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ρ = m/V 공식으로 표현되며 SI 단위는 kg/m³이다. 물질의 고유한 특성이며, 온도, 압력 변화에 따라 변한다. 아르키메데스,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 고대 및 근대 과학자들이 밀도 개념을 정립했으며, 한국을 포함한 동양에서도 금속의 밀도 측정에 대한 기록이 존재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품질 관리 및 연구 개발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도 - 전하 밀도
    전하 밀도는 단위 부피, 면적, 길이당 전하량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연속적인 경우 선, 면, 체적 전하 밀도로 표현하고 불연속적인 경우 디랙 델타 함수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유전체 내에서는 자유 전하와 결합 전하로 구분되고 양자역학에서는 파동함수의 제곱과 관련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밀도 - 에너지 밀도
    에너지 밀도는 단위 부피 또는 질량에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전지나 연료의 효율을 평가하고 화학 에너지, 전자기장 에너지, 핵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 저장 기술의 성능을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 SI 단위계 - 미터법
    미터법은 프랑스에서 창안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 기반의 측정 단위계로, 지구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미터를 길이의 기본 단위로 채택하여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국제단위계로 표준화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SI 단위계 - 와트
    와트는 1초에 1줄의 일을 하는 비율로, 1 암페어의 전류가 1 볼트의 전위차를 통해 흐를 때의 전력과 같으며, 제임스 와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고, 다양한 접두어와 함께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률 또는 전력의 국제단위계 단위이다.
  • 연속체역학 - 온도
    온도는 물체의 뜨겁고 차가운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열역학적으로는 에너지 이동 방향으로 정의되며, 미시적으로는 분자 운동 에너지의 평균값으로 정의되고, 화학 반응 속도와 생명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연속체역학 - 고체역학
    고체역학은 고체 재료와 구조물의 응력, 변형, 파괴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구조물의 안정성, 동역학계, 열역학, 생체역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사회 기반 시설 설계에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밀도
밀도
밀도가 다른 4개의 비혼화성 액체를 담은 시험관
단위kg/m3
기호ρ, D
차원wikidata
종량성아니오
세종성
보존량아니오
유도식 ho = rac{m}{V}
SI 단위
SI 단위킬로그램 매 세제곱미터 (kg/m3)
CGS 단위
CGS 단위그램 매 세제곱센티미터 (g/cm3)
MTS 단위
MTS 단위톤 매 세제곱미터 (t/m3)
FPS 단위
FPS 단위파운드 매 세제곱피트 (lb/ft3)
플랑크 단위
플랑크 밀도플랑크 밀도(ρP)

2. 밀도의 정의 및 단위

밀도는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38] 밀도의 SI 단위는 kg/m³이며, g/cm³도 널리 쓰인다. 1 g/cm³ = 1000 kg/m³이다.

한국의 계량법은 kg/m³, g/m³, g/L 세 가지 단위를 규정한다.[38]


  • 1 kg/m³ = 1000 g/m³ = 1 g/L (= 0.001 g/cm³)


의 밀도(표준 대기압, 3.984 ℃)는 999.97495 kg/m³ = 999974.95 g/m³ = 999.97495 g/L (= 0.99997495 g/cm³)이다. g/cm³는 SI에서 일관성이 없지만, 비중과 거의 같아 자주 쓰인다. 단, 비중무차원량이다.[39]

  • 1 g/cm³ = 1 kg/L = 1 t/m³ = 1000 kg/m³


밀도와 비중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34][35][36][37]

밀도와 비중의 차이
항목밀도비중
정의질량/부피물질의 질량/같은 부피의 의 질량
차원유차원무차원
계량 단위kg/m³, g/m³, g/L없음
(예) 증류수의 값1.0000 (정의에 의함)


2. 1. 밀도의 정의

밀도는 어떤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보통 ρ = m/V (ρ: 밀도, m: 질량, V: 부피) 공식으로 표현된다.[38]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으로 정의되며, 국제단위계(SI)에서는 킬로그램 매 세제곱미터(kg/m3)를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38] 대한민국의 계량법에서는 kg/m3, g/m3, g/L 세 가지 단위를 규정하고 있다.[38]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밀도 단위는 다음과 같다:

