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은 계약 해석 시 계약 조항의 의미가 불분명할 경우, 해당 조항을 작성한 당사자에게 불리하게 해석하는 원칙이다. 이 원칙은 표준화된 계약이나 협상력의 불균형이 있는 상황에 주로 적용되며, 계약 작성자가 명확하고 명시적으로 계약 내용을 작성하도록 유도한다. 대한민국 상법은 보험 약관 해석에 이 원칙을 적용하며, UNIDROIT 원칙, 유럽 계약법 원칙 등 국제적 문서와 여러 국가의 법률에도 반영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법에 관한 - 배심제
    배심제는 법정에서 시민들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증거를 심리하고 평결을 내리는 제도로, 대배심과 소배심으로 나뉘며, 영미법 체계 국가에서 주로 시행되고, 한국에서는 국민참여재판 제도가 시행된다.
  • 미국법에 관한 - 재심
    재심은 확정 판결의 효력을 뒤집는 예외적 절차로, 새로운 증거가 판결에 미치는 영향이 명백해야 하며, 민사소송법과 형사소송법에서 사유와 기간을 규정하고, 사법 안정성과 피해자 구제 균형을 위한 제도 개선 논의가 있다.
  • 법 - 재판
    재판은 피고와 원고의 공방과 판사 또는 배심원의 판단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이며, 민사, 형사, 행정 재판 등으로 구분된다.
  • 법 - 조약
    조약은 국제법 주체들이 국제법에 따라 법적 구속력을 갖도록 체결하는 공식적인 서면 합의이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채택, 인증, 구속 동의 등의 절차를 거쳐 효력이 발생하며, 당사국 간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
  • 계약법 - 리스
    리스는 자산 소유자가 사용 권한을 타인에게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계약으로, 자금조달 성격의 금융리스와 임대차 성격의 운영리스로 구분되며, 리스료는 자산가액, 제세공과금, 자금조달 비용을 고려하여 산정되고, 비용 평준화, 세금 혜택, 유동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회계 처리 및 세제 혜택은 국가별로 다르며, 국제회계기준(IFRS) 16호와 미국 일반회계기준(US GAAP) ASC 842는 단기리스를 제외한 모든 리스를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로 인식하도록 규정한다.
  • 계약법 - 경쟁금지 조항
    경쟁금지 조항은 퇴사한 직원이 일정 기간 동안 경쟁 회사에 취업하거나 유사한 사업을 시작하는 것을 제한하는 조항으로,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공공의 이익에 반하지 않는 경우 유효하며, 각 국가별로 법적 규제가 다르다.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
법률 개념
정의계약 해석의 원칙
내용계약 내용이 불분명할 때 작성자에게 불리하게 해석
관련 법률계약법
상세 내용
기원로마법에서 유래
적용 조건계약 조항의 모호성
목적약자 보호 및 계약 공정성 확보
관련 용어계약 해석
신의성실의 원칙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참고 사항
중요성계약 분쟁 해결에 중요한 역할
제한 사항명확한 계약 조항에는 적용되지 않음

2. 적용 범위 및 근거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은 표준화된 계약이나 당사자 간 협상력이 불평등한 상황에 자주 적용되지만, 다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3] 그러나 이 원칙은 보험 계약 및 선하 증권과 같이 법으로 규정된 문구에는 직접 적용되지 않는다.[4]

2. 1. 적용 근거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은 표준화된 계약이나 당사자의 협상력이 불평등한 상황에 자주 적용되지만, 다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3] 그러나 이 원칙은 보험 계약 및 선하 증권과 같이 법으로 규정된 문구에는 직접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4]

이 규칙의 근거는 계약 작성자가 가능한 한 명확하고 명시적으로, 그리고 예상 가능한 상황을 최대한 고려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에릭 포스너는 "예를 들어,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은 작성자가 의무에 대해 더 명시적으로, 더 자세하게 제공하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상대방이 계약을 오해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계약의 사법적 해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라고 주장했다.[5] 유리 바이스는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은 위험 회피 성향이 적은 계약 작성자가 계약을 불명확하게 만들어 상대방을 조작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두 당사자는 위험 회피 성향이 적은 쪽이 계약을 작성하는 데 동의하여 거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 규칙이 없다면 도덕적 해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6]

