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성 유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성 유체는 강자성 미립자, 계면활성제, 베이스액으로 구성된 콜로이드 용액으로, 외부 자기장에 반응하는 특성을 갖는다. 1960년대 NASA에서 우주복 씰 재료 등으로 개발되었으며, 스피커, 하드 디스크, 의료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자성 유체는 자기 유변 유체와 달리 나노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파이크 현상과 같은 독특한 현상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노재료 - 탄소 나노섬유
    탄소 나노섬유는 나노미터 크기의 탄소 섬유 물질로, 높은 열 및 전기 전도성, 전자기파 차폐,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져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촉매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합성 시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 나노재료 - 실리센
    실리센은 그래핀과 유사한 육각형 벌집 구조를 가진 물질로, 다양한 전자 소자 응용 가능성을 보이며 기판과의 상호작용, 띠틈 조절, 안정성 확보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 자기 - 상자성
    상자성은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는 자성을 띠지 않지만,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자기장 방향으로 약하게 자화되는 성질을 말하며, 짝을 짓지 않은 전자의 스핀으로 인해 영구 자기 모멘트를 가지는 상자성체가 이러한 특징을 보인다.
  • 자기 - 자석
    자석은 내부 자구들의 정렬로 자기장을 생성하는 물체로, N극과 S극을 가지며 영구자석과 전자석으로 나뉘어 나침반, 스피커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연속체역학 - 온도
    온도는 물체의 뜨겁고 차가운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열역학적으로는 에너지 이동 방향으로 정의되며, 미시적으로는 분자 운동 에너지의 평균값으로 정의되고, 화학 반응 속도와 생명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연속체역학 - 밀도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며,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하고, 진밀도, 겉보기밀도, 부피밀도, 탭밀도 등 여러 종류가 있고,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발전해왔다.
자성 유체
개요
자석 위에 떨어진 강자성 유체 방울
자석 위에 떨어진 강자성 유체 방울
설명강자성 유체는 자석에 강하게 끌리는 액체이다.
다른 이름자성 액체, 자기 유체
역사
발명1960년대 초 NASA의 스티브 파페
목적액체 로켓 연료를 무중력 공간에서 제어하기 위해
구성
기본 성분나노 크기의 강자성 입자
계면활성제
운반 액체
입자 크기일반적으로 10 나노미터 이하
계면활성제 역할입자들이 뭉치는 것을 방지
운반 액체 종류
유기 용매
기타 액체
성질
자기적 성질외부 자기장에 강하게 이끌림
점성자기장 강도에 따라 변화
광학적 성질콜로이드 결정 형성 가능
제조
주요 방법화학적 침전
기계적 분쇄
화학적 침전금속 염 용액에서 나노 입자를 생성
기계적 분쇄더 큰 입자를 나노 크기로 분쇄
응용 분야
주요 응용스피커
하드 디스크
의료 영상
감쇠기
열 전달
댐퍼
센서
스피커음질 향상 및 냉각 효과
하드 디스크데이터 저장 밀도 증가
의료 영상약물 전달 및 MRI 조영제
기타 응용자기 씰
윤활
코팅
예술 작품
안전성
잠재적 위험흡입 시 건강 문제
피부 자극
환경 오염
취급 주의적절한 보호 장비 착용 권장

2. 역사

자성 유체는 1960년대 NASA에서 우주복의 가동부 씰 재료, 무중력 환경에서의 물체 위치 결정, 기계적인 구동부가 없는 액체 수송용 펌프 등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개발되었다.[38]

2. 1. NASA의 연구

1963년 NASA의 스티브 파펠(Steve Papell)은 무중력 환경에서 액체 로켓 연료를 펌프 입구로 유도하기 위해 자성 유체를 고안했다.[38] 자기장을 이용하여 연료를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2. 2. 초기 유사 기술

1960년대 NASA에서 자성 유체가 개발되기 이전에도, 1931년 프랜시스 비터(Francis Bitter)는 자성체를 분산시킨 용액을 개발했다.[38] 이를 바탕으로 엘모어(Elmore)가 유사한 유체를 개발하는 등 자성 유체와 관련된 초기 연구들이 진행되었다.[38]

