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장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장가는 아이를 재우거나 달래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 중세 영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자장가는 단순한 음고, 넓은 음역, 반복적인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3박자 또는 6/8 박자를 사용하여 흔들리는 움직임을 연상시킨다. 이러한 특징은 문화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나며, 조산아의 심박수 감소, 수유 개선 등 치료적 가치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자장가는 문화적 관습을 전승하는 역할도 하며,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서양 고전 음악에서는 베르쇠즈라는 형식으로 불리며, 브람스의 "자장가"가 가장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르별 노래 - 칸초네
칸초네는 이탈리아의 대중가요로, 민요에서 시작하여 칸초네 페스티벌과 같은 경연대회를 통해 발전했으며, 특히 나폴리의 피에디그롯타 축제와 산 레모 페스티벌이 명곡과 유명 가수를 배출하는 데 기여했다. - 장르별 노래 - 샹송
샹송은 프랑스어로 노래를 뜻하며 프랑스어권에서는 노래 전반을 의미하나, 다른 언어권에서는 프랑스어로 불리는 노래를 지칭하며, 중세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와 내용으로 발전해 온 프랑스의 대중가요를 의미한다. - 어린이 음악 - 피터와 늑대
피터와 늑대는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가 어린이들에게 오케스트라 악기를 소개하기 위해 작곡한 음악극으로, 등장인물마다 특정 악기와 연결된 고유한 주제 선율을 가진다. - 어린이 음악 - 동물의 사육제
카미유 생상스가 1886년에 작곡한 《동물의 사육제》는 다양한 동물을 묘사하는 14곡의 모음곡으로, 실내악과 관현악 편성 모두 가능하며 생상스 사후에 전곡이 출판되어 어린이들을 위한 관현악 입문곡으로 널리 연주된다. - 육아 - 보육
보육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돌봄을 의미하며, 국가별로 다양한 시스템과 형태를 가지며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와 불평등 문제도 존재한다. - 육아 - 베이비시터
베이비시터는 아이를 돌보는 직업 또는 그 직업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일본에서는 민간 자격증을 통해 전문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장가 | |
---|---|
개요 | |
종류 | 어린이를 재우기 위해 부르는 노래 |
다른 이름 | 자장가, 요람곡 |
특징 | |
목적 | 어린 아이를 달래고 재우는 것 |
내용 | 단순하고 반복적인 가사, 부드러운 리듬과 멜로디 |
효과 | 심리적 안정과 편안함을 제공, 수면을 유도 |
역사 | |
기원 | 고대부터 존재 |
문화적 중요성 | 각 문화권마다 고유한 자장가가 존재 |
유명한 자장가 | 브람스 자장가 별 보며 잠들라 프랑스 자장가 |
음악적 특징 | |
형식 | 단순한 가곡 형태 |
멜로디 | 부드럽고 반복적인 선율 |
리듬 | 느리고 규칙적인 리듬 |
박자 | 4분의 4박자나 8분의 6박자 |
심리학적 효과 | |
아동 발달 | 정서적 안정감과 애착 형성 |
수면 유도 | 반복적인 리듬과 멜로디가 수면을 도움 |
스트레스 감소 | 부드러운 음악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 |
문화별 자장가 | |
한국 | 자장 자장 |
프랑스 | 프랑스 자장가 |
독일 | 브람스 자장가 |
미국 | 별 보며 잠들라 |
기타 국가 | 다양한 문화권에 고유한 자장가 존재 |
현대적 자장가 | |
새로운 창작곡 | 다양한 스타일과 형식의 자장가가 창작됨 |
디지털 매체 |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자장가를 감상 |
활용 | 앱, 스트리밍 서비스, 태교 음악 등에 활용 |
기타 | |
관련 주제 | 어린이, 음악, 수면, 심리학 |
2. 어원
'자장가'라는 용어는 중세 영어 "lullen"(달래다)과 "by"("가까이")에서 유래하며, 1560년경에 처음 기록되었다.[4][5] 영어로는 lullaby(라라바이)라고 하는데, 16세기 중반부터 쓰인 이 단어는 동사로는 "달래다", 명사로는 폭풍 전의 "잠깐의 휴식"을 뜻하는 lull과 아이를 달랠 때 쓰는 의성어인 'bye'에서 유래했다.[51] 또한, cradle song(크레이들 송)이라고도 한다.
