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소프트웨어 사용자와 프로그래머 간 협업을 증진하고, 독점 소프트웨어를 거부하며 자유 소프트웨어를 장려하는 운동이다. 이 운동은 소프트웨어의 작동 방식을 연구하고 수정하며, 복제 및 배포, 개선 및 공유의 자유를 핵심 원칙으로 한다.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 등 다양한 단체들이 활동하며, 자유 소프트웨어 작성 및 배포, 인식 제고, 관련 법률 및 정부 정책 제정을 위한 로비를 펼친다. 운동은 오픈 소스 운동과의 관계,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프로그래머 수입 문제 등 다양한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있으며, GNU 선언, 자유 소프트웨어의 노래, Defective by Design 등의 사례를 통해 운동의 가치를 알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NU 프로젝트 -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LGPL)는 GPL과 달리 비(L)GPL 프로그램에 저작물을 링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자유 및 사유 소프트웨어에 적용 가능하며 특정 조건 하에 배포를 허용하고, 라이브러리 사용 프로그램이 LGPL의 새 버전과 링크될 수 있도록 공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 제공 방법을 활용한다.
  • GNU 프로젝트 - GNU 선언문
    GNU 선언문은 리처드 스톨먼이 GNU 프로젝트를 알리고,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공유와 발전을 통해 모든 사용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목표와 철학을 담은 문서이다.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 리처드 스톨먼
    리처드 스톨먼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창시자이자 GNU 프로젝트 설립자로서, Emacs 편집기 개발, GNU 운영 체제 개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설립, 카피레프트 개념 대중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개발 등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이끌었으나, 논쟁적인 발언으로 FSF 회장직에서 사임 후 복귀하기도 한 미국의 컴퓨터 프로그래머, 해커, 사회 운동가이다.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 GNU 프로젝트
    GNU 프로젝트는 리처드 스톨먼이 1983년 시작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핵심 프로젝트로서, 자유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구축을 목표로 GPL 등의 라이선스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하며, GNU/리눅스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 자유 소프트웨어 철학을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사회 운동 - 3·1 운동
    3·1 운동은 1919년 일본의 무단 통치에 저항하여 시작된 한국의 독립운동으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일본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사회 운동 - 러다이트 운동
    러다이트 운동은 19세기 초 영국에서 산업 혁명으로 인한 노동 환경 변화와 경제적 불평등에 저항한 노동자들이 일으킨 기계 파괴 운동으로, 초기 노동 운동의 성격을 지니며 기술 변화에 대한 저항을 상징한다.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개요
이름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목표모든 소프트웨어 사용자의 자유를 옹호하고, 이러한 자유가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배포를 윤리적이고 협력적인 방식으로 촉진한다고 믿음.
핵심 가치자유
협력
지식 공유
사용자 권한 존중
지향점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소프트웨어를 실행, 연구, 배포, 수정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하는 것.
주요 활동자유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 장려
소프트웨어 특허 및 디지털 제한 관리(DRM)에 대한 반대 운동
자유 소프트웨어 철학 전파
역사적 배경
시작1983년, 리처드 스톨먼GNU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공식화됨.
계기상업적 소프트웨어의 확산으로 사용자 자유가 제한되는 것에 대한 반발.
주요 사건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설립 (1985년)
리눅스 커널의 등장과 GNU 시스템과의 결합 (1991년)
오픈 소스 운동과의 분리 (1998년)
철학적 기반
핵심 개념소프트웨어 자유: 소프트웨어를 실행, 연구, 배포,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권리.
카피레프트: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통해 파생 저작물에도 동일한 자유를 보장하는 방식.
주요 주장소프트웨어는 지식 공유와 협력을 통해 발전해야 함.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통제할 권리가 있어야 함.
독점 소프트웨어는 사회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미침.
관련 철학윤리적 해커 (Ethical Hacker) 정신
정보 접근의 자유
주요 인물
핵심 인물리처드 스톨먼: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창시자, GNU 프로젝트 설립자.
에벤 모글렌: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법률 고문.
영향력 있는 인물리누스 토르발스: 리눅스 커널 개발자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에 큰 기여).
데비안 프로젝트 참여자들: 데비안 GNU/리눅스 배포판 개발에 기여.
조직 및 커뮤니티
주요 조직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핵심 조직, 법률 지원 및 홍보 활동.
GNU 프로젝트: 완전한 자유 운영체제 개발을 목표로 함.
주요 커뮤니티데비안 프로젝트: 자유 운영체제 데비안 GNU/리눅스 개발 커뮤니티.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아파치 HTTP 서버 및 다양한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지원.
KDE, 그놈: 자유 소프트웨어 데스크톱 환경 개발 커뮤니티.
논쟁 및 비판
오픈 소스 운동과의 관계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윤리적, 법적 관점에서 강조하는 반면, 오픈 소스 운동은 실용적인 개발 방법론으로서의 개방성을 강조.
비판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복잡성
기업의 참여 부족
사용자 편의성 부족
영향 및 파급 효과
기술적 영향리눅스: 서버, 임베디드 시스템,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운영체제.
GNU 툴체인: 컴파일러, 디버거 등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인 도구.
다양한 자유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오피스 스위트, 이미지 편집기 등.
사회적 영향지식 공유 문화 확산
사용자 주권 강화
소프트웨어 독점 방지
관련 개념
관련 운동오픈 소스 운동
카피레프트 운동
정보 자유 운동
관련 기술리눅스 커널
GNU 시스템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GNU GPL, Apache License 등)

