근법을 제시했고, 1800년대에는 스펜서, 타일러 등에 의해 진화론이 발상되고 인종적 분류법이 나타났다. 1900년대 초기에는 보아스가 미국 인류학계의 아버지로 불리며 많은 제자를 양성하고 다양한 문화에 대한 조사기록을 축적했다. 1920년대 영국에서는 말리노프스키와 래드클리프브라운에 의해 구조주의와 기능주의 인류학이 대두되었다.
5. 연구 방법
인류학자는 현지조사(fieldwork, 현지연구, 현장연구, 현장조사 등으로 번역됨)를 통해 연구대상에게 다가간다. 이러한 방법론은 문헌연구의 허구성을 통렬히 반박하며 "발로 뛰는" 학문으로서 인류학의 실천적 성격을 형성하여왔다. 예를 들어 무문자사회를 연구하는 경우 1년 이상 현장 연구하는 것이 기본인데, 1년이란 기간은 지구상 대부분의 사회에서 기본적인 생활의 주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현지에서 인류학자는 먼저 해당 사회의 언어를 습득하고 라포르(rapport), 즉 현지인들과의 신뢰관계를 몇 개 월을 걸쳐서 먼저 확립하고, 실질적인 조사는 그 다음에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화인류학이라고 하면 무문자사회 또는 "미개사회"를 연구하는 것이라는 편견도 있다. 그러나 이때 무문자사회라는 것도 반드시 문명과 동떨어진 사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가 있더라도 문자로 기록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을 의미한다. 이처럼 '무문자사회'의 개념이 확장된 이유는 20세기 들어 국민교육이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하면서 무문자사회가 점차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문자가 있는 사회나 심지어는 예컨대 서구와 같은 "문명사회"에 대한 조사를 할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 현지조사 이전에 문헌조사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
현지조사는 내실적으로 참여관찰, 인터뷰, 설문조사법 등이 포함되는데, 그밖에 지도 그리기, 물질문화 수집, 영상촬영 및 녹음 등등의 다양한 방법이 동원된다. 또 현지조사를 할 경우에는 자신의 입장이 내부자적 입장인지 외부자적 입장인지에 따라 현지조사의 결과물인 민족지(ethnography, 문화기술지/민족지)의 서술 전략이 달라지므로 스스로의 입장에 대한 고민과 반추가 요구된다.
민족지학은 사회적 또는 문화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종종 참여 관찰을 포함하지만, 민족지학자는 사회적 상호작용 참여자들이 쓴 텍스트에서도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민족지학은 직접적인 경험과 사회적 맥락을 중요하게 여긴다.[37]
팀 잉골드는 민족지학과 인류학을 구분하며, 인류학은 일반적이고 새로운 환경에 적용 가능한 인간 경험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구성하려고 시도하는 반면, 민족지학은 충실성에 관심을 둔다고 주장한다.[38] 그는 인류학자는 자신의 글쓰기를 문학 및 다른 이론에 대한 이해와 일관되게 해야 하지만, 민족지학은 인류학자들에게 유용할 수 있으며 이 분야들이 서로 정보를 제공한다고 지적한다.[38]
6. 사회 기여
인류학은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사회와 폭넓고 깊은 영향 관계를 맺고 있다. 모든 학문은 당대의 관념을 반영하기에, 제국주의 시대의 인류학은 인종주의와 서구 중심주의(우월주의)의 근거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는 인류학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제국주의·식민주의 자체의 특성이며, 국민국가 형성기에 벌어진 타자화 과정 속에서 다른 학문들과 함께 저지른 과오이다.
인류학은 다른 학문과 달리 상대론적 세계관을 빠르게 확립하고, 연구 대상들과 인간적인 관계를 맺으며 그들의 입장을 대변하기 시작했다. 진화주의의 오류를 극복하고 문화를 현상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넘어, 인간 내면의 논리와 사고 연구에 집중하면서 지구촌 차원에서 모든 인간이 서로 평등함을 인식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소수민족 연구는 현대 도시 내에서 타자로 전락한 수많은 마이너리티들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의 기반이 되었으며, 오늘날 인류학은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앞장서서 각종 의제를 제기하고 기존 거대담론의 폭력성을 고발하고 있다.
7. 한국의 인류학
7. 1. 개요
7. 2. 관련 학회
7. 3. 주요 연구 분야
7. 4. 한국 사회에 대한 기여
8. 인류학의 하위 분야 (세부 분야)
인류학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을 포함하는 세계적인 학문이다. 인류학은 *호모 사피엔스*의 기원과 진화, 인간의 신체적 특징, 인간 행동, 서로 다른 인간 집단 간의 차이, *호모 사피엔스*의 진화적 과거가 사회 조직과 문화에 미친 영향 등을 포함한 자연 과학의 발견과 인간의 사회적, 문화적 관계, 제도, 사회 갈등 등의 조직을 포함한 사회 과학의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22][23] 초기 인류학은 고대 그리스와 페르시아에서 시작되었으며, 알 비루니(Al-Biruni)와 같은 이슬람 황금기 인물들이 관찰 가능한 문화적 다양성을 연구하고 이해하려고 시도했다.[24][25] 따라서 인류학은 인지 과학[26], 글로벌 연구, 그리고 다양한 민족 연구와 같은 여러 새로운(20세기 후반) 학제 간 분야의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클리포드 기어츠(Clifford Geertz)에 따르면,
사회문화 인류학은 구조주의 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이론, 그리고 현대 사회 분석으로의 전환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1970년대와 1990년대에는 이 학문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던 실증주의 전통에서 벗어나는 인식론적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 동안 지식의 본질과 생성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이 문화 및 사회 인류학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반면 고고학과 생물 인류학은 대체로 실증주의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이러한 인식론적 차이로 인해 인류학의 네 가지 하위 분야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결합력이 부족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이학부나 의학부에 속하는 생물학 계열의 자연인류학을 전통적으로 인류학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고, 사회과학계열 학부에 설치된 민족학(문화인류학)은 제도상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학회도 자연인류학의 일본인류학회[125]와 문화인류학의 일본문화인류학회(구칭·일본민족학회)[126] 등으로 나뉘어 있다. 또한 인류 공통의 기반 연구로서의 하위 분야로 영장류학이 위치지어지기도 한다.[127]
아래에 일본의 인류학 관련 학회 협의회에 참가하는 학회를 기술한다.
- 문화인류학
- 생리인류학
- 영장류학
- 인류학
- 민속학
참고로, 문화인류학이나 자연인류학은 방법론이나 구체적인 현상 명칭에 따라 세분화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각각의 하위 분야에 대해서는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미국에서는 인류학이 다음 4개 분야로 구성된다. 이 4개 분야를 통틀어 종종 4분야 인류학(Quadrant Anthropology), 종합 인류학(general anthropology)이라고 한다.
