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석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석남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65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예술대학교에서 문예창작학 학사 학위를,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으며, 김수영문학상, 현대문학상, 미당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그의 시는 기억의 순수함과 언어 감각을 통해 서정시의 선두 주자라는 평가를 받으며, 음악적 세계관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주요 작품으로 시집 《새떼들에게로의 망명》,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편운문학상 수상자 - 곽효환
    곽효환은 1996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편집자로, 대산문화재단 사장을 역임하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했고, 자아와 타자의 관계, 사회적 공동체에 대한 성찰, 북방에 대한 관심을 시에 담아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다.
  • 편운문학상 수상자 - 최승자
    최승자는 몸의 은유를 사용한 날카로운 시 세계를 구축하여 1980년대 주목받는 시인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유신 독재와 군사정권 시대의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와 성적 억압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여성 시인으로서의 삶과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로 보여주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번역가이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 출신 - 박은진 (야구인)
    박은진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태평양 돌핀스와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작고 후 유골은 인천가족공원에 안치되었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 출신 - 이용식 (희극인)
    이용식은 1952년생으로, 1975년 MBC 개그 콘테스트를 통해 데뷔하여 어린이 프로그램 《뽀뽀뽀》에서 뽀식이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장석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석남
본명장석남
한자 표기張錫南
로마자 표기Jang Seok-nam
출생일1965년 8월 3일
출생지인천광역시
직업시인, 교수
국적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장르
학력
대학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대학원인하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박사 (수료)
경력
데뷔1987년
수상
수상 내역"시와 문학" 신인상

2. 생애

장석남은 1965년 8월 3일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나, 서울예술대학교에서 문예창작학 학사 학위를,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한양여자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2]

그는 첫 시집 『새떼들에게로의 망명한국어』에서 자신의 인생이 음악과 같은 것이 되기를 매일 기도한다고 밝혔다. 문학은 문맹자에게는 다가가기 어려운 난해한 부호이지만, 음악은 어디든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장석남은 시와 언어를 절대적인 무언가를 향해 나아가는 수단이자 매체로 보았으며, 이러한 세계관은 그의 시를 매우 음악적인 것으로 만든다.

1992년 제11회 김수영문학상, 1999년 제44회 현대문학상, 2010년 제10회 미당문학상을 수상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장석남은 1965년 8월 3일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서울예술대학교에서 문예창작학 학사 학위를,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20대 초반에 시인으로 데뷔했으며,[3] 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 〈맨발로 걷기〉가 당선되어 등단했다.[4]

연도내용
1979-1981인천남중학교 졸업


2. 2. 등단과 작품 활동

1987년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 〈맨발로 걷기〉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잡지 《LIST》는 장석남의 작품에 대해 "기억의 순수함과 날카로운 언어 감각을 통해 서정시의 선두 주자로서의 위상을 보여준다"고 평했다.[5] 한국문학번역원은 그의 작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그는 첫 시집 《새 떼에게로의 망명》에 수록된 후기에서, 매일 자신의 삶과 음악을 융합하는 꿈을 꾼다고 고백한다. 문학은 단지 코드일 뿐이며, 맹인에게는 이해될 수 없는 기호인 반면, 음악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이는 분명 시인에게는 놀라운 주장이다. 그러나 장석남은 "시는 내가 음악에 도달하고, 춤을 추고, 불꽃 속으로 들어가기 위해 타야 하는 아름다운 뗏목이다"라고 말한다. 대부분의 시인들이 언어의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자질을 강조하는 반면, 그는 시나 그 매개체인 언어를 신비화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절대적인 다른 무언가에 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본다.[6]

그리하여 시인은 과감하게 "나는 언어의 문이 닫히는 곳에 머리를 둔다"고 선언한다. 데카르트의 유명한 명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를 비웃으며, 그는 "나는 언어가 부재하는 곳에서만 시인으로서 완전하게 존재한다"고 말한다. '춤'과 '음악'이 '언어'와 '도덕'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그의 믿음은 언어에 대한 자신의 개별적인 생각에서 비롯된다. 끊임없이 세속적인 생각과 도덕적 기준을 흡수하는 언어는 불순하고 오염된다. 그러나 언어는 인간의 사고와 표현의 기초 역할을 하므로 결코 버릴 수 없다. 비록 불순하지만, 시인은 '춤'과 '음악'과 같은 이상적인 세계의 표현에 도달하려 노력한다.[7]