2. 철학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프로그래머와 컴퓨터 사용자 간의 협력을 증진하고, 독점 소프트웨어를 거부하며 자유 소프트웨어를 장려한다.[38] 리처드 스톨만은 이러한 변화가 기술 발전을 저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시스템 프로그래밍 노력의 낭비적인 중복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대신 기술 발전을 위해 투입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5]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구성원들은 모든 소프트웨어 사용자가 자유 소프트웨어 정의에 나열된 자유를 가져야 한다고 믿는다. 이들은 이러한 자유를 막는 것은 부도덕하며, 사용자들이 서로 돕고 자신의 기술을 제어할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드는 데 이 자유가 필요하다고 믿는다.[6] 일부는 독점 소프트웨어에 사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성 증가와 기술적 기능 및 편의성을 언급하며, 그것이 엄격히 부도덕한 것은 아니라고 믿는다.[7]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은 모든 소프트웨어가 자유로운 문서를 필요로 한다는 원칙을 옹호하며, 프로그래머는 소프트웨어에 가해진 수정 사항을 반영하도록 매뉴얼을 업데이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8] FLOSS 매뉴얼 재단은 이러한 문서를 제공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방법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말하기 어렵다. 방법 중 하나는 카피레프트를 알리고 해당 라이선스의 보급을 촉진하는 것이다. 카피레프트는 저작권(카피라이트)에서 무시되는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지킨다고 믿는다. 그 외에 법률 제정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자유화하거나, 독점적 소프트웨어 보이콧을 통해 실현하려는 사람도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는 독점적 소프트웨어보다 기술적으로 뛰어나므로, 결국 자유 시장에서 독점적 소프트웨어를 이길 것이며, 그러므로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시간이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2. 1. 자유 소프트웨어의 원칙

자유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은 자유를 보장한다.[38]

  • 소프트웨어의 작동 원리를 연구하고 이를 자신의 필요에 맞게 변경시킬 수 있는 자유.
  • 소프트웨어를 이웃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서 이를 복제하고 배포할 수 있는 자유.
  • 소프트웨어를 향상시키고 이를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다시 환원시킬 수 있는 자유.


즉, 소스 코드 공개를 통해 누구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할 수 있게 하며, 자유로운 복제와 배포를 허용하는 것이다.[38]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철학은 프로그래머와 컴퓨터 사용자 간의 협업을 증진하는 데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독점 소프트웨어를 거부하고 자유 소프트웨어를 장려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38] 리처드 스톨만은 "시스템 프로그래밍 노력의 낭비적인 중복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대신 기술 발전을 위해 투입될 수 있다."라며, 이러한 행동이 기술 발전을 저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5]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구성원들은 모든 소프트웨어 사용자가 자유 소프트웨어 정의에 나열된 자유를 가져야 한다고 믿는다. 구성원들은 사람들이 이러한 자유를 행사하는 것을 금지하거나 막는 것은 부도덕하며,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이 서로 돕고 자신의 기술을 제어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만드는 데 이러한 자유가 필요하다고 믿는다.[6]

3. 활동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카피레프트를 알리고 해당 라이선스 보급을 촉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카피레프트는 저작권(카피라이트)에서 무시되는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지킨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법률 제정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자유화하거나, 독점적 소프트웨어에 대한 보이콧을 통해 자유 소프트웨어를 실현하려는 사람도 있다. 반면, 자유 소프트웨어는 독점적 소프트웨어보다 기술적으로 뛰어나므로 결국 자유 시장에서 독점적 소프트웨어를 이길 것이며, 시간이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9]

