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월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월수는 대수적 수가 아닌 실수 또는 복소수를 의미한다. 18세기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초월수를 현대적인 의미로 정의했으며, 19세기 조제프 리우빌은 초월수의 존재를 처음으로 증명했다. 초월수는 셀 수 없이 무한하며, 유리수를 계수로 갖는 대수함수에 초월수를 대입하면 초월수를 얻는다. 자연로그의 밑 e, 원주율 π, 겔폰트 상수 eπ 등이 초월수로 증명되었으며, 린데만-바이어슈트라스 정리와 겔폰트-슈나이더 정리가 초월수 증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초월수의 대수적 독립성에 대한 샤누엘의 추측이 있으며, 쿠르트 마일러는 초월수를 A, S, T, U의 네 가지 클래스로 분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월수 - 초월수론
    초월수론은 초월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며, 유리수 계수를 갖는 다항식의 근이 아닌 복소수인 초월수를 연구하며, 겔폰트-슈나이더 정리, 베이커 정리 등을 주요 결과로 다룬다.
  • 초월수 - 자연로그의 밑
    자연로그의 밑 e는 극한, 적분, 무한 급수 등으로 정의되는 무리수이자 초월수이며,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월수
개요
초월수 파이
"frameless 원과 그 면적이 해당 원의 반지름의 제곱과 같다면 그 원의 반지름은 초월수이다."
정의대수적 수가 아닌 복소수
성질
집합초월수 집합은 비가산 집합이다.
유리수 근1차 이상의 유리수 계수 다항식의 해가 될 수 없다.
연산두 초월수의 합, 차, 곱, 나눗셈은 항상 초월수인 것은 아니다.
초월수를 대수적인 수로 거듭제곱하거나 (단, 0이 아닌 경우) 대수적인 수를 초월수로 거듭제곱한 값은 항상 초월수이다.
예시π
e
리우빌 상수
겔폰트 상수
sin 1
ln 2
증명특정 수가 초월수임을 증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분류
U수U수는 마흘러의 분류에서 정의된 초월수의 한 종류이다.
S수S수는 마흘러의 분류에서 정의된 초월수의 한 종류이다.
T수T수는 마흘러의 분류에서 정의된 초월수의 한 종류이다.

2. 역사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1682년 논문에서 trānscendere|넘어가다, 초월하다, 극복하다la에서 유래한 "초월적"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삼각함수 sin ''x''가 ''x''의 대수함수가 아님을 증명했다.[72][73][74]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8세기에 "초월수"를 현대적 의미로 정의한 최초의 수학자로 여겨진다.[75]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는 1768년 논문에서 eπ가 모두 초월수라고 추측했고, π가 무리수임을 증명했다.[76]

조제프 리우빌은 1844년에 초월수의 존재를 처음으로 증명했고,[77] 1851년에는 리우빌 수와 같은 초월수의 사례를 제시했다.[78] 리우빌은 모든 리우빌 수가 초월수임을 증명했다.[79]

1873년에는 샤를 에르미트가 e가 초월수임을 증명했다.

1874년에는 게오르크 칸토어가 대수적 수는 셀 수 있고 실수는 셀 수 없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그는 또한 초월수를 구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80][81] 칸토어는 실수만큼 초월수가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82]

1882년에는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이 π의 초월성에 대한 최초의 증명을 담은 책을 출판했다. 그는 먼저 a가 0이 아닌 대수적 수일 경우 ea가 초월수라는 것을 증명했다. 그렇다면 e = -1은 대수적이므로(오일러의 항등식 참조), iπ는 초월수이어야 한다. 그러나 i가 대수적 수이기 때문에 π는 초월수이어야 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에 의해 일반화되었는데 오늘날에는 린데만-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 알려져 있다. π의 초월성은 원적 문제와 같이 가장 유명한 것을 포함하여 컴퍼스와 자 작도를 포함한 여러 고대 기하학 구조들이 갖고 있던 불가능성의 증거를 가능하게 했다.

1900년에는 다비트 힐베르트힐베르트 문제 중 7번 문제를 통해 초월수에 대해 영향력 있는 질문을 던졌다.

"a가 0이나 1이 아닌 대수적 수이고 b가 무리수인 대수적 수라면 반드시 ab은 초월수인가?"