시인의 이러한 세계관은 그의 시를 리듬과 음색의 의미에서가 아니라, 음악의 순수성을 성취하려는 열망의 의미에서 "음악적"으로 만든다. 그는 언어로 세상이라는 침묵의 악기를 연주하며, 만물을 춤추게 한다. 이것이 시인이 창조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미적 세계이다.[8]

장석남의 주요 시집으로는 《새 떼에게로의 망명》(1991), 《지금은, 누군가를 그리워하기에도 최선을 다하는》(1995), 《눈물 속의 눈》(1998), 《마음의 통증》(2001), 《웃음이 어디로 가나》(2006), 《뺨에 서쪽을 밝히다》(2010), 《고요, 달아나지 마》(2012), 《꽃을 밟을까봐》(2017) 등이 있다.[9]

장석남은 문학적 업적을 인정받아 김수영문학상(1992년, 시 부문), 현대문학상(1999년, 시 부문), 미당문학상(2010년), 김달진 문학상(2012년, 시 부문), 상화시인상(2013년), 지훈문학상(2018년, 시 부문), 편운문학상(2018년),[10] 우현예술상(2018년)을 수상했다.[11]

장석남의 작품은 아직 공식적으로 번역 출판된 것은 없지만, 한국 시 번역가로 유명한 테제의 브라더 앤서니가 그의 홈페이지에 장석남의 시 세 편을 번역해 놓았다. 이 세 편의 시는 《겨울 연못》, 《매달린 매화》, 《나는 불을 끈다》이다.[12] 2018년 5월부터 미국의 시인 [https://pauletteguerinbane.wordpress.com/ 폴레트 게린]과 간호 결정 과학자 [https://sites.google.com/site/clairepark1979/home/publication 클레어 수연 박]이 선별된 시와 산문의 출판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장석남은 2018년 서울국제작가축제(Seoul International Writer's Festival)에 한국 시인 9명 중 한 명으로 초청되어 참여했다.

3. 작품 세계

장석남은 1965년 8월 3일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16] 그는 문학이 문맹자에게는 다가가기 어려운 난해한 부호이지만, 음악은 어디에나 닿을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인생이 음악과 같은 것이 되기를 매일 기도한다고 말했다. 또한 시인은 언어의 절대성과 초월성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지만, 장석남은 시와 그 매체인 언어를 신비화하지 않고, 절대적인 무언가를 향해 나아가는 하나의 수단이자 매체로 본다.[6]

그의 작품은 아직 공식적으로 번역 출판된 것은 없지만, 한국 시 번역가로 유명한 테제의 브라더 앤서니가 그의 홈페이지에 장석남의 시 세 편(겨울 연못, 매달린 매화, 나는 불을 끈다)을 번역해 놓았다.[12] 2018년 5월부터는 미국의 시인 [https://pauletteguerinbane.wordpress.com/ 폴레트 게린]과 간호 결정 과학자 [https://sites.google.com/site/clairepark1979/home/publication 클레어 수연 박]이 선별된 시와 산문의 출판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장석남은 문학적 업적을 인정받아 다음과 같은 상들을 수상했다.

수상 연도상 이름
1992년김수영 문학상(시 부문)
1999년현대문학상(시 부문)
2010년미당문학상
2012년김달진 문학상(시 부문)
2013년상화시인상
2018년지훈문학상(시 부문), 편운문학상,[10] 우현예술상[11]



2018년 서울국제작가축제(Seoul International Writer's Festival)에 한국 시인 9명 중 한 명으로 초청되어 참여했다.

그의 주요 시집으로는 《새 떼에게로의 망명》(1991), 《지금은, 누군가를 그리워하기에도 최선을 다하는》(1995), 《눈물 속의 눈》(1998), 《마음의 통증》(2001), 《웃음이 어디로 가나》(2006), 《뺨에 서쪽을 밝히다》(2010), 《고요, 달아나지 마》(2012), 《꽃을 밟을까봐》(2017) 등이 있다.[9]

3. 1. 시 세계의 특징

장석남의 시 세계는 언어와 음악, 그리고 침묵의 조화를 통해 독특한 미학을 추구한다. 그는 시를 단순한 언어의 집합이 아닌, 음악과 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침묵에 이르기 위한 수단으로 보았다.

