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하문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하문로는 종로구 사직동, 청운효자동, 부암동을 지나는 도로이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는 개성, 의주 방면으로 통하는 자하문고개를 넘어가는 길이었으며, 1925년 백운동천 복개 공사로 도로가 개통되었다. 1978년 4차선 확장 공사를 거쳐, 1984년 추사로로 명명되었다가 1986년 자하문길로 변경되었고, 자하문터널 개통과 함께 도로 확장 공사가 이루어졌다. 2010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새문안로3길과 직결되고, 경복궁역, 사직동, 청운효자동, 신교동, 부암동, 세검정을 지난다. 자하문로에는 여러 부속도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교통 - 청계천로
    청계천로는 서울특별시의 도로로, 청계천 복개, 청계고가도로 건설 및 철거, 청계천 복원 사업을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청계광장에서 시작하여 신답철교까지 이어진다.
  • 서울 종로구의 교통 - 대학로 (서울)
    대학로는 종로구 종로5가에서 혜화동 로터리에 이르는 길과 그 주변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과거 성균관과 서울대학교가 위치했던 대학가에서 마로니에 공원 주변 소극장들을 중심으로 공연 문화가 발달한 "한국판 브로드웨이"로 변모하였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테헤란로
    테헤란로는 이란 테헤란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1977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을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한국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지로 발전했다.
  •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자하문로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명자하문로
총 연장3,196 m
기점서울특별시 종로구 적선동
주요 경유지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의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성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종점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동

2. 역사

고려 및 조선 시대에는 개성・의주 방면으로 통하는, 자하문고개를 넘어가는 길이었다. 현재의 자하문로 동쪽 차선 및 자하문로36길에 해당한다.[1]

1925년 도렴동~내자동~신교동 간 1,395m 백운동천 복개 공사가 시작되었다. 도렴동~내자동 간 약 290m의 복개도로(현 새문안로3길)가 개통되었다.[2][3] 1926년부터 1929년까지는 내자동~신교동 간 약 970m의 복개도로가 건설되었는데, 당시에는 현재의 자하문로 서쪽 차선을 차지하던 2차선 미만의 도로였다.[4]

1978년 12월 27일, 내자동에서 청운국민학교 앞까지 1.6km 구간의 4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 공사는 백운동천 복개도로와 현재의 자하문로 동쪽 차선을 차지하던 2차선 미만의 도로 사이에 있던 집들을 철거하여 이루어졌다.[4][5] 1984년 11월 7일에는 내자동에서 신교동을 거쳐 칠궁까지 이어지는 구간이 추사로(秋史路)로 명명되었으나, 1986년 7월 18일에 자하문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86년 8월 30일에는 자하문터널이 개통되었다. 이와 함께 부암동사무소에서 터널 북쪽까지 470m 구간과 터널 남쪽에서 경기상고 앞까지 260m 구간이 개통되었고, 세검정에서 부암동사무소까지 720m 구간과 경기상고 앞에서 청운국민학교 앞까지 350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6][7] 2010년 7월 2일, 자하문길은 자하문로로 다시 이름이 변경되어 종로구 도로명 주소 고시에 반영되었다.

2. 1.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고려 및 조선 시대에는 개성・의주 방면으로 통하는, 자하문고개를 넘어가는 길이었다. 현재의 자하문로 동쪽 차선 및 자하문로36길에 해당한다.[1]

1925년 도렴동~내자동~신교동 간 1,395m 백운동천 복개 공사가 시작되었다. 도렴동~내자동 간 약 290m의 복개도로(현 새문안로3길)가 개통되었다.[2][3] 1926년부터 1929년까지는 내자동~신교동 간 약 970m의 복개도로가 건설되었는데, 당시에는 현재의 자하문로 서쪽 차선을 차지하던 2차선 미만의 도로였다.[4]

