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활성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면활성제는 유기 화합물의 일종으로, 친수성(물과 친함)과 소수성(물과 멀리함)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어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물질들의 계면에 흡착되어 표면 장력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비누, 세제, 화장품, 식품, 의약품, 농업,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화, 분산, 발포, 소포, 세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종류에 따라 환경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관련 안전 기준 및 규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면활성제 - 베타인
베타인은 질소 원자에 가동 수소 원자가 없어 이성질화되지 않는 양쪽성 이온으로, 트리메틸글리신이 대표적이며 다양한 생화학적 용도와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활용되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 및 효능 논란이 있다. - 계면활성제 - 과불화옥탄술폰산
과불화옥탄술폰산(PFOS)은 3M이 생산한 유기 불소 화합물로, 섬유 보호제에 사용되었으나 잔류성, 생물 축적성, 독성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규제된다. - 환경 용어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 환경 용어 - 습지
습지는 물에 잠긴 땅으로 육상과 수생 생태계의 전이대이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개발과 보전의 갈등, 그리고 오염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계면활성제 | |
---|---|
개요 | |
![]() | |
정의 | 액체와 다른 물질 사이의 표면 장력을 낮추는 물질 |
응용 분야 | 세제 유화제 분산제 습윤제 발포제 |
구조 및 성질 | |
분자 구조 | 친수성 머리 부분과 소수성 꼬리 부분으로 구성 |
작용 메커니즘 | 계면에 흡착되어 표면 장력을 감소시킴 |
임계 미셀 농도 (CMC) | 미셀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계면활성제의 특정 농도 |
HLB 값 | 계면활성제의 친수성-소수성 균형을 나타내는 값 |
유형 | |
이온성 계면활성제 |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반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롤 에스터 |
응용 | |
세제 | 옷, 식기, 기타 표면 세척 |
화장품 | 샴푸, 비누, 로션 등 |
식품 산업 | 유화제, 안정제 |
농업 | 살충제, 제초제 |
의약품 | 약물 전달 시스템 |
산업용 | 윤활제, 부식 방지제 |
환경 영향 | |
생분해성 | 일부 계면활성제는 자연적으로 분해됨 |
독성 | 일부 계면활성제는 수생 생물에 유해할 수 있음 |
환경 규제 | 계면활성제 사용에 대한 규제 |
안전성 | |
피부 자극 | 일부 계면활성제는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음 |
눈 자극 | 일부 계면활성제는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음 |
알레르기 반응 | 일부 계면활성제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세제 미셀 표면 장력 콜로이드 계면화학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위키백과, 전문 서적, 학술 논문 |
외부 링크 | 관련 웹사이트, 자료 |
2. 역사
계면활성제는 아주 오래전부터 인류가 사용해 온 물질이다. 최초의 계면활성제는 비누였으며, 기원전 2800년경 고대 바빌로니아 유적에서 비누와 관련된 기록이 발견되었다. 이 비누는 기름과 재를 섞어 끓여서 만들었으며, 주로 세탁이나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되었다.[1]
고대 이집트에서도 기원전 1550년경 파피루스 기록에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과 알칼리성 염을 혼합하여 비누와 유사한 물질을 제조하여 사용했다는 내용이 있다. 이 물질은 세탁뿐만 아니라 피부병 치료에도 사용되었다.[1]
2. 1. 현대적 발전
현대에는 분산과 응집의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계면활성제가 응용되고 있다.먹물, 립스틱, 잉크 등은 비수용성 물질을 물에 녹이기 위해 분산의 원리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물에 섞이지 않는 그을음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그을음을 중심으로 미셀이 형성되어 물속에 안정적으로 흩어진다. 이는 미셀 콜로이드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반발하기 때문이다.[1] 세제의 얼룩 제거 작용 역시 유화와 분산에 의한 것이다.[1]
분산의 반대 현상인 응집은 분산된 고체 입자를 모으는 것이다. 미립자 반발의 주된 요인은 전기 이중층(주로 음전하)의 반발이므로, 양이온성 고분자나 황산 알루미늄 등의 다가 금속염을 사용하여 응집을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1가보다 2가, 2가보다 3가의 금속염이 응집 능력이 수십 배에서 수백 배 높다. (\슐츠-하르디 규칙)[1] 라텍스는 응집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고분자이다.[1] 응집은 주로 상하수도의 불순물 제거에 활용된다.[1]
3. 계면활성제의 원리
계면이란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액체와 고체가 서로 맞닿은 경계면을 의미한다. 계면활성제는 이러한 계면의 경계를 완화시켜 표면 장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계면활성제는 하나의 분자 내에 친수성과 친유성을 모두 가진 화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작용이 가능하다.[8]
계면활성제는 세제 용도 외에도 식품 및 화장품의 유화제, 보습제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또한, 화학 구조를 약간만 변경해도 특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종류의 계면활성제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물에 녹았을 때 친수성 부분의 전하에 따라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분류할 수 있다.
용매에 계면활성제를 소량 첨가하면, 대부분의 계면활성제 분자는 소수성 부분을 공기 쪽으로 향하게 하여 용매 표면에 모인다. 계면활성제의 양을 점차 늘려 임계 미셀 농도(CMC)에 도달하면, 물에서는 친수성 부분을 바깥쪽으로, 친유성 부분을 안쪽으로 향하는 미셀이 형성되고, 비극성 용매에서는 반대 방향의 미셀이 형성된다. 미셀 내부는 외부 환경과 다른 성질을 가진 물질을 수용할 수 있어, 계면활성제를 통해 극성과 비극성 물질이 균일하게 혼합된 용액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계면활성 작용'''이라고 한다.