자장가는 과장된 선율적 경향을 공유하는데, 간단한 음고 윤곽, 넓은 음역, 그리고 일반적으로 높은 음고가 포함된다.[11] 이러한 특징은 사랑이나 애정과 같은 고조된 감정을 명확히 하고 전달한다. 화성이 있는 경우, 유아는 불협화음보다 거의 항상 협화음 음정을 선호한다. 게다가, 노래에 불협화음 음정의 연속이 있다면, 유아는 보통 흥미를 잃고 주의를 다시 끌기가 매우 어려워진다.[12] 이를 반영하여 대부분의 자장가는 주로 협화음 음정을 포함한다. 조성 면에서 대부분의 자장가는 간단하며, 종종 단순히 근음과 우세음 화성을 번갈아 사용한다.
제프리 펄먼(Jeffery Perlman) 박사는 뉴욕장로병원 코만스키 아동건강센터 신생아 의학과장으로, 부드러운 음악 요법이 조산아의 심박수를 늦추고 수유와 수면에 도움을 주어 체중 증가와 회복 속도를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1] 2013년 5월 미국소아과학회지에 발표된 뉴욕 베스 이스라엘 메디컬 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치료 목적으로 고안된 "라이브" 음악과 직접 부르는 자장가는 심장 및 호흡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플로리다주립대학교 국립 유아 및 아동 의학 음악 치료 연구소의 제인 M. 스탠들리(Jayne M. Standley)는 2011년 2월 Arts in Psychotherapy에 발표한 연구에서 이러한 요법을 받은 아기들이 병원에서 더 빨리 퇴원한다고 밝혔다.[21]
자장가는 종종 문화적 역할과 관습을 전승하거나 강화하는 데 사용된다. 알바니아 문화에서 자장가는 요람에 아이를 흔들어 재우는 행위와 함께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음악의 흔들리는 리듬감에 반영되어 있다.[19] 자장가는 유아의 가족적 지위를 나타내는 문화적 상징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자장가를 부르는 동안 요람이 함께 함으로써 유아는 자장가를 잠들고 깨어나는 것과 연관짓게 된다.[19]
자장가는 종종 문화적 역할과 관습을 전승하거나 강화하는 데 사용된다.[19] 아이를 안고 있거나 요람에 흔들어주면서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느린 리듬을 가진 것이 많다.
민간어원설에 따르면 '자장가'는 "Lilith-Abi"(히브리어로 "릴리스, 물러가라"라는 뜻)에서 유래한다.[6][7][8] 유대교 전통에서 릴리스는 밤에 아이들의 영혼을 훔치는 악마로 여겨졌다. 릴리스로부터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유대인 어머니들은 "릴리스 – 아베이"("릴리스 – 물러가라")라는 글귀가 새겨진 부적 네 개를 유아 방 벽에 걸어 두었다.[9][10] 다른 설에 따르면, 아이의 목숨을 몰래 빼앗는다고 믿었던 악마 리리스(Lilith)를 쫓아내는 히브리어 "Lilith - abei"("리리스야, 사라져!")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다.[52][53][54][55]
3. 특징
음고 경향 외에도, 자장가는 여러 구조적 유사성을 공유한다. 가장 빈번한 경향은 간헐적인 반복과 섹션 간의 긴 휴지이다.[13][14] 이것은 음악적 자료의 속도를 희석시키고 유아의 느린 음악 처리 능력에 호소한다.
리듬적으로 공유되는 패턴이 있다. 자장가는 일반적으로 3박자 또는 6/8 박자로 되어 있어 "특징적인 흔들림이나 흔들리는 움직임"을 준다.[15] 이것은 어머니가 움직일 때 아기가 자궁에서 경험하는 움직임을 모방한다. 또한, 유아의 리듬에 대한 선호도는 흔들릴 때 듣는 것과 심지어 자신의 신체 움직임과 강한 관련성을 공유한다.[16] 자장가의 템포는 일반적으로 느리고, 발성은 짧다.[11] 이것은 다시 유아의 노래 처리에 도움이 된다.