2. 2. 광복 이후 ~ 현재

1978년 12월 27일, 내자동에서 청운국민학교 앞까지 1.6km 구간의 4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 공사는 백운동천 복개도로와 현재의 자하문로 동쪽 차선을 차지하던 2차선 미만의 도로 사이에 있던 집들을 철거하여 이루어졌다.[4][5] 1984년 11월 7일에는 내자동에서 신교동을 거쳐 칠궁까지 이어지는 구간이 추사로(秋史路)로 명명되었으나, 1986년 7월 18일에 자하문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86년 8월 30일에는 자하문터널이 개통되었다. 이와 함께 부암동사무소에서 터널 북쪽까지 470m 구간과 터널 남쪽에서 경기상고 앞까지 260m 구간이 개통되었고, 세검정에서 부암동사무소까지 720m 구간과 경기상고 앞에서 청운국민학교 앞까지 350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6][7] 2010년 7월 2일, 자하문길은 자하문로로 다시 이름이 변경되어 종로구 도로명 주소 고시에 반영되었다.

3. 노선

새문안로3길과 직결된다. 경복궁역에서는 국도 제48호선이자 서울특별시도 제C1호선인 사직로와 교차하며, 사직동에서는 새문안로3길과 교차한다. 청운효자동에서는 자하문로9길, 자하문로10길, 자하문로16길, 자하문로17길과 교차하며, 신교동에서는 필운대로효자로와 교차한다. 청운초등학교앞에서는 자하문로28길, 자하문로36길과 교차한다. 인왕산을 지나는 자하문터널을 지나 부암동에 이른다. 부암동에서는 창의문로, 백석동길, 자하문로41길, 자하문로42길과 교차하며, 세검정에서 세검정로와 교차한다.

3. 1. 주요 구간

새문안로3길과 직결된다. 경복궁역에서는 국도 제48호선이자 서울특별시도 제C1호선인 사직로와 교차하며, 사직동에서는 새문안로3길과 교차한다. 청운효자동에서는 자하문로9길, 자하문로10길, 자하문로16길, 자하문로17길과 교차하며, 신교동에서는 필운대로효자로와 교차한다. 청운초등학교앞에서는 자하문로28길, 자하문로36길과 교차한다. 인왕산을 지나는 자하문터널을 지나 부암동에 이른다. 부암동에서는 창의문로, 백석동길, 자하문로41길, 자하문로42길과 교차하며, 세검정에서 세검정로와 교차한다.

4. 부속도로

종로구 사직동, 청운효자동, 부암동을 지나는 자하문로의 부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도로명기점종점총연장 (m)차량 통행일방통행
자하문로1길적선동 8-6필운동 116-1303
자하문로1가길내자동 20-1체부동 119-1153
자하문로1나길체부동 189-1체부동 98-1141
자하문로1다길체부동 188-1체부동 188-1103
자하문로1라길체부동 189-1체부동 188-198
자하문로2길적선동 8-6세종로 2-4155
자하문로4길통의동 139통의동 7-2167
자하문로5길통의동 73-1필운동 90-7233
자하문로5가길체부동 119-1누하동 220-3229
자하문로6길통의동 73-1통의동 7-2178
자하문로7길통의동 73-1옥인동 97-1425
자하문로8길통의동 73-1통의동 13-2160
자하문로9길통의동 113누하동 194-1230
자하문로10길통의동 113창성동 117-9218
자하문로11길창성동 140-1통인동 6-56227
자하문로12길창성동 140-1창성동 96-1182
자하문로13길창성동 140-1통인동 89-16129
자하문로14길창성동 140-1창성동 96-1122
자하문로15길창성동 140-1통인동 44-3147
자하문로16길창성동 91-1세종로 1-39252
자하문로17길창성동 91-1옥인동 24-2213
자하문로19길효자동 8통인동 31-33234
자하문로21길효자동 8신교동 17-25164
자하문로23길효자동 8신교동 10-10257
자하문로24길효자동 8창성동 91-3308
자하문로26길청운동 143-2궁정동 98-10218
자하문로28길청운동 110청운동 89-10315
자하문로28가길궁정동 6청운동 89-128148
자하문로30길청운동 123-1궁정동 6145
자하문로33길청운동 110신교동 2-31540
자하문로33가길청운동 60-1청운동 53-30203
자하문로33나길청운동 52-86청운동 4-15222
자하문로33다길청운동 57-5청운동 52-102251
자하문로35길청운동 36-9청운동 1-1804
자하문로36길청운동 36-9청운동 4-25424
자하문로37길부암동 216-1부암동 396335
자하문로38길부암동 202-2부암동 210-4252
자하문로40길부암동 206-2부암동 244-23422
자하문로40가길부암동 208-4부암동 210-42218
자하문로41길부암동 134-2홍지동 129-1379
자하문로42길부암동 134-2신영동 142-1322
자하문로43길부암동 384-11홍지동 129-11232
자하문로45길홍지동 99-7홍지동 130-1116