3. 1. 화학적 구조
계면활성제는 하나의 분자 내에 친수성 "머리"와 소수성 "꼬리"를 가진 유기 화합물이다. 친수성 머리 부분은 극성을 띠며 물과 잘 결합하고, 소수성 꼬리 부분은 탄화수소 사슬, 플루오로카본 사슬, 실록산 사슬 등으로 구성되어 물과 잘 결합하지 않는다.[4]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머리 부분의 전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4]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머리 부분에 전하를 띤 기가 없다.
-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머리 부분이 음전하를 띤다.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머리 부분이 양전하를 띤다.
- 양쪽성 계면활성제: 머리 부분에 양전하와 음전하를 모두 가진다. (쯔비터이온)
thumb 미셀 – 계면활성제 이온의 친유성 꼬리는 오일과 더 강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오일 내부에 남아 있다. 미셀을 코팅하는 계면활성제 분자의 극성 "머리"는 물과 더 강하게 상호작용하므로 미셀 사이에 장벽을 형성하는 친수성 외부 층을 형성한다. 이는 미셀의 소수성 코어인 오일 방울이 더 적고 더 큰 방울로 합쳐지는 것을 억제한다("유화 파괴").]]
많은 중요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테르 사슬을 포함하는데, 이는 고도로 화학적 극성을 띠는 음이온성 기로 종결된다. 폴리에테르 기는 종종 에톡실화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사) 시퀀스로 구성되어 계면활성제의 친수성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는 계면활성제의 친유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삽입될 수 있다.[4]
소수성 꼬리는 화학적 특성에 따라 친유성("오일을 찾는") 또는 소유성("오일을 피하는")일 수 있다. 탄화수소 그룹은 일반적으로 비누와 세제에 사용하기 위해 친유성이며, 플루오르카본 그룹은 얼룩 방지제에 사용하거나 표면 장력을 줄이기 위해 소유성이다.[8]
계면활성제 분자는 꼬리가 하나 또는 두 개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가 두 개인 것은 "이중 사슬"이라고 한다.[4]
3. 2. 계면에서의 작용
계면이란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액체와 고체가 서로 맞닿은 경계면이다. 계면활성제는 이런 계면의 경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계면이 가지고 있던 표면 장력은 약해진다. 하나의 분자 내에 친수성과 친유성을 가진 화학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8]계면활성제는 세제 용도 외에도 식품과 화장품의 유화제, 보습제로도 많이 사용된다. 화학 구조를 약간 변형시키는 것만으로도 특성이 크게 달라져 종류가 다양하다. 대체로 물에서 해리되었을 때 친수성 부분의 전하에 따라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특수 계면활성제로 분류할 수 있다.
유화성(乳化性)이나 발포성(發泡性) 등 여러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유는 물 속에 젖의 단백질과 지방질이 아주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된 유탁액(에멀젼) 상태이다. 이는 우유에 함유된 특정 단백질이 계면활성제로서 작용하여 지방질을 미립자로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유탁액(emulsion)은 겉보기에는 균일하지만 실제로는 아주 작은 입자로 분산되어 있으며, 이보다 굵은 입자로 분산된 것은 현탁액(suspension)이라고 한다.
크림, 유액 같은 화장품도 물과 기름이 작은 입자 상태로 섞여 있는 것인데, 여기에도 계면활성제가 작용한다. 염화비닐 중합처럼 유화 상태에서 반응을 일으켜야 할 경우에도 대량의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다.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 것도 유화, 분산시키면 유동성이 증가하고 표면에 잘 퍼지는 등 좋은 성질을 얻을 수 있다. 물과 기름의 혼합비에 따라서도 성질이 크게 달라진다. 바니싱크림은 소량의 기름이 다량의 물속에 분산된 'O/W 유탁액(oil in water emulsion)'이고, 콜드크림은 반대로 'W/O 유탁액(water in oil emulsion)'이다.
계면활성제의 발포성을 이용한 예로 흡착이 있다. 액체와 기체의 계면에 계면활성제 분자가 배열하여 막을 만들면, 이 막은 작은 고체를 흡착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다. 이 때문에 세탁 시 거품이 일면서 때가 빠진다.
광산에서 선광에 사용되는 부유선광법도 계면활성제의 발포성을 이용한 것이다. 광석을 분쇄한 후 계면활성제와 함께 물을 흘려보내면 광물 미립자가 거품에 흡착되므로 이를 모아 광물을 회수한다. 발포제를 만들어 소화(消火)에 응용하기도 한다. 화재 발생 시 발포제로 연소물 표면의 공기를 차단하여 불을 끈다. 소화용 발포제는 냉열성이 강하고 적당한 점성이 있어야 하므로, 단백질 분해물이 주로 사용된다.
발포성과 반대로 거품을 방지하는 소포제도 계면활성제의 일종이다. 실리콘유가 그 예로, 거품 방지가 필요한 곳에 널리 사용된다. 물을 배척하는 것도 계면활성제의 역할 중 하나인데, 실리콘 도료나 실리콘유를 유리 등에 바르면 발수성이 생겨 자동차 유리나 안경이 뿌옇게 되는 것을 막는다.
계면활성제는 양친매성 유기 화합물과 유사하며, 친수성 "머리" 그룹과 소수성 "꼬리" 그룹을 모두 가지고 있다.[8] 물에 확산되어 공기와 물 사이, 또는 물과 기름 사이 계면에 흡착된다. 소수성 그룹은 공기나 오일 같은 비수성 상으로 확장되고, 친수성 머리 그룹은 물 상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소수성 꼬리는 친유성("오일을 찾는") 또는 소유성("오일을 피하는")일 수 있다. 탄화수소 그룹은 비누와 세제에, 플루오르카본 그룹은 얼룩 방지제나 표면 장력 감소를 위해 사용된다.
