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현 (야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승현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포지션은 포수이다. 인천서림초등학교, 동산중학교, 제물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4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했다. 2015년 경찰 야구단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마치고 2017년 두산 베어스로 복귀했다. 2021년 92경기에 출전하며 개인 최다 출전 기록을 세웠고, 프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2023년부터 스위치 타자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서림초등학교 동문 - 계기범
계기범은 인천서림초등학교, 동인천중학교, 인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교육 과정을 거친 인물이다. - 인천서림초등학교 동문 - 이성만
이성만은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졸업 후 행정고시 합격, 공직 생활,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및 의장을 거쳐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이지만,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의혹으로 수사를 받고 정보통신망법 위반 전과가 있다. -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관한 - 김성욱 (야구 선수)
김성욱은 진흥고등학교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낸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NC 다이노스에서 주로 외야수로 활약하며 2015년 '4월 ADT 캡스플레이' MVP 수상, 2019년 골든글러브 후보에 오르는 등 꾸준한 활약을 펼치고 2022년 군 복무 후 복귀하여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관한 - 장필준
장필준은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동한 프로 야구 선수로, 2017년 마무리 투수로 활약했고, 독립리그와 마이너 리그 경험이 있으며, 2024년 12월 7일 결혼 예정이다. - 동산중학교 (인천) 동문 - 박남춘
박남춘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 생활을 거쳐 국회의원과 인천광역시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동산중학교 (인천) 동문 - 강귀태
강귀태는 1998년 현대 유니콘스에 지명된 포수로, 대학 시절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2002년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하여 백업 포수로 활동하다 넥센 히어로즈에서 주전으로 활약하기도 했으나, 부상과 젊은 선수들의 성장으로 2013년 기아 타이거즈에서 은퇴했으며, 선수 기록보다는 여러 투수들의 주요 기록 달성을 막은 '레코드 브레이커'로 유명한 11시즌 통산 816경기 출전, 타율 0.255, 31홈런, 215타점을 기록한 선수이다.
장승현 (야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장승현 |
본명 | 장승현 |
영문 표기 | Jang Seung-Hyun |
소속 구단 | 두산 베어스 |
등번호 | 22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인천광역시 |
신장 | 184 |
체중 | 86 |
투구 | 우 |
타석 | 우 |
수비 위치 | 포수 |
프로 입단 | 2013년 |
드래프트 순위 | 2013년 4라운드 (두산 베어스) |
첫 출장 | KBO / 2018년 3월 31일 수원 대 kt전 |
연봉 | 6,000만원 (2023년) |
경력 | |
선수 경력 | 두산 베어스 (2013년 ~ 현재) 경찰 야구단 (2016년 ~ 2017년) |
아마추어 시절 | |
계약금 | 7,000만원 |
국가대표 | |
대표팀 | 대한국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2017년 |
2. 프로 입단 전
아버지의 영향으로 12세부터 야구를 시작했으며, 고등학교 시절에는 팀의 주전 포수였다.
3. 프로 선수 경력
2014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에는 주전 선수들에게 밀려 1군 출전 기회를 얻기 어려웠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하며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경험을 쌓았다. 2017년 9월 제대 후 팀에 복귀했으며, 같은 해 2017년 아시아 프로 야구 챔피언십에 국가대표로 발탁되기도 했다.
복귀 후 2018년 1군 데뷔 경기를 치렀고, 이후 점차 출전 기회를 늘려갔다. 2021년에는 개인 한 시즌 최다 경기에 출전하고 데뷔 첫 홈런을 기록하는 등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3년부터는 스위치 타자로 전향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3. 1. 두산 베어스 시절 (2013년 ~ 2015년)
2014년 두산 베어스에 지명되어 입단했다. 같은 해에는 양의지나 최재훈 등에 밀려 1군 출전 기회가 없었다.2015년에는 시범 경기에 1군으로 출전했지만[1], 양의지 등의 활약으로 시즌 중에는 1군에 등록되지 못했다. 같은 해 2군 올스타전에 선출되어 문승원과 배터리를 이뤘다[2].