이에 대한 해답은 1934년에 겔폰트-슈나이더 정리를 통해 제공되었다. 이 연구는 1960년대에 앨런 베이커가 진행한 (대수적 수를 밑으로 하는) 로그에서 선형 형식의 하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변수의 형태로 확장되었다.[83]

3. 특성

초월수의 집합은 셀 수 없이 무한하다. 모든 유리수는 대수적 수이므로, 초월수는 무리수이다. 상수가 아닌 일변수 대수함수에 초월수를 대입하면 초월수를 얻는다. 계산 불가능한 수는 초월수의 진부분집합이다. 모든 리우빌 수는 초월수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79]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월수의 집합은 셀 수 없이 무한하다. 유리 계수를 갖는 다항식은 셀 수 있고 각각의 다항식은 유한한 근을 가지기 때문에 대수적 수도 셀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칸토어대각선 논법을 통해 실수(그리고 복소수)가 셀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80][81] 실수 집합은 대수적 수 집합과 초월수 집합의 합집합이기 때문에, 초월수 집합은 셀 수 없다.

어떠한 유리수도 초월수가 아니며 모든 초월실수는 무리수이다. 무리수는 2차 무리수 및 그 외의 형태를 가진 대수적 무리수를 포함하여 모든 실초월수와 대수적 수의 부분집합을 포함한다.

상수가 아닌 일변수 대수적 함수에 초월수를 대입하면 초월수를 얻는다. 예를 들어 π가 초월수라는 것부터 , , π과 관련된 여러 수들이 초월수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변수 대수적 함수는 초월수를 대입했을 때 대수적 수를 값으로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π와 (1 - π)는 둘 다 초월적이지만 π + (1 - π) = 1은 그렇지 않다. + e가 초월적인지는 알 수 없지만, + eπe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초월수인 것이 알려져 있다. 더 일반적으로 어떤 두 초월수 a와 b에 대해, 적어도 a + b와 ab 가운데 하나는 초월수여야 한다. 그 이유는 다항식 (x - a)(x - b) = x2 - (a + b)x + ab를 고려해보면 알 수 있다. 만약 (a + b)와 ab가 둘 다 대수적이라면 이것은 대수적 계수를 갖는 다항식이 될 것이다. 대수적 수는 대수적으로 닫힌 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다항식의 근인 a와 b가 대수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것은 가정과 모순이므로, 적어도 하나의 계수가 초월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산 불가능한 수는 초월수의 진부분집합이다. 모든 리우빌 수는 초월수이지만 그 반대는 아니다. 모든 리우빌 수는 무한 연분수 전개에서 부분적인 몫의 상계가 없어야 한다. 대각선 논법을 사용하면 무한 연분수 전개시 부분적인 몫의 상계가 있는 (따라서 리우빌 수도 아니다.) 초월수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e의 명시적인 무한 연분수 전개를 사용하여 e가 리우빌 수가 아니라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비록 연분수 전개의 부분적인 몫은 상계가 없지만). 쿠르트 말러는 1953년에 π 또한 리우빌 수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다.[84]

4. 초월수로 입증된 수


  • ''e''''a''영어 (단, 는 0이 아닌 대수적 수) (린데만-Karl Weierstraß|바이어슈트라스de 정리).
  • π (린데만-Karl Weierstraß|바이어슈트라스de 정리).
  • ''e''''π''영어 (겔폰트 상수) (겔폰트-Theodor Schneider|슈나이더de 정리).
  • (단, 는 0이나 1이 아닌 대수적 수, 는 대수적 무리수) (겔폰트-Theodor Schneider|슈나이더de 정리). 특히, 는 겔폰트-슈나이더 상수이다.
  • 0이 아닌 대수적 수 에 대한 , , 및 이들의 쌍곡선 함수 (린데만-Karl Weierstraß|바이어슈트라스de 정리).
  • 코사인 함수의 고정점, 즉 방정식의 실수해 (린데만-Karl Weierstraß|바이어슈트라스de 정리).[85]
  • (단, 는 0 또는 1이 아닌 대수적 수) (린데만-Karl Weierstraß|바이어슈트라스de 정리).
  • (단, 와 가 같은 정수가 아닌 경우) (겔폰트-Theodor Schneider|슈나이더de 정리).
  • (단, 는 0이 아닌 대수적 수) (린데만-Karl Weierstraß|바이어슈트라스de 정리).
  • (자연수의 제곱 초근은 정수이거나 초월수) (겔폰트-Theodor Schneider|슈나이더de 정리).
  • ,[86] ,[87] .[87]
  • 카앵 상수[88]
  • 챔퍼나운 수[89][90]
  • (차이틴 상수, 계산 불가능한 수).[91]
  • 프레드홀름 상수[77][92][93]
  • 가우스 상수
  • 2개의 렘니스케이트 상수 과
  • 리우빌 상수
  • 프루에-튀에-모르스 상수[95][96]
  • 코모르니크-로레티 상수