세계 계면활성제 생산량은 연간 1,500만 톤으로 추정되며, 그 중 약 절반이 비누이다. 대규모 생산되는 다른 계면활성제로는 선형 알킬벤젠 설포네이트(170만 톤/년), 리그닌 설포네이트(60만 톤/년),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70만 톤/년),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50만 톤/년) 등이 있다.[9]
벌크 수성 상에서 계면활성제는 미셀 같은 응집체를 형성한다. 소수성 꼬리는 응집체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머리는 주변 액체와 접촉한다. 구형, 원통형 미셀, 지질 이중층 등 다른 형태의 응집체도 형성될 수 있다. 응집체 모양은 친수성 머리와 소수성 꼬리 크기 균형, 즉 친수성-친유성 균형(HLB)에 따라 달라진다. 액체-공기 계면에서 흡착하여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킨다. 표면 장력과 표면 과잉을 연결하는 관계는 깁스 등온선으로 알려져 있다.
계면활성제 흡착 역학은 거품, 유화, 코팅 공정 등에서 중요하며, 기포나 방울이 빠르게 생성, 안정화되어야 한다. 흡착 역학은 계면활성제의 확산 계수에 달려 있다. 계면 생성 후 흡착은 계면으로의 확산에 의해 제한된다. 흡착/탈착에 대한 에너지 장벽이 존재하면 역학은 '운동 제한'이라고 한다. 입체 반발, 전기적 반발 등이 에너지 장벽의 원인이다.
계면활성제 층의 표면 유변학(탄성, 점성)은 거품과 에멀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계면 근방에서는 계면 자유 에너지가 높아 불안정하므로, 계면은 표면적을 최소화하려 한다(계면 장력). 양친매성 물질이 계면상에 배열되면 계면 자유 에너지가 감소하여 안정화된다.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물질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뿌옇게 균일해진다(에멀젼). 이를 유화라 하며, 계면활성제는 유화제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에멀젼은 액체/액체 콜로이드의 일종으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시간이 지나면 두 층으로 분리된다.
피분산 액체가 소량인 액체/액체 콜로이드에서 미셀은 작아 팽윤 미셀을 나타내며, 무색 투명하거나 푸르스름한 액체가 된다. 이를 가용화라 하며, 마이크로에멀젼이라고 한다. 유화계 에멀젼과 달리 열역학적으로 안정하여 분리되지 않는다. 가용화는 미셀 내에 피분산체가 포획되어 일어나며, 미셀 형성이 시작되는 임계 미셀 농도 이상에서 가용능이 급격히 향상된다.
〇/△ 콜로이드는 △ 용매에 〇 용질 포함 미립자(미셀)가 분산된 계를 의미한다. 고체/수 콜로이드라면 미셀 내에 고체를 포획하여 물에 분산된 것이다.
일반적인 유화 방법:
- 기계 유화
- 전상 유화
- 액정 유화
- 전상 온도 유화 (PIT 유화)
- D상 유화
- 가용화 영역을 이용한 초미세 유화
고체/액체 콜로이드에서는 분산 현상이 일어난다. 물에 그을음을 넣어도 섞이지 않지만,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그을음을 중심으로 미셀이 형성되어 물에 흩어져 안정된다. 미셀 콜로이드 간 전기적 반발 때문이다. 먹물, 립스틱, 잉크 등은 분산을 이용해 비수용성 물질을 물에 분산시킨다. 세제의 얼룩 제거 작용도 유화, 분산에 의한 것이다.
분산의 반대는 응집이며, 분산된 고체 입자를 모으는 것이다. 미립자 반발 요인은 전기 이중층(주로 음전하) 반발이므로, 양이온성 고분자나 황산 알루미늄 등 다가 금속염이 사용된다. 1가보다 2가, 2가보다 3가가 응집 능력이 수십~수백 배 높다(슐츠-하르디 규칙). 라텍스가 대표적인 고분자이다. 응집은 상하수도 불순물 제거에 주로 사용된다.
3. 2. 1. 임계 미셀 농도 (CMC)
용매에 계면활성제를 더해가면, 계면활성제의 양이 적을 때는 대부분이 소수기를 공기 쪽으로 향하게 하여 용매면에 모인다. 양을 늘려가면 이윽고 임계량(임계 미셀 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에 도달하여, 물에서는 친수성 부분을 바깥쪽으로, 친유성 부분을 안쪽으로 한 미셀을, 비극성 용매 중에서는 안과 밖이 반대가 된 미셀을 형성한다. 이 미셀의 내부에는 외부 환경과는 성질이 다른 물질을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는 극성·비극성의 양쪽 물질이 균일하게 혼합된 용액을 만들 수 있다. 친수성 물질과 소수성 물질을 균일화하는 작용을 '''계면활성 작용'''이라고 한다.CMC는 계면활성제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수치이며, 이것을 경계로 용매의 물성이 크게 변화한다. 이 값이 작을수록 계면활성제로서의 성능은 높다. CMC를 넘어서 농도를 높게 해도 미셀의 크기는 수 nm 그대로 변하지 않고, 수만 증가해 간다. 그러나, 더욱 농도를 높여가면 용액이 백탁하기 시작하여, 전체적으로 겔화하게 된다. 이것은, 그 전까지 구체였던 미셀이 막대 모양 또는 층상의 미셀로 구조를 바꾸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셀이 증가하면, 굴절률이 변화하여 백탁하게 보인다. 또한, 층상 미셀이 집합체가 되어 리오트로픽 액정이라고 불리며, 독특한 텍스처를 나타낸다.
