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로그의 밑의 원주율 제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연로그의 밑 e의 원주율 π 제곱, 즉 eπ는 약 23.140692632779...의 값을 가지는 무리수이다. 오일러 공식과 겔폰트-슈나이더 정리에 의해 eπ는 초월수임이 증명되었으며, 연분수와 특정 수열을 통해 근사할 수 있다. eπ - π는 거의 정수에 가까운 값을 가지며, 라마누잔 상수, πe, ii 등과 관련된 수학적 성질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자연로그의 밑의 원주율 제곱 |
---|
2. 값
의 값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i''를 허수 단위라고 할 때,
:
3. 성질
''e''π는 오일러 공식에 의해
:
에서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단, i의 i승과 마찬가지로 , …나 , … 등 (k는 임의의 정수)에서도 이러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가 다가이며 하나의 실수로 정해지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는 "''a''를 0, 1이 아닌 대수적 수, ''b''를 유리수가 아닌 대수적 수라고 하면, ''a''b는 초월수이다"라는 내용이다. ''a'' = −1, ''b'' = −''i''는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1)−''i''는 초월수이다. 즉, ''e''π는 초월수이다.
덧붙여서, ''e''e, ππ, πe 등은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초월수인지 여부는 증명되지 않았다.
로 하고
:
로 정의될 때, 수열
:
는 ''e''π에 수렴한다.
''e''π − π는 거의 정수이다.
:''e''π − π = 19.99909997918947…
3. 1. 초월성
오일러 항등식에 따라,
:
이다. 가 대수적 수이며, 실수가 아니므로 유리수가 아니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에 의하여, 는 초월수이다.
여기서 ''i''를 허수 단위라고 할 때, ''e''π는 오일러 공식에 의해
:
에서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단, i의 i승과 마찬가지로 , …나 , … 등 (k는 임의의 정수)에서도 이러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가 다가이며 하나의 실수로 정해지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는 "''a''를 0, 1이 아닌 대수적 수, ''b''를 유리수가 아닌 대수적 수라고 하면, ''ab''는 초월수이다"라는 내용이다. ''a'' = −1, ''b'' = −''i''는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1)−''i''는 초월수이다. 즉, ''e''π는 초월수이다.
로 하고
:
로 정의될 때, 수열
:
는 ''e''π에 수렴한다.
3. 2. 연분수 표현
는 다음과 같은 연분수 전개를 갖는다.
:
허수 단위 ''i''에 대하여, 오일러 공식에 의해
:
에서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i의 i승과 마찬가지로 , …나 , … 등 (k는 임의의 정수)에서도 이러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가 다가이며 하나의 실수로 정해지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는 "''a''를 0, 1이 아닌 대수적 수, ''b''를 유리수가 아닌 대수적 수라고 하면, ''a''는 초월수이다"라는 내용이다. ''a'' = −1, ''b'' = −''i''는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1)는 초월수이다. 즉, ''e''π는 초월수이다.
로 하고
:
로 정의될 때, 수열
:
는 ''e''π에 수렴한다.
''e''π − π는 거의 정수이다.
:''e''π − π = 19.99909997918947…
3. 3. 극한 공식
는 다음과 같은 극한을 통해 빠르게 근사할 수 있다.[12]
:
여기서
:
:
여기서 ''i''를 허수 단위라고 할 때, ''e''π는 오일러 공식에 의해
:
에서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단, i의 i승과 마찬가지로 , …나 , … 등 (k는 임의의 정수)에서도 이러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가 다가이며 하나의 실수로 정해지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는 "''a''를 0, 1이 아닌 대수적 수, ''b''를 유리수가 아닌 대수적 수라고 하면, ''a''는 초월수이다"라는 내용이다. ''a'' = −1, ''b'' = −''i''는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1)는 초월수이다. 즉, ''e''π는 초월수이다.
로 하고
:
로 정의될 때, 수열
:
는 ''e''π에 수렴한다.
''e''π − π는 거의 정수이다.