3. 1. 자유 소프트웨어 작성 및 배포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핵심적인 작업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되어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독점 소프트웨어를 거부하며, 자유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제공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설치를 거부한다. 스톨만에 따르면, "독점 프로그램의 무단 복제보다 더 나쁜 것은 독점 프로그램의 정식 복제본이다. 이는 사용자 전체 커뮤니티에 동일한 해를 끼치며, 게다가 일반적으로 개발자, 즉 이 악행의 범인이 이로부터 이익을 얻는다."[9]

3. 2. 인식 제고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일부 지지자들은 공개 강연을 하거나 소프트웨어 관련 컨퍼런스에서 부스를 운영하며 소프트웨어 자유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이는 자유 소프트웨어를 받지만, 그것이 자유 소프트웨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나중에 비자유 소프트웨어로 대체하거나 자유 소프트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진다.[10]

3. 3. 관련 단체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단체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주요 단체로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소프트웨어 자유 법률 센터 등이 있다.

3. 3. 1. 아시아


  • 인도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 국제 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센터(ICFOSS)

3. 3. 2. 아프리카

아프리카 자유 소프트웨어 및 오픈 소스 재단

3. 3. 3. 북아메리카

3. 3. 4. 남아메리카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라틴 아메리카
  • Software Livre Brasil

3. 3. 5. 유럽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유럽
  • 프라마소프트
  • 아일랜드 자유 소프트웨어 기구

3. 3. 6. 오스트레일리아


  • 자유 소프트웨어 오스트레일리아

4. 법률 및 정부

소프트웨어 특허 및 저작권법 확장에 반대하는 로비 활동과, 정부 기관 및 정부 지원 프로젝트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로비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1][12][13][14][15][16][17][18][19][21][22]

4. 1. 아시아

아시아 지역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경우 1997년 중국 소프트웨어 산업 협회 산하에 자유 소프트웨어 관련 협회가 설립되었고, freesoft.cei.gov.cn 웹사이트가 개발되었다.[11] 리눅스와 같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는 정부 및 교육 기관뿐만 아니라 금융, 통신, 공공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11] 중국의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OSS)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독점적 지위에 대한 견제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1]

인도 정부는 2015년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채택 정책을 발표하며 정부 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도입을 장려하고 있다.[12] 또한, 소프트웨어 제품 국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한 국가 정책-2019'를 승인하였다.[12]

파키스탄은 정보 기술 연합을 중심으로 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OSS)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파키스탄 소프트웨어 수출 위원회(PSEB)는 정부 부처의 FOSS 사용을 지원하고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 근절에 기여하고 있다.[13] 파키스탄은 FOSS가 가지는 정치적, 민주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 및 대학 교육 과정에 오픈 소스 솔루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13]

4. 1. 1. 중국

1997년 6월, 중국 소프트웨어 산업 협회 산하에 자유 소프트웨어 연구, 응용 및 개발 협회가 베이징에 설립되었다. 이 조직을 통해 freesoft.cei.gov.cn 웹사이트가 개발되었지만, 현재 미국에 위치한 IP 주소에서는 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다. 중국에서 리눅스와 같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정부 및 교육 기관을 넘어 금융 기관, 통신 및 공공 보안과 같은 다른 조직으로 확대되었다.[11] 여러 중국 연구원과 학자들은 중국의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OSS) 존재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입지를 위협하는 데 중요했다고 주장했다. 중국 공정원의 구성원인 니광난은 "중국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독점은 세계 다른 지역보다 훨씬 강력하다"라고 말했다.[11] 푸단 대학 수학과 교수인 저우이는 "중국 정부가 수년 동안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LOSS)를 구매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피스 소프트웨어 가격을 대폭 인하해야 했다"고 주장했다.[11]

4. 1. 2. 인도

인도 정부는 2015년에 정부 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채택을 추진하기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채택 정책을 발표했다. 인도 정부는 소프트웨어 제품 국가로 인도를 변모시키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한 국가 정책-2019를 승인하였다.[12]

4. 1. 3. 파키스탄

파키스탄은 정보 기술 연합을 중심으로 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OSS)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파키스탄 소프트웨어 수출 위원회(PSEB)는 여러 정부 부서에서 FOSS 사용을 옹호하고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와 같은 불법 행위를 근절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13]

파키스탄은 정보 통신 기술과 관련된 정치적, 민주적, 사회적 측면에서 FOSS가 가지는 고유성 때문에 학교와 대학의 커리큘럼에 오픈 소스 솔루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13]