3. 2. 2. 젖음성 (Wetting)
계면활성제는 기/액 계면, 고/액 계면에서 계면 장력을 저하시키므로,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젖음(wetting)이란 고체 표면에 액체가 부착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의류에 액체가 스며들기 쉬워지거나, 잉크가 스며들기 쉬워(정착하기 쉬워)진다. 이는 보습, 침투 작용으로서 화장품이나 농약, 염색, 세제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1]3. 2. 3. 기포 (Foaming) 및 소포 (Antifoaming)
기체/액체 콜로이드에서는 계면활성제의 효과로 거품이 발생한다. 이를 '''기포'''(foaming)라고 한다. 거품은 기체를 얇은 액체 막으로 감싼 것이지만, 계면활성제는 기체 쪽에 친유기를, 액체 막 쪽에 친수기를 향하게 배열한다. 즉, 친수기로 둘러싸인 부분(거품의 경계부)을 심액(물)이 채우고 있다.일반적으로 포말(단일 거품의 집합체)에서는 거품끼리의 삼중 접점(플라토 경계)에 모세관 현상으로 심액이 빨려 들어가, 액체 막은 점점 얇아져서 거품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결국 터져 버린다. 그러나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 액체 막이 얇아지면 분자 간의 정전기적 반발 때문에 그 이상 막이 얇아지는 것에 저항하게 된다. 이 때문에 거품이 지속되어 "거품이 이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기포성은 세제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아이스크림이나 소화제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 기포의 반대가 소포(antifoaming)이다. 기포성은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정전기적 반발에 기인하므로, 거품을 없애려면 이를 저해하면 된다. 예를 들어,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다. 이것들 또한 액체 막에 배열되지만, 서로 반발하지 않으므로 액체 막이 얇아지는 것을 막지 못하고 파포(破泡)한다. 또한, 에탄올 등의 친수성 유기 용매를 물과 비슷한 정도로 첨가하면 계면활성제를 표면에서 제거하여 소포한다. 또한, 50°C~60°C 정도까지 액체의 온도를 올려 거품의 수분을 증발시켜 소포할 수도 있다.
4. 계면활성제의 종류
계면활성제는 물에서 해리될 때 친수성 부분의 전하에 따라, 혹은 분자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음이온 계면활성제: 물에 녹았을 때 음이온을 띠는 계면활성제이다.
- 양이온 계면활성제: 물에 녹았을 때 양이온을 띠는 계면활성제이다.
- 양쪽성 계면활성제: 분자 내에 음이온과 양이온을 모두 가지고 있어 용액의 pH에 따라 성질이 변하는 계면활성제이다.
- 비이온 계면활성제: 전하를 띠지 않는 친수성 부분을 가진 계면활성제이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계면활성제를 분류할 수 있다.
-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아미노산에서 유래한 계면활성제이다. 아미노산의 종류와 알킬/아릴 사슬과 축합되는 아미노산 부분에 따라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이온성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진다.[7]
- 쌍둥이 계면활성제: 두 개의 계면활성제 분자가 머리 부분 또는 그 근처에서 연결된 형태이다. 단분자 계면활성제에 비해 임계 미셀 농도가 훨씬 낮다.[7]
일본에서는 경제산업성에 의한 잡화공업품 품질표시규정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분류한다.[38] "합성세제, 세탁용 또는 주방용 비누 및 주택용 또는 가구용 세정제"에 대해서는 함유된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함유율을 표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종류 | 예시 |
---|---|
양쪽성 이온 계면활성제 | 아미노산 계열 (알킬아미노지방산나트륨), 베타인 계열 (알킬베타인), 아민옥사이드 계열 (알킬아민옥사이드) |
비이온 계열 계면활성제 | 지방산 계열(비이온) (설탕지방산에스터, 소르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터, 지방산알카놀아미드), 고급알코올 계열(비이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알킬페놀 계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
양이온 계열 계면활성제 | 제4급 암모늄염 계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
4. 1. 음이온 계면활성제 (Anionic surfactants)
물 속에서 해리될 때 음이온이 되는 계면활성제이다. 친수기로 카르복실산, 술폰산, 또는 인산 구조를 가진 것이 많다. 카르복실산계로는 비누의 주성분인 지방산염이나 콜산염이, 술폰산계로는 합성 세제에 많이 사용되는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과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에도 이용되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이 있다.[38]- 비누 (지방산 나트륨): RCOO-Na+
- 모노알킬 황산염: ROSO3-M+
- 알킬폴리오시에틸렌 황산염: RO(CH2CH2O)mSO3-M+
- 알킬벤젠술폰산염: RR'CH2CHC6H4SO3-M+
- 모노알킬인산염: ROPO(OH)O-M+
일본 경제산업성의 잡화공업품 품질표시규정에 따르면 음이온 계열 계면활성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38]
종류 | 예시 |
---|---|
지방산 계열(음이온) | 순비누분(지방산나트륨), 순비누분(지방산칼륨), 알파설포지방산에스터나트륨 |
직쇄알킬벤젠 계열 |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
고급알코올 계열(음이온) | 알킬황산에스터나트륨, 알킬에테르황산에스터나트륨 |
알파올레핀 계열 | 알파올레핀설폰산나트륨 |
노르말파라핀 계열 | 알킬설폰산나트륨 |
4. 2. 양이온 계면활성제 (Cationic surfactants)
물속에서 해리될 때 양이온이 된다. 친수기로 테트라알킬암모늄을 가진 것이 많다. 역성 비누, 린스, 섬유 유연제 등에 이용된다.[38]-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RN+(CH3)3X-
-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RR'N+(CH3)2X-
-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염 RN+(CH2Ph)(CH3)2X-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살균 성능을 가지며, 살균제로서 사용되고 있다.[36][37]
pH에 따라 달라지는 1차, 2차 또는 3차 아민의 경우, pH < 10에서 양전하를 띠게 된다.[5] 영구적으로 전하를 띠는 4급 암모늄 염에는 세트리모늄 브로마이드(CTAB),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C), 벤잘코늄 클로라이드(BAC), 벤제토늄 클로라이드(BZT),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오크타데실디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AB)가 있다.