#선사고고학(Archaeology)
#언어학(언어인류학(Linguistic Anthropology))
#생물인류학(Biological Anthropology)
#민족학·민속학·문화인류학(Cultural Anthropology)
8. 1. 사회문화 인류학
문화사회인류학은 문화인류학과 사회인류학의 주요 축을 통합한 학문이다. 문화인류학은 사람들이 주변 세계를 이해하는 다양한 방식을 비교 연구하는 학문인 반면, 사회인류학은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28] 문화인류학은 철학, 문학 및 예술과 더 관련이 있으며(개인의 문화가 자아와 집단에 대한 경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사람들의 지식, 관습 및 제도에 대한 더 완전한 이해에 기여하는지), 사회인류학은 사회학과 역사와 더 관련이 있다.[28] 이를 통해 사회 구조(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다른 집단, 예: 소수 민족, 하위 집단, 반체제 인사 등)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둘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으며, 이러한 범주는 상당한 정도로 중복된다.문화사회인류학의 연구는 부분적으로 문화 상대주의에 의해 이끌어진다. 문화 상대주의는 다른 사회를 그 사회 고유의 문화적 상징과 가치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29] 자체 조건으로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은 문화 간 비교에서 환원주의를 완화한다.[30] 이러한 연구는 종종 민족지학 분야에서 이루어진다. 민족지학은 방법론과 민족지학적 연구의 결과물(즉, 민족지학적 단행본)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방법론으로서 민족지학은 특정 공동체 또는 다른 연구 현장에서 장기간의 현장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참여관찰은 사회 및 문화 인류학의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31] 민족학은 서로 다른 문화를 체계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참여관찰 과정은 내재적 관점(개념적, 대 외재적 관점 또는 기술적)에서 문화를 이해하는 데 특히 도움이 될 수 있다.
혈연과 사회 조직의 연구는 혈연이 인간 보편성이기 때문에 문화사회인류학의 중심 초점이다. 문화사회인류학은 또한 경제, 정치 조직, 법과 갈등 해결, 소비 및 교환 패턴, 물질 문화, 기술, 기반 시설, 성별 관계, 민족성, 육아 및 사회화, 종교, 신화, 상징, 가치관, 에티켓, 세계관, 스포츠, 음악, 영양, 레크리에이션, 게임, 음식, 축제 및 언어(언어인류학에서도 연구 대상임)를 다룬다.
산업화된(및 탈산업화된) 서구를 포함하여 문화 간 비교는 문화사회인류학의 방법에서 핵심 요소이다. 표준 문화 간 표본(SCCS)에는 186개의 문화가 포함된다.[32]
8. 1. 1. 예술, 미디어, 음악, 무용 및 영화 인류학
- 예술 인류학은 문화 현상으로서 '예술'의 보편성 문제를 다룬다. 서구의 '회화', '조각', '문학' 범주가 비서구 문화에서는 다른 형태로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미적' 특징을 가진 대상의 형식적 특징에 초점을 맞춘다.[39] 보아스의 『원시 미술(Primitive Art)』,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가면의 길(The Way of the Masks)』(1982), 게르츠의 '문화 시스템으로서의 예술(Art as Cultural System)』(1983) 등이 이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 미디어 인류학(매체 인류학 또는 대중매체 인류학)은 민족지 연구를 통해 대중매체의 제작자, 대중, 그리고 다른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이해하고자 한다. 신문 편집실, 현장 기자, 영화 제작, 매체 수용, 일상적인 반응, 사이버 인류학, 사회 운동 등 다양한 맥락을 탐구한다.[40]
- 민족음악학은 음악의 문화적, 사회적, 물질적, 인지적, 생물학적 차원 및 맥락을 강조하는 학문 분야이다. 교육, 정치, 문화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1950년경 야프 쿤스트(Jaap Kunst)에 의해 "민족음악학"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학술지 ''Ethnomusicology''와 민족음악학회가 설립되었다.[41]
- 시각 인류학은 민족지학적 사진, 영화, 뉴미디어의 연구와 제작, 공연, 박물관, 예술, 대중매체의 제작과 수용을 포함한 시각적 표상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를 포함한다. 모래 그림, 문신, 조각, 동굴 벽화, 보석류, 상형 문자, 그림, 사진 등 모든 문화권의 시각적 표상이 연구 대상이다.[42]
8. 1. 2. 경제, 정치경제, 응용 및 개발 인류학
경제인류학은 인간의 경제 행위를 가장 넓은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범위에서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경제학이라는 학문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경제학을 매우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인류학의 하위 분야로서의 기원은 폴란드계 영국 인류학자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와 그의 프랑스 동료 마르셀 모스가 시장 교환의 대안으로서 선물 교환(또는 상호부조)의 본질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된다. 경제인류학은 대부분 교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에 마르크스에서 유래한 정치경제학이라는 사상은 생산에 초점을 맞춘다.[43] 경제인류학자들은 경제학자들에 의해 밀려났던 원시 사회 연구라는 틈새에서 벗어나 이제 인류학적 관점에서 기업, 은행 및 세계 금융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44]
인류학에서의 정치경제학은 비자본주의 사회를 포함하여, 자본주의 사회에 국한되지 않는 전통적인 인류학적 관심사에 역사적 유물론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정치경제학은 사회 구조와 문화에 대한 비역사적인 인류학 이론에 역사와 식민주의에 대한 질문을 제기했다. 세 가지 주요 관심 분야가 빠르게 발전했다. 첫 번째 분야는 진화론적인 "부족" 고정관념에 종속된 "자본주의 이전" 사회에 대한 것이었다. 사흘린(Sahlin)의 수렵 채집 사회를 "원초적으로 풍요로운 사회"로 규정한 연구는 그러한 이미지를 많이 해소하는 데 기여했다. 두 번째 분야는 당시 세계 인구의 대다수였던 농민들에 대한 것이었는데, 그들 중 많은 수가 베트남과 같은 복잡한 혁명 전쟁에 참여했다. 세 번째 분야는 식민주의, 제국주의, 그리고 자본주의 세계 체제의 창출에 대한 것이었다.[45] 최근에는 이러한 정치경제학자들이 전 세계의 산업(및 산업 이후) 자본주의 문제를 더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응용 인류학은 인류학의 방법과 이론을 실질적인 문제 분석 및 해결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관련된 연구 기반의 도구적 방법들의 복합체로서, 자료 제공, 직접적인 행동 개시, 그리고/또는 정책 수립을 통해 특정 문화 시스템에 변화 또는 안정성을 가져온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46] 응용 인류학은 인류학 연구의 실용적인 측면이며, 연구자의 참여와 참여 공동체 내 활동을 포함한다. 이는 개발 인류학(더 비판적인 개발 인류학 연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개발인류학은 개발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다루는 문제와 접근 방식의 함의는 핵심적인 개발 목표가 빈곤 완화임에도 불구하고 빈곤이 증가하는 이유, 계획과 결과 사이에 그러한 격차가 존재하는 이유, 개발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역사와 그 역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훈을 기꺼이 무시하는 이유, 개발이 내부적 토대를 갖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으로 추진되는 이유 등을 고찰하는 것을 포함한다. 간단히 말해, 계획된 개발이 왜 그렇게 많이 실패하는가 하는 이유이다.