2. 3. 한국의 연구

1980년대 도호쿠 대학의 시모이사카 등은 자석에 흡인되는 콜로이드 용액에 대해 보고했다.[39] 1989년 나카타니 코우는 활성 액면 연속 진공 증착법을 이용한 자성 유체 제조법을 개발했다.[39]

3. 구성 및 원리

자성 유체는 강자성 미립자, 계면활성제, 베이스액(물이나 오일)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콜로이드 용액이다.[39] 강자성 미립자는 계면활성제와 베이스액의 친화력 및 계면활성제 간의 반발력에 의해 베이스액 내에서 응집하거나 침강하지 않고 안정된 분산 상태를 유지한다. 일반적인 자성 유체의 조성은 부피 기준으로 약 5%의 자기 고체, 10%의 계면활성제, 85%의 캐리어로 구성된다.[9]

자성 유체는 매우 작은 나노 입자(일반적으로 지름 10nm 이하)로 구성되며, 자철광, 적철광 또는 을 포함하는 화합물과 액체(일반적으로 오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열적 교반이 캐리어 유체 내에서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에 충분하며, 유체의 전체적인 자기 반응에 기여한다. 이러한 특성은 수용액 상자성 염 용액(예: 황산구리(II) 또는 염화망가니즈(II) 수용액)의 이온이 용액을 상자성으로 만드는 방식과 유사하다.

자성 유체의 입자는 종종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액체에 분산된다. 따라서 자성 유체는 콜로이드의 일종으로, 하나 이상의 물질 상태 특성을 가진다.[10] 자기장을 가하여 상을 변화시키는 능력은 씰, 윤활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미래 나노전기기계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응용 분야를 개척할 수 있다.

진정한 자성 유체는 안정적이다. 즉, 고체 입자는 매우 강한 자기장에서도 응집되거나 상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몇 년) 분해되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나노 입자가 응집되어 분리되면 더 이상 유체의 자기 반응에 기여하지 않게 된다.

3. 1. 강자성 미립자

자성 유체는 자철석, 마그네슘, 철을 함유한 화합물 또는 망간 아연 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 나노 입자(일반적으로 지름 10nm 이하)로 구성된다.[39] 이 입자들은 열에너지를 유체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유체의 전체적인 자기 반응에 기여한다.

강자성 미립자는 지름이 10nm 정도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약 1/10 크기이다. 입자 크기는 너무 크거나 작으면 안 되며, 최적의 입자 크기는 9nm이다. 계면활성제 분자의 길이는 너무 짧으면 응집이 생기고, 너무 길면 오일 내 금속 자성체의 충전 비율이 낮아져 충분한 자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1.5nm가 최적이라고 여겨진다.[39]

3. 2.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나노 입자들이 서로 엉겨 붙거나 덩어리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올레산,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 구연산, 대두 레시틴 등이 있다.[39]

계면활성제는 극성 머리와 비극성 꼬리를 가지고 있어, 극성 머리는 나노 입자에 흡착되고 비극성 꼬리는 베이스 액체(일반적으로 오일)로 뻗어 나가 입자 주위에 미셀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정전기적 반발력을 통해 입자의 응집을 방지한다.[39]

계면활성제는 자성 유체의 침강 속도를 늦추는 데 유용하지만, 유체의 자기적 특성, 특히 자화 포화도를 방해하기도 한다. 계면활성제 첨가는 활성화 상태에서 자성 입자의 충전 밀도를 감소시켜 유체의 on-state 점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On-state 점도는 대부분의 상업 및 산업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유체 특성이므로, on-state 점도와 침강 속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최적의 계면활성제 분자 길이는 1.5nm로 여겨지는데, 너무 짧으면 응집이 발생하고 너무 길면 오일 내 금속 자성체의 충전 비율이 낮아져 충분한 자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39]

3. 3. 베이스 액체

자성 유체의 베이스액은 목적과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39] 또한 자성 유체는 베이스액에 대응하는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어떤 유체라도 자성 유체로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39]

  • 이소파라핀
  • 알킬나프탈렌
  •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 기타

3. 4. 스파이크 현상

영구 자석 등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물체를 아주 가까이 두면, 그 자기력선의 흐름에 따라 자성 유체 표면에 뿔이 돋아난 듯한 돌기가 형성된다. 이것을 스파이크 현상이라고 하며, 유선형으로 돌기가 형성되는 모양은 매우 아름다워서 이 현상을 이용하여 예술 작품을 만들기도 한다.[4]

자석의 영향을 받는 자성 유체의 거시 사진.


