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겔폰트-슈나이더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는 대수적 수와 무리수 지수를 갖는 거듭제곱의 초월성을 다루는 정리이다. 1934년 알렉산드르 겔폰트와 테오도어 슈나이더에 의해 독립적으로 증명되었으며, 힐베르트의 7번째 문제를 해결했다. 이 정리에 따르면, 0과 1이 아닌 대수적 수 a와 무리수 b에 대해 ab는 초월수이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는 겔폰트-슈나이더 상수와 겔폰트 상수, ii의 초월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되며, 베이커 정리를 포함한 여러 확장 및 따름정리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월수 - 초월수론
    초월수론은 초월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며, 유리수 계수를 갖는 다항식의 근이 아닌 복소수인 초월수를 연구하며, 겔폰트-슈나이더 정리, 베이커 정리 등을 주요 결과로 다룬다.
  • 초월수 - 자연로그의 밑
    자연로그의 밑 e는 극한, 적분, 무한 급수 등으로 정의되는 무리수이자 초월수이며,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수론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 이상의 정수 n에 대해 xⁿ + yⁿ = zⁿ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리이며, 앤드루 와일스가 모듈러성 정리를 이용하여 1995년에 증명했다.
  • 수론 정리 -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는 모든 양의 정수를 네 개의 정수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다.
  • 대수적 수론 - 아이디얼
    아이디얼은 유사환에서 환의 원소와의 곱셈에 대해 닫혀 있는 부분군으로, 왼쪽, 오른쪽, 양쪽 아이디얼로 나뉘며 가환환에서는 세 개념이 일치하고, 환 준동형사상의 핵으로 나타나 잉여환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아이디얼 수 개념에서 유래하여 추상대수학의 주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 대수적 수론 - 밀너 환
    밀너 환은 체 위의 가역원군으로 정의되는 등급환으로, 각 등급 성분인 밀너 K군은 대수적 K-이론, 고차 류체론, 갈루아 코호몰로지, 에탈 코호몰로지, 이차 형식 등 여러 수학 분야와 연결되는 심오한 추측들과 연관된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
기본 정보
분야수론
발견자알렉산드르 겔폰트
테오도르 슈나이더
발견 시기1934년
내용
정리 내용a가 0 또는 1이 아닌 대수적 수이고 b가 무리수인 대수적 수일 때, a^b는 초월수이다.
로마자 표기Gelponteu-syunaideu jeongni
영어 표기Gelfond–Schneider theorem

2. 역사

소련수학자알렉산드르 겔폰트독일의 수학자인 테오도어 슈나이더가 1934년에 독립적으로 증명하였다.[3][4] 이 정리는 힐베르트의 7번째 문제를 긍정적으로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다비트 힐베르트1900년 파리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힐베르트의 23문제 중 Hilbert's seventh problem|힐베르트의 제7문제영어로, "''a'' 가 0도 1도 아닌 대수적 수이고, ''b'' 가 대수적 무리수일 때, ''a''''b''초월수인가"를 제기했다.

1929년알렉산드르 겔폰트는 β가 허수 이차체인 경우 \alpha^\beta가 초월수임을 증명하여, 예를 들어 e^\pi가 초월수임을 보였다.

그 직후 겔폰트의 방법을 바탕으로 카를 지겔은 β가 실수 이차체인 경우에도 성립함을 보였지만, 발표되지는 않았다. 다음 해(1930년) Rodion Kuzmin|로디온 쿠즈민영어은 겔폰트의 방법에 기초하여 동일한 결과를 발표했다.

1934년에 겔폰트와 테오도어 슈나이더가 각각 독립적으로 β가 일반적인 대수적 수인 경우에도 성립함을 증명했다.[1] 이 결과로 힐베르트의 제7문제가 긍정적으로 증명되었다. 힐베르트는 제7문제가 매우 어려운 문제이고, 리만 가설이 더 빨리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10여 년 만에 증명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놀랐다고 한다.

겔폰트-슈나이더 정리에 따르면 두 대수적 수의 로그가 유리수체 상에서 선형 독립이면, 대수적 수체 상에서도 선형 독립이 되는데, 이 결과를 2개 이상의 로그로 확장한 것이 앨런 베이커에 의해 1966년에 발표되었다(베이커 정리 참조).

3. 공식화와 응용

''a''와 ''b''가 대수적 수이고, ''a''가 0이나 1이 아니며, ''b''가 유리수가 아닌 무리수라면, ''ab''는 초월수이다.[5] 이 정리는 힐베르트의 7번째 문제에 대한 긍정적인 해답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α가 0이나 1이 아닌 대수적 수이고, β가 유리수가 아닌 대수적 수일 때, \alpha^\beta초월수이다.

3. 1. 설명

''a''와 ''b''가 대수적 수이고 ''a'' ≠ 0, log ''a'' ≠ 0이며 ''b''가 무리수이면 ''ab''는 초월수가 된다.[5]

로그에 대한 등가 공식은 다음과 같다.[5]

  • 만약 ''a'', ''b''가 0이나 1과 같지 않은 대수적 수라면 log(b) / log(a)영어는 유리수이거나 초월수이다.
  • 만약 log(a), log(b)영어가 유리수에 대해 선형으로 독립적이라면 그들은 대수적 수에도 선형으로 독립적이다.
  • ''a''와 ''b''의 값은 실수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소수도 허용된다.
  • 일반적으로 ab = exp(''b'' log ''a'')영어다가 함수이며 여기서 로그는 복소수 로그를 나타낸다.
  • ''α''와 ''γ''가 0이 아닌 대수적 수이고 ''α''의 0이 아닌 로그들을 취한다면 (log ''γ'')/(log ''α'')영어는 유리수 또는 초월수이다.
  • ''a''와 ''b''가 대수라는 제한이 제거되면 일반적으로 문장은 참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서 ''a''는 이며, 이는 초월적이다.
  • 쿠르트 말러는 이 정리의 ''p''진수 유사성을 증명했다.