8. 1. 3. 혈연, 페미니즘, 젠더 및 섹슈얼리티 인류학
'''혈족'''은 하나 이상의 인간 문화에서 사회적 관계의 패턴을 연구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사회적 관계의 패턴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인류학은 역사적으로 "혈통", "혈족 집단", "혈족", "인척", "혈족", 그리고 심지어 "의사 혈족"과 같은 여러 관련 개념과 용어들을 개발해 왔다. 넓게 보면, 혈족 패턴에는 혈통(발달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으로 맺어진 사람들과 결혼으로 맺어진 친척들이 포함될 수 있다. 혈족 내에는 두 가지 다른 가족이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생물학적 가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DNA를 공유하는 사람들이다. 이것은 혈족 또는 "혈연"이라고 한다.[47] 사람들은 또한 가족의 일원으로 삼고 싶은 사람들을 선택하는 선택 가족을 가질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사람들이 생물학적 가족보다 선택 가족과 더 가깝다.[48]
페미니스트 인류학은 고고학, 생물인류학, 문화인류학, 언어인류학의 네 가지 분야에 걸친 접근 방식으로, 연구 결과, 인류학 채용 관행, 그리고 학술적 지식 생산에서 남성 중심적 편향을 줄이려는 노력을 한다. 인류학은 종종 비서구권 페미니스트들과 교류하며, 그들의 관점과 경험은 유럽, 미국 등 서구권 백인 페미니스트들의 관점과 경험과 다를 수 있다. 서구 세계의 관점에서 보면, 역사적으로 이러한 '주변부'의 관점들은 무시되어 왔고, 외부자의 관점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서구 세계의 지식보다 덜 유효하거나 덜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49] 소외된 인종 또는 민족 집단 출신 여성에 대한 이중적인 편견을 탐구하고 해결하는 것은 교차적 페미니스트 인류학에서 특히 중요하다.
페미니스트 인류학자들은 자신들의 연구가 "인류학(및 학계)의 가부장적 기원"으로 시작되는 체계적인 편향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인류학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며, 1891년부터 1930년까지 인류학 박사 학위는 85% 이상이 남성에게 돌아갔고, 81% 이상이 35세 미만이었으며, 40세 이상에게는 7.2%만 돌아갔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제1파 페미니스트들이 인류학 분야에 종사하는 데 있어 나이 차이가 있었음을 반영한다.[50] 이러한 체계적인 편향의 수정에는 주류 페미니스트 이론, 역사, 언어학, 고고학 및 인류학이 포함될 수 있다. 페미니스트 인류학자들은 종종 사회 전반에 걸친 성별 구성에 관심을 갖는다. 성차별주의를 연구할 때 성별 구성은 특히 중요하다.
세인트 클레어 드레이크에 따르면, 베라 메이 그린은 "1960년대 중반까지" 유일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인류학자이자 카리브해 전문가였다. 그녀는 미국뿐만 아니라 카리브해 지역의 민족 및 가족 관계를 연구했으며, 이를 통해 흑인의 삶, 경험 및 문화 연구 방식을 개선하려고 노력했다.[51] 그러나 조라 닐 허스턴은 종종 주로 문학 작가로 여겨지지만 프란츠 보아스에게 인류학 교육을 받았고, 카리브해의 부두에 대한 "인류학적 관찰"을 담은 ''Tell my Horse''(1938)를 출판했다.[52]
페미니스트 인류학은 출생 인류학[53]을 전문 분야로 포함하는데, 이는 문화와 사회 내에서 임신과 출산을 인류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8. 1. 4. 의료, 영양, 심리, 인지 및 초개인 인류학
의학 인류학은 "인간의 건강과 질병, 의료 시스템, 그리고 생물문화적 적응"을 연구하는 학제 간 분야이다.[54] 윌리엄 코델(William Caudell)이 의학인류학 분야를 처음 발견한 사람으로 여겨진다. 현재 의학인류학 연구는 인류학 전반에서 주요 성장 분야 중 하나이다. 의학인류학은 다음 여섯 가지 기본 분야에 초점을 맞춘다.[55]- 의학 지식 및 의료 시스템의 발전
- 환자-의사 관계
- 문화적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대체 의료 시스템의 통합
- 개인과 전체 공동체 모두의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적, 생물학적 요인의 상호 작용
- 정신과 서비스와 이주민 집단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 (''비판적 민족정신의학'': Beneduce 2004, 2007)
- 비서구적 환경에서 생의학 및 생의학 기술의 영향
전 세계적으로 의학인류학의 중심이 된 다른 주제로는 폭력과 사회적 고통(Farmer, 1999, 2003; Beneduce, 2010)뿐만 아니라 질병으로 인한 것이 아닌 신체적, 정신적 해악과 고통을 포함하는 다른 문제들이 있다. 한편, 연구 방법론과 이론적 생산 측면에서 의학인류학과 교차하는 분야로는 ''문화 정신의학''과 ''초문화 정신의학'' 또는 ''민족 정신의학''이 있다.
영양 인류학은 경제 체제, 영양 상태, 식량 안보 간의 상호작용과 전자의 변화가 후자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종합적인 개념이다. 특정 공동체의 경제적 및 환경적 변화가 식량 접근, 식량 안보 및 식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문화와 생물학 간의 이러한 상호 작용은 전 세계화와 관련된 더 넓은 역사적 및 경제사적 추세와 연결된다. 영양 상태는 특정 집단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작업 수행 능력 및 인적 개발 또는 서구적 전통 모델 측면에서의 전반적인 경제 개발 잠재력에 영향을 미친다.