4. 2. 북아메리카

미국에서는 주 정부 기관이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을 장려하는 법안을 주 차원에서 통과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다.[14]

4. 2. 1. 미국

미국에서는 주 정부 기관이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을 장려하는 법안을 주 차원에서 통과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다.[14]

2022년 1월 11일, 뉴햄프셔 주의회에서 두 개의 법안이 제시되었다. 첫 번째 법안인 "HB 1273"은 뉴햄프셔 민주당 소속 에릭 갤러거 하원의원이 발의했으며, "주 정부 기관에서 사용되는 독점 소프트웨어를 자유 소프트웨어로 대체"하는 것을 우선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갤러거는 제안된 법안이 "자유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 두 가지를 주 규제로 포함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법안인 "HB 1581"은 그래프턴 공화당 소속 렉스 베레즈니 하원의원이 제안했다. 이 법안은 "주 정부 기관이 독점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요구 사항을 복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렉스는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일 때"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 요구 사항이 2012년과 2018년 사이에 시행되었다고 언급했다. Concord Monitor에 따르면, 뉴햄프셔 주는 "살든가, 죽든가"라는 정신을 가진 "번성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었지만, 주 정부에서 이러한 인식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15]

4. 3.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페루,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등에서 정부 차원의 노력이 있었다.

4. 3. 1. 페루

페루에서는 에드가 다비드 비야누에바와 자크 로드리히 아커만 국회의원이 "공공 행정에서의 자유 소프트웨어"에 관한 법안 1609를 통해 자유 소프트웨어 도입을 추진했다.[16] 이 사건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페루의 관심을 끌었고, 마이크로소프트 페루의 총괄 매니저가 비야누에바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의 답변은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정부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을 옹호하는 고전적인 논쟁으로 여겨진다.[17]

4. 3. 2. 우루과이

우루과이는 국가가 자유 소프트웨어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규정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또한, 정보를 개방형 포맷으로 교환하도록 요구한다.[18]

4. 3. 3.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정부는 2006년 1월에 자유 소프트웨어 법을 시행했다. 법령 제3,390호는 모든 정부 기관이 2년 동안 자유 소프트웨어로 이전하도록 의무화했다.[19]

4. 4. 유럽

유럽에서는 프랑스 헌병대와 프랑스 국회오픈 소스 운영 체제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다.[21] Gov.uk(영국 정부 웹사이트)는 "GOV.UK 구축에 사용된 핵심 구성 요소, 도구 및 서비스" 목록을 유지하고 있다.[22]

4. 4. 1. 프랑스

프랑스 헌병대와 프랑스 국회오픈 소스 운영 체제 리눅스를 사용한다.[21]

4. 4. 2. 영국

Gov.uk(영국 정부 웹사이트)는 "GOV.UK 구축에 사용된 핵심 구성 요소, 도구 및 서비스" 목록을 유지하고 있다.[22]

5. 행사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일부 지지자들은 공개 강연을 하거나 소프트웨어 관련 컨퍼런스에서 부스를 운영하며 소프트웨어 자유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이는 자유 소프트웨어를 받지만, 그것이 자유 소프트웨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나중에 비자유 소프트웨어로 대체하거나 자유 소프트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진다.[10] 전 세계에서 열리는 자유 소프트웨어 행사는 사람들을 연결하여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가시성을 높이고 협력을 증진한다.

6. 경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이단 경제학을 포함한 경제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광범위하게 분석되어 왔다. 특히 경제학자들이 주목하는 점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프로그래머들이 금전적 보상 없이 작업하려는 의지이며, 종종 독점적 프로그래머보다 더 높은 품질의 결과물을 생산한다는 것이다.[23]

리처드 바브룩은 1998년 논문 "하이테크 기프트 경제"에서 당시 초창기였던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이 취미와 인터넷 상의 탈(脫) 희소성 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기프트 경제로의 회귀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23]

가브리엘라 콜먼은 프로젝트에 대한 기여에 대한 보상의 한 형태로, 금전적 동기보다 명예와 존경, 인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4]

스웨덴의 마르크스 경제학 경제학자 요한 쇠데르베리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이 자본주의에 대한 완전한 대안을 제시하며, 이는 탈(脫) 노동 사회를 만드는 데 확장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적 재산권과 사유 재산을 조작하여 상품을 대중에게 공개하고 노동과 재미를 완전히 혼합하는 것이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공산주의 경제로 만든다고 주장한다.[25]