자장가에는 거의 악기 반주가 없다. 유아는 반주가 있는 자장가보다 반주 없는 자장가를 강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이것은 다시 유아의 더 제한적인 정보 처리 능력에 호소한다.
자장가는 유아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진정 효과를 위해 종종 사용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자장가는 임산부의 스트레스 해소와 전반적인 심리적 건강 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음악 또는 소리 유형으로 밝혀졌다.[18]
이러한 특징은 문화 전반에 걸쳐 일관되는 경향이 있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성인들이 노래의 문화적 맥락을 알지 못하고도 자장가를 인식하고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3] 유아는 이러한 특성을 가진 노래를 강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8] 영아는 일반적인 자장가보다 영아에게 맞춰진 자장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며, 다른 여성의 목소리보다 자신의 어머니의 목소리를 더 선호한다.[28]
자장가가 어머니와 아이 사이의 양육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영아에게 자장가를 불러주는 어머니는 유대감 형성 활동에 참여하는데, 이는 실제로 영아의 뇌 신경 구조를 변화시켜 영아가 음악과 부모와의 애착을 "조율"하게 한다.[25] 대만에서 실시된 캥거루 케어(Kangaroo Care) 연구에서, 어머니가 신생아를 가슴에 꼭 껴안고 있는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자신들이 선택한 자장가를 들은 영아-어머니 쌍은 자장가를 듣지 않은 쌍보다 영아의 울음이 덜하고 조용한 수면 상태가 더 많은 것과 함께 어머니의 불안감이 현저히 낮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자장가의 치료 효과는 불안감을 진정시키고 유대감을 키우는 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조산아나 허약한 영아에게 중요하다.[30] 아이를 안고 있거나 요람에 흔들어주면서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느린 리듬을 가진 것이 많다.
클래식 음악에서도 자장가라는 이름이 붙은 소품은 많으며, "모차르트의 자장가", 슈베르트, 브람스, 고다르(조슬랭의 자장가) 등의 것이 유명하다. 피아노곡(쇼팽)이나 그 밖의 기악곡도 있다.
"ねんねんころりよ"로 시작하는 일본의 "에도 자장가"는 에도 시대부터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역사가 긴 노래이다.
일본의 자장가에는 부모가 부르는 것이 아니라, 어릴 적 고향을 떠난 보모가 부른 것(자장가라기보다는 '''보모의 노래'''라고 해야 할 것이다)도 많다. 이것들은 그들이 자신의 괴로움을 노래한 것이기 때문에, 가사와 곡조 모두 어두운 경향이 있으며, 그 중에는 원한을 쏟아내거나 세상을 신랄하게 풍자한 것도 간혹 볼 수 있다. 자장가 가사에는 "잠들지 않는 녀석은 머리를 때린다"(고무나무의 자장가)나, "도마 위에 놓고 청채처럼 싹둑싹둑"(중국 지방의 자장가)과 같은 것도 있다.