상자성 유체가 강한 수직 자기장에 노출되면 표면은 규칙적인 봉우리와 골짜기 패턴을 형성한다. 이 현상은 로젠스바이크 불안정성 또는 수직 자기장 불안정성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불안정성은 자기장에 의해 유발되며, 유체의 어떤 모양이 시스템의 총 에너지를 최소화하는지를 고려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기 에너지의 관점에서 볼 때 봉우리와 골짜기는 에너지적으로 유리하다. 물결 모양의 구성에서 자기장은 봉우리에 집중된다. 유체는 공기보다 쉽게 자화되기 때문에 이는 자기 에너지를 낮춘다. 결과적으로 유체의 스파이크는 관련된 힘의 균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자기력선을 따라 공간으로 올라간다.

동시에 봉우리와 골짜기의 형성은 중력과 표면 장력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골짜기에서 유체를 빼내 스파이크로 올리고 유체의 표면적을 늘리는 데 모두 에너지가 필요하다. 요약하면 물결 모양의 형성은 액체의 표면 자유 에너지와 중력 에너지를 증가시키지만 자기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물결 모양은 자기 에너지 감소가 표면 및 중력 에너지 항의 증가보다 클 때, 임계 자기장 세기 이상에서만 형성된다.

표면 장력 및 자기장 세기의 다른 매개변수에 대한 자성 유체 시뮬레이션


자성 유체는 예외적으로 높은 자화율을 가지며, 물결 모양의 시작을 위한 임계 자기장은 작은 막대 자석으로 실현할 수 있다.

4. 자기유변 유체(MR)와의 차이점

자기유변유체(MR유체)와 자성 유체의 차이점은 입자의 크기이다.

자성 유체의 입자들은 주로 브라운 운동에 의해 안정화된 나노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침전되지 않는다.

반면에 MR유체 입자는 주로 브라운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입자와 용매의 밀도 차이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 미세 입자가 쌓이게 된다.

5. 응용 분야

자성 유체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응용 기술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 전자 기기: 자성 유체는 하드 디스크의 회전축 주변에 액체 씰을 형성하여 외부 이물질 유입을 막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씰은 일반적으로 3~4psi의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며,[11] 씰을 추가로 쌓아 더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 있다.
  • 기계 공학: 자성 유체는 마찰을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네오디뮴 자석과 같은 강한 자석 표면에 자성 유체를 바르면, 자성 유체가 윤활유 역할을 하여 물체가 매끄럽게 미끄러지도록 돕는다.
  • 스피커: 1973년부터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고, 콘의 움직임을 감쇠시키는 데 자성 유체가 사용되었다.[13] 자성 유체는 보이스 코일 주변의 틈새에 위치하며, 스피커 자석에 의해 고정된다. 온도가 높아지면 자성 유체의 자성이 약해지는 퀴리의 법칙에 따라, 뜨거워진 자성 유체는 방열판으로 밀려나고 차가운 자성 유체가 그 자리를 채우면서 냉각이 이루어진다.[13] 어쿠스틱 리서치의 밥 버코위츠는 1972년 자성 유체를 이용하여 트위터의 공명을 줄였고, 데이나 해서웨이는 1974년 트위터 감쇠에 자성 유체를 사용하며 냉각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이후 파나소닉 등 많은 기업들이 스피커에 자성 유체를 도입했으며, 현재는 연간 약 3억 개의 자성 유체 함유 사운드 변환기가 생산된다.[16]
  • 재료 과학: 자성 유체는 프랜시스 비터가 개발한 기술을 이용, 강자성 물질 표면의 자기 구역 구조를 영상화하는 데 사용된다.[12]
  • 세포 분리: 면역자기분리 기술은 항체 등과 결합된 자성 유체를 이용하여 특정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이다.[17] 자성 유체는 표적 세포에 결합하고, 이후 자기장을 이용하여 세포 혼합물에서 분리된다. 이 기술은 세포 치료, 유전자 치료 등에 활용된다.
  • 예술: 자성 유체는 음악 시각화를 통해 소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전자기석은 음악에 따라 자성 유체의 형태를 변화시켜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낸다.[18][19] 또한, 자석을 가까이 가져가면 자기력선을 따라 뿔 모양의 돌기(스파이크 현상)가 형성되는데, 이 아름다운 모습은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