4. 1. 특수 함수 관련 초월수

Riemann zeta function (Ferdinand von Lindemann|페르디난트 폰 린데만de)의 양의 정수 에 대한 값[57], 불변량 , 가 대수적인 타원 함수 에서 정의 구역 내 임의의 대수적 수 에 대한 (Theodor Schneider|테오도어 슈나이더de), 상반평면 내 3차 이상의 대수적 수 에 대한 보형 함수 (슈나이더), 에 대한 위수 0의 베셀 함수 (Carl Ludwig Siegel|카를 루트비히 지겔de), 에 대한 초기하 급수 (단, 는 0 이하의 정수가 아닌 유리수) (Шидловский, Андрей Борисович|A. B. 시도롭스키ru), 감마 함수 (Chudnovsky brothers|G. V. 추드노프스키영어), 베타 함수 (지겔, 슈나이더, 추드노프스키), 야코비의 세타 함수 값 [58] (Yuri Valentinovich Nesterenko|유. V. 네스테렌코영어).

5. 초월수일 가능성이 있는 수

π영어(원주율)과 e영어(자연로그의 밑) 사이의 사칙연산 및 거듭제곱으로 표현되는 , , , , , , , , 등은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초월수인지 여부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01] 다만, }(모든 양의 정수 에 대해)는 초월수임이 증명되었다.[101]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는 2010년에 를 포함하는 무한한 수의 목록 중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초월수여야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102][103] 2012년에는 와 오일러-곰페르츠 상수 중 적어도 하나가 초월수라는 것이 밝혀졌다.[104]

카탈랑 상수, 킨친 상수는 아직 무리수 여부조차 증명되지 않았다.

아페리 상수 는 로제 아페리가 무리수임을 증명했지만, 리만 제타 함수의 다른 홀수 정수 값인 , 등은 무리수인지조차 증명되지 않았다.

파이겐바움 상수 와 , 밀스 상수, 코플랜드 에르되시 상수 역시 무리수인지 여부가 밝혀지지 않았다.

6. 대수적 독립성

여러 개의 초월수가 대수적 독립인 경우들이 알려져 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alpha_1,\ \alpha_2,\cdots,\ \alpha_n을 유리수체 상에서 선형 독립인 대수적 수라고 할 때, e^{\alpha_1},\ e^{\alpha_2},\cdots,\ e^{\alpha_n}은 대수적으로 독립이다. (린데만-바이어슈트라스 정리)
  • \scriptstyle \pi,\ \Gamma(\tfrac{1}{4})\scriptstyle \pi,\ \Gamma(\tfrac{1}{3})는 각각 대수적으로 독립이다. (추드노프스키)
  • \scriptstyle \pi,\ e^\pi,\ \Gamma(\tfrac{1}{4})는 대수적으로 독립이다. (네스테렌코)
  • 대수적 수 \scriptstyle \alpha_1,\cdots,\ \alpha_n\ (0 < |\alpha_i| < 1\ (i = 1,\cdots,\ n))\tfrac{\alpha_i}{\alpha_j}1의 거듭제곱근이 아닌 것처럼 취했을 때, \textstyle\sum\limits_{k=1}^\infty {\alpha_1}^{-k!},\cdots,\ \sum\limits_{k=1}^\infty {\alpha_n}^{-k!}는 대수적으로 독립이다. (니시오카)
  • 서로 다른 2 이상의 정수 \scriptstyle d_1,\cdots,\ d_n\scriptstyle 0 <|\alpha| < 1인 대수적 수 \scriptstyle \alpha에 대해, \textstyle\sum\limits_{k=1}^\infty \alpha^를 포함한 다양한 수가 대수적으로 독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위의 수 중 e^e,\ \pi^\pi,\ \pi^e,\ \pi^i,\ 2^{\pi},\ 2^e,\ \log\pi,\ \log\log 2,\ (\log 2)^{\log 3}는 그 자체가 초월수인지 여부조차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7. 마르의 분류



:w(\alpha) = \limsup_{n\to\infty} \frac{w_n(\alpha)}{n}

로 하여, w(\alpha)를 정의한다. 이때, \scriptstyle 0\le w(\alpha)\le\infty가 성립한다.