4. 치료적 가치
제인 M. 스탠들리(Jayne M. Standley)의 추가 연구에 따르면, 집중 치료를 받는 조산아에게 헤드폰으로 부드러운 자장가를 들려주면 심박수와 호흡수를 늦추는 것 외에도 산소 포화도를 증가시키고 무호흡 및 서맥 발작을 예방할 수 있다.[22] 부드러운 음악은 조산아가 발달을 촉진하고 생존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자극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장가는 젖꼭지 빨기(수유) 빈도를 높여 아기에게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한다. 따라서 자장가는 신경계의 빠른 발달과 입원 기간 단축과 관련이 있다.[23]
최근 연구에 따르면 라이브로 부르는 자장가는 조산아의 생리적 기능과 발달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느리고 반복적인 동조 리듬의 라이브 요소는 빨기 행동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아기는 주변 소리에 동조하는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다. 박자 인식은 자궁 내 태아 발달 중에 시작되며 아기는 선천적인 음악적 선호도를 가지고 태어난다. 라이브 호흡 소리는 아기의 심박수, 조용히 경계하는 상태 및 수면을 조절할 수 있다. 라이브 자장가는 부모-자녀 유대감을 강화하여 집중 치료와 관련된 부모 스트레스를 줄일 수도 있다. 음악 치료사가 부르는 라이브 자장가는 이완, 휴식, 편안함 및 최적의 성장과 발달을 유도한다.[24] "자장가(Hush, Little Baby)"는 아기를 진정시키고 활력을 주는 능력과 보살피는 유대감을 키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많은 자장가는 가사의 의미에 관계없이 평화롭고 최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슬픔이나 어두운 곡도 있다. 1920년대에 시인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는 스페인 자장가를 연구하여 많은 자장가의 "시적 성격"과 "슬픔의 깊이"를 언급하며, 자장가의 기능 중 상당 부분이 어머니가 자신의 걱정과 우려를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간단히 말해, 자장가는 어머니를 위한 치료 역할도 한다.[15]
자장가는 슬픔과 함께 호스피스 환자와 그 가족에게 "회복적인 울림"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자장가는 일반적으로 깨어 있음/수면 전환 과정에서 사람들을 진정시키며, 생/사 전환 과정에서도 사람들을 진정시킬 수 있다. 음악 치료사는 이러한 곡을 "자장가(lullaments)"라고 부르는데, 이는 정신을 유지하고, 심리적 구조를 지지하며, 역경의 영향에 대한 취약성 동안 심리적 회복력을 가능하게 한다. 자장가는 음악적 맥락에서 표현된 애착과 분리, 슬픔/눈물과 행복/웃음, 특권과 상실, 양육과 슬픔, 악화, 정체 및 전진을 나타낸다.[27]
5. 사회문화적 의의
코간과 긴츠버그는 주로 문자가 없는, 미디어에 노출되지 않은 소코트라 섬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 문화권의 자장가가 서구와 동양 전통의 자장가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의미 없는 음절'의 반복, 따뜻한 정서적 공간의 창출, 고대 관습과 신앙에 대한 언급 등이 그 예이다. 반면, 이러한 자장가에는 다른 전통에서 발견되는 '숫자를 세는 요소'가 없었고, 안전을 영적인 공간으로 정의한 반면, 위험은 육체적이고 영적인 것으로 개념화되었다.[20]
영아는 일반적인 자장가보다 영아에게 맞춰진 자장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며, 다른 여성의 목소리보다 자신의 어머니의 목소리를 더 선호한다.[28]
자장가가 어머니와 아이 사이의 양육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영아에게 자장가를 불러주는 어머니는 유대감 형성 활동에 참여하는데, 이는 실제로 영아의 뇌 신경 구조를 변화시켜 영아가 음악과 부모와의 애착을 "조율"하게 한다.[25] 대만에서 실시된 캥거루 케어(Kangaroo Care) 연구에서, 어머니가 신생아를 가슴에 꼭 껴안고 있는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자신들이 선택한 자장가를 들은 영아-어머니 쌍은 자장가를 듣지 않은 쌍보다 영아의 울음이 덜하고 조용한 수면 상태가 더 많은 것과 함께 어머니의 불안감이 현저히 낮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자장가의 치료 효과는 불안감을 진정시키고 유대감을 키우는 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조산아나 허약한 영아에게 중요하다.[30]
6. 세계 각국의 자장가
클래식 음악에서도 자장가라는 이름이 붙은 소품은 많다. 슈베르트, 브람스, 고다르(조슬랭의 자장가) 등의 자장가가 유명하며, 쇼팽의 피아노곡처럼 기악곡도 있다.