7. 하위 그룹 및 분열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이 시작된 이후,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 데비안, 모질라 재단, 아파치 재단 등 많은 FLOSS 단체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논쟁이 있어왔다. 주요 갈등은 창립 가치와 철학을 고수하는 것과 단체의 타협 및 실용성에 대한 필요성에 집중하는 것 사이에 있었다.[26]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방법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말하기 어렵다. 방법 중 하나는 카피레프트를 알리고 해당 라이선스의 보급을 촉진하는 것이다. 카피레프트는 저작권(카피라이트)에서 무시되는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지킨다고 믿는다. 그 외에도 법률 제정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자유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독점적 소프트웨어 보이콧을 통해 실현하려는 사람도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는 독점적 소프트웨어보다 기술적으로 뛰어나므로, 결국 자유 시장에서 독점적 소프트웨어를 이길 것이며, 그러므로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시간이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오픈 소스 지지자들은 자유 소프트웨어의 "도덕적 가치"보다는 "실리적 가치"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하고 있다. 그들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이 독점적 소프트웨어를 싸잡아 비난하는 것에 대해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자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그 개발을 돕거나, 혹은 그것을 즐기고 있는 프로그래머 중에도 생계를 위해 독점적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많은 프로그래머가 있다. 그들은 자신의 행동이 도의에 어긋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의상, 자유 소프트웨어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부분 집합이다.

7. 1. 오픈 소스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는 1998년 2월 에릭 S. 레이먼드와 브루스 페렌스에 의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라는 용어를 자유 소프트웨어대안으로 홍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27][28][29][30] OSI는 "자유 소프트웨어"라는 용어의 단점과 모호성을 해결하고, 자유 소프트웨어의 초점을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우수한 모델로서의 오픈 소스를 강조하는 것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1]

일부 자유 소프트웨어 옹호자들은 포괄적인 타협의 형태로 "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OSS)" 또는 "자유/리브레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LOSS)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8. 비판 및 논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존재한다. 카피레프트를 알리고 해당 라이선스를 퍼뜨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카피레프트는 저작권(카피라이트)에서 무시되는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지킨다고 여겨진다.

법률 제정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자유화하거나, 독점적 소프트웨어에 대한 보이콧을 통해 자유화를 이루려는 주장도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가 기술적으로 더 뛰어나기 때문에 결국 시장에서 독점적 소프트웨어를 이길 것이므로 시간이 해결해 줄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에 대한 비판과 논란도 존재한다.


  • '''원칙 타협''' 논란: 에릭 S. 레이먼드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진행 속도가 느리다고 비판하며, 장기적인 이익을 위해 일시적인 타협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리처드 스톨먼은 현재 수준의 타협이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일으킨다고 생각한다.[38][39]
  • '''프로그래머 수입''' 문제: 리처드 스톨먼은 프로그래머가 자유 소프트웨어 복사본에 대해 요금을 청구하거나 프로젝트에 대한 대가를 요구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40] 그러나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위한 자금 조달이 쉽지 않다는 점을 인정한다.[41]
  • '''"바이러스성"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논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방식을 옹호하는데, 이는 "바이러스 라이선스"라고 불리기도 한다.[42]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비판자들은 수정 제한이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한다.[43][44]
  • '''라이선스 확산 및 호환성''' 문제: FLOSS 라이선스 확산은 FLOSS 영역에서 심각한 문제로, 라이선스 호환성 문제를 일으켜 FLOSS 프로젝트 간 소스 코드 재사용을 어렵게 만든다.[48] 2007년 GNU GPLv2에서 GNU GPLv3로 업데이트를 둘러싸고 큰 논란이 있었다.[50][51]

8. 1. 원칙 타협

에릭 S. 레이먼드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진행 속도가 느리다고 비판하며, 장기적인 이익을 얻기 위해 일시적인 타협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레이먼드는 이러한 타협을 통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이 관련 표준 및 법률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본다.[37]

반면 리처드 스톨먼은 현재 수준의 타협이 오히려 더 큰 우려를 낳는다고 생각한다.[26][38][39]

8. 2. 프로그래머 수입

리처드 스톨만은 프로그래머가 자유 소프트웨어의 복사본에 대해 요금을 청구하거나 프로젝트에 대한 대가를 요구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40] 사용자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은 사용 결정을 제한하고 통제하는 것이라고 본다. 그는 어떤 경우에는 금전적 인센티브가 동기 부여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창의성을 표현하는 즐거움 자체가 보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5] 다만, 스톨만은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위한 자금 조달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인정한다.[41]

가브리엘라 콜먼은 프로젝트 기여에 대한 보상으로 금전적 동기보다 명예, 존경, 인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4]