  • 세제곱미터당 킬로그램(kg/m3) (SI 단위)
  • 세제곱센티미터당 그램(g/cm3) (cgs 단위): 1 g/cm3 = 1000 kg/m3


리터와 톤은 SI 단위는 아니지만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단위를 사용한다:

  • 리터당 킬로그램(kg/L)
  • 밀리리터당 그램(g/mL)
  • 세제곱미터당 톤(t/m3)


위에 언급된 미터법 단위(kg/dm3, g/cm3, Mg/m3)를 사용하는 밀도는 모두 같은 수치 값을 가지며, kg/m3 값의 1/1000이다. 액체 의 밀도는 약 1 kg/dm3이며, 대부분의 고체액체 밀도는 0.1~20 kg/dm3이므로 이 단위들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미국 관습 단위에서는 밀도를 세제곱인치당 온스(oz/cu in), 플루이드온스당 온스(oz/US fl oz), 세제곱인치당 파운드(lb/cu in), 세제곱피트당 파운드(lb/cu ft), 세제곱야드당 파운드(lb/cu yd), US 액체갤런당 파운드(lb/US gal), US 부셸당 파운드(lb/bu), 세제곱피트당 슬러그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결정질 물질의 경우, 단위세포의 부피와 화학식량(달톤)을 알면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세제곱옹스트롬당 1달톤은 1.660 539 066 660 g/cm3의 밀도와 같다.

예를 들어, 의 밀도(표준 대기압, 온도 3.984 ℃)는 999.97495 kg/m3 = 999974.95 g/m3 = 999.97495 g/L (= 0.99997495 g/cm3)이다. g/cm3 단위는 국제단위계(SI)에서 일관성이 없는 단위이지만, 이 단위에서의 밀도는 물에 대한 비중과 거의 같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워 자주 사용된다.[39]

2. 2. 밀도의 단위

밀도의 SI 단위는 kg/m³ (킬로그램 매 세제곱미터)이다. g/cm³ (그램 매 세제곱센티미터) 단위도 널리 사용되며, 1 g/cm³ = 1000 kg/m³이다.

한국의 계량법에서는 kg/m³, g/m³, g/L 세 가지 단위를 규정하고 있다.[38]

  • 1 kg/m³ = 1000 g/m³ = 1 g/L (= 0.001 g/cm³)


예를 들어, 의 밀도(표준 대기압, 온도 3.984 ℃)는 다음과 같다.

  • 999.97495 kg/m³ = 999974.95 g/m³ = 999.97495 g/L (= 0.99997495 g/cm³)


g/cm³는 SI에서 일관성이 없는 단위이지만, 이 단위에서의 밀도는 물에 대한 비중과 거의 같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워 자주 사용된다. 단, 비중무차원량임에 유의해야 한다.[39]

  • 1 g/cm³ = 1 kg/L = 1 t/m³ = 1000 kg/m³

3. 밀도와 비중의 차이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이며 단위를 가지는 반면, 비중은 어떤 물질의 밀도를 기준 물질(주로 4°C 물)의 밀도로 나눈 값으로, 단위가 없는 무차원량이다. 물의 밀도 값(g/cm3으로 나타낸 값)과 그 비중 값은 거의 같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지만,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이다.[34]

밀도와 비중의 차이
항목밀도비중
정의질량/부피[34]물질의 질량/같은 부피의 의 질량[35]
차원유차원무차원
계량 단위kg/m3, g/m3, g/L[36]없음
(증류수의 값)0.99997495 g/cm3[37]1.0000(정의에 의함)


4. 밀도의 변화

밀도는 온도압력에 따라 변한다.

일반적으로 압력이 증가하면 물질의 밀도는 증가한다. 반대로 온도가 증가하면 밀도는 감소하지만, 이나 규소처럼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43]

고체, 액체와 달리 기체의 밀도는 압력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보일의 법칙에 따르면 이상 기체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43]

:\rho = \frac {MP}{RT}

여기서 R일반 기체 상수, P는 압력, M은 질량, T는 절대 온도이다. 즉, 이상 기체의 밀도는 압력이 두 배가 되거나 절대 온도가 절반이 되면 두 배가 된다.[43]

