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세훈은 대한민국의 신학자이다. 고신대학교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호주 퀸즐랜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캠브리지 대학교 신학부 방문 교수를 지냈으며, 성경배움터 토브 대표, 한국복음주의신학회 부회장, 한국성경신학회 총무 등을 역임했다. 2017년에는 요한칼빈탄생500주년기념사업회로부터 올해의 신학자 상을, 2018년에는 희망나눔재단으로부터 해외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총신대학교 동문 - 전승우
전승우는 1995년 록 밴드 컬트의 드러머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하며 S.E.S., 빅뱅, 아이유 등 다양한 가수들의 작품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총신대학교 동문 - 정준 (배우)
1988년 CF 모델로 데뷔한 정준은 MBC 특채 탤런트 출신으로 영화와 드라마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굿피플 나눔대사로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신학자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신학자 - 강원용
강원용은 함경남도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사회운동가로, 경동교회 설립과 대화문화 아카데미 창설을 통해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언론, 사회,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장세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세훈 |
활동 기간 | 2000년 ~ 현재 |
출생일 | 1968년 11월 18일 |
직업 | 대학 교수 저술가 |
언어 | 한국어 영어 |
분야 | 구약신학 |
![]() |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호주 퀸스랜드 대학교 |
지도 교수 | 에드가 콘래드 박사(Edgar W. Conrad) |
2. 학력
- 호주 퀸즐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졸업(Ph.D), 지도교수(Edgar W. Conrad영어)[9]
-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신학부(Faculty of Divinity영어) 방문 교수(Visiting Fellow영어, 2014-15년)
2. 1. 국내 학력
2. 2. 해외 학력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에서 에드가 콘래드(Edgar W. Conrad) 교수의 지도로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9] 2014-15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신학부 방문 교수(Visiting Fellow)를 역임했다.3. 경력
성경배움터 토브 대표를 맡고 있다.
3. 1. 학술 활동
장세훈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부회장, 한국성경신학회 총무(2020-현재), 한국장로교신학회 협동총무(2018)를 역임하거나 맡고 있다.[10] Canon & Culture와 《교회와 문화》의 편집위원이기도 하다. 또한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총무와 한국개혁신학회 교류협력이사를 역임했다.직책 | 기간 |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부회장 | |
한국성경신학회 총무 | 2020-현재 |
한국장로교신학회 협동총무 | 2018[10] |
Canon & Culture 편집위원 | |
《교회와 문화》 편집위원 | |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총무 | 역임 |
한국개혁신학회 교류협력이사 | 역임 |
3. 2. 기타 경력
- 성경배움터 토브 대표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부회장
- 한국성경신학회 총무 (2020년-현재)
- 한국장로교신학회 협동총무 (2018년)[10]
- Canon & Culture 편집위원
- 《교회와 문화》 편집위원
-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총무 역임
- 한국개혁신학회 교류협력이사 역임
4. 수상 경력
- 2017년 요한칼빈탄생500주년기념사업회로부터 올해의 신학자상을 받았다.
- 2018년 희망나눔재단으로부터 해외우수논문상을 받았다.
5. 저서
- Christophe Rico and Peter J. Gentry, The Mother of the Infant King: Isaiah 7:14 (Eugene, OR: Wipf & Stock, 2020). CBQ 84, (2022): 122-124.영어 [14]
5. 1. 영문 저서
- Particularism and Universalism in the Book of Isaiah: Isaiah’s Implications for a Pluralistic World from a Korean Perspective영어 (Bern: Peter Lang, 2005).[13]
- “God as the Wise Teacher in Job”영어, Multiple Teachers in Biblical Texts, Biblical Exegesis & Theology 88영어 (eds.) B. J. Boet and A. L. H. M. van Wieringen (Leuven: Peeters, 2017): 73-88.[12]
- “Is Hezekiah a Success or a Failure?: The Literary Function of Isaiah’s Prediction at the End of the Royal Narratives in the Book of Isaiah”영어, JSOT영어 vol. 42.1 (2017): 117-135.[11]