심리 인류학은 문화와 정신 과정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인류학의 학제 간 하위 분야이다. 이 하위 분야는 특정 문화 집단 내에서 인간의 발달과 문화 전달 – 그 고유의 역사, 언어, 관습, 개념 범주를 가진 – 이 인간의 인지, 감정, 지각, 동기, 그리고 정신 건강 과정을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56] 또한 인지, 감정, 동기 및 유사한 심리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문화적 및 사회적 과정에 대한 우리의 모델을 어떻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약하는지도 조사한다.[57][58]
인지 인류학은 인지 과학(특히 실험 심리학과 진화 생물학)의 방법과 이론을 사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걸쳐 공유된 지식, 문화적 혁신, 그리고 전승의 패턴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종종 역사학자, 민족지학자, 고고학자, 언어학자, 음악학자 및 문화 형태의 묘사와 해석에 종사하는 다른 전문가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인지 인류학은 서로 다른 집단의 사람들이 무엇을 알고 있으며, 그러한 암묵적인 지식이 사람들이 주변 세계를 인식하고 관계를 맺는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관심을 갖는다.[57]
초개인적 인류학은 변성 의식 상태와 문화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초개인적 심리학과 마찬가지로, 이 분야는 변성 의식 상태(ASC)와 초개인적 경험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나 이 분야는 주류 초개인적 심리학과는 달리 문화 간의 문제, 예를 들어 특별한 경험을 불러일으키고 해석하는 데 있어 신화, 의례, 식단, 그리고 문학의 역할을 더욱 인지한다.[59][60]
8. 1. 5. 정치 및 법 인류학
정치인류학은 사회 구조를 바탕으로 살펴본 정치 체제의 구조에 관한 학문이다. 정치인류학은 주로 무정부 사회의 정치에 관심을 가진 학문으로 발전했으며, 1960년대부터 시작된 새로운 학문 분야로서 여전히 발전 중이다. 인류학자들은 국가, 관료제, 시장의 존재가 민족지적 기록과 지역 현상 분석 모두에 등장하는 더욱 "복잡한" 사회 환경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복잡한 사회로의 전환은 정치적 주제가 두 가지 주요 수준에서 다루어짐을 의미했다. 첫째, 인류학자들은 국가 규제 영역 밖에 있는 정치 조직과 정치 현상(수혜자-의뢰인 관계나 부족 정치 조직과 같이)을 계속 연구했다. 둘째, 인류학자들은 국가와 그 제도(그리고 공식적, 비공식적 정치 제도 간의 관계)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서서히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국가 인류학이 발전했고, 오늘날 가장 번성하는 분야이다. 게르츠(Geertz)의 발리 국가인 "네가라"에 대한 비교 연구는 초기의 유명한 예이다.
법인류학 또는 법의 인류학은 "사회 질서 형성에 대한 문화 간 연구"를 전문으로 한다.[61] 초기 법인류학 연구는 종종 갈등 관리, 범죄, 제재 또는 공식 규제에 더 중점을 두었다. 최근에는 인권, 법적 다원주의[62] 및 정치 봉기와 같은 문제가 포함된다.
8. 1. 6. 공공 인류학
공공 인류학은 하와이 태평양 대학교의 로버트 보로프스키 교수가 고안한 개념이다. 이는 인류학과 인류학자들이 학문 분야를 넘어서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 시대의 더 큰 사회적 문제들을 밝히고, 사회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명시적인 목표로 이에 대한 광범위한 공개적인 대화를 장려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63]8. 2. 자연, 과학 및 기술 인류학
사이보그 인류학은 1993년 미국 인류학회(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연례 회의 내의 하위 집중 그룹으로 시작되었다. 이 하위 그룹은 과학기술학(STS) 및 과학사회학회(Society for the Social Studies of Science)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64] 도나 해러웨이의 1985년 저서 ''사이보그 선언(Cyborg Manifesto)''은 사이보그 인류학의 창립 문서로 간주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용어의 철학적, 사회학적 영향을 처음으로 탐구했기 때문이다. 사이보그 인류학은 인류와 인류가 구축한 기술 시스템, 특히 인간이라는 존재의 의미에 대한 개념을 반사적으로 형성한 현대 기술 시스템과의 관계를 연구한다.디지털 인류학은 인간과 디지털 시대 기술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류학과 기술이 교차하는 다양한 분야로 확장된다. 때로는 사회문화인류학과 함께 분류되기도 하고, 물질문화의 한 부분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 분야는 새롭기 때문에 다양한 강조점을 가진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테크노인류학,[65] 디지털 인류지학, 사이버인류학,[66] 그리고 가상인류학[67] 등이 포함된다.
생태인류학은 "환경에 대한 문화적 적응 연구"로 정의된다.[68] 이 하위 분야는 또한 "인구 집단과 그들의 생물물리적 환경 간의 관계 연구"로 정의되기도 한다.[69] 연구의 초점은 "문화적 신념과 관습이 인구 집단의 환경 적응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환경이 공간과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것이다.[70] 현대적 관점의 환경인류학, 그리고 오늘날 대부분의 민족지학 및 문화 현장 연구의 배경이자 초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정치생태학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새로운 관점을 문화, 정치 및 권력, 세계화, 지역 문제, 20세기 인류학 등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특징짓는다.[71] 초점과 데이터 해석은 종종 찬성/반대 주장이나 정책 수립에 사용되며, 기업의 착취와 토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종 관찰자는 직접적으로(조직, 참여) 또는 간접적으로(기사, 다큐멘터리, 책, 민족지) 투쟁의 적극적인 부분이 된다. 환경 정의 옹호자인 멜리사 체커와 하이드 파크 주민과의 관계가 그러한 사례이다.[72]
인류학과 같은 사회과학은 환경에 대한 학제 간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역사인류학과의 인류학 연구 네트워크 소장인 케이 밀턴 교수는 인류학을 독특한 학문으로 묘사하며, 가장 큰 특징으로 비산업적인 토착 사회와 전통 사회에 대한 관심을 꼽는다.[73] 인류학 이론은 문화 개념이 일관되게 존재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문화는 배타적인 주제가 아니라 연구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며, 인간의 조건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반영한다. 밀턴 교수는 인류학의 특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세 가지 경향을 설명한다.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에 대한 불만, 이론적 진보를 저해하는 데카르트적 이원론(자연과 문화의 분리)에 대한 반발,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계화에 대한 관심 증대(시간/공간의 장벽 초월)이다.