일본의 "에도 자장가"는 에도 시대부터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역사가 긴 노래이다. 일본의 자장가 중에는 부모가 아닌, 어릴 적 고향을 떠난 보모가 부른 '보모의 노래'도 많다. 이 노래들은 괴로움을 담아 불렀기 때문에 가사와 곡조가 어두운 경향이 있으며, 원한이나 세상에 대한 풍자를 담은 것도 있다. "잠들지 않는 녀석은 머리를 때린다"(고무나무의 자장가)나, "도마 위에 놓고 청채처럼 싹둑싹둑"(중국 지방의 자장가)과 같은 가사도 있다.
6. 1. 명칭
언어 | 명칭 |
---|---|
한국어 | 자장가, 자장노래 |
영어 | lullaby|라라바이영어 |
에스파냐어 | arrullo|아룰로es |
이탈리아어 | ninnananna|닌나난나it |
프랑스어 | berceuse|베르쇠즈프랑스어 |
독일어 | wiegenlied|비겐리트de |
체코어 | ukolébavka|우콜레바브카cs |
헝가리어 | altatódal|얼터토덜hu |
폴란드어 | kołysanka|코위산카pl |
덴마크어 | godnatsang|고드낫상da |
스웨덴어 | vaggsång|바그송sv |
튀르키예어 | ninni|닌니tr |
일본어 | こもりうた|고모리우타일본어 |
중국어 | 摇篮曲|야오란취중국어 |
베트남어 | bài hát ru con|바이 핫 루 꼰vi |
미얀마어 | သားချော့ကဗျာ|따 쪼 가뱌my |
힌디어 | लोरी|로리hi |
아랍어 | تَهْمِيمَة|타흐미마ar |
우즈베크어 | alla|알라uz |
인도네시아어 | nina bobo|니나 보보id |
태국어 | เพลงกล่อมเด็ก|플렝 끌롬 덱th |
스와힐리어 | tumbuizo|툼부이조sw |
현대 히브리어 | שיר ערש|시르 에레슈he |
영어로는 자장가를 lullaby|라라바이영어라고 한다. 16세기 중반부터 생겨난 단어로, 동사로는 "달래다" 또는 명사로는 폭풍 전의 "잠깐의 휴식"을 뜻하는 lull이라는 단어와 아이를 달랠 때 쓰는 의성어인 bye에서 유래했다.[51]
다른 설에 따르면, 아이의 목숨을 몰래 빼앗는다고 믿었던 악마 리리스(Lilith)를 쫓아내는 히브리어 "Lilith - abei"("리리스야, 사라져!")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다.[52][53][54][55]
자장가는 cradle song(크레이들 송)이라고도 불린다.
6. 2. 지역별 자장가
알바니아 문화에서 자장가는 요람에 아이를 흔들어 재우는 행위와 함께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음악의 흔들리는 리듬감에 반영되어 있다.[19] 소코트라 섬 주민들의 자장가는 서구와 동양 전통의 자장가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의미 없는 음절'의 반복, 따뜻한 정서적 공간의 창출, 고대 관습과 신앙에 대한 언급 등이 그 예이다.[20]"도르메 네넴"(Dorme neném)은 브라질에서 전국적으로 불리는 노래이며, 아이들에게 매우 두려움의 대상인 민속 캐릭터 "쿠카"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자장자장 아가야, 잠자라 아가야, 안 그러면 무서운 괴물이 와서 너를 잡아먹을 거야"는 포르투갈에서 부모가 아이들에게 빨리 잠자도록 재우기 위해 부르는 자장가이다.
인도에서는 힌디어와 여러 인도 언어에서 자장가를 "Lori"라고 부르며, 대부분 방언으로 불린다. 말라얄람어에는 "tharaattu Pattu"로 알려진 풍부한 전통 자장가 모음이 있으며, 이라이만 탐피가 작곡한 "오마나친칼 키다보"가 유명하다. 오디아어에서 자장가는 ''Nanabaya gita''라고 불리며,[32] 텔루구어에서는 "Jola" 또는 "Jola pata"라고 불린다. 타밀어에서 자장가는 ''thaalattu''라고 불리며, ''thal''은 "혀"를 의미한다. 마라티어에서 자장가는 ''angai geet''라고 불린다.