5. 2. 한글 저서
- זְכַרְיָה|스가랴he (서울: SFC, 2021)
- 《문맥에서 길을 찾다》 (토브, 2018)
- 《실천과 적용을 위한 구약해석》 (그리심, 2012)
- 《21세기 개혁주의 구약신학》 (서울: SFC, 2010)
- 《한 권으로 읽는 이사야서》 (서울: 이레서원, 2004)
- 《본문의 의미를 찾아서》 (그리심, 2007)
- 《내게로 돌아오라》 (SFC출판부, 2007)
5. 3. 역서
제목 | 저자 | 출판사 | 출판일 |
---|---|---|---|
새롭게 읽는 선지서 | 에드가 W 콘래드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 2013년 |
언약신학과 종말론 | 윌리엄 J 덤브렐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 2016년 |
구약신학 | 폴 R 하우스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 2001년 |
새 언약과 새 창조 | 윌리엄 J 덤브렐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 2016년 |
20세기 복음주의 성경 신학자들 | 월터 엘웰 | 이레서원 | 2001년 |
주의 날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폴 하우스,장세훈 | 그리심 | 2006년 |
6. 논문
장세훈은 구약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신학자이다.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은퇴하였다. 그는 주로 구약성경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6. 1. 한글 논문
논문 제목 | 학술지명 | 발행년도 | 페이지 |
---|---|---|---|
“코로나 시대 분열의 갈등을 넘어: 느 1:5-11에 나타난 ‘우리’의 ‘죄 동일시’ 고백을 중심으로” | 성경과 신학 95 | 2020 | 1-22 |
“욥 42:1-6에 나타난 회개의 의미” | 교회와 문화 제44호 | 2020 | 55-74 |
“여호와를 아는 지식의 결핍과 리더십의 문제: 호 4:4-6을 중심으로” | 성경과 신학 71 | 2014 | 1-21 |
“아모스서의 종말론 이해: 아모스 9장 11절의 ‘다윗의 장막’에 대한 성경신학적 고찰” | 교회와 문화 42 | 2019 | 74-93 |
“창 3:15의 ‘제라’(씨/후손)에 대한 성경신학적 고찰: 게르할더스 보스의 관점을 중심으로” | 교회와 문화 제37호 | 2015 | 11-28 |
“가정의 언약적 순결에 대한 성경신학적 고찰: 말 2:10-16을 중심으로” | 한국개혁신학 36 | 2012 | 236-262 |
“시온의 토라와 들음의 이슈에 대한 고찰” | Canon&Culture 5(1) | 2011 | 145-171 |
“신화논쟁의 맥락에서 본 피터엔스의 신학에 대한 고찰” | 한국개혁신학 28 | 2010 | 204-232 |
“최근 스가랴서의 공시적 해석 동향” | 개혁논총 14 | 2010 | 365-386 |
“구약설교를 위한 번역선택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호 1:4, 1:9 및 2: 19-20을 중심으로” | 한국개혁신학 26 | 2009 | 39-65 |
“성경신학적 출애굽이해와 세례” | 장로교회와 신학 6 | 2009 | 47-67 |
“칼빈의 역사 문법적 해석의 의의” | 개혁논총 11 | 2009 | 63-85 |
“레위기 19장 19절과 GMO 논쟁” | Canon&Culture 2(2) | 2008 | 71-98 |
“이사야서의 정경적 해석 동향: 차일즈, 브루그만, 콘래드를 중심으로” | 구약논단 1(22) | 2006 | 46-63 |
참조
[1]
웹사이트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진
http://ktu.ac.kr/mai[...]
[2]
뉴스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공개 강좌/ 김지찬 교수, 장세훈 교수 강의
https://www.newsnjoy[...]
뉴스앤조이
2006-02-27
[3]
뉴스
복음서 연구 권위자들에게서 배우는 ‘복음서
http://www.igoodnews[...]
아이굿뉴스
2011-04-29
[4]
뉴스
Again 1907 역사적인 ‘평양대부흥’ 100주년 맞아보수·진보 성서학계 공동 심포지엄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2-03-16
[5]
블로그
제77차 온라인 정기논문발표회
https://chdaily.tist[...]
기독일보
2021-11-15
[6]
뉴스
“이사야서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필요”
http://www.christian[...]
Christian Wolrd Review
2003-09-22
[7]
뉴스
‘어려운 욥기. 주해와 설교’ 어떻게?
http://www.kosinnews[...]
고신뉴스KNC
2019-08-21
[8]
뉴스
‘교회용어’ 바른 사용 위한 신학강좌 열린다
http://www.goodnews1[...]
Dailygoodnews
2015-10-16
[9]
뉴스
에드가 콘래드 박사 초청 강의
http://www.kidok.com[...]
기독신문
2011-06-11
[10]
웹사이트
한국장로교신학회, 창조와 신앙고백 학술발표회 개최
https://www.kscoramd[...]
코람데오닷컴
2018-03-18
[11]
논문
JSOT Vol. 42.1
https://journals.sag[...]
[12]
서적
Multiple Teachers in Biblical Texts
https://www.amazon.c[...]
Amazon
[13]
서적
Particularism and Universalism in the Book of Isaiah
https://www.peterlan[...]
Peter Lang
[14]
간행물
The Catholic Biblical Quarterly 84
https://muse.jhu.ed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