4. 1. 온도와 밀도

일반적으로 밀도는 압력이나 온도가 바뀜에 따라 변한다. 압력이 증가하면 물질의 밀도는 항상 증가한다. 온도를 높이면 보통 밀도가 감소하지만, 예외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의 밀도는 녹는점인 0 °C에서 4 °C 사이에서 증가하며, 비슷한 현상이 낮은 온도의 규소에서도 관찰된다.[43]

일반적으로 고체 상태의 물질은 분자들이 매우 빽빽하게 모여 있어 밀도가 크다. 액체는 고체보다 분자 간 거리가 멀어 부피가 커지고 밀도는 작아진다. 기체는 분자 간 거리가 매우 멀어 밀도가 매우 작다. 그러나 은 액체 > 고체 > 기체 순으로 밀도가 커서 예외적인 경우이다.[43]

액체와 고체의 밀도에 대한 압력과 온도의 영향은 크지 않다. 액체나 고체의 일반적인 압축률은 10−6 −1 (1 바=0.1 MPa)이며, 일반적인 열팽창은 10−5 K−1이다.

반면, 기체의 밀도는 압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보일의 법칙에 따르면 이상 기체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rho = \frac {MP}{RT}

여기서 R일반 기체 상수, P는 압력, M은 질량, T는 절대 온도이다. 즉, 300 K와 1 의 밀도는 압력이 2 로 증가하거나 온도가 150 K로 낮아지면 두 배가 된다.

은 0 °C~4 °C에서 육각형 구조를 일부 유지하므로, 온도가 올라가면 수소 결합의 일부가 끊어져 빈 공간을 채우기 때문에 부피가 감소하여 밀도는 증가한다. 4 °C 이상에서는 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져 육각형 구조가 거의 파괴되고 부피가 증가하므로 밀도는 감소한다. 얼음은 수소 결합에 의해 빈 공간이 많은 육각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물보다 부피가 크다.[43]

다음은 다양한 온도에서 물의 밀도를 나타낸 표이다.[44]

°C°Fkg/m³D(kg/L)
0.032.0999.84250.9998425
4.039.2999.97500.9999750
15.059.0999.10260.9991026
20.068.0998.20710.9982071
25.077.0997.04790.9970479
37.098.6993.33160.9933316
50.0122.0988.04000.9880400
100.0212.0958.36650.9583665


4. 2. 압력과 밀도

압력이 증가하면 물질의 부피가 감소하여 밀도가 증가한다. 액체와 고체의 밀도에 대한 압력과 온도의 영향은 크지 않다. 일반적인 액체나 고체의 압축률은 10−6 −1 (1 바 = 0.1 MPa)이며, 일반적인 열팽창은 10−5 K−1이다.[43]

반면 기체의 밀도는 압력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상 기체의 경우, 보일의 법칙에 따라 밀도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43]

:\rho = \frac {MP}{RT}

여기서 R일반 기체 상수, P는 압력, M은 질량, T는 절대 온도이다. 즉, 이상 기체의 밀도는 압력이 두 배가 되거나 절대 온도가 절반이 되면 두 배가 된다.[43]

5. 밀도 측정 방법

물질의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재료의 밀도 측정에는 여러 가지 기술과 표준이 존재한다. 액체의 경우 비중계(부력 측정법), 정수압 저울(액체와 고체의 부력 측정법), 침지체 방법(액체의 부력 측정법)을 사용한다. 액체와 고체의 경우 측정병, 고체의 경우 공기 비교 측정병, 액체의 경우 진동 밀도계, 그리고 고체의 경우 부피 및 충전 방법 등이 있다.[9] 그러나 각각의 방법이나 기술은 서로 다른 유형의 밀도(예: 벌크 밀도, 골격 밀도 등)를 측정하므로, 측정되는 밀도의 유형과 해당 재료의 유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5. 1. 아르키메데스 방법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공기 중과 물속에서의 질량을 각각 측정하여, 그 차이로 부피를 구하고 밀도를 계산한다.[8]

5. 2. 비중병 방법

비중병을 이용하여 액체 및 고체의 밀도를 측정한다. 비중병의 무게, 시료를 넣은 비중병의 질량, 치환액을 추가하여 병을 채웠을 때의 질량, 비중병을 치환액으로 채웠을 때의 질량을 측정하여 부피와 질량을 계산한다.