환경 담론은 높은 수준의 세계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문제는 비토착 관행을 차용하고 서구 국가에서 표준, 개념, 철학 및 관행을 만드는 것이다.) 인류학과 환경 담론은 이제 학문으로서 인류학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인간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은 환경 문제 해결에 중요할 수 있다. 인류학은 이제 인간 생태학 연구가 되었다. 인간 활동은 환경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이는 환경 문제를 조사하고 해결하는 방식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인간 생태학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연구 주제이다. 인류학이 환경 담론에 기여하는 다른 방식으로는 이론가이자 분석가 역할을 하거나, 보다 중립적이고 보편적인 정의를 다듬는 등이 있다. 환경주의를 탐구함에 있어 –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특히 인간 활동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우려를 나타낸다. 환경주의 자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인류학자들은 산업 사회를 넘어서서, 산업 사회와 비산업 사회의 관계 간의 대립을 이해하고, 사람들과 생물권 사람들이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받는지, 종속 변수와 독립 변수, "원시적인" 생태적 지혜, 다양한 환경, 자원 관리, 다양한 문화적 전통을 이해함으로써 환경주의의 문을 열 수 있다. 그리고 환경주의가 문화의 일부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74]
민족사는 역사 기록을 조사하여 민족지학적 문화와 토착민들의 관습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또한 오늘날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역사를 연구하기도 한다. 민족사는 역사적 자료와 민족지학적 자료를 모두 기초로 한다. 그 역사적 방법과 자료는 문서와 원고의 표준적인 사용을 넘어선다. 민족사 연구자들은 지도, 음악, 그림, 사진, 민속, 구전 전승, 현장 탐사, 고고학적 자료, 박물관 소장품, 지속되는 관습, 언어 및 지명과 같은 자료의 유용성을 인정한다.[75]
8. 2. 1. 사이보그 인류학
사이보그 인류학은 1993년 미국 인류학회(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연례 회의 내의 하위 집중 그룹으로 시작되었다. 이 하위 그룹은 과학기술학(STS) 및 과학사회학회(Society for the Social Studies of Science)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64] 도나 해러웨이의 1985년 저서 ''사이보그 선언(Cyborg Manifesto)''은 사이보그 인류학의 창립 문서로 간주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용어의 철학적, 사회학적 영향을 처음으로 탐구했기 때문이다. 사이보그 인류학은 인류와 인류가 구축한 기술 시스템, 특히 인간이라는 존재의 의미에 대한 개념을 반사적으로 형성한 현대 기술 시스템과의 관계를 연구한다.8. 2. 2. 디지털 인류학
디지털 인류학은 인간과 디지털 시대 기술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류학과 기술이 교차하는 다양한 분야로 확장된다. 때로는 사회문화인류학과 함께 분류되기도 하고, 물질문화의 한 부분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 분야는 새롭기 때문에 다양한 강조점을 가진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테크노인류학,[65] 디지털 인류지학, 사이버인류학,[66] 그리고 가상인류학[67] 등이 포함된다.8. 2. 3. 생태 인류학
생태인류학은 "환경에 대한 문화적 적응 연구"로 정의된다.[68] 이 하위 분야는 또한 "인구 집단과 그들의 생물물리적 환경 간의 관계 연구"로 정의되기도 한다.[69] 연구의 초점은 "문화적 신념과 관습이 인구 집단의 환경 적응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환경이 공간과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것이다.[70] 현대적 관점의 환경인류학, 그리고 오늘날 대부분의 민족지학 및 문화 현장 연구의 배경이자 초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정치생태학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새로운 관점을 문화, 정치 및 권력, 세계화, 지역 문제, 20세기 인류학 등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특징짓는다.[71] 초점과 데이터 해석은 종종 찬성/반대 주장이나 정책 수립에 사용되며, 기업의 착취와 토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종 관찰자는 직접적으로(조직, 참여) 또는 간접적으로(기사, 다큐멘터리, 책, 민족지) 투쟁의 적극적인 부분이 된다. 환경 정의 옹호자인 멜리사 체커와 하이드 파크 주민과의 관계가 그러한 사례이다.[72]8. 2. 4. 환경 인류학
인류학과 같은 사회과학은 환경에 대한 학제 간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역사인류학과의 인류학 연구 네트워크 소장인 케이 밀턴 교수는 인류학을 독특한 학문으로 묘사하며, 가장 큰 특징으로 비산업적인 토착 사회와 전통 사회에 대한 관심을 꼽는다.[73] 인류학 이론은 문화 개념이 일관되게 존재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문화는 배타적인 주제가 아니라 연구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며, 인간의 조건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반영한다. 밀턴 교수는 인류학의 특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세 가지 경향을 설명한다.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에 대한 불만, 이론적 진보를 저해하는 데카르트적 이원론(자연과 문화의 분리)에 대한 반발,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계화에 대한 관심 증대(시간/공간의 장벽 초월)이다.환경 담론은 높은 수준의 세계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문제는 비토착 관행을 차용하고 서구 국가에서 표준, 개념, 철학 및 관행을 만드는 것이다.) 인류학과 환경 담론은 이제 학문으로서 인류학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인간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은 환경 문제 해결에 중요할 수 있다. 인류학은 이제 인간 생태학 연구가 되었다. 인간 활동은 환경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이는 환경 문제를 조사하고 해결하는 방식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인간 생태학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연구 주제이다. 인류학이 환경 담론에 기여하는 다른 방식으로는 이론가이자 분석가 역할을 하거나, 보다 중립적이고 보편적인 정의를 다듬는 등이 있다. 환경주의를 탐구함에 있어 –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특히 인간 활동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우려를 나타낸다. 환경주의 자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인류학자들은 산업 사회를 넘어서서, 산업 사회와 비산업 사회의 관계 간의 대립을 이해하고, 사람들과 생물권 사람들이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받는지, 종속 변수와 독립 변수, "원시적인" 생태적 지혜, 다양한 환경, 자원 관리, 다양한 문화적 전통을 이해함으로써 환경주의의 문을 열 수 있다. 그리고 환경주의가 문화의 일부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74]
8. 2. 5. 역사 인류학
wikitext민족사는 역사 기록을 조사하여 민족지학적 문화와 토착민들의 관습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또한 오늘날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역사를 연구하기도 한다. 민족사는 역사적 자료와 민족지학적 자료를 모두 기초로 한다. 그 역사적 방법과 자료는 문서와 원고의 표준적인 사용을 넘어선다. 민족사 연구자들은 지도, 음악, 그림, 사진, 민속, 구전 전승, 현장 탐사, 고고학적 자료, 박물관 소장품, 지속되는 관습, 언어 및 지명과 같은 자료의 유용성을 인정한다.[75]
8. 3. 종교 인류학
종교인류학은 다른 사회 제도와 관련하여 종교 제도를 연구하고 문화 전반에 걸쳐 종교적 신념과 관행을 비교하는 학문이다.[76] 현대 인류학은 마법적 사고와 종교 사이에 완전한 연속성이 있다고 가정하며,[76][77] 모든 종교는 인간 공동체가 만들어낸 문화적 산물이라고 본다.[77]종교인류학의 기본 개념에는 사후세계, 애니미즘, 점복, 코뮤니타스, 비교종교학, 점술, 신성 언어, 종교의 진화적 기원, 페티시즘, 대영혼, 헨토테이즘, 입문의례, 안수, 리미널리티, 마법, 마나, 일신교, 님포렙시, 신탁, 순례, 다신교, 통과의례, 의례, 신성-속된 이분법, 신성한 장소, 샤머니즘, 영혼 이원론, 미신, 종교에 대한 이론, 토템, 트랜스시이즘, 조상숭배 등이 있다.
종교인류학의 주요 이론가로는 오귀스탱 칼메, 악바르 S. 아흐메드, 탈랄 아사드, 조셉 캠벨, 메리 더글러스, 에밀 뒤르켐, 미르체아 엘리아데, 아놀드 반 게네프, 르네 지라르, 이. 이. 에반스-프리차드, 제임스 프레이저, 푸스텔 드 쿨랑주, 클리포드 기어츠, 로빈 호턴,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로버트 마렛, 스티븐 오즈먼트, 로이 래퍼포트, 사바 마무드, 마샬 살린스, 멜포드 스파이로, 스탠리 탐비아, 빅터 터너,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 다니엘 마틴 바리스코, 앤서니 F. C. 윌리스 등이 있다.