  • 광학: 페로렌즈는 초상자성 박막을 이용하여 자기장 플럭스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치이다.[20] 또한, 자성 유체는 지상 천문 광학 망원경에 사용되는 가변 광학 형태 변환 자기 거울 개발[35] 및 다양한 파장의 빛을 선택하는 광학 필터 제작[36] 에도 활용된다.
  • 에너지 하베스팅: 강자성 유체는 주변의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7] 외부 진동으로 인해 용기 안의 자성 유체가 흔들리면 자기 선속의 변화가 발생하고,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라 전압이 유도된다.[37]
  • 우주 항공: 자성 유체는 자기장에 의해 나노미터 크기의 뾰족한 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큐브위성과 같은 소형 위성 추진 장치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29]
  • 의료: 자성 유체는 자기 공명 영상술의 조영제로 사용되어 왔으며,[33][21] 자기 약물 표적 치료, 자기 열 치료, 나노 수술 등에도 활용이 제안되었다.[31][32][33]

5. 1. 전자 기기

자성 유체는 하드 디스크의 회전하는 구동축 주변에 액체 씰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회전축은 자석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자석과 축 사이의 틈새에 소량의 자성 유체를 배치하면 자석에 끌려 제자리에 고정된다. 이러한 자기 입자의 유체는 하드 드라이브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을 형성한다. Ferrotec의 엔지니어에 따르면 회전축의 자성 유체 씰은 일반적으로 3psi~4psi를 견딜 수 있으며,[11] 추가 씰을 쌓아 더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5. 2. 기계 공학

자성 유체는 마찰을 줄이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네오디뮴과 같이 충분히 강한 자석의 표면에 적용하면 최소한의 저항으로 매끄러운 표면 위를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5. 3. 스피커

스피커에서 보이스 코일의 열을 제거하고 콘의 움직임을 수동적으로 감쇠하는 데 1973년부터 자성 유체가 사용되어 왔다.[13] 자성 유체는 일반적으로 보이스 코일 주변의 기어 틈새에 위치하며, 스피커의 자석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자성 유체는 상자성이므로 퀴리의 법칙을 따르며,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성이 약해진다. 보이스 코일 근처(열을 발생시키는)에 강한 자석을 배치하면 뜨거운 자성 유체보다 차가운 자성 유체를 더 많이 끌어당겨 가열된 자성 유체를 전기 보이스 코일에서 방열판으로 밀어낸다. 이는 추가적인 에너지 투입이 필요 없는 비교적 효율적인 냉각 방식이다.[13]

어쿠스틱 리서치의 밥 버코위츠는 1972년부터 자성 유체를 연구하여 트위터의 공명을 감쇠시키는 데 사용했다. 매사추세츠주 에피큐어의 데이나 해서웨이는 1974년에 트위터 감쇠에 자성 유체를 사용했으며, 냉각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베커 일렉트로닉스의 프레드 베커와 루 멜릴로도 1976년에 초기 도입자였으며, 멜릴로는 페로플루이딕스에 합류하여 1980년에 논문을 발표했다.[14] 콘서트 사운드에서는 쇼코가 1979년에 우퍼 냉각에 자성 유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5] 파나소닉은 1979년에 자성 유체를 상업용 스피커에 적용한 최초의 아시아 제조업체였다. 1980년대 초에 이 분야는 빠르게 성장했다. 오늘날, 랩탑, 휴대폰, 헤드폰, 이어폰에 설치된 스피커를 포함하여 연간 약 3억 개의 자성 유체가 들어간 사운드 생성 변환기가 생산된다.[16]

5. 4. 재료 과학

자성 유체는 프랜시스 비터가 개발한 기술을 사용하여 강자성 물질 표면의 자기 구역 구조를 영상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2]

5. 5. 세포 분리

면역자기분리는 세포 분류의 일종으로, 스트렙토아비딘(SA) 또는 쥐 항-생쥐 Ig (RAM)과 같은 항체나 일반적인 포획제와 결합된 자성 유체를 사용한다.[17] 이 결합된 자성 유체는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데 사용되며, 이후 저구배 자기 분리기를 사용하여 세포 혼합물로부터 자기적으로 분리한다. 이러한 자성 유체는 세포 치료, 유전자 치료, 세포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5. 6. 예술