4. 3. 양쪽성 계면활성제 (Zwitterionic surfactants)
쯔비터 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은 동일한 분자에 양이온 중심과 음이온 중심을 모두 가지고 있다. 양이온 부분은 1차, 2차, 3차 아민 또는 4급 암모늄 양이온을 기반으로 한다. 음이온 부분은 더욱 가변적일 수 있으며 술테인(예: CHAPS) 및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술테인)과 같이 설폰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베타인(예: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은 암모늄과 함께 카르복실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생물학적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인지질(예: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마이엘린)과 같이 아민 또는 암모늄과 함께 인산 음이온을 갖는다.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미리스타민옥사이드는 3차 아민 옥사이드 구조 유형의 두 가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38]
분자 내에 음이온성 부위와 양이온성 부위를 모두 가지고 있어서, 용액의 pH에 따라 양이온·양쪽성·음이온이 된다. 위의 각각을 조합한 구조를 가진다. 주로 화장품에 사용된다.
-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R(CH3)2NO)
- 알킬카르복시베타인 (R(CH3)2N+CH2COO-)
- 알킬설포베타인 (RR'R"N +(CH 2)nSO3)
4. 4. 비이온 계면활성제 (Non-ionic surfactants)
친수성 부분이 비전해질로, 이온화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계면활성제이다. 알킬글리코사이드와 같은 저분자 계열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고분자 계열이 있다. Triton X, Pluronic, Tween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된다.[9]-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RO(CH2CH2O)mH
- 지방산 소르비탄 에스테르
-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RCON(CH2CH2OH)2
-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 ROCH2CH(OH)CH2OH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모체에 공유 결합된 산소 함유 친수성 그룹을 가진다. 산소 그룹의 수용성은 수소 결합의 결과이다. 수소 결합은 온도가 증가하면 감소하므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수용성도 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보다 물의 경도에 덜 민감하고 거품 발생이 적다. 개별 비이온 계면활성제 유형 간 차이는 미미하며, 선택은 주로 효과, 효율성, 독성, 피부 적합성, 생분해성, 식품 사용 허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5. 계면활성제의 응용
계면활성제는 세제 뿐만 아니라 식품, 화장품의 유화제 및 보습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10] 약간의 화학 구조 변형만으로도 특성이 크게 달라져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우유는 물 속에 젖 단백질과 지방질이 작은 입자로 분산된 유탁액 상태인데, 이는 우유 속 특정 단백질이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여 지방질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이처럼 물과 기름 같이 서로 섞이지 않는 물질도 유화를 통해 분산시키면 유동성이 증가하고 표면에 잘 퍼지는 등 유용한 성질을 얻을 수 있다.
화장품 중 크림과 유액도 물과 기름이 작은 입자로 섞인 형태이며, 여기에도 계면활성제가 작용한다. 공장에서 염화비닐 중합처럼 유화 상태에서 반응을 일으켜야 할 때도 대량의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다.
계면활성제는 액체와 기체 계면에 막을 형성하여 작은 고체를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이 때문에 세탁 시 거품이 일어나 때가 잘 빠진다. 이러한 발포성은 광산에서 광물을 선별하는 부유선광법, 소화에 사용되는 소화제 등에도 응용된다. 소화제는 연소물 표면의 공기를 차단하여 불을 끄는 역할을 한다.
발포성과 반대로 거품 생성을 억제하는 소포제 역시 계면활성제의 일종이다. 실리콘유가 대표적인 예시이며, 거품 방지가 필요한 곳에 널리 쓰인다. 물을 섞이게 하는 역할과 반대로, 실리콘 도료나 실리콘유처럼 물을 밀어내는 성질을 부여하는 것도 계면활성제의 역할 중 하나이다.
합성 섬유나 플라스틱은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워 먼지가 잘 붙는데, 계면활성제를 표면에 도포하거나 혼합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는 화재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계면활성제는 소방에서 "젖은 물"을 만들어 가연성 물질에 빠르게 침투하게 하거나,[11][12] 파이프라인에서 액체 저항 감소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알칼리성 계면활성 중합체는 유정에서 오일을 추출하는 데 사용된다.
의약품 분야에서는 솜이나 붕대에 약용 용액이 잘 흡수되도록 하고,[13][14] 상처 세척 시 먼지와 이물질 제거를 돕는다.[14] 농업 분야에서는 제초제나 살충제 등 농약 제제에 사용된다.[10]
계면활성제는 토양 세척, 생물 정화, 식물 정화 등 환경 복원에도 기여한다.[15]
5. 1. 세제 및 세정
세탁 세제는 계면 장력을 낮춰 수용액이 천에 빠르게 스며들게 하고, 기름때(유기물)를 제거하여 수용액에 분산시킨다. 마지막으로 헹구면 오염물이 씻겨 나간다. 주방 세제는 기름을 유화시켜 물에 씻겨 내려가게 한다.[10]샴푸는 머리카락의 오염을 세탁 세제나 주방 세제와 비슷한 방식으로 제거하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계면활성제는 액체와 기체의 계면에 막을 만들어 작은 고체를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이 때문에 세탁 시 거품이 일어나 때가 잘 빠진다. 이러한 발포성은 광산에서 광물을 선별하는 부유선광법, 소화(消火)에서 불을 끄는 발포제 등에도 응용된다. 부유선광법은 분쇄된 광석에 계면활성제를 섞은 물을 흘려보내면 광물 미립자가 거품에 흡착되는 원리를 이용하며, 발포제는 연소물 표면의 공기를 차단하여 불을 끄는 역할을 한다.