종교인류학 관련 학술지로는 ''종교에 대한 인류학적 관점'', ''민속학'', ''히버트 저널'', ''종교 저널'', ''오세아니아'' 등이 있다.
종교인류학은 사회 및 문화인류학의 한 분야이다.
8. 4. 도시 인류학
도시 인류학은 도시화, 빈곤, 그리고 신자유주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울프 한네르츠는 1960년대의 한 발언을 인용하며, 전통적인 인류학자들이 "주지하다시피 광장공포증 환자들로, 본질적으로 도시를 싫어했다"고 말한다.[120] 서구뿐 아니라 "제3세계"(후자는 인류학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습관적인 대상이었다)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회적 과정들이 "'다른 문화' 전문가들"의 관심을 그들의 고향에 더 가까이 이끌었다.[120] 도시 인류학에는 도시의 유형을 조사하는 방법과 도시 내부의 사회 문제를 조사하는 방법의 두 가지 주된 접근 방식이 있다. 이 두 가지 방법은 서로 겹치고 서로 의존적이다. 서로 다른 유형의 도시를 정의함으로써, 도시를 분류하기 위해 사회적 요소뿐만 아니라 경제적 및 정치적 요소도 사용할 것이다. 서로 다른 사회 문제를 직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문제들이 도시의 역동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도 연구하게 될 것이다.[78]9. 핵심 주제 (고고학 및 생물인류학 분야)
고고학과 생물인류학은 인류학의 핵심 주제이다.
인수학(Anthrozoology, 인간-동물 연구)은 인간과 다른 생명체 간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류학, 동물행동학, 의학, 심리학, 수의학, 동물학 등 여러 학문 분야와 겹치는 학제 간 분야이다.[79] 인수학 연구는 인간-동물 관계가 각 당사자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정량화하고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79] 인류학, 사회학, 생물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참여한다.[80][81]
생물문화인류학은 인간 생물학과 문화 간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20세기 전반의 체질인류학자들은 이러한 관계를 인종적 관점에서, 즉 유형적인 인간 생물학적 차이가 문화적 차이를 야기한다는 가정하에 바라보았다.[82]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문화가 인간 생물학을 형성하는 데 미치는 역할을 탐구하려는 노력으로 중점이 이동하기 시작했다.
진화 인류학은 인간의 진화, 인간의 생리와 행동의 진화, 그리고 호미닌과 비호미닌 영장류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 자연 과학과 사회 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인간 발달(Human development (biology))과 사회경제적 요인을 결합한다. 진화 인류학은 과거와 현재의 인간의 생물학적 및 문화적 진화 모두에 관심을 갖는다. 과학적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며, 고고학, 행동 생태학, 심리학, 영장류학, 유전학 등의 분야를 통합한다. 과거와 현재의 인간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증거들을 활용하는 역동적이고 학제 간적인 분야이다.
법의인류학은 법적 환경에서 물리인류학과 인간 골학 과학을 적용하는 학문이다. 가장 흔하게는 피해자의 유해가 심하게 부패된 형태인 형사 사건에서 적용된다. 법의인류학자는 부패되거나, 불에 탄, 훼손되거나, 알아볼 수 없는 사망자의 신원 확인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형용사 "법의(forensic)"는 과학의 이 하위 분야를 법정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인류학은 고생물학과 체질인류학을 결합한 학문이다.[83] 화석 영장류 증거, 예를 들어 석화된 뼈와 발자국에서 발견되는 고대 인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표본의 유전학과 형태학은 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83] 법랑질 파절이나 충치와 같은 표본의 특징은 과거 인구의 행동과 식단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84]
9. 1. 인수학(Anthrozoology)
인수학(Anthrozoology, 인간-동물 연구)은 인간과 다른 생명체 간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류학, 동물행동학, 의학, 심리학, 수의학, 동물학 등 여러 학문 분야와 겹치는 학제 간 분야이다.[79] 인수학 연구는 인간-동물 관계가 각 당사자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정량화하고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79] 인류학, 사회학, 생물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참여한다.[80][81]9. 2. 생물문화인류학
생물문화인류학은 인간 생물학과 문화 간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20세기 전반의 체질인류학자들은 이러한 관계를 인종적 관점에서, 즉 유형적인 인간 생물학적 차이가 문화적 차이를 야기한다는 가정하에 바라보았다.[82]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문화가 인간 생물학을 형성하는 데 미치는 역할을 탐구하려는 노력으로 중점이 이동하기 시작했다.9. 3. 진화 인류학
진화 인류학은 인간의 진화, 인간의 생리와 행동의 진화, 그리고 호미닌과 비호미닌 영장류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 자연 과학과 사회 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인간 발달(Human development (biology))과 사회경제적 요인을 결합한다. 진화 인류학은 과거와 현재의 인간의 생물학적 및 문화적 진화 모두에 관심을 갖는다. 과학적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며, 고고학, 행동 생태학, 심리학, 영장류학, 유전학 등의 분야를 통합한다. 과거와 현재의 인간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증거들을 활용하는 역동적이고 학제 간적인 분야이다.9. 4. 법의인류학
법의인류학은 법적 환경에서 물리인류학과 인간 골학 과학을 적용하는 학문이다. 가장 흔하게는 피해자의 유해가 심하게 부패된 형태인 형사 사건에서 적용된다. 법의인류학자는 부패되거나, 불에 탄, 훼손되거나, 알아볼 수 없는 사망자의 신원 확인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형용사 "법의(forensic)"는 과학의 이 하위 분야를 법정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9. 5. 고인류학
고인류학은 고생물학과 체질인류학을 결합한 학문이다.[83] 화석 영장류 증거, 예를 들어 석화된 뼈와 발자국에서 발견되는 고대 인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표본의 유전학과 형태학은 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83] 법랑질 파절이나 충치와 같은 표본의 특징은 과거 인구의 행동과 식단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84]
10. 관련 단체
현대 인류학은 대부분의 대학과 단과대학에 학과가 설립되어 있는 확립된 학문이다. 인류학자들의 최대 규모 단체는 1903년에 설립된 미국 인류학회(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AAA)이다.[85] 회원들은 전 세계의 인류학자들이다.[86]
1989년, 유럽과 미국의 인류학 분야 학자 그룹은 유럽에서 활동하는 인류학자들을 위한 주요 전문 단체로서 유럽 사회인류학회(European Association of Social Anthropologists, EASA)를 설립했다. EASA는 유럽에서 인류학의 지위를 높이고 소외된 인류학적 전통의 가시성을 높여 세계 인류학 또는 세계 인류학 프로젝트에 기여하고자 한다.