5. 3. 기타 측정 방법

재료의 밀도는 다양한 기술과 표준을 통해 측정된다. 액체의 경우 비중계나 정수압 저울 등을 사용하고, 고체의 경우 공기 비교 측정병 등을 사용한다.[9] 각 방법은 측정하는 밀도의 유형(벌크 밀도, 골격 밀도 등)과 재료의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

균질한 물질의 경우, 밀도는 전체 질량을 전체 부피로 나누어 계산한다. 비균질 물질의 경우, 특정 위치 주변의 작은 부피의 밀도를 계산하여 결정한다.

실제로 설탕이나 모래와 같은 벌크 재료는 공극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재료의 '''벌크 밀도'''는 질량을 벌크 부피(공극률 포함)로 나누어 결정한다.

  • '''진밀도''': 물질 자체의 밀도로, 기공 부분을 제외한 부피로 질량을 나눈 값이다.
  • '''겉보기밀도''': 물체 표면의 기공 부피는 제외하고, 내부 기공 부피를 포함하여 구한 밀도이다.
  • '''부피밀도'''(벌크 밀도): 분체를 용기에 채울 때 틈새를 포함한 부피로 측정한 밀도이다.
  • '''탭밀도''': 분체를 진동시켜 충전한 후 측정한 부피밀도이다.


일반적으로 진밀도 ≥ 겉보기밀도 ≥ 부피밀도 순서이다.

; 아르키메데스 방법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 중과 물속에서의 질량 차이로 부피를 구하고 밀도를 계산한다.

; 비중병 방법

비중병을 사용하여 시료와 치환액을 넣고 무게를 측정하여 부피와 질량을 계산한다.

6.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다양한 재료의 밀도(다양한 값 범위)
재료ρ (kg/m3)[10]참고
수소0.0898
헬륨0.179
에어로그래파이트0.2[11][12][13]
금속 미세격자0.9[11]
에어로젤1.0[11]
공기1.2해수면 기준
육불화텅스텐12.4표준 조건에서 가장 무거운 기체 중 하나
액체 수소70약 -255 °C에서
스티로폼75대략적인 값[14]
코르크240대략적인 값[14]
소나무373[15]
리튬535밀도가 가장 낮은 금속
목재700건조된 일반적인 값[16][17]
참나무710[15]
칼륨860[18]
얼음916.70 °C 미만에서
식용유910–930
나트륨970
(담수)1,0004 °C에서 최대 밀도를 가짐
(염수)1,0303% 농도
액체 산소1,141약 -219 °C에서
나일론1,150
플라스틱1,175대략적인 값; 폴리프로필렌PET/PVC의 경우
글리세롤1,261[19]
테트라클로로에틸렌1,622
모래1,6001,600과 2,000 사이[23]
마그네슘1,740
베릴륨1,850
실리콘2,330
콘크리트2,400[20][21]
유리2,500[22]
규암2,600[23]
화강암2,700[23]
편마암2,700[23]
알루미늄2,700
석회암2,750치밀한 것[23]
현무암3,000[23]
디아이오도메탄3,325상온에서 액체
다이아몬드3,500
티타늄4,540
셀레늄4,800
바나듐6,100
안티모니6,690
아연7,000
크롬7,200
주석7,310
망간7,325대략적인 값
연강7,850
7,870
니오븀8,570
황동8,600[21]
카드뮴8,650
코발트8,900
니켈8,900
구리8,940
비스무트9,750
몰리브데넘10,220
10,500
11,340
토륨11,700
로듐12,410
수은13,546
탄탈럼16,600
우라늄19,100
텅스텐19,300
19,320
플루토늄19,840
레늄21,020
백금21,450
이리듐22,420
오스뮴22,570지구상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천연 원소



|-

| 성간 물질 || || 10−5개의 수소 원자/입방 센티미터 기준[24]

|-

| 국부 성간 구름 || || 0.3개의 수소 원자/입방 센티미터 기준[24]

|-

| 성간 물질 || || 105개의 수소 원자/입방 센티미터 기준[24]

|-

| 지구 || 5,515 || 평균 밀도.[25]

|-

| 지구 내핵 || 13,000 || 지구에 명시된 근사치.[26]

|-

| 태양의 핵 || 33,000–160,000 || 근사치.[27]

|-

| 백색왜성 || || 근사치.[28]