8. 3. "바이러스성"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방식(종종 경멸적으로 "바이러스 라이선스"라고 불림)을 옹호한다.[42] 가장 강력한 형태의 카피레프트는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소프트웨어에서 ''파생된'' 모든 작품이 또한 카피레프트 라이선스를 가져야 한다고 규정하며, 따라서 라이선스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기기에서 기기로 전파되는 것처럼 작품에서 작품으로 확산된다. 스톨만은 이전에 GNU GPL을 "바이러스"로 묘사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라이선스 조건은 저작권을 주장함으로써만 시행될 수 있다.[42]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비판자들은 수정 제한이 다양한 "자유"를 강조하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취지와 일치하는지에 의문을 제기하며, 특히 MIT, BSD, Apache와 같은 대안 라이선스가 더 허용적일 때 그렇다.[43][44] 지지자들은 카피레프트된 작품이 일반적으로 비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통합될 수 없다는 점을 확신한다.[45] 그들은 카피레프트 라이선스가 모든 용도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어떤 경우든 개발자는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46][47]

8. 4. 라이선스 확산 및 호환성

FLOSS 라이선스 확산은 FLOSS 영역에서 심각한 문제인데, 라이선스 호환성 고려 사항이 복잡해져 FLOSS 프로젝트 간 소스 코드 재사용을 제한하고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이다.[48] OSIFSF는 수십 개의 기존 및 허용 가능한 FLOSS 라이선스 목록을 유지 관리한다.[49] 대부분의 사람들은 새로운 라이선스 생성을 최소화하고, 만들어진 라이선스는 주요 기존 FLOSS 라이선스와 호환되도록 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07년 GNU GPLv2에서 GNU GPLv3로 업데이트를 둘러싸고 강한 논란이 있었다.[50][51] 업데이트된 라이선스가 이전 버전과 호환되지 않기 때문이다.[52][53][54] 리눅스 커널과 같은 오픈 소스 진영의 일부 프로젝트는 GPLv3를 채택하지 않기로 결정한 반면,[51][55][56] 거의 모든 GNU 프로젝트 패키지는 이를 채택했다.

9. 운동 사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은 소프트웨어 특허와 저작권법 확장에 반대하는 로비 활동을 활발히 전개해 왔다. 또한, 정부 기관 및 정부 지원 프로젝트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사용을 장려하는 로비 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9. 1. GNU 선언

GNU 선언은 GNU 프로젝트의 목표를 정의하고 설명하며 지원과 참여를 호소하는 문서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에서 많은 이들이 기본적인 철학의 시조로 여기고 있다.

9. 2. 자유 소프트웨어의 노래

리처드 스톨먼이 작곡한 자유 소프트웨어를 주제로 한 필크 음악|필크영어 프로파간다 송이다. 이 노래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리믹스되어, 테크노 버전[57], 데스 메탈 버전[58], 리듬 버전[59] 등이 존재한다.

9. 3. Defective by Design

Defective by Design(DbD)은 DRM과 소프트웨어 특허가 "자유를 빼앗고 제한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관점에서 "발상부터 결함(Defective by Design)"이라며 DRM과 소프트웨어 특허의 재정의를 추진하는 선구적인 운동이다.[60][61]

이 운동에서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을 DRM(Digital '''Restrictions''' Management, 디지털 '''제한''' 관리)으로 재정의한다.[62]

9. 4. BadVista

BadVista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비스타로의 전환에 반대하며, Defective by Design의 문제를 사회에 알리고 자유 소프트웨어로의 대체를 촉진하는 운동이다.

9. 5. PlayOgg

PlayOgg는 Ogg+Vorbis를 옹호하는 운동으로, MP3AAC 등 독점 형식을 대체해야 할 자유 디지털 음성 파일 형식이자 해당 음악 형식을 옹호하는 운동이다.[64]

9. 6. TiVo화에 대한 대항

Defective by Design(DbD)은 DRM과 소프트웨어 특허가 "자유를 빼앗고 제한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관점에서 "발상부터 결함(Defective by Design)"이라며 DRM과 소프트웨어 특허의 재정의를 추진하는 선구적인 운동이다.[60][61] 이 운동에서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을 DRM(Digital '''Restrictions''' Management, 디지털 '''제한''' 관리)으로 재정의한다.[62]

DRM이나 소프트웨어 특허 때문에 특정 권한으로만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은 이용자의 자유를 저해하는 것이며[65], 그러한 행위를 TiVo화라고 칭하며 이에 대항하는 많은 사회 운동을 지원하고 있다. GPLv3에서는 TiVo화를 불가능하게 하는 조항을 도입하고 있다.[66]