인류학의 다양한 하위 분야에는 수백 개의 다른 단체들이 존재하며, 때로는 국가 또는 지역별로 나뉘기도 하고, 많은 인류학자들은 지질학, 물리학, 동물학, 고생물학, 해부학, 음악 이론, 미술사, 사회학 등 다른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과 협력하며, 해당 분야의 전문 학회에도 소속되어 있다.[87][88]
- 미국인류학회(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 미국민족학회(American Ethnological Society)
- 이베로아메리카인류학자네트워크협회(AIBR. Asociación de Antropólogos Iberoamericanos en Red)
- 런던인류학회(Anthropological Society of London)
- 세계원주민연구센터(Center for World Indigenous Studies)
- 런던민족학회(Ethnological Society of London)
- 유럽사회인류학회(European Association of Social Anthropologists)
-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 우려하는 인류학자 네트워크(Network of Concerned Anthropologists)
- N.N. 미클루호-막라이 민족 및 인류학 연구소(N.N. Miklukho-Maklai Institute of Ethnology and Anthropology)
- 영국 및 아일랜드 왕립인류학연구소(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 인류학과학회(Society for Anthropological Sciences)
- 응용인류학회(Society for Applied Anthropology)
- 남가주대학교 시각인류학센터(USC Center for Visual Anthropology)
11. 윤리
인류학 분야가 성숙해짐에 따라 인류학 연구 대상과 연구자 자신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윤리 원칙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전문가 단체들은 윤리 강령을 만들었다.[89]
인류학자들은 다른 연구자들(특히 현장 연구에 종사하는 역사가와 과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히 식민주의와 관련된 국가 정책과 프로젝트를 지원해 왔다.[90][91]
일부 논평가들은 인류학이 식민주의에서 비롯되었고, 식민주의와 공모했으며,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핵심 개념 중 일부를 식민주의에서 파생했다고 주장했다.[92] 또한 민족지 연구는 종종 역사적이지 않으며, 마치 시간 밖의 "민족지학적 현재"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쓰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허버트 S. 루이스(Herbert S. Lewis)는 그의 논문 "인류학의 잘못된 표현과 그 결과"에서 다른 문화를 이상하고 특이한 것처럼 제시한 기존 인류학 연구를 비판했다. 그러한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버려서는 안 되지만, 이 분야는 자신의 실수에서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93]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nthropology?
https://www.american[...]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2013-08-10
[2]
서적
Koroth
https://books.google[...]
Brill
2015-11-05
[3]
서적
anthropology, n.
Oxford University Press
[4]
논문
Bernardino de Sahagun: First Anthropologist (review)
[5]
서적
Institutions anatomiques de Gaspar Bartholin, augmentées et enrichies pour la seconde fois tant des opinions et observations nouvelles des modernes
M. Hénault et J. Hénault
[6]
서적
A New History of Anthropology
Blackwell Publishing
[7]
harvnb
[8]
harvnb
[9]
서적
The Saturday Lectures, Delivered in the Lecture-room of the U. S. National Museum under the Auspices of the Anthropological and Biological Societies of Washington in March and April 1882
D. Lothrop & Co.; Judd & Detweiler
[10]
harvnb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학술지
Extent of Instruction in Anthropology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2023-04-00 # Dead link 정보는 날짜 정보로 활용 불가능
[16]
웹사이트
Home
http://www.wcaanet.o[...]
World Council of Anthropological Associations
2015-03-29
[17]
서적
What is Anthropology
Pluto
[18]
서적
Some Reflections on Cultural Determinism and Relativ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Emotion and Reas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학술지
After Tylor: British Social Anthropology 1888–1951.
[20]
웹사이트
What is Anthropology?
https://americananth[...]
[2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ory in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What is Anthropology –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http://www.aaanet.or[...]
2016-11-02
[23]
웹사이트
What is Anthropology
https://www.livingan[...]
2017-01-17
[24]
논문
Al-Beruni: The First Anthropologist
[25]
기타 # REDIRECT 처리 불가능
Understanding Other Religions: Al-Biruni's and Gadamer's "fusion of Horizons"
[26]
논문
Language, Anthropology and Cognitive Science
[27]
서적
Unwrapping the Sacred Bundle
Duke University Press
[28]
백과사전
General Introduction
Taylor & Francis
[29]
백과사전
Introduction to culture
[30]
서적
Key Debates in Anthropology
[31]
서적
Research Methods in Anthropology
http://www.antropoca[...]
Altamira Press
[32]
학술지
Standard Cross-Cultural Sample
http://repositories.[...]
2013-06-01
[33]
웹사이트
Research Subfields: Physical or Biological
http://anthropology.[...]
2012-03-14
[34]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A problem-based approach
Nelson Education Ltd.
[35]
웹사이트
What is Anthropology? – Advance Your Career
http://www.americana[...]
2017-08-25
[36]
서적
Language, culture, and society: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anthropology
Westview Press
[37]
서적
Handbook of Ethnography
https://books.google[...]
Sage
[38]
학술지
Anthropology is not ethnography
https://abdn.pure.el[...]
2008
[39]
서적
The Anthropology of Art
[40]
학술지
Anthropology and Mass Media
http://www.philbu.ne[...]
[41]
웹사이트
Ethnomusicology
https://www.britanni[...]
2020-05-09
[42]
논문
Visual anthropology
https://www.anthroen[...]
2021-07-26
[43]
서적
Economic Anthropology
Polity Press
[44]
서적
Economic Anthropology in View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e Palgrave Handbook of the History of Human Sciences
Springer Nature
[45]
논문
Political Economy
[46]
서적
Applied Anthropology: Domains of Application
Praeger
[47]
웹사이트
Types of Kinship- Consanguineal and Affinal
http://content.infli[...]
2023-11-28
[48]
서적
Introducing anthropology
Polity Press
[49]
서적
Researching gender-based violence: embodied and intersectional approaches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2
[50]
서적
Women in Anthropology: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nd Social History
Left Coast Press
[51]
논문
Vera Mae Green, 1928–1982
1982-09-01
[52]
논문
Possessing the Self: Caribbean Identities in Zora Neale Hurston's Tell My Horse
2023-11-28
[53]
서적
Encyclopedia of Medical Anthropology
2004-01-01
[54]
서적
Encyclopedia of Cultural Anthropology
2010-06-02
[55]
논문
Anthropology's Contribution to Public Health Policy Development
2016-10-24
[56]
논문
The infant's acquisition of culture: Early attachment reexamined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2001-01-01
[57]
서적
Anthropological Theory in North America
https://archive.org/[...]