|-

| 원자핵 || || 원자핵의 크기에 크게 의존하지 않음[29]

|-

| 중성자별 || ||

|}

6. 1. 고체 및 액체의 밀도

일반적으로 고체 상태의 물질은 분자들이 매우 빽빽하게 모여 있어 밀도가 크다. 액체는 고체보다 분자 간 거리가 멀어 부피가 커지고 밀도는 작아진다. 그러나 얼음의 경우, 물은 0°C에서 4°C 사이에서 육각형 구조를 일부 유지하며, 온도가 올라가면 수소 결합이 끊어져 빈 공간을 채우기 때문에 부피가 감소하여 밀도가 증가한다. 4°C 이상에서는 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져 육각형 구조가 파괴되고 부피가 증가하여 밀도가 감소한다. 얼음은 빈 공간이 많은 육각형 구조를 가지므로 물보다 부피가 크다.[43]

액체와 고체의 밀도에 대한 압력과 온도의 영향은 크지 않다. 액체나 고체의 일반적인 압축률은 10−6 −1 (1 바=0.1 MPa)이며, 일반적인 열팽창은 10−5 K−1이다.

다음은 다양한 고체 및 액체 물질의 밀도(단위:g/cm3)이다.[40][41]

물질밀도 (g/cm3)
오스뮴22.59
이리듐22.56
백금21.45
19.30
텅스텐19.25
우라늄19.1
수은13.534
11.34
10.49
구리8.96
7.874
티타늄4.506
알루미늄2.70
규소2.3290
마그네슘1.738
(3.984 °C에서 최대 밀도)[42]
나트륨0.968
칼륨0.862
리튬0.534


6. 2. 기체의 밀도

기체의 밀도는 압력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보일의 법칙에 따르면, 이상 기체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rho = \frac {MP}{RT}

여기서 R일반 기체 상수, P는 압력, M은 질량, T는 절대 온도이다. 즉, 압력이 2배가 되거나 온도가 절반으로 낮아지면 밀도는 두 배가 된다.

온도에 따른 공기 밀도


표준 상태 (0°C, 1기압)에서의 공기 밀도는 약 1.293kg/m³이다. 다음은 1기압에서 온도에 따른 공기 밀도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atm 압력에서의 공기 밀도
T (°C)ρ (kg/m3)
−251.423
−201.395
−151.368
−101.342
−51.316
01.293
51.269
101.247
151.225
201.204
251.184
301.164
351.146



일반적으로 고체, 액체와 달리 기체 상태의 물질은 분자 간의 거리가 매우 멀어서 밀도가 매우 작다.[43]

7. 밀도의 역사

밀도는 "질량÷부피"로 정의되기 훨씬 이전인 선사 시대부터 이미 그 개념이 존재했다. 사람들은 손으로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것만으로도 밀도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순금과 은도금된 물건은 밀도가 약 2배 차이 나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4]

하지만 미묘한 밀도 차이는 판별하기 어려웠다. 아르키메데스히에론 2세의 왕관에 섞인 불순물을 알아낸 일화는 밀도 개념을 정량적으로 인식하게 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4]

12~13세기에는 아랍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된 「알키메데스의 책」 사본에 질량과 비중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1590년경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저서 『운동에 관하여』에서 "일반적인 무게"와 "물체 본래의 고유한 무게"를 구분하고, 밀도를 "단위 부피당 포함된 원자의 수"로 보았다.[1] 아이작 뉴턴은 1687년 저서 『프린키피아』에서 질량을 "밀도 × 부피"로 정의하여 갈릴레오의 원자론적 밀도 개념을 채택했다.[2]

동양에서는 기원후 1세기 한서(漢書) 「식화지하」에 "황금 1寸 정육면체의 무게가 1斤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를 오늘날의 값으로 환산하면 18.56 g/cm3으로, 실제 금 밀도와 오차가 4% 미만이다. 3세기 손자산경(孫子算経)의 밀도표에도 비슷한 값이 기록되어 있다.[1]

7. 1. 고대

아리스토텔레스는 소금물과 민물의 밀도 차이 때문에 배가 강에서는 가라앉기 쉽지만, 바다에서는 잘 뜬다는 것을 기록했다. 또한 소금을 섞어 물을 짜게 만들면 달걀이 뜨는 현상과 팔레스타인의 호수에서 사람이 가라앉지 않고 뜨는 현상을 언급하며 밀도와 부력의 관계를 설명했다.[3]