:''e''π − π = 19.99909997918947…
4. 수학적 성질
''e''π는 오일러 공식에 의해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
:
단, i의 i승과 마찬가지로 , …나 , … 등 (k는 임의의 정수)에서도 이러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가 다가이며 하나의 실수로 정해지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는 "''a''를 0, 1이 아닌 대수적 수, ''b''를 유리수가 아닌 대수적 수라고 하면, ''a''는 초월수이다"라는 내용이다. ''a'' = −1, ''b'' = −''i''는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1)는 초월수이다. 즉, ''e''π는 초월수이다.
로 하고
:
로 정의될 때, 수열
:
는 ''e''π에 수렴한다.
''e''π − π는 거의 정수이다.
:''e''π − π = 19.99909997918947…
5. 유사하거나 관련된 상수
5. 1. 라마누잔 상수
수 는 라마누잔 상수로 알려져 있다. 십진법 전개는 다음과 같다.: = 262537412640768743.99999999999925007259...
이는 놀랍게도 정수 에 매우 가깝다. 이는 Heegner 수의 응용으로 설명되며, 여기서 163은 해당 Heegner 수이다. 이 수는 1859년 수학자 샤를 에르미트에 의해 발견되었다.[8] 1975년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잡지의 만우절 기사에서[9] "수학 게임" 칼럼니스트 마틴 가드너는 이 수가 사실 정수이며, 인도의 수학 천재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이를 예측했다고 허위로 주장했다. - 따라서 이름이 붙여졌다. 라마누잔 상수는 또한 초월수이다.
수 의 1조 분의 1 이내의 우연의 일치는 복소수 곱셈과 ''q''-확장 of the j-invariant에 의해 설명된다.
5. 2. 수
수 는 정수에 매우 가까우며, 그 소수 전개는 다음과 같다.[10]: = 19.99909997918947576726...
이 겉보기에 놀라운 일치는 야코비 세타 함수와 관련된 합의 결과로 설명된다.[10] 첫 번째 항이 지배적인데, 에 대한 항의 합이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은 로 절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에 대해 풀면 가 된다. 에 대한 근사를 다시 쓰고 에 대한 근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항을 재배열하면 이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에 대한 조잡한 근사는 정밀도의 추가 차수를 산출한다.[10]
5. 3. 수
의 소수 전개는 다음과 같다.[11]:
이 수가 초월수인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11] 겔폰트-슈나이더 정리에 따르면, a와 b가 대수적일 경우 (a와 b 모두 복소수로 간주), 가 초월수인지 여부를 확실하게 추론할 수 있다. 의 경우, 복소 지수 형태의 속성과 로 변환하여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를 적용할 수 있는 위의 등가성을 통해 이 수가 초월수임을 증명할 수 있다.
는 그러한 등가성을 갖지 않으므로, π와 e가 모두 초월수이므로,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를 사용하여 의 초월성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 없다. 그러나 현재 증명되지 않은 샤누엘의 추측은 그 초월성을 암시한다.[11]
5. 4. 수
복소 로그의 주값을 사용하여 다음을 계산할 수 있다.이에 대한 소수 전개는 다음과 같다.
: 0.20787957635076190854...
이 수의 초월성은 의 초월성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따른다.
참조
[1]
웹사이트
A039661 - OEIS
https://oeis.org/A03[...]
2024-10-27
[2]
웹사이트
Gelfond's Constant
https://mathworld.wo[...]
2024-10-27
[3]
논문
Modular Functions and Transcendence Problems
[4]
arXiv
Open Diophantine Problems
2004-01-24
[5]
서적
Mathematical Developments Arising from Hilbert Problem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
웹사이트
Sums of volumes of unit spheres
https://www.johndcoo[...]
2019-05-26
[7]
서적
Mathematics by Experiment: Plausible Reasoning in the 21st Century
https://archive.org/[...]
A K Peters
[8]
서적
The Constants of Nature
Jonathan Cape
[9]
논문
Mathematical Games
Scientific American, Inc
1975-04
[10]
웹사이트
Almost Integer
http://mathworld.wol[...]
[11]
웹사이트
Schanuel’s Conjecture: algebraic independence of transcendental numbers
https://webusers.imj[...]
2021
[12]
서적
Mathematics by experiment. Plausible reasoning in the 21st century
https://archive.org/[...]
A K Peter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