또한 이 규칙은 표준 계약(예: 개인 소비자를 위한 표준 보험 계약, 주거 임대 계약, 항공 운송 계약 등)이라고도 알려진 종속 계약에 대한 법원의 본질적인 반감을 반영한다. 법원은 이러한 계약이 불공정하거나 불균형한 입장에 있는 당사자 간의 협상 결과라고 인식한다. 이러한 인지된 불공정성을 완화하기 위해 법률 시스템은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을 적용하여 계약을 제공하지 않은 당사자에게 의문의 여지를 유리하게 적용한다.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은 또한 손해를 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위치에 있는 당사자에게 손실 비용을 부과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계약을 작성한 사람이다. 이에 대한 예는 위에 언급된 보험 계약으로, 종속 계약의 좋은 예이다. 여기서 보험 회사는 계약 조건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가진 당사자이며, 예를 들어 계약 상실을 방지하는 데 더 유리한 입장에 있다.

3. 대한민국

대한민국 상법 보험편에서는 약관 해석에 있어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그 요건으로는 약관 조항이 객관적으로 다의적으로 해석되고, 그 각각의 해석이 합리성이 있는 등 당해 약관의 뜻이 명백하지 아니함을 들고 있다. 보험계약을 해석할 때 널리 쓰이며 보험자불리해석이라고도 한다.

3. 1. 대한민국 상법

대한민국 상법의 보험편에서는 약관 해석에 있어서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그 요건으로는 첫째, 약관 조항이 객관적으로 다의적으로 해석되고, 둘째, 그 각각의 해석이 합리성이 있는 등 당해 약관의 뜻이 명백하지 아니함을 들고 있다. 보험계약을 해석할 때 널리 쓰이며 보험자불리해석이라고도 한다.

4. 국제적 동향 및 각국의 법제화

이 원칙은 UNIDROIT 원칙 및 유럽 계약법 원칙과 같은 국제 문서와 일부 국가 법률에 법전화되어 있다.


  • 영국의 경우 2015년 소비자 권리법 제69조에서 소비자에게 가장 유리한 의미를 우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7]
  • 브라질 민법은 모든 법적 거래에서 약관을 작성하지 않은 당사자에게 유리하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제113조, § 1º, IV).[8]
  • 미국 캘리포니아 민법 §1654(1872년 제정)는 불확실한 경우 불확실성을 야기한 당사자에게 가장 불리하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른 여러 주에서도 이 규칙을 법제화했다.
  • 대한민국의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5조는 "약관의 뜻이 명백하지 아니한 때에는 고객에게 유리하게 해석되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9]

4. 1. 영국

영국법에서 소비자 계약과 관련하여, 2015년 소비자 권리법 제69조에 따르면 "소비자 계약 또는 소비자 통지에 있는 약관이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경우, 소비자에게 가장 유리한 의미가 우선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7]

4. 2. 브라질

브라질 민법은 모든 법적 거래에서 약관을 작성하지 않은 당사자에게 유리하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제113조, § 1º, IV).[8]

4. 3. 미국

캘리포니아 민법 §1654(1872년 제정)는 "불확실한 경우... 계약의 문구는 불확실성을 야기한 당사자에게 가장 불리하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7] 수많은 다른 미국 주에서도 이 규칙을 법제화했다.

참조

[1] Print. Black's Law Dictionary West Publishing
[2] 서적 Restatement (Second) of Contracts American Law Institute Publishers
[3] 간행물
[4] 간행물
[5] 논문 There Are No Penalty Default Rules in Contract Law
[6] 논문 The Regressive Effect of Legal Uncertainty
[7] 웹인용 Section 69 of the Consumer Rights Act 2015 http://www.legislati[...] The National Archives 2019-06-17
[8] 웹사이트 Brazilian Civil Code http://www.planalto.[...] Brazilian Civil House 2020-10-02
[9] 웹사이트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https://www.law.g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