4. 따름정리

다음 숫자의 초월성은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로부터 즉시 도출된다.


  • 겔폰트-슈나이더 상수 2^{\sqrt{2}}와 그 제곱근 \sqrt{2}^{\sqrt{2}}.
  • 겔폰트 상수 e^{\pi} = \left( e^{i \pi} \right)^{-i} = (-1)^{-i} = 23.14069263 \ldots
  • i^i = \left( e^{\frac{i \pi}{2}} \right)^i = e^{-\frac{\pi}{2}} = 0.207879576 \ldots


\alpha_1, \alpha_2를 0, 1이 아닌 대수적 수라고 할 때, \log\alpha_1/\log\alpha_2는 유리수이거나 초월수이다.

\alpha_1, \alpha_2, \beta_1, \beta_2를 0이 아닌 대수적 수라고 할 때, 만약 \log\alpha_1, \log\alpha_2유리수체 위에서 선형 독립이면, \beta_1\log\alpha_1 + \beta_2\log\alpha_2\ne 0이다.

5. 예시

다음 숫자의 초월성은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로부터 도출된다.


  • 겔폰트-슈나이더 상수 2^{\sqrt{2}}와 제곱근 \sqrt{2}^{\sqrt{2}}.
  • 겔폰트 상수 e^{\pi} = \left( e^{i \pi} \right)^{-i} = (-1)^{-i} = 23.14069263 \ldots
  • i^i = \left( e^{\frac{i \pi}{2}} \right)^i = e^{-\frac{\pi}{2}} = 0.207879576 \ldots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 수가 초월수임을 보일 수 있다.

  • 유리수가 아닌 대수적 수 \alpha 에 대한 \sin{\alpha\pi}, \cos{\alpha\pi}, \tan{\alpha\pi}
  • i\alpha 가 유리수가 아닌 대수적 수 \alpha 에 대한 \sinh{\alpha\pi}, \cosh{\alpha\pi}, \tanh{\alpha\pi}
  • 곱셈적으로 독립[2]이며 0, 1이 아닌 대수적 수 \alpha,\ \beta 에 대한 \log{\alpha}/\log{\beta}

6. 확장


  • ''a''와 ''b''의 값은 실수에 국한되지 않으며, 복소수도 허용된다(여기서 복소수는 허수부가 0이 아닌 경우, 실수부와 허수부 모두가 유리수이더라도 유리수로 간주되지 않는다).
  • 일반적으로 ''a''''b'' = exp(''b'' log ''a'')는 다중값 함수이며, 여기서 log는 복소 자연 로그를 나타낸다. (이것은 지수 함수 exp의 다중값 역함수이다.) 이는 정리의 문구에서 "어떤 값"이라는 표현을 설명한다.
  • 이 정리의 동치 공식은 다음과 같다. 만약 ''α''와 ''γ''가 0이 아닌 대수적 수이고, ''α''의 0이 아닌 로그를 취하면, (log ''γ'')/(log ''α'')는 유리수이거나 초월수이다. 이는 만약 log ''α'', log ''γ''가 유리수에 대해 선형 독립이면, 대수적 수에 대해서도 선형 독립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명제를 여러 대수적 수의 로그의 선형 형식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초월수론의 영역에 속한다.
  • ''a''와 ''b''가 대수적 수라는 제약이 제거되면, 일반적인 경우 명제가 참이 아니다. 예를 들어,

:::{\left(\sqrt{2}^{\sqrt{2}}\right)}^{\sqrt{2}} = \sqrt{2}^{\sqrt{2} \cdot \sqrt{2}} = \sqrt{2}^2 = 2.

:여기서 ''a''는 \sqrt{2}^{\sqrt{2}}인데, 이는 (정리 자체에 의해 증명된 바와 같이) 대수적 수가 아닌 초월수이다. 마찬가지로, 만약 ''a'' = 3이고 ''b'' = (log 2)/(log 3)인데, 이는 초월수이면, ''a''''b'' = 2는 대수적 수이다. ''a''''b''가 초월수가 되는 ''a''와 ''b''의 값에 대한 특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쿠르트 말러는 이 정리의 ''p''-진수 유사체를 증명했다. 만약 ''a''와 ''b''가 '''C'''''p''에 있고, '''Q'''''p''의 대수적 폐포의 완비이며, '''Q'''에 대해 대수적이고, |a-1|_p<1이고 |b-1|_p<1,이면, (\log_p a)/(\log_p b)는 유리수이거나 초월수이다. 여기서 log''p''는 ''p''-진수 로그 함수이다.

참조

[1] 간행물 Sur le septième Problème de Hilbert http://mi.mathnet.ru[...]
[2] 문서 整数 k,\ l に対して、\alpha^k \beta^l = 1 ならば、k = l = 0 が成り立つとき、\alpha,\ \beta は、乗法的独立であるという。
[3] 간행물 Sur le septième Problème de Hilbert http://mi.mathnet.ru[...]
[4] 간행물 Transzendenzuntersuchungen periodischer Funktionen. I. Transzendend von Potenzen
[5] 웹인용 Алгебраические и трансцендентные числа http://kvant.mccme.r[...] 2017-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