또한, \scriptstyle \mu(\alpha) = \inf\{ n | w_n(\alpha) = \infty \}로 한다. 단, \scriptstyle w(\alpha) < \infty의 경우, \scriptstyle \mu(\alpha) = \infty로 한다.

w(\alpha)\mu(\alpha)를 사용하여 복소수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alpha는, ''A'' 수 (A-number)이다. :\Leftrightarrow w(\alpha) = 0,\ \mu(\alpha) = \infty.
  • \alpha는, ''S'' 수 (S-number)이다. :\Leftrightarrow 0 < w(\alpha) < \infty,\ \mu(\alpha) = \infty.
  • \alpha는, ''T'' 수 (T-number)이다. :\Leftrightarrow w(\alpha) = \infty,\ \mu(\alpha) = \infty.
  • \alpha는, ''U'' 수 (U-number)이다. :\Leftrightarrow w(\alpha) = \infty,\ \mu(\alpha) < \infty.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

  • ''A'' 수, ''S'' 수, ''T'' 수, ''U'' 수로 이루어진 집합은 모두 공집합이 아니다.
  • \alpha,\ \beta를 대수적 종속인 복소수로 했을 때, \alpha,\ \beta는 같은 클래스(같은 분류의 수)이다.
  • ''A'' 수는 대수적 수 전체의 집합과 같다.
  • 거의 모든[63] 복소수는 ''S'' 수이다.
  • *더욱이, 거의 모든 실수는 타입[64] 1의 ''S'' 수이며, 거의 모든 복소수는 타입 1/2의 ''S'' 수이다.
  • 모든 리우빌 수는 ''U'' 수이다.
  • 임의의 정수 n에 대해, \mu(\alpha) = n을 만족하는 ''U'' 수가 존재한다.


몇몇 구체적인 초월수가 어떤 클래스에 속하는지는 다음과 같다.

  • 자연 로그의 밑 는 타입 1의 ''S'' 수이다.
  • 는 ''U'' 수가 아니다.
  • 챔퍼나운 상수는 ''S'' 수이다.
  • 을 1 이외의 양의 유리수라고 할 때, \log r는 ''U'' 수가 아니다.

8. 초월 척도

transcendence measure영어는 초월수 \alpha에 대해, T(\alpha, n, H)\scriptstyle n\ge 1,\ H\ge 1로 정의된 실숫값을 갖는 함수로 정의한다. 여기서 n은 차수를, H는 계수의 절댓값의 상한을 나타낸다.

다음 부등식을 만족하는 함수 T(\alpha, n, H)\alpha의 초월 척도라고 한다.

:|f(\alpha)| \ge T(\alpha, n, H)

여기서 f는 0이 아닌 정수 계수 다항식이며, 차수는 n 이하이고 각 계수의 절댓값은 H 이하이다. 이 부등식은 임의의 \scriptstyle n\ge 1,\ H\ge 1에 대해 성립해야 한다.