3. 2. 경찰 야구단 시절 (2016년 ~ 2017년)
2015년 시즌 종료 후 경찰 야구단 입단 시험에 합격하여 군 복무를 시작했다. 경찰 야구단에서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경험을 쌓았다. 2017년 9월 23일에 제대하여 팀에 복귀했다. 제대 후 2017년 아시아 프로 야구 챔피언십 한국 대표팀에 함덕주, 류지혁, 김명신과 함께 발탁되었다. 대회 중에는 1경기에 한승택의 대수비로 출전했으나 타석에 들어설 기회는 없었다.3. 3. 두산 베어스 복귀 (2017년 ~ 현재)
2017년 9월 23일 경찰 야구단에서 제대한 후 팀에 복귀했다. 같은 해 2017년 아시아 프로 야구 챔피언십에 함덕주, 류지혁, 김명신과 함께 한국 대표팀으로 발탁되었으나, 대회 중에는 1경기에 한승택의 대수비로 출전했을 뿐 타석에 들어설 기회는 없었다.2018년에는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어 1군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3월 31일 kt 위즈와의 경기 7회말에 대수비로 출전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이 경기 첫 타석에서 안타를 기록하며 1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4월 1일에는 8번 타자 겸 포수로 데뷔 첫 선발 출전을 했다.
2019년에는 주전 포수였던 양의지가 FA로 NC 다이노스로 이적하면서 주전 포수 자리를 두고 경쟁했으나, 박세혁이 주전 포수로 자리 잡으면서 많은 출전 기회를 얻지는 못했다.
2020년에도 박세혁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했고, 베테랑 포수 정상호까지 팀에 합류하면서 출전 기회가 더욱 줄어들었다. 시즌 동안 5차례 1군과 2군을 오갔으며, 최종적으로 23경기 출전에 그쳤다.
2021년에는 92경기에 출전하며 개인 한 시즌 최다 출장 기록을 크게 경신했고, 프로 데뷔 첫 홈런도 기록했다.
2023년부터는 스위치 타자로 전향하여 활동하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고등학교 시절 팀의 주전 포수이자 4번 타자를 맡을 정도로 타격에도 재능을 보였다. 지명 당시에는 한승택과 함께 고졸 포수 최대어로 꼽혔으며, 특히 두산 베어스는 그의 뛰어난 신체 조건(184cm, 86kg)에 주목했다. 어깨가 강하고 수비도 견실하여 2020년 시즌 종료 시점까지 실책은 한 번도 없었다. 아마추어 시절에는 좌타자였으나 경찰 야구단 입단 후 우타자로 전향했으며, 2018년 시즌 초반에는 스위치 히터를 시도하기도 했다. 고등학교 시절 가래영 감독은 장승현이 야구에 임하는 자세가 진지하고 성실하다고 평가했다.
5.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18 | 두산 | 0.385 | 20 | 13 | 2 | 5 | 0 | 0 | 0 | 5 | 1 | 0 | 0 | 1 | 0 | 2 | 2 | 0 |
2019 | 0.171 | 35 | 41 | 3 | 7 | 2 | 0 | 0 | 9 | 3 | 0 | 0 | 3 | 1 | 13 | 0 | 0 | |
2020 | 0.250 | 23 | 20 | 5 | 5 | 3 | 0 | 0 | 8 | 3 | 0 | 0 | 1 | 1 | 6 | 2 | 0 | |
2021 | 0.232 | 92 | 177 | 18 | 41 | 10 | 0 | 2 | 57 | 27 | 0 | 0 | 19 | 8 | 50 | 2 | 4 | |
2022 | 0.208 | 60 | 96 | 6 | 20 | 3 | 0 | 0 | 9 | 9 | 0 | 0 | 5 | 4 | 27 | 2 | 4 | |
2023 | 0.158 | 76 | 139 | 11 | 22 | 1 | 0 | 3 | 32 | 9 | 1 | 0 | 6 | 8 | 36 | 2 | 2 | |
2024 | 0.200 | 9 | 20 | 1 | 4 | 2 | 0 | 0 | 6 | 0 | 0 | 1 | 2 | 0 | 5 | 0 | 0 | |
통산 | 7시즌 | 0.206 | 315 | 506 | 34 | 104 | 21 | 0 | 5 | 140 | 52 | 1 | 1 | 37 | 22 | 139 | 10 | 10 |
참조
[1]
KBO
https://m.sports.nav[...]
[2]
KBO
https://m.sports.na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