9. 7. 소프트웨어 특허에 대한 대항

소프트웨어 특허와 저작권법 확장에 반대하는 로비 활동이 많이 이루어졌다. 다른 로비 활동은 정부 기관 및 정부 지원 프로젝트에서 자유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직접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Defective by Design(DbD)은 DRM과 소프트웨어 특허가 "자유를 빼앗고 제한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관점에서 "발상부터 결함(Defective by Design)"이라며 DRM과 소프트웨어 특허의 재정의를 추진하는 선구적인 운동이다.[60][61] 이 운동에서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을 DRM(Digital '''Restrictions''' Management, 디지털 '''제한''' 관리)으로 재정의한다.[62]

룩앤필 등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저작권 등 소프트웨어 특허는 "소프트웨어 이용자의 자유"를 저해하는 것으로 간주되어,[67] 소프트웨어 특허에 대항하는 많은 사회 운동을 지원하고 있다.

9. 8. FLOSS 호칭 추진

리처드 스톨만은 오픈 소스라는 용어가 자유 소프트웨어의 의도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오픈 소스 및 자유 소프트웨어의 총칭"을 지칭할 때는 OSS 대신 자유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를 함께 나타내는 FLOSS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68]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Free Software? https://www.gnu.org/[...] 2020-03-18
[2] Webarchive Richard Stallman on the nature of the Free software movement http://lists.gnu.org[...] 2017-05-13
[3] 논문 Nullis in Verba: The Free Software Movement as a model for Openness and Transparency https://www.tandfonl[...] 2018-07-03
[4] 웹사이트 Initial Announcement https://www.gnu.org/[...] 1983-09-27
[5] 웹사이트 The GNU Manifesto https://www.gnu.org/[...] GNU 2014-04-18
[6] 웹사이트 Why free software? https://www.gnu.org/[...] GNU 2014-04-18
[7] 웹사이트 Copyleft: Pragmatic Idealism http://www.fsf.org/l[...] GNU 2007-04-09
[8] 웹사이트 Free Software and Free Manuals https://www.gnu.org/[...] GNU 2014-04-18
[9] 웹사이트 Transcript of Stallman on Free Software http://fsfeurope.org[...] FSFE 2006-03-09
[10] 웹사이트 Transcript of Stallman speaking at WSIS https://web.archive.[...] Ciarán O'Riordan 2006-10-07
[11] 논문 Against Intellectual Monopoly: Free Software in China https://www.jstor.or[...] 2023-04-07
[12] 웹사이트 FOSS4GOV Innovation Challenge https://innovateindi[...] 2021-08-27
[13] 논문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Movement in LIS Profession in Pakistan https://digitalcommo[...] 2017-07
[14] 웹사이트 Open source's new weapon: The law? https://www.cnet.com[...] 2023-03-16
[15] 웹사이트 Lots of recycled arguments when the legislature debates open source software https://www.concordm[...] 2023-04-09
[16] 웹사이트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Free Software bill proposed in Peru http://en.wikisource[...] 2007-05-10
[17] 웹사이트 Peruvian Congressman Edgar Villanueva writing to Microsoft about free software. http://www.gnu.org.p[...]
[18] 웹사이트 Group:Free Software in Government https://libreplanet.[...] 2019-05-09
[19] 웹사이트 Free software liberates Venezuela https://web.archive.[...] Free Software Magazine 2006-02-08
[20] 웹사이트 Public Money? Public Code! https://publiccode.e[...] 2021-08-27
[21] 웹사이트 AFP: French police deal blow to Microsoft https://web.archive.[...] 2014-02-27
[22] 웹사이트 Colophon for GOV.UK at launch | Government Digital Service https://archive.toda[...] 2014-11-16
[23] 논문 The High-Tech Gift Economy http://firstmonday.o[...] 1998
[24] 문서 Coleman (2013), p. 116-7.
[25] 문서 Söderberg (2007), p. 153-4.
[26] Webarchive Pragmatism in the History of GNU, Linux and Free/Open Source Software http://thevarguy.com[...] 2016-02-17
[27] 웹사이트 Goodbye, "free software"; hello, "open source" http://www.catb.org/[...] 2016-03-22
[28] 웹사이트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free Software – Two Bits http://twobits.net/p[...] Duke University 2016-03-22
[29] 웹사이트 Free software – Free software is a junkyard of software spare parts https://books.google[...] 1983-06-23
[30] 웹사이트 Open Source misses the point https://www.gnu.org/[...] GNU 2014-04-18
[31] 웹사이트 It's Time to Talk About Free Software Again https://lists.debian[...] 1999-02-17