필리핀에서는 이 노래를 '오야이(oyayi)'라고 부르며, 바탕가스주에서는 '훌루나(huluna)'라고 알려진 매우 특별한 자장가가 있다. 레비 셀레리오가 작사한 두얀의 요람은 유명한 필리핀 자장가이다.
베트남어로 자장가는 "bài hát ru"라고 하며, "Ầu ơ ví dầu"라는 노래가 유명하다. 베트남 자장가에는 마을, 대나무 다리, 논, 농사 등 목가적인 시골 풍경이 포함되어 있으며, 쓸쓸한 분위기를 띤다.
중국에서는 "동북 요람곡"이 북부 출신이며, 광둥어 요람곡 "Yuet Kwong Kwong"(月光光)은 광둥성에서 널리 불린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니나 보보(Nina Bobo)가 유명하다.
일본에서는 "자장가 에도 버전", "자장가 이츠키 버전", "자장가 중국 지방 버전", "자장가 시마바라 버전", "자장가 다케다 버전" 등이 있다.
방글라데시에서는 자장가를 "ghum-parrani-gaan"(잠자게 하는 노래)이라고 하며, "ghum-parrani maashi, pishi"와 "baash baganer mathar upor"가 예시이다.[33]
이란에서는 "라이 라이, 라이, 라이, 골레 랄레"가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페르시아어 자장가 중 하나이다.[34]
체코에서는 "자, 야니체크야, 자렴", "자장가", "자렴, 나의 작은 천사야", "할리, 아가야", "할라, 벨라, 꼬마야" 등 다양한 자장가가 있다.
덴마크에서는 "코끼리 자장가"가 가장 인기 있는 자장가 중 하나이며,[35] "굿나잇송", "엄마의 한스에게 부르는 노래", "별을 셀 거예요", "잠자라 아가 잠자라", "달님은 바라보고, 달님은 엿보고" 등 다양한 자장가가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달님은 바라보고, 달님은 엿보고"가 오래된 자장가이다.
영어 자장가 중에는 "Bye, baby Bunting"과 "Hush, Little Baby"가 유명하다.
독일에서는 「달이 떴네」, 「신사가 성으로 왔네」, 「굿 이브닝, 굿 나잇」, 「별이 얼마나 많은지 아니?」, 「자장가, 자장가, 잠들어라」 등이 유명하다.
헝가리어로 된 자장가는 altatódal|links=no|lit=put-to-sleep song|label=none|한국어 발음=얼터또달hu, altató|links=no|lit=[something that] puts [someone] to sleep|label=none|한국어 발음=얼떠또hu, bölcsődal|links=no|lit=cradle song|label=none|한국어 발음=뵐최달hu 등이 있다.[37]
아일랜드에서는 "Lollai, Lollai, litil child",[39] "투 라 루 라 루 랄", "Whisht Wee Bairn",[41] "Seoithín Seothó" [42][43]등의 자장가가 있다.
러시아에서는 「코사크 자장가」가 유명하다.
스코틀랜드에서는 "Griogal Cridhe", "Hishie Ba", 짐 맥린의 "Smile in Your Sleep", 맷 맥긴의 "Miner's Lullaby", 카린 폴워트의 "Baleerie Baloo" 등 다양한 자장가가 있다.[44]
우크라이나에서는 《오이 코디트 손 콜로 비콘》이 있다.