잡지 《LIST》는 장석남의 작품에 대해 "기억의 순수함과 날카로운 언어 감각을 통해 서정시의 선두 주자로서의 위상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5] 한국문학번역원은 그의 작품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시인은 언어를 통해 세상이라는 침묵의 악기를 연주하며, 만물을 춤추게 한다. 이것이 시인이 창조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미적 세계이다.[8]
  • 시인은 '춤'과 '음악'이 '언어'와 '도덕'으로부터 자유롭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그는 언어가 세속적인 생각과 도덕적 기준에 의해 오염된다고 보지만, 동시에 언어가 인간 사고와 표현의 기초이기에 버릴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모순 속에서 시인은 '춤'과 '음악'과 같은 이상적인 세계에 도달하려 노력한다.[7]


장석남은 첫 시집 《새 떼에게로의 망명》에서 "시는 내가 음악에 도달하고, 춤을 추고, 불꽃 속으로 들어가기 위해 타야 하는 아름다운 뗏목이다"라고 말했다.[6] 그는 "나는 언어가 부재하는 곳에서만 시인으로서 완전하게 존재한다"고 선언하며, 언어의 한계를 넘어선 곳에 진정한 시가 있다고 믿었다.[7]

이러한 그의 관점은 시집에서 잘 드러난다.

  • 《새떼들에게로의 망명》: 등잔불을 들고 밖으로 나갔으나 부엌에는 새 찍어 먹을 물이 없다. 꺼지려고 하는 불을 꺼치고 가슴의 불로 샘으로 간다.
  •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날이 저물어 베란다 창에 별이 몇 와 있다. 이 세월 위에 안장을 얹어 '탈' 수는 없기에 별이 얼얼하게 빛난다.
  •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문자 바깥까지 나가 내 몸뚱어리로 집도 짓고 나무도 심고, 그 소출로 술도 사 먹고 마음에 오는 빛도 좀 구경할 수 있는 날을 위해 다시 글자를 얻으러 나선다.
  •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무너질 데라고는 나 자신뿐! 거길 깨고 나갈 밖에. 나갈 문도 없이 집을 짓는다. 그게 사랑이다.

3. 2. 주요 작품



장석남의 시집에 대해 잡지 《LIST》는 "기억의 순수함과 날카로운 언어 감각을 통해 서정시의 선두 주자로서의 위상을 보여준다"고 평했다.[5]

4.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
1992년제11회 김수영 문학상
1999년제44회 현대문학상 (시 부문)
2010년제10회 미당문학상
2012년제23회 김달진 문학상 (시 부문)
2013년제28회 상화시인상
2018년제18회 지훈문학상 (시 부문)
2018년제28회 편운문학상 (시 부문)
2018년제12회 우현 예술상[13]
2020년제32회 정지용 문학상 (시)[14]


참조

[1] 웹사이트 Jang Seok Nam"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2013-12-14
[3] 웹사이트 Jang Seok Nam"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2013-09-21
[4]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2013-12-14
[5] 간행물 Rediscovering the Self Through Lyricism 2010-Winter
[6] 웹사이트 Jang Seok Nam"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2013-09-21
[7] 웹사이트 Jang Seok Nam"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2013-09-21
[8] 웹사이트 Jang Seok Nam"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2013-09-21
[9] 웹사이트 Jang Seok Nam"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2013-09-21
[10]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2013-12-14
[11] 웹사이트 인천문화재단 우현상 수상자 선정 http://www.incheonil[...] 2018-12-05
[12] 웹사이트 Nine poems by 3 Korean poets, all published in 2006 http://hompi.sogang.[...] Brother Anthony 2013-12-14
[13] 웹사이트 인천문화재단 우현상 수상자 선정 http://www.incheonil[...] 2018-12-05
[14] 웹사이트 제32회 정지용문학상에 장석남 시인 '목도장' 선정 http://www.safetimes[...] 2020-08-07
[15]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16]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klti.or.k[...] 2014-02-10
[17] 뉴스 신 서정파 시인 장석남‘시와 문학’ http://www.koreatime[...] 한국일보 2013-07-15
[18] 뉴스 규원이, 자네의 따스함이 아직 남았건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7-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