5. 2. 화장품
크림·유액과 같은 화장품은 모두 물과 기름이 작은 입자 상태로 섞여 있는 것으로, 여기에는 계면활성제가 작용한다. 물과 기름처럼 서로 용해되지 않는 것도 유화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유동성이 증가하고 표면에 잘 퍼지는 등의 좋은 성질을 얻을 수 있다.[10] 에멀젼은 얼른 보아서는 균일한 것처럼 보이나 실은 아주 작은 입자로서 분산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이보다 굵은 입자로서 분산되어 있는 것을 현탁액이라고 한다.물과 기름의 혼합비에 따라서도 그 성질에 많은 차이가 생긴다. 바니싱크림은 소량의 기름이 다량의 물속에 분산된 형태의 것으로, 'O/W 유탁액(oil in water emulsion)'이라고 한다. 콜드크림은 이와 반대로 'W/O 유탁액(water in oil emulsion)'이라고 한다.
화장 크림은 물, 유분(미용 성분), 유화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에멀젼이다. 유화제는 이러한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절한 유동성을 부여한다. 또한 화장 크림이 처음에는 고체 상태로 바를 때 부드럽게 퍼지는 작용은 분산 상태로 고체화되어 있는 것에 압력을 가하면(바르면), 분산 상태에서의 입자 간 상호 작용이 끊어지기 때문에 유동성을 띠게 되기 때문이다. 다시 입자가 응집하여 고체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므로, 바로 굳지 않는다. 더 나아가,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고, 독성이 없으며, 색이나 냄새가 없고 화학 변화를 일으키기 어려운 등의 특성이 요구되므로, 이를 만족하는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나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 등이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보습, 침투 작용으로서 화장품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5. 3. 식품
우유는 물 속에 젖의 단백질과 지방질이 아주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된 유탁액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우유에 함유된 단백질이 계면활성제로 작용하여 지방질을 미립자로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이처럼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 물질을 유화하여 분산시키면 유동성이 증가하고 표면에 잘 퍼지는 등의 좋은 성질을 얻을 수 있다.5. 4. 의약품
계면활성제는 유화, 가용화 등의 특성을 바탕으로 의약품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솜이나 붕대에 사용되어 약용 용액이 신체 বিভিন্ন 부위에 잘 흡수되도록 돕고, 상처를 세척할 때 세정제로 사용되어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다.[13][14] 피부와 점막 표면에 약용 로션 및 스프레이를 도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5. 5. 농업
계면활성제는 제초제나 살충제와 같은 농약 제제에 사용된다.[10] 전착제로 농약에 사용되어 습윤성을 향상시켜 잎이나 줄기에 약제를 정착시키는 효과가 있다.5. 6. 산업
계면활성제는 세제로서의 용도 외에도 유화성이나 발포성 등 여러 특성을 이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10]유화 작용의 예로 우유가 있다. 우유는 물 속에 젖의 단백질과 지방질이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된 유탁액 상태이다. 이는 우유에 함유된 단백질이 계면활성제로서 작용하여 지방질을 미립자로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유탁액은 균일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작은 입자들이 분산된 상태이며, 이보다 큰 입자가 분산된 것은 현탁액이라 한다.
화장품인 크림, 유액도 물과 기름이 작은 입자 상태로 섞여 있으며, 여기에도 계면활성제가 작용한다. 공장에서 염화비닐 중합과 같이 유화 상태에서 반응을 일으켜야 할 경우에도 대량의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다.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 물질도 유화시켜 분산시키면 유동성이 증가하고 표면에 잘 퍼지는 등의 좋은 성질을 얻을 수 있다. 물과 기름의 혼합비에 따라서도 성질이 달라지는데, 바니싱크림은 소량의 기름이 다량의 물속에 분산된 'O/W 유탁액(oil in water emulsion)'이고, 콜드크림은 반대로 'W/O 유탁액(water in oil emulsion)'이다.
계면활성제는 세정, 습윤, 분산, 유화, 발포 및 소포 작용을 하여, 세제, 섬유 유연제, 윤활유, 에멀젼, 비누, 페인트, 접착제, 잉크, 김서림 방지제, 스키 왁스, 스노보드 왁스, 재생지의 탈묵, 부유 선광, 세척 및 효소 공정, 변비 완화제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10] 제초제 (일부), 살충제, 살생물제 (소독제), 살정자제 (노녹시놀-9)와 같은 농약 제제에도 사용된다.[10] 화장품, 샴푸, 샤워 젤, 린스, 치약과 같은 개인 위생 용품에도 사용된다.
계면활성제의 발포성을 이용한 예로는 흡착이 있다. 액체와 기체의 계면에 계면활성제 분자가 배열되어 막을 만들면, 이 막은 작은 고체를 흡착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세탁 시 거품이 일어 때가 빠진다.
광산에서 선광을 할 때 사용하는 부유선광법도 계면활성제의 발포성을 이용한 것이다. 광석을 분쇄한 다음 계면활성제와 함께 물을 흘려보내면 광물 미립자가 거품에 흡착되므로 이를 모아 광물을 회수한다. 계면활성제의 발포성은 소화에도 응용된다. 소화제로 만들어서 화재 시 연소물 표면의 공기를 차단하여 불을 끈다. 소화에 사용되는 소화제는 냉열성이 강하고 적당한 점성이 있어야 하므로, 현재는 단백질을 분해하여 만든 것이 주류를 이룬다.