아르키메데스는 히에론 왕의 금관에 불순물이 섞였는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물의 변위를 통해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유레카!"를 외쳤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 이야기는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에 관한 책''에 처음 기록되었으나,[5] 일부 학자들은 그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6][7]

아르키메데스는 "무게의 감소분은 물체와 같은 부피의 물의 무게와 같다"는 부력의 원리를 발견하여 밀도 개념을 정량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4]

7. 2. 중세 및 근대

12세기에서 13세기에 걸쳐 아랍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된 「알키메데스의 책」 사본에는 질량과 비중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이 사본에서는 크기가 같은 물체에서 무게가 더 무거운 것은 그 종류가 더 무거운 것이며, 같은 종류의 물체에서는 크기와 무게가 비례한다고 설명한다.

1590년경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저서 『운동에 관하여』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물체의 무게"와 "물체 본래의 고유한 무게"를 구분했다.[1] 그는 "일반적인 무게"는 부력이나 저항력과 같은 외부 힘에 의해 변하지만, "본래의 무게"는 변하지 않는다고 보았다.[1] 갈릴레오는 물체의 본래 무게가 "밀도 × 부피"로 결정되며, 밀도는 "단위 부피당 포함된 원자의 수"로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했다.[1] 아이작 뉴턴은 1687년 저서 『프린키피아』에서 질량을 "밀도 × 부피"로 정의하여 갈릴레오의 원자론적 밀도 개념을 채택했다.[2] 갈릴레오와 뉴턴은 모두 원자론적 관점에서 밀도가 질량이나 무게보다 더 근본적인 양이라고 생각했다.[3]

7. 3. 동양의 밀도 개념

중국에서는 한나라(漢) 시대에 이미 금의 밀도를 측정하여 기록했다. 한서(漢書) 「식화지하(食貨志下)」에는 "황금 1寸의 정육면체 무게가 1斤이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를 오늘날의 값으로 환산하면 18.56 g/cm3으로, 실제 금의 밀도와 오차가 4% 미만이다. 이는 한나라 시대에 금 1촌 정육면체의 무게를 기준으로 무게 단위를 정했음을 보여준다. 3세기 손자산경(孫子算経)의 밀도표에도 비슷한 값이 기록되어 있으며, 구리, 납, 철의 밀도도 오늘날의 값에 가깝다.[1]

조선에서는 밀도를 "경중(輕重)"이라 불렀다.[2] 금속의 밀도는 화폐 주조에 중요한 기준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에도 시대 일본에서는 밀도 측정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요시다 미쓰요시(吉田光由)의 진겁기(塵劫記)에는 중국 수학 서적 산법통종(算法統宗)의 밀도표를 베낀 값이 실려 있었으나, 중국과 일본의 단위 차이로 인해 정확하지 않았다.[3] 1640년 이마무라 도모아키(今村知商)의 인귀산가(因帰算歌)에는 진겁기(塵劫記)의 밀도표를 수정한 값이 실렸지만, 여전히 오차가 있었다.[4] 1687년 개산기강목(改算記綱目)에는 금의 밀도 측정법이 제시되었으나, 실제 측정 결과는 기록되지 않았다.[5]

1680년대 일본 수학자들은 "금의 실제 밀도는 얼마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했지만, 이후 유학(儒学)의 영향으로 밀도에 대한 과학적 관심이 쇠퇴했다.[6] 도쿠가와 요시무네(徳川吉宗)의 교호 개혁(享保の改革)에서 유학이 중시되면서, 밀도는 물질에 고유한 상수로 인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7]

막부는 금좌(金座)에 명하여 금의 밀도를 측정하게 하였는데(1729년), 이는 도쿠가와 요시무네(徳川吉宗)의 서양 서적 반입 금지 해제 정책과 관련이 있다. 서양 역산서 역산전서(暦算全書)의 번역을 통해 서양의 밀도 값이 일본에 소개되면서, 유럽과 일본의 밀도 값 차이를 바로잡기 위한 목적이었다.[8]