자성 유체는 음악 시각화를 통해 소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자성 유체 덩어리는 투명한 액체 안에 담겨 있으며, 전자기석은 음악의 음량이나 주파수에 반응하여 자성 유체의 형태에 영향을 준다. 이를 통해 노래의 고음 또는 저음에 따라 자성 유체의 움직임을 다르게 연출할 수 있다.[18][19]

영구 자석처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물체를 가까이 가져가면, 자기력선의 흐름에 따라 자성 유체에 뿔 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이 현상은 스파이크 현상이라고 불리며, 유선형 돌기의 아름다운 모습 덕분에 예술 작품 창작에도 활용된다.

5. 7. 광학

페로렌즈는 초상자성 박막을 이용하여 자기장 플럭스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 박막은 수 마이크론 두께의 매우 얇고 투명한 자성 유체로 만들어지며, 주변에는 LED 링 배열이 있어 빛을 비춘다. 외부 자기장이 박막 표면에 투사되면, 패러데이의 고전적인 철가루 실험과 유사하게 2차원 플럭스 자기장 패턴이 나타난다. 이 패턴은 외부 자기장의 심도 정보를 포함하며, 박막의 두께는 10~20 μm 정도이다.[20]

자성 유체를 이용하여 지상 천문 광학 망원경에 사용되는 가변 광학 형태 변환 자기 거울을 개발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35]

광학 필터는 다양한 파장의 빛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데, 특히 파장이 가변형 레이저로 계속 변할 때 필터를 교체하는 것은 번거롭다. 이때 자성 유체 에멀젼을 사용하면 자기장을 변화시켜 다양한 파장에 대해 조정 가능한 광학 필터를 만들 수 있다.[36]

5. 8. 에너지 하베스팅

강자성 유체는 주변 환경의 진동 에너지를 수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저주파수(100 Hz 미만) 진동 에너지 수확 방식은 고체 공진 구조물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강자성 유체를 이용하면 에너지 수확기 설계에 더 이상 고체 구조가 필요하지 않다. 강자성 유체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팅의 한 예로, 강자성 유체를 용기 안에 넣고 외부 기계적 진동을 이용하여 영구 자석으로 둘러싸인 용기 주위에 감긴 코일 내부에서 전기를 생성하는 방식이 있다.[37] 먼저 강자성 유체를 전선 코일로 감싼 용기 안에 넣는다. 그 후 영구 자석을 사용하여 강자성 유체를 외부에서 자화시킨다. 외부 진동으로 인해 강자성 유체가 용기 안에서 흔들리면 전선 코일에 대한 자기 선속장의 변화가 발생한다.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라 자기 선속의 변화로 인해 전선 코일에 전압이 유도된다.[37]

5. 9. 우주 항공

자성 유체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나노미터 크기의 바늘 모양의 날카로운 팁을 자체 조립하도록 만들 수 있다. 바늘이 임계 얇기에 도달하면, 큐브위성과 같은 소형 위성을 추진하는 추진 장치 메커니즘으로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제트 방출을 시작한다.[29]

5. 10. 의료

여러 자성 유체가 자기 공명 영상술의 조영제로 사용하기 위해 판매되었으며, 이는 서로 다른 조직의 자기 이완 시간의 차이에 따라 조영 효과를 제공한다.[33][21] Feridex I.V. (Endorem 및 ferumoxides라고도 함)는 2008년에 단종되었으며,[22] resovist (Cliavist라고도 함)는 2001년부터 2009년까지,[23] Sinerem (Combidex라고도 함)은 2007년에 철수되었고,[24] Lumirem (Gastromark라고도 함)은 1996년[25]부터 2012년까지,[26][27] Clariscan (PEG-fero, Feruglose 및 NC100150이라고도 함)은 안전 문제로 개발이 중단되었다.[28]

자성 유체는 자기 약물 표적 치료에 제안되었다. 이 과정에서 약물은 자성 유체에 부착되거나 캡슐화되어 자기장을 사용하여 표적화하고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31]

또한 자기 열 치료의 표적 치료를 위해 전자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하는 데에도 제안되었다.[32]

나노 수술의 형태로, 예를 들어 종양을 종양이 자란 조직에서 분리하는 데에도 제안되었다.[33]