웨일스에서는 가장 오래된 웨일스어 자장가인 "''디노가드의 스목''"과[45] 또 다른 전통적인 웨일스어 자장가인 "''수오 갬''"이 있다.[46]
"컬리 헤디드 베이비"는 조지 H. 클루츠엄이 1897년에 작곡했다.[47][48]
"히네 히네"는 1907년 테 랑기 파이가 작곡한 마오리어 자장가이다.[50]
; 일본
- 민요 또는 민요를 바탕으로 한 것
- * 에도 자장가
- * 다케다의 자장가
- * 이쓰키의 자장가
- * 중국 지방의 자장가
- * 시마바라의 자장가
- 창작곡
- * 요람의 노래
; 일본 이외
- 동북 지방의 자장가(東北揺籃曲)
- 월광광(月光광 (아동가요))
- 코사크의 자장가
- 우크라이나 자장가(Ой ходить сон коло вікон)
; 클래식 음악
- 자장가 (슈베르트)
- 자장가 (브람스)
- 잠자는 요정 (브람스)
- 자장가 (포레)
- 잘 자라, 아이야, 정원과 목초지에
- 조슬랭의 자장가
- 자장가 (쇼팽)
- 자장가 (무소르그스키)
- 자장가 (거슈인)
- 고양이의 자장가
- 트럼펫 부는 자장가
- 투라루라루라
7. 서양 고전 음악에서의 자장가
요하네스 브람스의 "Wiegenlied"(1868)는 가장 유명한 자장가 중 하나이다.[31] 브람스가 수면 무호흡증을 앓았다는 주장이 있으며, 이것이 "Wiegenlied" 작곡의 영감 중 하나였다고 추측된다.[31]
쇼팽의 "Berceuse"는 피아노 독주곡이다. 모리스 라벨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Berceuse sur le nom de Gabriel Fauré'', 페루치오 부조니의 ''Berceuse élégiaque'', 벤자민 고다르의 오페라 ''Jocelyn''의 "Berceuse",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Berceuse" (''불새'' 발레에 등장), 조지 거슈윈의 ''현악사중주를 위한 자장가''도 이 장르의 유명한 예시이다.
니콜라스 모의 관현악 야상곡 ''The World in the Evening''은 "대관현악단을 위한 자장가"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파울 그래너의 모음곡 ''From The Realm of Pan''의 마지막 악장은 "판이 세상에 자장가를 부른다"라는 제목이다.
저명한 고전 음악 작곡가들이 작곡한 자장가는 종종 프랑스어로 자장가 또는 요람곡을 의미하는 ''베르쇠즈''라는 형식명으로 불린다.
클래식 음악에서 자장가라는 이름이 붙은 소품은 많으며, 슈베르트, 브람스, 고다르(조슬랭의 자장가) 등의 작품이 유명하며, 피아노곡(쇼팽)이나 그 밖의 기악곡도 있다. 모차르트의 자장가"라고 불려 온 Schlafe, mein Prinzchen, schlaf' ein|잘 자라, 내 아가, 정원과 목장에서de는 나중에 베른하르트 플리스 또는 프리드리히 플라이슈만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참조
[1]
논문
Socializing Enchantment: A Socio-Anthropological Approach to Infant-Directed Singing, Music Education and Cultural Socialization
2014-06-01
[2]
논문
Singing to infants: lullabies and play songs
1998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Nursery Rhy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
웹사이트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3rd Edition, Anne H. Soukhanov: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Bukupedia
2015-06-15
[5]
웹사이트
Telling Tales: Storytelling in the Famil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lberta
2003-07-15
[6]
간행물
The Art of the Musical Zz: Cultural Implications of Lullabies around the World
Miwah Li, John Moeller, and Charles Smith Wofford College
2013
[7]
논문
Psychological effect of lullabies in child development
2017
[8]
논문
The evil eye and the afflictions of children
1958
[9]
서적
The Human Interest Library: Wonder world
Midland Press
1921
[10]
논문
How do shifting depictions of Lilith, 'The First Eve', trace the contexts and hegemonic values of their times?
2012
[11]
논문
Socializing Enchantment: A Socio-Anthropological Approach to Infant-Directed Singing, Music Education and Cultural Socialization
2014-06-01
[12]
논문
Preference For Sensory Consonance in 2- and 4-month-Old Infants
2002
[13]
논문
A functional MRI study of happy and sad affective states induced by classical music
2007-11-01
[14]
논문
Infants' Responsiveness to Fathers' Singing
2001
[15]
뉴스
The universal language of lullabies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1-20
[16]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perception of time and temporal regulation of action in infants and children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7]
논문
Music Listening Preferences in Early Life: Infants' Responses to Accompanied versus Unaccompanied Singing
2009-01-01
[18]
논문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sychological health of women during pregnancy
2008-10-01
[19]
논문
Socializing Enchantment: A Socio-Anthropological Approach to Infant-Directed Singing, Music Education and Cultural Socialization
2014-06-01
[20]
웹사이트
Lulling Babies to Sleep in Soqotra: What Can We Learn from the Soqotri Lullaby?
https://www.tandfonl[...]