간사이 지방의 작은 화산 학파였던 다쿠마류(宅間流)의 화산서 『(증보)산학계고대전(算学稽古大全)』(1806년)에서는 밀도를 "촌중(寸重)", "척중(尺重)"이라는 용어로 표현하고, 금과 물의 밀도 값을 매우 정확하게 기록했다.[9]

에도 시대에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가 알려지지 않아 부력을 이용한 비중 측정 방법은 사용되지 않았다.[10] 1827년 아오치 린소(青地林宗)가 저술한 기해관란(氣海觀瀾)에서 처음으로 부력의 원리가 언급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Gas Density http://www.grc.nasa.[...] National Aeronautic and Space Administration 2013-04-09
[2] 웹사이트 Density definition http://oilgasglossar[...] Oil Gas Glossary 2010-09-14
[3] 서적 Meteorologic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Archimedes, A Gold Thief and Buoyancy http://www-personal.[...]
[5] 웹사이트 Vitruvius on Architecture, Book IX http://penelope.uchi[...]
[6] 논문 EXHIBIT: The First Eureka Moment
[7] 뉴스 Fact or Fiction?: Archimedes Coined the Term "Eureka!" in the Bath https://www.scientif[...] 2006-12-08
[8] 문서 La Bilancetta https://math.nyu.edu[...]
[9] 논문 Test No. 109: Density of Liquids and Solids 2012-10-02
[10] 문서 Unless otherwise noted, all densities given are at standard conditions for temperature and pressure
[11] 문서 Air contained in material excluded when calculating density
[12] 뉴스 New carbon nanotube struructure aerographite is lightest material champ http://phys.org/news[...] Phys.org 2012-07-14
[13] 뉴스 Aerographit: Leichtestes Material der Welt entwickelt – SPIEGEL ONLINE http://www.spiegel.d[...] Spiegel.de 2012-07-14
[14] 웹사이트 Re: which is more bouyant styrofoam or cork http://www.madsci.or[...] Madsci.org 2010-09-14
[15] 서적 Principles of Physics: A Calculus-Based Text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16] 웹사이트 Wood Densities http://www.engineeri[...] 2012-10-15
[17] 웹사이트 Density of Wood http://www.simetric.[...] 2012-10-15
[18] 서적 CRC Handbook of tables for Applied Engineering Science CRC Press
[19] 웹사이트 glycerol composition at http://physics.nist.[...] Physics.nist.gov 2012-07-14
[20] 웹사이트 Density of Concrete - The Physics Factbook https://hypertextboo[...]
[21] 서적 Univer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Addison-Wesley
[22] 웹사이트 Density of Glass - The Physics Factbook https://hypertextboo[...]
[23] 서적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Geo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Our Local Galactic Neighborhood http://interstellar.[...] NASA 2012-08-08
[25] 웹사이트 Density of the Earth http://www.wolframal[...] wolframalpha.com
[26] 웹사이트 Density of Earth's core http://www.wolframal[...] wolframalpha.com
[27] 웹사이트 Density of the Sun's core http://www.wolframal[...] wolframalpha.com
[28] 웹사이트 Extreme Stars: White Dwarfs & Neutron Stars http://www.astronomy[...] Ohio State University
[29] 웹사이트 Nuclear Size and Density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30] 문서 Values below 0 °C refer to supercooled water.
[31] 문서 直観的には、各点における物質の量(質量)という意味
[32] 문서 異なる物理量どうしの演算で得られた新しい量であるため、SI組立単位で表されるものであり、正確に比ではない。
[33] 문서 より正確には、この微小部分は微分で考える微分小と同じであるが、物理量が異なる場合、純粋な幾何学のような比で表す事ができないため、各点における物理単位辺りの大きさで表している。
[34] 문서 体積と容積
[35] 문서 比重の定義
[36] 문서 법정계량단위
[37] 문서 물의 성질#밀도
[38] 웹사이트 계량단위령 별표 제1 https://laws.e-gov.g[...]
[39] 문서 비중의 정의
[40] 서적 理科年表 理科年表 2020
[41] 서적 理科年表 理科年表 2020
[42] 웹사이트 Density maximum and molecular volume at the temperature of maximum density http://www1.lsbu.ac.[...]
[43] 서적 완자 화학 Ⅰ(1권) 비유와상징 2006-07-01
[44] 서적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W. H. Freeman and Company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