발포성과 반대로 거품이 이는 것을 방지하는 소포제도 계면활성제의 하나로 만들어진다. 실리콘유는 그 예로, 거품 방지가 필요한 곳에 널리 사용된다. 물과 잘 섞이게 하는 역할과 반대로 물을 배척하는 것도 계면활성제의 역할인데, 실리콘 도료나 실리콘유를 유리 등에 바르면 물을 배척하는 성질이 있어 자동차 유리나 안경알이 뿌옇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계면활성제는 소방 (가연성 물질에 더 빨리 스며들게 하는 "젖은 물"을 만들기 위해[11][12]) 및 파이프라인 (액체 저항 감소제)에도 사용된다. 알칼리성 계면활성 중합체는 유정에서 오일을 동원하는 데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솜 패드 및 붕대의 매트릭스에서 공기를 제거하여 약용 용액이 흡수되도록 한다. 또한 상처를 세척할 때 세제를 사용하여[13] 피부와 점막 표면에 약용 로션과 스프레이를 적용하여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14] 계면활성제는 토양 세척, 생물 정화 및 식물 정화를 통해 복원을 향상시킨다.[15]
합성 섬유나 플라스틱 제품은 정전기를 띠기 쉬워 먼지나 오염이 쉽게 부착되는데, 계면활성제를 표면에 도포하거나 혼합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는 불꽃 등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물에 잘 녹지 않는 유기 화합물과 이온성 물질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표면 개질을 위해 사용된다.
기/액 계면에서 효과적인 계면활성제는 유리의 표면이나 의류 등에 도포하여 다양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발수제나 방담제・전착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매염제, 방청제, 금속 압연유 등으로 활용되며, 그 용도는 매우 광범위하다.
발수제의 경우,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유리나 섬유에 도포하여 물을 튕겨내는 작용을 부여한다. 전착제는 농약에 사용되어, 습윤성을 향상시켜 잎이나 줄기에 약제를 정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린스나 유연제에는 윤활제로서 계면활성제가 이용된다.
녹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피해야 하며, 표면에 도포하여 소수성 피막을 만드는 것이 방청제이다. 이 외에도, 생체에 친화적으로 만들기 위해 표면 개질을 수행한 생체 적합성 재료가 있다.
5. 7. 생명과학
용액에서 계면활성제는 응집체를 분해하고 단백질을 펼쳐 다양한 화학 종을 가용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10] 생화학 실험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도데실황산나트륨(SDS)과 세틸트라이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TAB)이다. 계면활성제는 세포 및 조직의 용해를 통해 단백질을 추출하는 핵심 시약으로, 막의 지질 이중층을 해체하고(SDS, 트라이톤 X-100, X-114, CHAPS, DOC, NP-40) 단백질을 가용화한다. 옥틸 티오글루코사이드, 옥틸 글루코사이드 또는 도데실 말토사이드와 같은 더 순한 계면활성제는 효소 및 수용체와 같은 막 단백질을 변성시키지 않고 가용화하는 데 사용된다. 가용화되지 않은 물질은 원심분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수집된다. 예를 들어 전기영동의 경우,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SDS로 처리하여 고유 3차 및 4차 구조를 변성시켜 분자량에 따라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다.계면활성제는 또한 장기 탈세포화에 사용되어 왔다. 이 과정은 장기의 구조와 종종 미세혈관 네트워크를 보존하는 단백질 매트릭스를 유지한다. 이 과정은 쥐의 간과 심장과 같은 장기를 이식 준비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16] 폐 계면활성제는 또한 포유류의 폐 폐포의 제2형 세포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비된다.
5. 8. 환경 정화
계면활성제는 토양 세척, 생물 정화 및 식물 정화를 통해 환경 복원을 돕는다.[15] 예를 들어, 물에 그을음을 넣으면 섞이지 않지만,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그을음을 중심으로 미셀이 형성되어 물속에 흩어져 안정된다. 이는 미셀 콜로이드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반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산 현상을 통해 비수용성 물질을 물에 녹여 넣을 수 있다.분산의 반대 현상인 응집은 분산된 고체 입자를 모으는 것이다. 미립자 반발의 요인은 전기 이중층 (주로 음전하)의 반발이므로, 양이온성 고분자나 황산 알루미늄 등의 다가 금속염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1가보다 2가, 2가보다 3가가 응집 능력이 수십 배에서 수백 배 높다. (슐츠-하르디 규칙) 라텍스가 대표적인 고분자 응집제이다. 응집은 주로 상하수도의 불순물 제거에 사용된다.
6. 계면활성제와 환경
대부분의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독성이 낮으며, LD50 (반수 치사량)은 식염과 유사하다. 4급 암모늄 화합물은 항균성 및 항진균성을 가지지만, 독성은 다양하다. 섬유 유연제로 사용되는 다이알킬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DAC, DSDMAC)는 LD50이 높아 (5 g/kg) 독성이 낮지만, 소독제로 쓰이는 알킬벤질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는 LD50이 0.35 g/kg으로 상대적으로 독성이 강하다.[9] 계면활성제에 장기간 노출되면 피부 및 기타 세포를 보호하는 지질 막을 파괴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고 손상시킬 수 있다. 피부 자극성은 일반적으로 비이온성, 양쪽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순서로 증가한다.[9]
계면활성제는 여러 경로를 통해 육상 및 수계 환경에 유입된다.[22][23][2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수 슬러지 처리, 폐수 관개, 복원 과정 등을 통해 토양에서 발견될 수 있다. 높은 농도의 계면활성제와 다중 금속이 함께 존재하면 환경 위험을 야기할 수 있지만, 낮은 농도에서는 계면활성제가 미량 금속 이동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25][26]
딥워터 해저 유전 폭발 사고 당시, 많은 양의 Corexit가 유출 지점과 해수 표면에 살포되었다. 이는 계면활성제가 기름 방울을 분리하여 석유를 분해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돕는다는 이론에 따른 것이었다. Corexit의 활성 성분은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나트륨,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Span 80), 폴리옥시에틸렌화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Tween-80)이다.[27][28]
물속의 세탁 세제와 같이 환경에 방출되는 계면활성제의 양 때문에, 계면활성제의 생분해는 매우 중요하다. 과불화옥탄산(PFOA)과 같은 플루오로계면활성제는 생분해되지 않고 환경에 오래 남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29] 분해를 촉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오존 처리 및 생분해가 있다.[30][31] 주요 계면활성제인 선형알킬벤젠설폰산(LAS)과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APE)는 하수 처리 시설과 토양에서 호기성 조건에서 분해되어 노닐페놀로 변환되는데, 이는 내분비 교란 물질로 여겨진다.[32][33] 이러한 문제로 인해, 아미노산 등에서 추출한 "바이오 계면활성제"와 같이 생분해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34] 바이오 기반 계면활성제는 생분해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가 물고기 세포를 손상시키거나 수역에 거품 산을 유발하는지는 주로 화학 구조에 따라 결정되며, 사용된 탄소의 출처 (화석 자원, 이산화탄소, 바이오매스)와는 관련이 없다.[3]
계면활성제가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 범위가 필요하다.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온도가 낮으면 알킬기 부분이 결정화되어 제대로 풀리지 않는데, 이 온도를 크래프트점이라고 한다. 반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온도가 너무 높으면 물에 녹지 않아 용액이 탁해지는데, 이 온도를 흐림점이라고 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테르 결합 산소와 물 분자 간의 수소 결합으로 물에 녹지만, 고온에서는 수소 결합이 끊어져 용해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7. 계면활성제의 안전성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살균력이 없고 씻어내는 제균 작용만 수행하며, 세척 후 폐액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살균 성능을 가지며 살균제로 사용된다.[36][37] 일부 계면활성제는 특정 세균에 대해 살균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36]
참조
[1]
서적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
oed
surfactant
[3]
웹사이트
Biobased Surfactants Market Report: Market Analysis
https://ceresana.com[...]