2021-11-20
[21]
뉴스
Lullaby Medicine for Premature Babies
https://abcnews.go.c[...]
ABC News
2013-06-18
[22]
논문
The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Physiological Responses of Premature Infants in the NICU
1995
[23]
논문
The effect of music-reinforced non-nutritive sucking on feeding rate of premature infants
2003-06-01
[24]
논문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Vital Signs, Feeding, and Sleep in Premature Infants
2013-05-01
[25]
서적
Music, Thought, and Feel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6]
웹사이트
Lullabies and dandlings
http://www.education[...]
EducationScotland.gov.uk
2013-10-04
[27]
논문
Lullament: Lullaby and Lament Therapeutic Qualities Actualized Through Music Therapy
2008-04-01
[28]
논문
Infant preferences for infant-directed versus noninfant-directed playsongs and lullabies
1996
[29]
논문
Of Human Bonding: Newborns Prefer Their Mothers' Voices
http://people.uncw.e[...]
1980-06-01
[30]
논문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usic during kangaroo care on maternal state anxiety and preterm infants' responses
2006-02-01
[31]
논문
Brahms' Lullaby Revisited: Did the Composer Have Obstructive Sleep Apnea?
2000
[32]
서적
International Companion Encyclopedia of Children's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33]
서적
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Intercultural Arts Research
Routledge
2016
[34]
웹사이트
Persian Lullaby in Swedish Church
https://www.youtube.[...]
PDN
2013-01-16
[35]
웹사이트
politisk korrekthed – Gyldendal – Den Store Danske
http://www.denstored[...]
Gyldendal
2012-10-31
[3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ildren's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Magyar Néprajzi Lexikon
https://mek.oszk.hu/[...]
Akadémiai Kiadó
[38]
서적
Magyar Népdalok
https://mek.oszk.hu/[...]
Neumann Kht.
2022-07-17
[39]
웹사이트
Part 10 of Anglo-Irish poems of the Middle Ages: The Kildare Poems
https://celt.ucc.ie/[...]
[40]
웹사이트
Lullaby (Graves, set by Charles Villiers Stanford, Sir) (The LiederNet Archive: Texts and Translations to Lieder, mélodies, canzoni, and other classical vocal music)
http://www.lieder.ne[...]
[41]
웹사이트
An Ulster-Scots Lullaby (Whisht Wee Bairn)
https://www.libraryi[...]
[42]
서적
A Dictionary of Hiberno-English: The Irish Use of English
https://books.google[...]
Gill & Macmillan Ltd
2004-07-15
[43]
서적
Gaolta Gairide: Rogha danta comhaimseartha ar theamai oige agus caidrimh teaghlaigh
https://books.google[...]
Cois Life
2010-01-01
[44]
웹사이트
Kist O'Dreams | Home
http://www.kistodrea[...]
[45]
논문
Thoughts on the Ur-Gododdin: Rethinking Aneirin and Mynydawc Mwynvawr
1993
[46]
웹사이트
Lullaby ("Suo Gan")
http://www.contempla[...]
2011-07
[47]
웹사이트
George Clutsam Ovta files
https://ozvta.files.[...]
2021-10-29
[48]
웹사이트
Musicweb International
http://www.musicweb-[...]
2021-10-20
[49]
웹사이트
Paul Robeson You Tube
https://www.youtube.[...]
2021-10-29
[50]
웹사이트
Hine E Hine, a Māori slumber song
http://folksong.org.[...]
New Zealand Folk Song
2020-07-18
[51]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Tenth Edition
[52]
서적
Faust
E. Moxon
[53]
논문
The Art of the Musical Zz: Cultural Implications of Lullabies around the World
Miwah Li, John Moeller, and Charles Smith Wofford College
[54]
논문
Psychological effect of lullabies in child development
[55]
논문
The evil eye and the afflictions of childr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