[32] 웹사이트 Why Open Source Misses the Point of Free Software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3-02-11
[33] 뉴스 GNU founder Stallman: 'Open source is not free software' https://siliconangle[...] 2016-04-28
[34] 웹사이트 Why 'Open Source' Misses the Point of Free Software {{!}} June 2009 {{!}} Communications of the ACM https://cacm.acm.org[...] 2017-10-17
[35] 웹사이트 Why "Free Software" is better than "Open Source" https://www.gnu.org/[...] GNU 2014-04-18
[36] 서적 Perspectives on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MIT Press
[37] 웹사이트 ESR's "World Domination 201", on the need for more compromise by the free software movement http://www.catb.org/[...] catb.org 2006-07-01
[38] 웹사이트 The Free Software Community After 20 Years https://www.gnu.org/[...] 2021-04-04
[39]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 on "World Domination 201" http://www.libervis.[...] 2008-01-31
[40] 웹사이트 Selling Free Software https://www.gnu.org/[...] 2021-04-04
[41] Youtube Interview with Richard Stallman https://www.youtube.[...] Linux action show 2012-03-11
[42] 서적 Perspectives on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MIT Press
[43] 웹사이트 Open Source Licensing Guide http://www.newmediar[...] 2015-02-13
[44] 뉴스 Microsoft CEO takes launch break with the Sun-Times http://suntimes.com/[...] 2001-06-01
[45] 서적 Handbook of Research on Open Source Software: Technological, Economic, and Social Perspectives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46] 웹사이트 IT Manager's Journal: 10 Common Misunderstandings About the GPL http://www.linuxtoda[...] 2006-08-29
[47] 웹사이트 The Basement Interviews: Freeing the Code https://archive.org/[...] 2006-03-21
[48] 웹사이트 OSI and License Proliferation https://web.archive.[...] fossbazar.com 2008-08-21
[49] 웹사이트 Various Licenses and Comments about Them https://www.gnu.org/[...] 2021-04-04
[50] 웹사이트 The Curse of Open Source License Proliferation http://socializedsof[...] socializedsoftware.com 2008-05-08
[51] 웹사이트 Linux Creator Calls GPLv3 Authors 'Hypocrites' As Open Source Debate Turns Nasty http://www.informati[...] informationweek.com 2007-07-10
[5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 Is GPLv3 compatible with GPLv2? https://www.gnu.org/[...] GNU 2014-06-03
[53] 웹사이트 FSF Wastes Away Another "High Priority" Project https://www.phoronix[...] Phoronix 2013-08-22
[54] 서적 The Failure of the GPL http://www.informit.[...] informit.com 2016-01-24
[55] 웹사이트 Torvalds Still Keen On GPLv2 http://www.internetn[...] internetnews.com 2015-02-12
[56] 웹사이트 Busy busy busybox https://lwn.net/Arti[...] lwn.net 2015-11-21
[57] 웹사이트 why cooperation with RMS is impossible, part 3 http://www.jwz.org/b[...] 2012-02-07
[58] 웹사이트 Jono Bacon - Free Software Song http://www.lastfm.co[...] 2012-02-07
[59] 웹사이트 Free Software Song http://www.gnu.org/m[...] 2008-10-30
[60] 웹사이트 FSF launches anti-DRM campaign outside WinHEC 2006 http://www.linux.com[...] NewsForge, Linux.com 2011-02-23
[61] 웹사이트 FSF、WinHEC 2006会場外で反DRMキャンペーンを開始 http://sourceforge.j[...] NewsForge, Linux.com, SourceForge.JP Magazine 2011-02-23
[62] 웹사이트 Digital Restrictions Management and Treacherous Computing http://www.fsf.org/c[...] Free Software Foundation 2007-12-17
[63] 뉴스 Looking into the FSF's BadVista campaign http://www.linuxjour[...] linuxjournal.com 2011-02-23
[64] 웹사이트 PlayOgg! https://www.fsf.org/[...] 2018-03-08
[65] 웹사이트 Using large disks with TiVo http://www.gratisoft[...] 2011-04-29
[66]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 explains the new GPL provisions to block "tivoisation" http://fsfe.org/proj[...] 2011-04-29
[67] 웹사이트 Richard M. Stallman: The Dangers of Software Patents (2004-05-24) http://www.ifso.ie/d[...] www.ifso.ie 2011-05-11
[68] 웹사이트 FLOSS and FOSS https://www.gnu.org/[...] 2016-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