참조

[1] 웹사이트 Ferrofluid Product https://ferrofluid.c[...] 2023-10-29
[2] 간행물 Magnetic behavior of coated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in ferrofluids 2011-03-21
[3] 특허 1963-10-09
[4] 서적 Ferrohydrodynamics https://books.google[...] Dover Books on Physics, Courier Corporation
[5] 간행물 Ferrohydrodynamics: Testing a third magnetization equation
[6] 간행물 Surface instabilities and magnetic soft matter https://pubs.rsc.org[...]
[7] 간행물 Flow restrictive and shear reducing effect of magnetization relaxation in ferrofluid cavity flow
[8] 웹사이트 New laws of attraction: Scientists print magnetic liquid droplets https://phys.org/new[...] 2019-07-18
[9] 뉴스 How to Make Liquid Magnets http://chemistry.abo[...] 2018-07-09
[10] 웹사이트 Vocabulary List http://education.jla[...] 2018-07-09
[11] 특허 1984-01-27
[12] 간행물 The Mechanism of Colloid Agglomeration in the Formation of Bitter Patterns http://stacks.iop.or[...] 1950-08-01
[13] 간행물 New Applications of Heat and Mass Transfer Processes in Temperature Sensitive Magnetic Fluids http://www.sbfisica.[...] 1995
[14] 간행물 Ferrofluids as a Means of Controlling Woofer Design Parameters Audio Engineering Society 1981-03-01
[15] 잡지 Magnetic Fluids https://books.google[...] 1979-06
[16]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Ferrofluid https://www.czferro.[...]
[17] 웹사이트 Ferrofluid – BioMagnetic Solutions https://biomagnetics[...]
[18] 웹사이트 Sound Reactive Bluetooth Speaker Uses Magnetic Ferrofluid to Become a Real-Life Winamp Visualizer https://gizmodo.com/[...] 2021-04-21
[19] Youtube Ferrofluid display cell bluetooth speaker https://www.youtube.[...] 2021-04-08
[20] 간행물 Real time display with the ferrolens of homogeneous magnetic fields https://doi.org/10.1[...] 2022
[21] 간행물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based MRI contrast agents: Current status of clinical application 2011-12
[22] 웹사이트 Feridex - Products - AMAG Pharmaceuticals http://www.amagpharm[...] Amagpharma.com 2012-06-20
[23] 웹사이트 Magnetic Resonance TIP - MRI Database : Resovist http://www.mr-tip.co[...] Mr-tip.com 2012-06-20
[24] 웹사이트 AMAG Pharmaceuticals, Inc. Announces Update on Sinerem(TM) in Europe. - Free Online Library http://www.thefreeli[...] Thefreelibrary.com 2012-06-20
[25] 웹사이트 Newly Approved Drug Therapies (105) GastroMARK, Advanced Magnetics http://www.centerwat[...] CenterWatch 2012-06-20
[26] 웹사이트 AMAG Form 10-K For the Fiscal Year Ended December 31, 2013 https://www.sec.gov/[...] SEC Edgar
[27] 웹사이트 NDA 020410 for GastroMark https://www.accessda[...] FDA 2017-02-12
[28] 간행물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based MRI contrast agents: Current status of clinical application
[29] 뉴스 Novel Thrusters Being Developed for Nanosats http://www.spacesafe[...] 2018-07-09
[30] 간행물 Transient Optical Phenomenon in Ferrofluids
[31] 간행물 Magnetic nanomaterials for hyperthermia-based therapy and controlled drug delivery 2011-08-14
[32] 간행물 Recent progress on magnetic nanoparticles for magnetic hyperthermia 2016-12
[33] 간행물 Ferrofluid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http://www.sbfisica.[...] 2005
[34] 간행물 Tuning of Thermal Conductivity and Rheology of Nanofluids Using an External Stimulus 2011
[35] 뉴스 Morphing mirror could clear the skies for astronomers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8-11-07
[36] 논문 A tunable optical filter 2003
[37] 논문 Electromagnetic ferrofluid-based energy harvester 2012-06
[38] 서적 Ferrohydry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金属磁性体で微細構造をつくる ~ナノ粒子化からナノ加工プラズマプロセスまで~ http://nanonet.mext.[...]
[40] 웹인용 액체로 ‘영구자석’을 만들었다 – Sciencetimes https://www.sciencet[...] 2019-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