Berin & Garvey
[58]
서적
New Directions in Psychological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01-01
[59]
논문
Whither Psi and Anthropology? An Incomplete History of SAC's Origins, Its Relationship with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the Untold Stories of Castaneda's Controversy
2005-01-01
[60]
서적
Being Changed by Cross-cultural Encounters: The Anthropology of Extraordinary Experiences
Peterborough: Broadview Press
1994-01-01
[61]
서적
Praying for Justice: Faith, Order, and Community in an American Town
Cornell UP
[62]
서적
Political theologies: public religions in a post-secular world
Fordham University Press
[63]
웹사이트
Center for a Public Anthropology
https://www.publican[...]
2020-05-08
[64]
서적
Cyborg Anthropology
Routledge
[65]
웹사이트
Techno-Anthropology course guide
http://www.studyguid[...]
Aalborg University
2013-03-14
[66]
웹사이트
Cyberanthropology
http://xirdalium.net[...]
Peter Hammer Verlag Gmbh
2013-03-14
[67]
서적
Virtual Anthropology: A guide to a new interdisciplinary field
Springer
[68]
서적
Anthropology : appreciating human diversity
McGraw-Hill
[69]
서적
Environmental anthropology : from pigs to policies
https://archive.org/[...]
Waveland Press
[70]
학술지
The New Ecological Anthropology
https://www.research[...]
2016-11-10
[71]
논문
Optimal Foraging Theory: A Critical Review
https://www.research[...]
2016-11-10
[72]
서적
Polluted promises: environmental racism and the search for justice in a southern town
https://archive.org/[...]
NYU Press
[73]
웹사이트
Milton, Kay 1951
http://worldcat.org/[...]
2021-11-02
[74]
서적
Environmentalism and Cultural Theory; Exploring the Role of Anthropology in Environmental Discourse.
Routledge Press
[75]
논문
Ethnohistory: An Historian's Viewpoint
[76]
서적
An Essay On Man
https://books.google[...]
[77]
서적
Guide to the Study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78]
논문
Chinese consumers: The Romantic reappraisal
https://www.academia[...]
[79]
서적
Anthrozoology
https://books.google[...]
CABI
[80]
서적
Teaching the Animal: Human–Animal Studies Across the Disciplines
Lantern Books
[81]
웹사이트
Animals & Society Institute
http://www.animalsan[...]
2011-02-23
[82]
서적
Building A New Biocultural Synthesi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0-09-06
[83]
논문
Reconstructing the genetic history of late Neanderthals
https://openaccess.l[...]
2018-03-00
[84]
논문
Behavioral inferences from the high levels of dental chipping in Homo naledi
https://www.research[...]
[85]
웹사이트
http://www.aaanet.or[...]
2009-04-22
[86]
웹사이트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 Monthly Membership Report
http://aaanet.org/me[...]
2010-06-13
[87]
서적
Lucy's Legacy
Kindle Books
[88]
서적
The Study of Ethnomusicolog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89]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 to Review the AAA Statements on Ethics – Participate & Advocate
http://www.americana[...]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2017-06-18
[90]
서적
Anthropology & the Colonial Encounter
Humanities Press
[91]
서적
Anthropology and Colonialism in Asia and Oceania
Curzon Press
[92]
서적
Postmodernism, Reason, and Religion
http://okhovvat.com/[...]
Routledge
[93]
논문
The Misrepresentation of Anthropology and Its Consequences
https://www.jstor.or[...]
2017-08-30
[94]
서적
The Savage Mind
[95]
서적
Being Human
[96]
서적
Cows, Pigs, Wars, and Witches
[97]
웹사이트
Is there a gene for racism?
http://www.timeshigh[...]
2007-08-03
[98]
웹사이트
Statement on "Race"
http://www.aaanet.or[...]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998-05-17
[99]
논문
Cultural Anthropology: DNA Studies Challenge the Meaning of Race
[100]
서적
The Problematics of "Race" in Contemporary Biological Anthropology
International Institute for Human Evolutionary Research
[101]
논문
Melanin, afrocentricity, and pseudoscience
https://www.academia[...]
2016-11-10
[102]
논문
Spying by American Archaeologists in World War I
2011-11-22
[103]
논문
Cold war anthropology: Collaborators and victims of the national security state
1998-06-01
[104]
논문
The anti-imperialist tradition in North American anthropology: Vietnam, the Left Academy, and the founding of ARPA
https://www.jstor.or[...]
2016-06-01
[105]
웹사이트
Past AAA Statements on Ethics – Participate & Advocate
https://www.american[...]
2019-05-02
[106]
웹사이트
Ethics Forum » Full Text of the 2012 Ethics Statement
http://ethics.americ[...]
2019-05-02
[107]
뉴스
US Army's strategy in Afghanistan: better anthropology
http://www.csmonitor[...]
CSMonitor.com
2016-11-02
[108]
웹사이트
The Human Terrain System: A CORDS for the 21st Century
http://www.army.mil/[...]
[109]
보고서
Final Report on The Army's Human Terrain System Proof of Concept Program
https://s3.amazonaws[...]
2009-10-14
[110]
서적
Culture and Truth: The remaking of social analysis
Beacon Press
[111]
서적
The Anthropology of Globalization
Wiley-Blackwell
[112]
서적
Introduction to Physical Anthropology
Wadsworth
[113]
서적
Being Human
Prentice Hall
[114]
서적
Human Universals
McGraw Hill
[115]
서적
Being Humans: Anthropological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n Transciplinary Perspectives
Walter de Gruyter Publishing
[116]
서적
A History of Anthropological Theory
Broadview Press
[117]
서적
The Ethnographer's Magic and Other Essays in the History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18]
서적
Man, Mind and Science: A History of Anthropology
Columbia University Press
[119]
서적
Historical Companion to Postcolonial Thought in English
Edinburgh University Press
[120]
서적
Exploring the City: Inquiries Toward an Urban Anthropology
Columbia University Press
[121]
논문
The Misrepresentation of Anthropology and its Consequences
https://www.jstor.or[...]
1998-00-00
[122]
서적
The Theft of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0-00
[123]
논문
How the Anthropology of France Has Changed Anthropology in France: Assessing New Directions in the Field
[124]
서적
Emergent Forms of Life and the Anthropological Voice
Duke University Press
2003-00-00
[125]
웹사이트
日本人類学会について
http://anthropology.[...]
[126]
웹사이트
日本文化人類学会とは
http://www.jasca.org[...]
[127]
텍스트
[128]
서적
Margaret Mead and Ruth Benedict : the kinship of women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99-00-00
[129]
서적
문화인류학의 이해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1991-00-0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책과 삶] ‘만듦’이란, 나와 물질이 함께 성장하는 과정
‘쿨한’ 사람들에겐 6가지 공통점이 있다
베일 벗은 데니소바인 얼굴…두개골 첫 확인
불평등의 기원 같은 건 없다 인간의 자유를 복원하라 [.txt]
[책과 삶] 없는 책 소개한 가짜 서평…가짜 같은 세상에 던진 농담
3월 21일 학술지성 새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