2024-01-05
[4]
웹사이트
Surfactant {{!}} Defination, Classification, Properties & Uses
https://www.esteem-i[...]
[5]
웹사이트
Bordwell pKa Table (Acidity in DMSO)
http://www.chem.wisc[...]
University of Wisconsin
2012
[6]
논문
Polyoxyethylene alkyl ether carboxylic acids: An overview of a neglected class of surfactants with multiresponsive properties
2017-12
[7]
논문
Amino acid-based surfactants – do they deserve more attention?
2015-03-28
[8]
웹사이트
Bubbles, Bubbles, Everywhere, But Not a Drop to Drink
http://www.samuelfur[...]
2011-11-11
[9]
서적
Surfactants
Wiley-VCH
[10]
논문
Surfactant-enhanced remediation of organic contaminated soil and water
[11]
뉴스
Better Than Water? How Wet Water Outperforms Regular Water in Firefighting
https://www.techtime[...]
[12]
뉴스
Firefighters Turn to "Wet Water" to Fight Larger, More Complex Fires
https://www.hngn.com[...]
[13]
논문
Surfactants and their role in wound cleansing and biofilm management
2017-11-02
[14]
논문
The influence of surface tension on aerosols produced by medical nebulisers
1996-03-08
[15]
논문
Surfactant-enhanced mobilization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tential for soil and sediment remediation and unintended consequences
https://www.scienced[...]
2023-02-05
[16]
웹사이트
Progress Toward an Artificial Liver Transplant – NIH Research Matters
https://archive.toda[...]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2010-06-28
[17]
논문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nodisperse Nanocrystals and Close-Packed Nanocrystal Assemblies
[18]
논문
Hydroxylation of the surface of PbS nanocrystals passivated with oleic acid
https://escholarship[...]
2014-06
[19]
논문
Surfactants in droplet-based microfluidics
https://pubs.rsc.org[...]
2012-01-10
[20]
논문
A Janus-type Heterogeneous Surfactant for Adipic Acid Synthesis
2020-05-20
[21]
논문
The role of bile salts in digestion
[22]
논문
Detecting the transport of toxic pesticides from golf courses into watersheds in the Precambrian Shield region of Ontario, Canada
2008-04
[23]
웹사이트
Simultaneous analysis of cationic, anionic and neutral surfactants from different matrices using LC/MS/MS {{!}} SHIMADZU (Shimadzu Corporation)
https://www.shimadzu[...]
[24]
논문
Two formulations of the industrial surfactant, Toximul, differentially reduce mouse weight gain and hepatic glycogen in vivo during early development: effects of exposure to Influenza B Virus
2005-04
[25]
논문
Mechanisms of enhanced mobilisation of trace metals by anionic surfactants in soil
2011-03
[26]
논문
Release of metals from metal-amended soil treated with a sulfosuccinamate surfactant: effects of surfactant concentration, soil/solution ratio, and pH
2010
[27]
웹사이트
European Maritime Safety Agency. Manual on the Applicability of Oil Dispersants; Version 2; 2009.
http://emsa.europa.e[...]
[28]
서적
Using Oil Spill Dispersants on the Sea
https://www.nap.edu/[...]
National Academies Press
[29]
웹사이트
2010/15 PFOA Stewardship Program
http://www.epa.gov/o[...]
USEPA
2008-10-26
[30]
논문
Surfactants: Toxicity, remediation and green surfactants
[31]
논문
Fate, behavior and effects of surfactant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in the environment
[32]
웹사이트
Nonylphenol and Nonylphenol Ethoxylates
2014-04-27
[33]
논문
The biodegradation of surfactants in the environment
2000-11
[34]
논문
Use of sustainable chemistry to produce an acyl amino acid surfactant
2010-05
[35]
간행물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の構造
http://unit.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36]
간행물
殺菌と界面活性剤の話
https://web.archive.[...]
花王株式会社 化学品研究所 C&S 商品開発センター 岡野 哲也
2016-07-23
[37]
웹사이트
界面活性剤の働き(作用・機能)
http://www.jp-surfac[...]
2016-07-23
[38]
웹사이트
家庭用品品質表示法
https://web.archive.[...]
経済産業省
2003-04-24 # 平成13年は2001年なので、告示日である4月24日を使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