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수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수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장수군 전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안군, 무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봉두, 김우성, 정준모, 송영선이 있다. 역대 선거 결과는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의 결과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수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수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수군의회는 장수군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로, 가/나 선거구에서 각각 3명씩, 비례대표 1명을 선출하여 더불어민주당이 5석, 무소속이 2석을 차지했다.
  • 장수군의 정치 - 진안군·무주군·장수군 (1973년 선거구)
    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는 1973년 신설되어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소선거구제 도입으로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선거구로 분리되었으며, 총 네 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장수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장수군
의회국회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진안군·장수군·무주군
의원수1인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장수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안군, 무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진안군·장수군·무주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설치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장수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2. 2. 폐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안군, 무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진안군·장수군·무주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제헌 총선부터 제5대 총선까지 장수군에서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봉두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봉두무소속10,85045.98%
류순형대한독립촉성국민회7,48831.73%
오일승무소속4,00216.96%
송주호대동청년단1,2565.32%
합계23,596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김우성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우성무소속4,98521.32
장병준무소속2,73911.71
오삼여무소속2,68811.50
오일승무소속2,61611.19
한두석무소속2,2869.78
김봉두무소속2,1669.26
유동열대한국민당1,8117.74
이만섭무소속1,3875.93
박문보무소속1,2105.17
류인철독립노농당7343.14
김태진무소속4671.99
문병선무소속2821.20
정종현무소속00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정준모무소속6,62227.67
송영선자유당5,29922.14
김응만무소속4,02316.81
장병운무소속2,61510.92
김우성무소속2,45010.23
김봉두무소속1,7627.36
오일승무소속7122.97
강인선대한독립촉성국민회4471.86
한범석무소속00



1954년 제3대 총선에서는 무소속 정준모 후보가 당선되었다.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정준모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정준모자유당12,00745.02
송영선민주당7,32827.48
최연식무소속4,56817.13
홍양춘무소속1,4325.37
김봉두무소속1,3304.98
합계26,665100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송영선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송영선무소속6,56322.29
김응만민주당6,30721.42
한정석무소속4,06413.80
최성석민주당4,03713.71
정준모무소속3,99113.55
최연식무소속2,3217.88
이상민무소속2,1607.33
합계29,4431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