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당문학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당문학상은 2001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의 문학상으로, 시조 시인 미당 서정주의 문학 정신을 기리고 한국 시단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매년 시집을 대상으로 심사하며, 정현종의 '견딜 수 없네'를 시작으로 황동규, 최승호, 김기택, 문태준, 김혜순, 문인수, 송찬호, 김언, 장석남, 이영광, 권혁웅, 황병승, 나희덕, 최정례, 김행숙, 박상순 등 역대 수상자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현대시의 흐름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폐지 - 알누스라 전선
    알누스라 전선은 시리아 내전 중 활동한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로, 알카에다와의 연관성을 부인하다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로 인정받았고, ISIL과의 갈등 후 자바트 파타 알샴으로 조직명을 변경, 알카에다와 관계 단절을 선언했으나 완전한 결별은 아니었으며, 2017년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결성 후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전쟁범죄 혐의를 받았다.
  • 2017년 폐지 -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정보 통신, 방송 통신 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중앙행정기관으로, 과학기술처,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를 거쳐 2013년 출범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대산문학상
    대산문학상은 교보생명 창업주 신용호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제정한 문학상으로,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에 상금을 수여하고 수상작의 번역을 권장한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심훈문학상
    심훈문학상은 한국 문학가 심훈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등단 작가, 신인 작가, 학술 연구자, 청소년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2001년 설립 - 금융정보분석원
    금융정보분석원은 대한민국의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금지 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금융위원회 소속 기관으로, 특정금융거래정보의 수집·분석 및 수사기관 제공, 외국 금융정보분석기구와의 협력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 2001년 설립 -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는 국가인권위원회법에 따라 2001년 설립된 독립적인 국가기관으로, 인권 관련 법령 및 제도 개선, 인권침해 및 차별행위 조사와 구제, 인권 교육 및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한국 사회의 인권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미당문학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미당문학상
로마자 표기Midang munhaksang
한글미당문학상
한자未堂文學賞
영어Midang Literary Award
시상 내역
분야
국가대한민국
첫 시상2001년
기타
웹사이트한겨레신문
관련 정보송경동 시인 수상 거부 (2017년)

2. 역대 수상 작품

수상년도작가작품
제1회2001년정현종[4]견딜 수 없네 'I cant stand it''
제2회2002년황동규[5]탁족(濯足) A foot washing
제3회2003년최승호[6]텔레비전 Television
제4회2004년김기택[7]어떻게 기억해냈을까 How did she remember?
제5회2005년문태준[8]누가 울고 간다 Someone goes crying
제6회2006년김혜순[9]모래 여자 Woman of Sand
제7회2007년문인수[10]식당의자 Dining chair
제8회2008년송찬호[11]가을 Fall
제9회2009년김언[12]기하학적인 삶 A geometrical life
제10회2010년장석남[13]가을 저녁의 말 'Autumn evenings talk''
제11회2011년이영광[14]'저녁은 모든 희망을'
제12회2012년권혁웅[15]봄밤 Spring Night
제13회2013년황병승[16]'내일은 프로'
제14회2014년나희덕[17]심장을 켜는 사람 A heart player
제15회2015년최정례[18]개천은 용의 홈타운 'A brook is dragons hometown''
제16회2016년김행숙[19]유리의 존재 The presence of glass
제17회2017년박상순[20]무궁무진한 떨림, 무궁무진한 포옹 Infinite tremor and infinite hug


2. 1. 2000년대

수상년도작가작품
제1회2001년정현종[4]'견딜 수 없네'
제2회2002년황동규[5]'탁족(濯足)'
제3회2003년최승호[6]'텔레비전'
제4회2004년김기택[7]'어떻게 기억해냈을까'
제5회2005년문태준[8]'누가 울고 간다'
제6회2006년김혜순[9]'모래 여자'
제7회2007년문인수[10]'식당의자'
제8회2008년송찬호[11]'가을'
제9회2009년김언[12]'기하학적인 삶'


2. 1. 1. 2001년: 정현종 - '견딜 수 없네'

2001년 제1회 미당문학상 수상자는 정현종 시인이며, 수상작은 '견딜 수 없네'[4]이다.

