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200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어,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부 지역이 김제시·부안군 선거구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통합민주당, 민주통합당, 국민의당,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당선되었으며, 강현욱, 강봉균, 김관영, 신영대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안산시 상록구 갑
안산시 상록구 갑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었으나, 2024년 안산시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안산시 갑 선거구에 편입되어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군산시의 정치 - 군산시장 선거
군산시장 선거는 1995년부터 2022년까지 군산시장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로, 민주당 계열과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하며 김길준, 강근호, 문동신, 강임준 등이 시장을 역임했고, 정치적 상황, 후보 역량, 지역 여론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여왔다. - 군산시의 정치 - 군산시 (1950년 선거구)
군산시 선거구는 1950년 신설되어 1963년 폐지될 때까지 총 4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으며, 변광호, 김판술, 김원전 등이 당선되었다. - 200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성남시 분당구 을
성남시 분당구 을은 2000년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분당동, 수내동, 정자동, 금곡동, 구미동을 관할하며 임태희, 손학규, 김병욱, 김은혜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200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군산시 (200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군산시 |
의회 | 국회 |
![]() | |
큰 지도 | 전북특별자치도 |
연도 | 2000 |
폐지 | 2024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군산시 갑 군산시 을 |
이후 선거구 | 군산시·김제시·부안군 갑 군산시·김제시·부안군 을 |
의원수 | 1인 |
2. 역사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군산시 갑 선거구와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회현면과 대야면이 김제시·부안군 선거구에 편입되어 군산시·김제시·부안군 을 선거구를 이루게 되었으며, 군산시의 남은 지역들은 군산시·김제시·부안군 갑을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역사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군산시 갑 선거구와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회현면과 대야면이 김제시·부안군 선거구에 편입되어 군산시·김제시·부안군 을 선거구를 이루게 되었으며, 군산시의 남은 지역들은 군산시·김제시·부안군 갑을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2. 역대 국회의원
군산시 전역을 관할했다.
3. 관할 구역
3. 1. 군산시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했다.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16대 총선 | 새천년민주당 | 강현욱 | 76,151 | 68.66 |
rowspan="3" | | 무소속 | 함운경 | 30,846 | 27.81 |
한나라당 | 양재길 | 3,907 | 3.52 | |
2002년 재보선 | 새천년민주당 | 강봉균 | 36,855 | 58.10 |
rowspan="3" | | 무소속 | 함운경 | 23,841 | 37.58 |
한나라당 | 조충렬 | 2,729 | 4.30 | |
17대 총선 | 열린우리당 | 강봉균 | 83,745 | 78.28 |
rowspan="3" | | 새천년민주당 | 엄대우 | 13,584 | 12.69 |
민주노동당 | 김홍중 | 9,643 | 9.01 | |
18대 총선 | 통합민주당 | 강봉균 | 49,885 | 52.79 |
rowspan="4" | | 무소속 | 강현욱 | 38,427 | 40.66 |
한나라당 | 이종영 | 5,076 | 5.37 | |
평화통일가정당 | 이근옥 | 1,108 | 1.17 | |
19대 총선 | 민주통합당 | 김관영 | 60,342 | 60.04 |
rowspan="4" | | 무소속 | 신영대 | 16,839 | 16.75 |
무소속 | 채용묵 | 11,945 | 11.88 | |
통합진보당 | 박상준 | 11,367 | 11.31 | |
20대 총선 | 국민의당 | 김관영 | 60,649 | 47.12 |
rowspan="5" | | 더불어민주당 | 김윤태 | 44,730 | 34.75 |
새누리당 | 채용묵 | 10,583 | 8.22 | |
무소속 | 함운경 | 8,108 | 6.29 | |
정의당 | 조준호 | 4,634 | 3.60 | |
21대 총선 | 더불어민주당 | 신영대 | 88,857 | 59.24 |
rowspan="3" | | 무소속 | 김관영 | 55,082 | 36.72 |
미래통합당 | 이근열 | 5,319 | 3.54 | |
국가혁명배당금당 | 최순정 | 714 | 0.47 |
4. 1. 상세 선거 결과
군산시 선거구에서는 여러 차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 강현욱 후보가 당선되었다.
-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 강봉균 후보가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와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강봉균 후보가 각각 열린우리당과 통합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통합당 김관영 후보가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당 김관영 후보가 다시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후보가 당선되었다.
4. 1. 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강현욱 후보가 68.6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함운경 후보는 27.81%를 득표하였고, 한나라당 양재길 후보는 3.52%를 득표하였다.
4. 1. 2. 2002년 재보궐선거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강봉균 후보가 당선되었다.4. 1.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군산시 선거구에서는 열린우리당 강봉균 후보가 78.28%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천년민주당 엄대우 후보는 12.69%, 민주노동당 김홍중 후보는 9.01%를 득표했다.
4. 1. 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강봉균 후보가 무소속 강현욱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4. 1. 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김관영 후보가 60.0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영대 후보는 16.75%, 무소속 채용묵 후보는 11.88%, 통합진보당 박상준 후보는 11.31%를 득표했다.
4. 1. 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김관영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김윤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김관영 후보의 당선은 당시 국민의당 돌풍의 영향으로 분석된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관영 | 국민의당 | 60,649 | 47.12 |
김윤태 | 더불어민주당 | 44,730 | 34.75 |
채용묵 | 새누리당 | 10,583 | 8.22 |
함운경 | 무소속 | 8,108 | 6.29 |
조준호 | 정의당 | 4,634 | 3.60 |
합계 | 128,704 | 100 |
4. 1. 7.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후보가 59.2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관영 후보는 36.72%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