쿠르트 마일러의 분류에서 주어진 w_{n,H}(\alpha)는 초월 척도의 하나이며, 그 정의로부터 최상의 평가를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15 most famous transcendental numbers http://sprott.physic[...] 2020-01-23
[2] 서적 Transcendental Numbers Walter de Gruyter 2011-06
[3] 서적 Pure Mathematics for Advanced Level https://books.google[...] Butterworth-Heinemann 2014-05-20
[4] 논문 On Mahler's classification of transcendental numbers 1964
[5] arXiv Transcendental simplicial volumes 2019-11-01
[6] encyclopedia Real number https://www.britanni[...] 2020-08-11
[7] encyclopedia transcendental http://www.oed.com/v[...]
[8] harvnb Leibniz; Gerhardt; Pertz "1858"
[9] harvnb Erdős; Dudley "1983"
[10] harvnb Lambert "1768"
[11] harvnb Kempner "1916"
[12] 웹사이트 Weisstein, Eric W. "Liouville's Constant", MathWorld http://mathworld.wol[...]
[13] harvnb Liouville "1851"
[14] harvnb Cantor; Gray "1874"
[15] harvnb Cantor "1878"
[16] biographies J.J. O'Connor and E.F. Robertson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17] harvnb Hardy "1979"
[18] harvnb Adamczewski; Bugeaud "2005"
[19] 논문 Modular functions and transcendence questions https://iopscience.i[...] 1996-10-31
[20] 웹사이트 Transcendental Number https://mathworld.wo[...] 2023-08-09
[21] 웹사이트 Dottie Number http://mathworld.wol[...] Wolfram Research, Inc. 2016-07-23
[22] arXiv On the generalization of the Lambert W function 2015-06-22
[23] 서적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transcendental number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84"
[24] 웹사이트 Transcendence of Periods: The State of the Art https://webusers.imj[...] 2005-09-07
[25] 서적 On Some Applications of Diophantine Approximations Scuola Normale Superiore "2014"
[26] 논문 Transcendentality of zeros of higher dereivatives of functions involving Bessel functions "1995"
[27] 논문 Applications of a theorem by A. B. Shidlovski https://royalsociety[...] 1968-06-04
[28] 논문 Euler's constant: Euler's work and modern developments 2013-07-19
[29] arXiv Periods and elementary real numbers 2008-05-03
[30] harvnb Pytheas Fogg "2002"
[31] harvnb Mahler; Allouche; Shallit "1929"
[32] 웹사이트 Rabbit Constant https://mathworld.wo[...] 2023-08-09
[33] citation The Komornik–Loreti constant is transcendental
[34] 웹사이트 A143347 - OEIS https://oeis.org/A14[...] 2023-08-09
[35] 웹사이트 A140654 - OEIS https://oeis.org/A14[...] 2023-08-12
[36] arXiv The Many Faces of the Kempner Number 2013-03
[37] 문헌
[38] 학술지 Irrationality measures for some automatic real numbers https://www.cambridg[...] 2009
[39] 문헌
[40] 문헌
[41] 학술지 Transcendence of certain series involving binary linear recurrences 2007-03-01
[42] 문헌
[43] 학술지 Transcendence of Rogers-Ramanujan continued fraction and reciprocal sums of Fibonacci numbers 1997
[44] 학술지 Theta functions and transcendence http://link.springer[...] 1997
[45] arXiv The first occurrence of a number in Gijswijt's sequence 2022
[46] 학술지 Numerical Results on the Transcendence of Constants Involving $\pi, e$, and Euler's Constant https://www.jstor.or[...] 1988
[47] 웹사이트 e https://mathworld.wo[...] 2023-08-12
[48] 학술지 The algebraic independence of certain numbers related by the exponential function 1974-02-01
[49] 웹사이트 Schanuel's Conjecture: algebraic independence of transcendental numbers https://webusers.imj[...] 2021
[50] 학술지 Euler–Lehmer constants and a conjecture of Erdös 2010-12-01
[51] 학술지 Transcendence of generalized Euler constants 2013-01-01
[52] 학술지 On the arithmetic nature of the values of the gamma function, Euler's constant, and Gompertz's constant https://projecteucli[...] 2012
[53] 학술지 Diophantine properties of numbers related to Catalan's constant https://doi.org/10.1[...] 2003-08-01
[54] 웹사이트 Mathematical constants https://www.cambridg[...] 2022-09-22
[55] 웹사이트 Transcendental Number Theory: recent results and open problems. https://webusers.imj[...] 2022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문헌
[62] 문서
[63] 문서
[64] 문서
[65] 문서
[66] 웹인용 The 15 Most Famous Transcendental Numbers - Cliff Pickover http://sprott.physic[...] 2020-01-23
[67] 서적
[68] 서적 https://books.google[...] 2021-03-21
[69] 저널 https://projecteucli[...] 2021-03-21
[70] ArXiv
[71] 웹인용 Real number ! mathematics https://www.britanni[...] 2020-08-11
[72]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v[...]
[73] 인용
[74] 인용
[75] 인용
[76] 인용
[77] 인용
[78] MathWorld Liouville's Constant http://mathworld.wol[...]
[79] 인용
[80] 인용
[81] 인용
[82] 인용
[83] 전기 Alan Baker http://www-history.m[...]
[84] 인용
[85] 웹인용 Dottie Number http://mathworld.wol[...] Wolfram Research, Inc. 2016-07-23
[86] 인용 Transcendental Number http://mathworld.wol[...]
[87] 인용 Transcendental Number http://mathworld.wol[...]
[88] 인용
[89] 인용
[90] 인용
[91] 인용
[92] 인용
[93] 인용
[94] 인용
[95] 인용
[96] 인용
[97] 인용
[98] 인용
[99] 저널 Applications of a theorem by A. B. Shidlovski https://royalsociety[...] 1968-06-04
[100] 저널 Euler's constant: Euler's work and modern developments 2013-07-19
[101] MathWorld Irrational Number
[102] 저널 Euler–Lehmer constants and a conjecture of Erdös http://www.sciencedi[...] 2010-12-01
[103] 저널 Transcendence of Generalized Euler Constants https://www.tandfonl[...] 2013-01-01
[104] 저널 On the arithmetic nature of the values of the gamma function, Euler's constant, and Gompertz's constant https://projecteucli[...]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