2. 1. 2. 2002년: 황동규 - '탁족(濯足)'

2002년 제2회 미당문학상은 시인 황동규의 '탁족(濯足)'[5](A foot washing|어 풋 워싱eng)에게 수여되었다. 황동규 시인은 전통적인 서정시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꾸준히 새로운 시적 형식을 실험하며 한국 현대시의 폭을 넓혀온 인물로 평가받는다. 수상작 '탁족'은 발을 씻는 일상적인 행위를 소재로 삼아, 그 속에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성찰하는 과정을 담담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이는 관습적인 서정의 틀을 넘어서려는 황동규 시인의 시 세계와 깊이 있는 사유를 잘 보여준다.

2. 1. 3. 2003년: 최승호 - '텔레비전'

제3회 미당문학상은 2003년 최승호 시인의 시 '텔레비전'에 수여되었다.[6] 최승호 시인은 현대 사회의 물질문명과 소비문화의 문제점을 꾸준히 지적해 온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수상작 '텔레비전'은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은 텔레비전이라는 대중매체가 가진 폭력성과 허위성을 드러내고, 현대 사회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2. 1. 4. 2004년: 김기택 - '어떻게 기억해냈을까'

제4회 미당문학상은 2004년 김기택 시인에게 돌아갔다.[7] 수상작은 ''어떻게 기억해냈을까''이다.[7] 김기택 시인은 섬세한 관찰력과 독특한 상상력을 통해 일상에서 발견되는 낯선 풍경을 포착하는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수상작 ''어떻게 기억해냈을까''는 기억의 불확실성과 존재의 불안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2. 1. 5. 2005년: 문태준 - '누가 울고 간다'

제5회 미당문학상은 2005년 문태준 시인이 수상했다. 수상작은 '누가 울고 간다'이다.[8] 문태준 시인은 자연과의 깊은 교감을 통해 삶의 위안과 희망을 찾는 시 세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가 울고 간다'는 이러한 시인의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슬픔 속에서도 삶을 긍정하는 태도를 담아내고 있다.

2. 1. 6. 2006년: 김혜순 - '모래 여자'

2006년 제6회 미당문학상은 김혜순 시인에게 돌아갔다. 수상작은 '모래 여자'[9]이다. 김혜순 시인은 여성의 신체와 욕망, 억압받는 현실 등을 독창적이고 강렬한 언어로 탐구하는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수상작 '모래 여자'(Woman of Sand|우먼 오브 샌드영어)는 이러한 시인의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여성으로서 겪는 존재론적 고독과 불안감을 인상적으로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 1. 7. 2007년: 문인수 - '식당의자'

제7회 미당문학상은 2007년 문인수 시인에게 수여되었다.[10] 문인수 시인은 평범한 일상 속에서 삶의 비애와 연민을 발견하는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수상작 '식당의자'는 소외된 존재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담은 작품이다. '식당의자'의 ISBN은 9788992731652이며, 영문으로는 Dining chaireng로 번역되었다.[10]

2. 1. 8. 2008년: 송찬호 - '가을'

제8회 미당문학상은 2008년 송찬호 시인의 '가을'에 수여되었다.[11] 송찬호 시인은 자연의 순환과 생명의 신비를 노래하는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수상작 '가을'은 소멸과 생성의 과정을 통해 삶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이다.

2. 1. 9. 2009년: 김언 - '기하학적인 삶'

제9회 미당문학상은 2009년 김언 시인의 '기하학적인 삶'[12]에 수여되었다.

2. 2. 2010년대

수상년도작가작품
제10회2010년장석남[13]'가을 저녁의 말'
제11회2011년이영광[14]'저녁은 모든 희망을'
제12회2012년권혁웅[15]'봄밤'
제13회2013년황병승[16]'내일은 프로'
제14회2014년나희덕[17]'심장을 켜는 사람'
제15회2015년최정례[18]'개천은 용의 홈타운'
제16회2016년김행숙[19]'유리의 존재'
제17회2017년박상순[20]'무궁무진한 떨림, 무궁무진한 포옹'


2. 2. 1. 2010년: 장석남 - '가을 저녁의 말'

2010년 제10회 미당문학상 수상자는 장석남 시인이며, 수상작은 '가을 저녁의 말'이다.[13]

2. 2. 2. 2011년: 이영광 - '저녁은 모든 희망을'

제11회 미당문학상은 2011년 시인 이영광에게 수여되었다. 수상작은 '저녁은 모든 희망을'이다.[14] 이영광 시인은 현실의 고통과 슬픔을 외면하지 않고 정면으로 마주하면서도, 그 속에서 희망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시 세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 2. 3. 2012년: 권혁웅 - '봄밤'