4. 1. 주요 부속도로

종로구 사직동, 청운효자동, 부암동을 지나는 자하문로의 부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도로명기점종점총연장 (m)차량 통행일방통행
자하문로1길적선동 8-6필운동 116-1303
자하문로1가길내자동 20-1체부동 119-1153
자하문로1나길체부동 189-1체부동 98-1141
자하문로1다길체부동 188-1체부동 188-1103
자하문로1라길체부동 189-1체부동 188-198
자하문로2길적선동 8-6세종로 2-4155
자하문로4길통의동 139통의동 7-2167
자하문로5길통의동 73-1필운동 90-7233
자하문로5가길체부동 119-1누하동 220-3229
자하문로6길통의동 73-1통의동 7-2178
자하문로7길통의동 73-1옥인동 97-1425
자하문로8길통의동 73-1통의동 13-2160
자하문로9길통의동 113누하동 194-1230
자하문로10길통의동 113창성동 117-9218
자하문로11길창성동 140-1통인동 6-56227
자하문로12길창성동 140-1창성동 96-1182
자하문로13길창성동 140-1통인동 89-16129
자하문로14길창성동 140-1창성동 96-1122
자하문로15길창성동 140-1통인동 44-3147
자하문로16길창성동 91-1세종로 1-39252
자하문로17길창성동 91-1옥인동 24-2213
자하문로19길효자동 8통인동 31-33234
자하문로21길효자동 8신교동 17-25164
자하문로23길효자동 8신교동 10-10257
자하문로24길효자동 8창성동 91-3308
자하문로26길청운동 143-2궁정동 98-10218
자하문로28길청운동 110청운동 89-10315
자하문로28가길궁정동 6청운동 89-128148
자하문로30길청운동 123-1궁정동 6145
자하문로33길청운동 110신교동 2-31540
자하문로33가길청운동 60-1청운동 53-30203
자하문로33나길청운동 52-86청운동 4-15222
자하문로33다길청운동 57-5청운동 52-102251
자하문로35길청운동 36-9청운동 1-1804
자하문로36길청운동 36-9청운동 4-25424
자하문로37길부암동 216-1부암동 396335
자하문로38길부암동 202-2부암동 210-4252
자하문로40길부암동 206-2부암동 244-23422
자하문로40가길부암동 208-4부암동 210-42218
자하문로41길부암동 134-2홍지동 129-1379
자하문로42길부암동 134-2신영동 142-1322
자하문로43길부암동 384-11홍지동 129-11232
자하문로45길홍지동 99-7홍지동 130-1116


5. 교통

6. 주변 명소

6. 1. 주요 명소

7. 기타

참조

[1] 서적 오래된 서울 동하 2013
[2] 서적 청계천에서 역사와 정치를 본다 여성신문사 2005
[3] 뉴스 북부의신작로 황토현네거리로부터 내자동신교동사이길 http://newslibrary.n[...] 2016-11-20
[4] 뉴스 [건축가 황두진의 무지개떡 건축을 찾아서] 청계천 물길 끊긴 자리 시장이 아파트를 낳았네 http://www.seoul.co.[...] 2016-11-20
[5] 뉴스 내자동~청운국교 도로1.6km확장 준공 http://newslibrary.n[...] 2016-11-20
[6] 뉴스 자하문 쌍동이터널 개통 http://newslibrary.n[...] 2016-11-20
[7] 뉴스 청운·평창동일대 아파트·빌라단지로 단장 http://newslibrary.n[...] 2016-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