제12회 2012년 미당문학상은 시인 권혁웅의 '봄밤'에 수여되었다.[15] 권혁웅 시인은 일상적인 언어와 감각적인 이미지를 결합하여 독특한 시 세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 2. 4. 2013년: 황병승 - '내일은 프로'

제13회 미당문학상은 2013년 황병승 시인에게 수여되었으며, 수상작은 '내일은 프로'이다.[16]

2. 2. 5. 2014년: 나희덕 - '심장을 켜는 사람'

나희덕 시인은 섬세한 언어와 따뜻한 시선으로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노래하는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2014년 제14회 미당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수상작은 심장을 켜는 사람한국어 (''A heart player'')[17]이다. (ISBN 9788927805878)

2. 2. 6. 2015년: 최정례 - '개천은 용의 홈타운'

2015년 제15회 미당문학상은 최정례 시인의 '개천은 용의 홈타운'에 수여되었다.[18] 최정례 시인은 독특한 비유와 상징을 통해 현실의 부조리를 날카롭게 비판하는 시 세계를 펼쳐온 것으로 평가받는다.

2. 2. 7. 2016년: 김행숙 - '유리의 존재'

제16회 미당문학상은 2016년 김행숙[19] 시인의 시 '유리의 존재'에 수여되었다. 김행숙 시인은 섬세하고 감각적인 언어를 통해 존재가 지닌 불안과 고독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 2. 8. 2017년: 박상순 - '무궁무진한 떨림, 무궁무진한 포옹'

제17회 미당문학상은 2017년 박상순 시인의 '무궁무진한 떨림, 무궁무진한 포옹'에 수여되었다.[20] 박상순 시인은 간결하면서도 절제된 언어를 사용하여 삶의 본질적인 의미와 깊이를 탐구하는 작품 세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뉴스 미당·황순원 문학상 시상식 열려 http://news.joins.co[...]
[2] 뉴스 한국작가회의, "친일 문인 기리는 미당·동인문학상 폐지" http://news.khan.co.[...]
[3] 뉴스 정치나 역사 아닌 예술 관점에서 미당 문학 평가했으면 http://www.hani.co.k[...]
[4] 뉴스 미당상 정현종 시인 http://news.joins.co[...]
[5] 뉴스 수상자 황동규씨 http://news.joins.co[...]
[6] 뉴스 미당·황순원문학상 시상식 http://news.joins.co[...]
[7] 뉴스 제4회 미당 문학상 수상자 김기택 http://news.joins.co[...]
[8] 뉴스 미당상 수상자 문태준 씨 http://news.joins.co[...]
[9] 뉴스 중진의 반란… 미당문학상 김혜순씨 시 모래 여자 http://news.joins.co[...]
[10] 뉴스 문인수, 김연수는 우리 문학의 잔칫상 http://news.joins.co[...]
[11] 뉴스 미당문학상 송찬호씨 가을 http://news.joins.co[...]
[12] 뉴스 미당문학상 김언 ‘기하학적인 삶’ http://news.joins.co[...]
[13] 뉴스 미당문학상에 장석남 http://www.segye.com[...]
[14] 뉴스 미당문학상에 이영광씨... http://www.segye.com[...]
[15] 뉴스 미당문학상 권혁웅 씨 http://news.donga.co[...]
[16] 뉴스 고창, 질마재문화축제 25일 개막 http://news1.kr/arti[...]
[17] 웹사이트 질마재문화축제·미당문학제 기념식 개최 - 전북도민일보 http://www.domin.co.[...] 2017-11-23
[18] 웹사이트 최정례 시인· 한강 소설가 미당·황순원문학상 수상 http://news1.kr/arti[...] 2017-11-23
[19] 웹사이트 미당문학상 김행숙 "제가 받은 건 상 아닌 특별한 시간" http://news.joins.co[...] 2017-11-23
[20] 뉴스 제17회 미당·황순원문학상 수상자 http://news.joins.co[...]
[21] 뉴스 한겨레, 미당문학상의 험난한 길 http://www.hani.co.k[...] 2001-09-14
[22] 뉴스 송경동 시인 “미당문학상 거부한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8-12-02
[23] 뉴스 한겨레, 규원이, 자네의 따스함이 아직 남았건만… http://www.hani.co.k[...] 2007-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